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구관계의 질이 사회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의 조절효과

        배민영 ( Min Young Bae ),신현숙 ( Hyeon Sook Shi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친구관계의 질이 초등학생의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노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학생 487명에게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자기노출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자기노출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노출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부적 관계가 유의하였다. 즉, 자기노출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친구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사회불안이 낮았다. 둘째, 친구관계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 자기노출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긍정적 친구관계와 주관적 안녕감 간 정적 관계가 자기노출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노출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강력하였다. 즉, 자기노출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긍정적 친구관계의 질이 높을 수록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노출이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관계 그리고 친구관계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를 조절함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불안이 높거나 주관적 안녕감이 낮은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의 친구관계가 긍정적일지라도 사회불안을 낮추고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려면 적절한 자기노출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isclosure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and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87 5th- and 6th-grader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In the low self-disclosure group,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In contrast,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That is,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e higher the friendship quality the lower the level of social anxiety.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also significant. The positive effect of friendship quality on subjective well-being was stronger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an in the low self-disclosure group. That is,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e higher the friendship quality the higher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elation of friendship quality to social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be moderated by self-disclosu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friendship quality of children who are socially anxious or low in subjective well-being and to increase self-disclosure of those who, despite positive friendship, suffer from heightened social anxiety and reduced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친구관계와 우울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추상엽,임성문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1

        그동안 친구관계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경험적 연구의 근거 없이 연구자의 가정에 기초해 두 변인 간 인과적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단자료를 사용하고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하여 친구관계와 우울 간 관계에서 인과적 방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최근 연구들에서 친구관계를 친밀한 정도에 따라 친한 친구관계와 학교 친구관계로 구분하고 있어, 두 유형의 친구관계와 우울 간 인과적 방향을 각각 알아보고자 하였다. 종단자료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패널자료 중 고등학생 자료인 3차, 4차,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학교 친구관계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우울은 학교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긍정적인 친한 친구관계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우울은 긍정적인 친한 친구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친구관계는 우울의 원인변인으로, 친한 친구관계는 우울의 결과변인으로 작용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는 고등학생의 우울 감소를 위한 개입시 긍정적인 학교 친구관계 증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majority of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and depression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casual relations assumed by researchers without empirical research. It comes to be a limitation to confirm the casual rela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and depression with the longitudinal data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Because in the recent studies friendship is divided into two forms of friendship by the extent of intimacy,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and close friends, we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two forms of friendships and depression respectively. The longitudinal data was from third, fourth, and fifth wave of the Korean Adolescent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 but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was not. Secon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ffect of friendships with close friends on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depression on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was. These results mean that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is a predicting variable and friendships with close friends is an outcome of depression, and imply that the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should be focused on positive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 KCI등재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및 우울,불안에 대한 연구

        서주영 ( Ju Young Seo ),김자경 ( Ja Kyoung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과 동기, 우울 및 불안 정도를 일반 아동과 비교하는 한편, 친구관계의 질이 우울 ·불안, 그리고 친구관계를 발달시키는 동기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6학년 학습장애 아동 17명과 이들과 성별, 학년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친구관계의질,친구관계 동기, 우울 ·불안 정도를 측정하였으며,자료 분석을 위해 PASW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친구관계의 질을 구성하는 각 하위측면과 전반적인 친구관계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친구관계의 동기에 있어서는 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인 자기결정적 동기화 점수인 자기결정성 지수(SDI)가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동기의 하위유형별로는 확인된 조절은 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반면, 무동기는 학습장애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학습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우울 및 불안 정도를 나타냈다. 우울의 하위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도 모든 유형에서 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넷째,친구관계의 질과 우울 ·불안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모두 친구관계의 질의 각 하위측면 및 전반적인 친구관계의 질은 전반적인 우울 ·불안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장애 아동의 친구관계 질의 하위측면들은 우울의 하위유형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전반적인 친구관계의 질은 우울의 하위유형 중 특히 우울 정서 및 자기 비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일반 아동은 친구관계 질의 하위측면 및 전반적인 친구관계의 질과 전반적인 우울 ·불안 및 우울의 하위유형 모두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한편 두 집단 모두 우울과 불안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모두 친구관계의 질과 친구관계 동기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riendship quality, motivation,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LD) in elementary school age. 17 children with LD in the 4th ~6th grades(ll boys and 7 girl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17 children without LD who were matched on gender and age with LD children als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LD showed a meaningful lower score on the friendship quality than those of children without LD. Second, children with LD showed a meaningful lower score on the identified regulation and higher score on the amotivation than those of children without LD. Third, children with LD showed a meaningful higher score on the depression and anxiety than those of children without LD. Forth, friendship qua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type of depression among students with LD. Finally, friendship quality was not correlated with friendship motivation.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 was addressed.

