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신약학 50년의 회고와 전망 : 공관복음 연구

        김형동(Hyungdong Kim)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3

        본 소고는 한국신약학회 50주년을 맞이하여 공관복음 연구의 반세기를 되돌아보면서 한국신약학의 미래를 전망해본다. 따라서 본 소고는 공관복음에 있어서의 마가복음, 마태복음, 누가복음과 Q에 관한 한국신약학계의 연구들을 회고하고 이어서 공관복음의 주요 주제인 역사적 예수와 하나님나라 및 비유의 연구사를 간략히 언급한다. 한국신약학계의 1세대 학자들(안병무, 전경연, 채위)의 선각적 혜안과 건실한 연구가 밑거름이 되었기에 한국신약학 50년의 역사를 꽃피울 수가 있었다. 그들의 초기 작업은 건실할 뿐만 아니라 정확히 맥을 잡고 있어서 한국신약학계가 나아갈 길을 밝혔다. 안병무를 필두로 한 한신대의 역사적 예수와 하나님 나라에 대한 지속적 관심은 역사적 예수와 하나님 나라를 묵시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김창락, 김명수를 거쳐 일관되게 흐를 뿐만 아니라, 한국 토양에서 예수의 복음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해석학적 관심을 분명하게 표명하고 있다. 이후 김득중, 박수암, 김창락, 최갑종에 의한 구미의 학문적 연구에 대한 활발한 소개와 학문적 업적은 공관복음 연구에 있어서 세계적 흐름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했고, 한 걸음 더나아가 한국신약학계에서의 구별된 목소리와 다양한 전문적인 연구의 버팀목이 되었다. 2000년 이후의 한국신약학계의 주도적인 관심은 세계적인 추세와 발맞춰 본문과 독자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의 해석학적 노력과 역사적 예수 연구에로의 노력으로 경주되고 있다. 이러한 해석학적 시도는 서구중심적인 성서해석에 대한 대위법적 읽기로서의 탈식민주의(postcolonial) 비평과 문화분석적 비평을 제안하고 있다. 동시에 한국문화와 성서를 연결하고, 그 간격을 메우며 한국적 시각으로 성서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한국신약학계의 이러한 노력이 무엇보다도 ‘민중생명신학’에 대한 담론과 ‘생기의 해석학’에 대한 관심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시사적이고 고무적이다. In commemorat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New Testament Society of Korea (following NTSK) this study retrospects the history of the New Testament scholarship in Korea and prospects the future of New Testament scholarship. Thus it probes the studies of Mark, Matthew, Luke, and Q in the history of New Testament scholarship in Korea. It also investigates the history of research on the historical Jesus, kingdom of God, and parables. The first generation of the NTSK, such as Byung Moo Ahn, Kyung Yeon Jeon, We Chae pioneered the history of the New Testament studies with their foresight. They laid the foundation firmly and threw some light upon the New Testament studies in Korea. The line of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represented by Byung Moo Ahn centered on the studies of the historical Jesus and Kingdom of God from the perspective of apocalypticism and Mingjung Theology. They has shown the consistent hermeneutical concern for the meaning of the Gospel in the soil of Korea. The next generation of the scholarship represented by Deuk Joong Kim, Soo Am Park, Chang Rak Kim, and Gab Jong Choi has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New Testament studies in Korea. They introduced and applied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s to the New testament studies and enabled new testament students to interact with the academia around the world. Further they buttressed the distinctive voice of the NTSK in the various field of the New Testament scholarship over the world. In the 2000s the NTSK shows the hermeneutical concern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xt and reader and for the historical Jesus. Such hermeneutical concerns suggest the postcolonial and culture analytical reading to counterpoint the western biblical interpretation. At the same time it tries to connect the Bible and the Korean culture and to contribute to the biblical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s. It is very suggestive and inspiring for the New Testament scholarship to engage in the theological discourse of “Minsjung life” and “full of life.”

      • KCI등재

        한국신약학 50년의 회고와 전망 : 신약배경사

        김판임(Pan Im Kim)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3

        이 논문은 한국신약학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1961-2010년 사이에 있었던 국내출간물을 중심으로 신약배경사 연구의 역사를 고찰하고 향후발전을 위한 전망과 제언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나온 50년의 연구사를 통틀어 볼 때 별로 신약배경사 관련 연구 업적이 많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제1기(1961-1980)는 신약배경사 소개의 시기로서, 이 시기는 1961년 유시욱의 논문과 1972년 기독교사상에 연재된 이상호의 글 외에 언급할만한 것이 없다. 제2기(1981-2000) 초기엔 그 이전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80년대에 박창건의 두 논문 외에는 이렇다할만한 연구가 없었고, 90년대 중후반에 와서야 조태연, 윤철원, 김판임의 활동으로 신약배경사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제3기(2001년 이후)는 미국과 유럽에서 실력을 갖추고 귀국한 국내학자들의 저술활동과 활발한 연구모임 등으로 신약배경사 연구에 열기를 더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신약학회 50년 역사에서 신약배경사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빈약한 편이고, 연구도 번역도 개론적인 수준에 머문 경우들이 많다. 신약배경사 연구를 위해서는 관련 문헌들을 독해할 수 있는 히브리어와 헬라어와 같은 고전어 실력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힘들고 낯선 영역에 대한 도전정신과 인내도 요구된다. 그러므로 신약배경사 연구의 향후 발전을 위해서는 고전어 교육 강화, 구약학이나 그리스 로마관련 학자 등 타영역 학자들과의 교류, 신약배경사 연구와 고전 문헌 번역을 위한 연구비 지원 등이 요구된다. In celebrat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New Testament Society of Korea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history of the New Testament in Korea (1961-2010) and to make some sugges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New Testament Scholarship in the area of the Background of the New Testament. We show that there were a few studies in the Background of the New Testament. The first period (1961-1980) gives the Introduction to the Background of the New Testament in our Society. Only 2 persons, Si Ouk Yeu (’60) and Sang Ho Lee (’50 and ’70) wrote the articles. In the second Period (1981-2000) show the people more interest in the Background of the New Testament, but a few scholar, Chang Gun Park (’80) and Tae Yoen Cho, Chul Won Yoon and Panim Kim (’90) tried to study the Background od the New Testament. After 2001 (the third period) man can see the progress through more publications about the Qumran texts, Josephus, etc. and more academic movements. It is suggested that the classic languages (Hebrew and Greek) more is to emphasize in the education of the theological Seminary, that the New Testament Scholar have to associate with the scholar in another area, for example, Old Testament, Greek literature, Roman Culture and History etc. and that the research fund should be paid more for the studies of the Background of the New Testament and the translation of the jewish literature as the primary materials.

      • KCI등재

        한국 신약학자들의 활동사

        윤철원(Chulwon Yoon),김동수(Dongsoo Kim)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3

        본 논문은 신약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그 간의 신약학자들의 활동사를 기록한 것이다. 먼저, 학회장을 지낸 인물들을 중심으로 한국 신약학의 발전을 위한 그들의 주요 업적을 기술하려고 했다. 다음으로, 지난 50년의 학회의 주요 업적으로 신약논단의 한국 연구재단 등재, 해외학자들과의 교류, 신약학자들 간의 교류의 활성화, 총서 출판, 최근의 활발한 학문 활동 등을 들었다. 마지막 부분은 분야별 활동사를 다룬 것이다. 해외에서 활동하는 학자들, 목회와 기관에서 활동하는 학자들, 대학 행정을 맡은 학자들, 여성 학자들, 그 외 중요한 몇 가지 통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활동사는 독자들로 하여금 한국 신약학회의 발전의 이면을 이해하고 현황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the activities of Korean New Testament scholars for the last 50 years. First, it traces the activities of the presidents of the New Testament Society of Korea. Next, it suggests 5 most significant events in the society during last 50 years. Finally, it deals with the activities of the NT scholars in various areas such as those who work in the foreign institutions, those who work both in the pastoral ministries and in the church institutions, and those who work in the church administrations. The activities of women scholars are also dealt with. Also it gives several important data with regard to the society. This study, accordingly, will contribut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 KCI등재