      • KCI등재

        수줍은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친구유무, 사회적 행동특성, 친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김보경,박성연 한국인간발달학회 2009 人間發達硏究 Vol.16 No.2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415명으로 수줍은 아동의 친구유무, 수줍은 아동과 친구의 사회적 행동특성 및 친구관계의 질을 경험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아동의 상호적 친구유무를 평가하기 위해서 Parker와 Asher(1993)의 친구관계 측정(Friendship assessments)을, 수줍은 아동과 친구의 친구관계 질을 평가하기위해서는 이은해, 고윤주(1999)의 친구관계의 질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검증, 검증 및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수줍은 아동은 일반 아동과 마찬가지로 상호 친밀한 친구관계를 맺고 있는 반면, 친구가 없는 수줍은 아동, 특히 수줍은 여아는 공격성이 높고 또래 괴롭힘을 당하였다. 또한 수줍은 아동과 그 친구는 친사회성 정도나 또래 괴롭힘 측면에서 유사성을 보였으나 친구관계 질은 서로 달랐다. 한편 수줍은 아동의 친구관계 질은 성에 따른 차이를 보여 수줍은 여아가 남아보다 친밀감과 인정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줍은 아동과 그 친구의 사회적 행동특성 및 친구관계의 질을 파악함으로써 수줍은 아동의 친구관계가 수줍은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

        박균달 ( Park Gyun Dal ),이수영 ( Lee Soo Yo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7 사회복지경영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사이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친구관계를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양육태도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등이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쳤으나, 거부적 양육태도와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모양육태도가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애정적 양육태도, 거부적 양육태도와 친구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애정적 양육태도 친구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Sobel test 검증결과 Z값이 부모의 양육태도는 부모와 자녀와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와 자녀간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변인은 중학생 학부모의 자녀 교육프로그램과 부모-자녀 간에 중요한 요소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friendship,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 - chil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friendship. First, what is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friendship? Second, what is the impact of parenting attitudes on parent-child communication?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the friendship, but rejective parenting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did not affect the friendship. Second, parental open communication has an effect on friendship, but dysfunctional communication has no effect on friendship. Third,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ope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Fourth, parent - chil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affectional parenting attitude,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parent - child open communication, and affectional parenting attitude friendship. Fifth, the Sobel test result shows that the Z value affects parent - child communication and child's friendship. Therefore, open communication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hould be included as an important factor between parents' child education program and parent - child.

      • KCI등재

        요한복음 21장 15-23절 내러티브 읽기

        김문현(Kim, Moon Hyun) 한국신약학회 2016 신약논단 Vol.23 No.3

        예수와 제자 간의 관계, 그리고 ‘제자도’(discipleship)는 익숙한 주제이지만, 예수와 제자 간의 친구관계, 그리고 그 친구관계의 이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친구도’(friendship)는 아직은 낯선 개념이다. 그 이유는 아마도 제자 관계는 수직적인 개념이지만, 친구관계는 수평적인 개념과 더불어, άγαπάω는 신적인 사랑, ϕιλϵω는 인간적인 친구의 사랑이라는 고착된 인식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요한복음에 나타난 예수와 제자와의 친구관계는 단순히 제자 관계의 성격을 넘어선 ‘큰 사랑’이 담긴 숭고한 개념이다. 본 소고는 21:15-23 내러티브에 등장하는 예수, 베드로, 그리고 애제자, 특히 예수와 베드로의 친구관계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인물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그레코-로마 세계에 대한 친구관계의 모티브에 대한 분석을 넘어 요한복음에 나타난 독특한 친구관계를 조명한다. 요한복음 여러 곳, 특히 11장, 13장, 그리고 21장에 나타난 친구관계의 신학적인 의미도 함께 분석해 보려고 한다. 요한복음의 친구관계는 요한복음의 독특한 친구관계의 솔직함과 대담함, 서로 앎과 죽음을 통한 영광을 추구하는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21:15-17절에 사용된 άγαπάω와 ϕιλϵω에 대한 의미 분석과 함께 예수와 베드로가 더 강화된 ‘큰 사랑’(‘greater love’[ταταύτης άγάπηυ])을 나누는 친구관계임을 강조한다. 그 강화된 친구관계는 결국 예수의 양을 치는, 즉 죽음을 통한 하나님의 영광을 구현하는 숭고한 사랑을 나타낸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Peter as Jesus’ friend through a critical narrative reading of John 21:15-23. Under the rubric of narrative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riendship motifs in Greco-Roman literature and compares them with the Johannine characterization of friendship between Jesus and Peter in 21:15-17. The apparent similarities notwithstanding, the friendship motif in John’s Gospel is distinct from the ancient conventions of the Greco-Roman world. This article explores the distinctive nuances and meanings of άγαπάω and ϕιλϵω in 21:15-17. Although these two words are used in verses 15-16, both Jesus and Peter employ ϕιλϵω in verse 17 between their dialogues. The latter term in particular reflects not so much the human friendly love as opposed to the divine love as the true friendship which is conceptualized as “greater love (ταύτης άγάπηυ) for laying down his life for his friends” (ύπϵρ τŵυ ϕίλωυ, αύτου, 15:13). A closer look at the ensuing dialogue between Jesus and Peter in 21:18-19 demonstrates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genuine friendship is to glorify God by laying down his life for the flock of the Lord. Ultimately the role of Peter as Jesus’ friend points to the pastoral responsibility for the glory of God.

      • KCI등재후보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박우람 ( Woo Ram Park ),홍상황 ( Sang Hwang Ho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2

        본 연구는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아동의 적대감과 관계적 공격성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466명에게 거부민감성,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 친구관계의 질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거부민감성은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과는 정적 상관, 친구관계의 질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연구의 매개변인인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도 친구관계의 질과 각각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거부민감성이 적대감과 관계적 공격성에 각각 영향을 주어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단순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고, 적대감이 관계적 공격성보다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과의 관계를 더 잘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의 거부민감성이 적대감에 영향을 미친 다음 관계적 공격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다시 친구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의 설정한 모형들 중 연구모형으로 설정한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적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감성이 친구관계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적대감과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를 통해 친구관계의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으로 인해 친구관계의 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관계적 공격성을 완화하는 개입을 하기 전에 친구관계에서 순간적인 갈등으로 발생하는 분노 및 적개심과 같은 정서를 완화할 수 있는 적대감 및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같은 인지정서적 개입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고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mong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friendship.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46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in Gyeongsangnam-do by measuring the scales of rejection sensitivity, hostility, relational aggression and quality of friendship.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expresses th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hostility, relational aggression bu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show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friendship. also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as a mediator variable in this study present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friendship. Second, by the study of mediating effect,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ffects on the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respectively. So the single mediating effect that has th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friendship becomes more meaningful. It represents that hostility better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friendship. Meanwhil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ffects hostility and then the development of relational aggression. It also represents again significance of dual mediating effect that affects quality of friendship. Especial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has more goodness than the full mediating effect. Rejection sensitivity affects directly the quality of friendship,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e quality of friendship by mediating between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This study represents the need of the cognitive-emotional intervention such as hostility and anger management program that can alleviate emotions like anger and enmity which occur in a moment before the intervention that can alleviate children``s relational aggression in students who can be lowered in friendship from rejection sensitivity.

      • KCI등재

        부모의 애착유형 결합형태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미선,김영희 한국가족관계학회 2019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4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style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Metho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17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ults: As for the combined parental attachment type, stable attachment to father-stable attachment to mother recorded the highest percentage, followed by unstable attachment to father-unstable attachment to mother, stable attachment to father-unstable attachment to mother, and unstable attachment to father-stable attachment to mother.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teachers were the most positive when their combined parental attachment type was stable attachment to father-stable attachment to mother, but were the least when their combined parents attachment type was unstable attachment to father-unstable attachment to mother. In addition, there were the interaction effects of combined parental attachment type and self-estee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hildren,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were found in combined parental attachment type and self-esteem. Compared to the group with lower self-esteem, the group with higher self-esteem showed higher level of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teachers, and this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more prominent in children with combined parental attachment type shown as unstable attachment to father-stable attachment to mothe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e significance of stable attachment to parents for children’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well as children's self-esteem to moderate the negative influence of unstable attachment to parents. 본 연구는 부모와의 애착유형을 안정형과 불안정형으로 분류하고, 결합하여 자아존중감에 따라 부모와의 애착유형 결합형태가 아동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 아동의 대인관계의 질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탐색해 보고, 학교교육 프로그램이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아동․가족상담 현장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C시에 소재한 6개의 초등학교 5학년, 6학년에 다니는 학생 8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애착유형은 아버지의 경우 안정형(58%)이 불안정형(42%)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어머니 또한 안정형(64.3%), 불안정형(35.7%) 순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안정형이 많은 분포를 보였다. 부모의 애착유형 결합 형태는 부 안정형- 모안정형이 가장 높았고, 부 불안정형- 모 불안정형, 부 안정형-모 불안정형, 부 불안정형-모 안정형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은 53.7%로 나타났고, 낮은 집단은 46.3%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애착유형 결합형태가 부 안정형-모 안정형인 경우 대인관계인 친구관계와 교사관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부 불안정형-모 불안정형일 때는 친구관계와 교사관계가 가장 낮게 나타나 부모의 애착유형 결합 형태에 따라 아동의 대인관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부모와의 애착유형 결합 형태와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 본 결과, 부모와의 애착유형과 자아존중감의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친구관계와 교사관계 수준이 높은데, 이 두 집단의 차이는 부 불안정형-모 안정형에서 훨씬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부 불안정형-모 안정형의 애착유형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동들은 친구관계가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이 낮은 아동들은 친구관계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동들은 교사관계가 낮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이 낮은 아동들은 교사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은 부 안정형-모 안정형에서 친구, 교사관계가 높게 나타났고, 부 불안정형-모 불안정형에서는 친구, 교사관계가 낮게 나타났다. 부 불안정형-모 안정형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동이 낮은 아동에 비해 친구관계가 명확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사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동이 낮은 아동에 비해 교사관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의 애착유형이 아동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자아존중감이 높고 낮음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아동들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해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상담기관 등에서는 특히 부모와의 갈등이나 대인관계 부적응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개별 및 집단 상담을 통한 상담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 외국인 노동자의 모국인 및 한국인과의 사회적 관계 : 친구관계를 중심으로 실증연구 Focusing on Friendship Relations