        한국신약학회의 역사 Ⅱ (1995-2011)

        박정수(Jung Soo Park)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3

        1994년 10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약 17년간, 한국신약학회 역사의 성격은 다음과 같이 규정할 수 있다. 2000년까지 학회활동은 정점에 도달했고, 그 이후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성과나 내실의 측면에서 이전 시기를 능가하지 못했으며, 2006년 이후 조직적인 측면이나 구조적인 측면에서 갈등의 징후를 보여주다가 2008년부터 학회는 구조적인 정체에 빠지게 되었다. 모든 상황을 이 틀로 재단할 수는 없지만, 우리는 1995-2000년까지를 ‘융성기’, 2001-2007년을 ‘다변화시기’, 그리고 2008-2011까지를 ‘구조적 정체기’라 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17년간의 가시적 성과는 학술지 『신약논단』의 출간과 정착, 독자적인 학술대회라는 아카데미즘을 생산한 것이다. 회원들은 이 공간에서 학문을 토론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역사와 교회, 기독인들에게 자신들의 메시지를 전달될 수 있었다. 이제 구조적 정체기에서 다시금 일어서서 학회를 인격적 교제의 공간으로 회복시고, 한국교회와 신학교육의 위기를 극복할 창조적 대안을 생산하여 한국기독교의 내일을 새롭게 열어나갈 수 있는 진정한 학문공동체를 이루어야 하겠다. The history of New Testament Studies of Korea (NTSK), approximately 17 years 1994-2011, may be roughly divided in period if we describe her nature: By the year 2000, NTSK reaches a peak of activity, and thereafter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nevertheless it did not surpass the previous period viewed from her fruits or internal stability; NTSK revels in organizational aspects signs of conflict since 2006 and is now in structural gridlock. Of course, this framework can not cover all situations which she has encountered, but we could name by it the period 1995-2000 ‘Augustan era’, 2001-2007 ‘time of diversification’ and 2008-2011 ‘structural stagnant period’. Visible achievements of the 17 years are the publication of the Journal “Korean New Testament Studies” and settlements of the annual spring conference. Both have produced creative aura of academism. Members could enjoy academical publications and discussing in this space, furthermore deliver their messages to Korean church and Christians. Now we should emerge from the structural gridlock and come a long way spiritedly by strengthening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as well ad by producing creative alternative in the crisis of the church and the theological education in our country. Contributions of all the member could make NTSK a true academic community which will open the future of Korea Christianity.

      • KCI등재

        한국신약학회의 역사 II(1995-2011)