        이정환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내 외국인 노동자들의 사회적 관계로서 친구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이들의 모국인과 한국인 친구의 수와 만나는 정도 그리고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이들 친구들로부터 받은 도움을 파악하고 또 주요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이 이들 친구의 수와 만남의 정도에 대해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 사회인구학적 변수들 및 친구수와 친구만남이 친구로부터의 도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서울과 경인지역의 제조업체에 취업하고 있는 조선족, 중국한족, 베트남인, 필리핀인, 인도네시아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에서 나온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노동자들은 모국인과 한국인 친구관계에서 모국인 친구수가 더 많고 모국인 친구와 더 자주 어울리며 또한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모국인 친구로부터 도움을 더 받는다. 모국인과 한국인의 친구관계에 대해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도 서로 다르며 특히, 민족, 혼인상태, 체류기간은 이러한 차이를 크게 유발한다. 덧붙여, 대체적으로 친구관계와 친구만남은 서로 상관관계가 매우 높으나 친구도움은 그렇지 않다. 한편 이 연구의 독립변수들 가운데 민족과 체류기간은 친구관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유력한 변수로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ocial relations of foreign workers in Korea, examining their friendship relations with their homeland and Korean friends including number of friends, frequency of meeting with them and help from them when adapting to the Korean society, and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these friendship relations. For this purpose, 742 migrant workers from China (Korean and Han Chinese), Vietnam, Philippines, and Indonesia employed by manufacturing firm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surveyed. The results show that foreign workers have more homeland friends, meet them more frequently and get more help from them than Korean friends.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especially ethnicity, marital status and stay-duration on these friendship relations differ widely according to the kinds of friend. In friendship relations, number of friends and frequency of meeting with them have a high correlation while help from friends is not so relevant with the two aspects of friendship.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ethnicity and stay-duration appear to be salient variables explaining the variance of the friendship relations.

      • KCI등재

        친구는 많을수록 좋은가? 친구 연결망의 크기가 중학생의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민아(李旼娥),신철균(申鐵均),강정한(姜政漢)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친구 연결망이 긍정적 친구관계 및 상호협조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친구 연결망의 속성에 따라 영향이 다른지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2,465명의 중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결과 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으며, 친구 연결망의 속성을 (1)응답자가 친한 친구라고 지목한 학급 내·외 학생의 수, 즉 외향연결 친구수(outdegree)와 (2)응답자를 친한 친구라고 지목한 학급 내·외 학생의 수, 즉 내향연결 친구수(indegree)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내향연결 친구수의 수가 증가할수록 응답자의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의 수준이 높아졌다. 그러나 내향연결 친구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외향연결 친구수는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에 역U자형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가 생각하는 친구 연결망의 크기가 증가하면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의 수준이 증가하다가 중간 수준을 넘는 크기의 연결망은 다시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친구 연결망의 속성에 따라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사실과 중학생 본인이 생각하는 친구 연결망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오히려 친구관계에 대한 부담과 긴장을 증가시켜 관계의 질이 떨어질 수 있음을 함의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friendship networks and quality of friendship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cooper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if and how friendship networks have independent and different effects on the quality of friendship depending on its characteristics. We analyzed survey data from 2,465 students from 22 middle schools in Korea collected in 2015. Respondents reported their friends’ within their class and in their school. For each student, we measured two friendship network size variables by generating the number of friends that a respondent reported (i.e., outdegree), and the number of schoolmates who claimed him/her as a friend (i.e., indegre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indegree of friendship network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positive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with friends, which means that the quality of friendship increased as the size of friendship indegree increased. In contrast, outdegree of friendship network had significant, but non-linear effects on positive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with friends. The quality of friendship increased as the size of friendship outdegree increased, but excessive size of outdegree reduced the quality of friendship. This study suggests that friendship networks have differential effects depending on by whom friendship networks are reported, and the too many friends that an ego recognizes might have harmful effects on the quality of friend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