        박정수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3

        The history of New Testament Studies of Korea (NTSK), approximately 17 years 1994-2011, may be roughly divided in period if we describe her nature: By the year 2000, NTSK reaches a peak of activity, and thereafter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nevertheless it did not surpass the previous period viewed from her fruits or internal stability; NTSK revels in organizational aspects signs of conflict since 2006 and is now in structural gridlock. Of course, this framework can not cover all situations which she has encountered, but we could name by it the period 1995-2000 ‘Augustan era’, 2001-2007 ‘time of diversification’ and 2008-2011 ‘structural stagnant period’. Visible achievements of the 17 years are the publication of the Journal “Korean New Testament Studies” and settlements of the annual spring conference. Both have produced creative aura of academism. Members could enjoy academical publications and discussing in this space, furthermore deliver their messages to Korean church and Christians. Now we should emerge from the structure agridlock and come a long way spiritedly by strengthening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as well ad by producing creative alternative in the crisis of the church and the theological education in our country. Contributions of all the member could make NTSK a true academic community which will open the future of Korea Christianity. 1994년 10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약 17년간, 한국신약학회 역사의 성격은 다음과 같이 규정할 수 있다. 2000년까지 학회활동은 정점에 도달했고, 그 이후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성과나 내실의 측면에서 이전 시기를 능가하지 못했으며, 2006년 이후 조직적인 측면이나 구조적인 측면에서 갈등의 징후를 보여주다가 2008년부터 학회는 구조적인 정체에 빠지게 되었다. 모든 상황을 이 틀로 재단할 수는 없지만, 우리는 1995-2000년까지를 ‘융성기’, 2001-2007년을 ‘다변화시기’, 그리고 2008-2011까지를 ‘구조적 정체기’라 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17년간의 가시적 성과는 학술지 신약논단의 출간과 정착, 독자적인 학술대회라는 아카데미즘을 생산한 것이다. 회원들은 이 공간에서 학문을 토론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역사와 교회, 기독인들에게 자신들의 메시지를 전달될 수 있었다. 이제 구조적 정체기에서 다시금 일어서서 학회를 인격적 교제의 공간으로 회복시고, 한국교회와 신학교육의 위기를 극복할 창조적 대안을 생산하여 한국기독교의 내일을 새롭게 열어나갈 수 있는 진정한 학문공동체를 이루어야 하겠다.

      • KCI등재

        한국신약학 50년의 회고와 전망 : 바울서신 연구

        차정식(Jung Sik Cha)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3

        이 논문은 2001년부터 2011년까지 11년간 한국신약학회의 대표적 학술지인 『신약논단』에 발표된 바울서신 및 바울신학에 대하여 발표된 논문들을 집중 분석하고 평가한 연후 향후 바람직한 연구의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기간 내에 발표된 총 84편 가량의 관련 논문들에 대한 분석 결과 그동안 한국 신약학계 내에 바울서신의 연구 성과가 그 양과 질에서 큰 발전을 이룬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여전히 1차 자료의 미비, 연구 방법론 계발의 미흡, 서구원전의 자료에 일방적으로 함몰된 단순한 소개나 이식 수준의 논문쓰기 패턴 등으로 인해 아직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연구의 진로는 요원한 실정이다. 그렇다고 한국적인 관점의 독창성을 담보할 만한 연구가 활발한 형편도 못된다. 이런 방향의 선언적 주장은 많지만 그런 문제의식이 뿌리 내려야 하는 연구의 지형에 대한 발본적인 도전과 도약의 의욕이 미진한 때문이다. 이 논문은 결론적으로 바울 연구 현황에 대한 분석을 넘어 한국성서신학자들의 현주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공부의 기본기부터 다시 챙기는 혁신적 비평공동체의 창안을 주장하면서 그 정당성과 필연성의 사유를 밝힌다. This essay seeks to present an analytical survey on those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New Testament Studies in the area of Paul’s letters and Pauline theology from 2001 to 2011. With a critical overview on a total of 84 articles, it is shown that Pauline scholarship in Korea has made an enormous progress in various ways. However, many limitations and problems are also detected as follows: 1) lack of primary resource materials for research; 2) shortcomings of methodological adventure and creative variations; 3) uncritical endorsement of western theories and perspectives; 4) absence of reciprocity in academic debate and open criticism. In addition, declaratory arguments for the genuinely Korean scholarship turn out to be an empty slogan sinc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deep-rooted reasons why the same voice is repeatedly raised without any substantial outcome of scholarly achievements. The author suggests that Korean New Testament scholars in general, and Pauline scholars in particular, are to buttress a ‘study community’ in which they can reflect the status quo of their research projects. The same perspective goes along with a critical view to envisioning the promising goals of the forthcoming generation. Part of the goals is to read honestly other scholars’ works of study and to review them critically in open discussion. By doing so, they will be able to gradually accumulate their core achievements in this indigenous bedrock of the scholarly world.

      • KCI등재

        예수는 어떻게 한국에서 민족과 반공의 아이콘이 되었는가?

        정승우(Chung, Sung-woo) 한국신약학회 2013 신약논단 Vol.20 No.3

        이 글은 격동의 현대사 속에서 형성된 한국인의 예수담론들이 어떻게 신약성서의 예수 이야기를 재배치하고 재구성하여 한국교회와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상징적으로 해소시켰는지를 분석한다. 따라서 이 글은 1905년부터 1950년대까지 한국 개신교의 형성과 성장기에 생산된 한국인들의 예수 담론들 속에 내장된 정치적 무의식을 살펴보았다. 그 동안 한국교회를 지배해 온 교리중심의 예수이해를 넘어 한국인의 종교, 문화적 심성과 정치사회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고, 유통된 한국적 예수이해(Korean Jesus)의 한 단면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개신교회가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서사와 이미지를 민족과 반공 이데올로기를 합법화하기 위해 어떻게 동원하고 전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제 강점기에 한국교회는 예수를 통해 민족을 발견한다. 복음서에 등장하는 역사적 예수의 유대성(Jewishness)에 주목하며,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은 민족의 고난속에 현존하는 그리스도를 증언하고자 했다. 고난 받는 예수상은 대중적인 파급력을 지니며 일제의 가혹한 식민지배에 시달리는 조선민중들을 위무할 수 있는 신앙적 파토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한편 일제 말기 신사참배에 굴복한 한국의 주류 개신교회는 자신들의 수치심을 반공주의로 전이시킨다.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갈등 이야기와 계시록의 적그리스도의 이미지를 전유하여 반공의 기표로 사용한다. 가령 이명직, 한경직, 황은균 등과 같은 개신교 지도자들은 계 12:3에 등장하는 붉은 용을 공산주의와 동일시한다. 또한 이들은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갈등 이야기를 반공담론의 기독교적 전거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 개신교회는 성서의 묵시문학에 등장하는 극단적인 이원론과 선민사상을 무비판적으로 전용하여 반공의 종교적 기표로 사용하였다. 또한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갈등 이야기(마 4:1-11; 눅 22:26)를 복음서 저자의 신학적 의도와는 무관하게 반공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데 이용한다. 이처럼 일제의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통해 예수는 민족과 반공의 아이콘이 되어 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예수의 이야기를 이데올로기적으로 전유하는 것은 한국교회가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종교적 로망스로 전이시키고, 퇴거시킨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 글은 지난 시기 한국교회가 생산한 예수담론들이 지닌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규명하는 함으로써 한국교회가 예수를 통해 무엇을 욕망했는가를 살피고자 했다.이는 예수를 한시적인 이념으로 우상화 했던 우리의 과거를 반성하는 일이도 하다.

      • KCI등재

        3.1 정신과 마가신학을 통해 바라본 한국 교회의 길(ὁδόϛ)

        김성희(Kim, Seong Hee) 한국신약학회 2018 신약논단 Vol.25 No.3

        이제 곧 백주년을 맞이하게 되는 3.1 운동은 기독교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먼저, 주체세력의 상당수가 기독교인이었고, 독립선언문의 내용 및 독립운동의 방법과 전개과정 모두 기독교적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하에 불의한 억압과 피폐한 삶을 체험한 기독교인들은 일제의 패권주의적 잔학무도함이 하나님의 뜻과 정반대되는 것임을 깨닫고 십자가의 신앙을 바탕으로 정의롭고 평화적인 만세운동을 펼쳐나간 것이다. 무모해보이기까지 했던 3.1운동은 많은 무고한 이들의 생명을 앗아갔고 실패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독립운동의 불씨는 꺼지지 않았다. 그렇게 시작된 3.1운동의 불씨는 국내, 국외를 막론하고 퍼져나갔으며, 오늘날까지 한국의 민족적, 민중적 참여운동의 거대한 유산으로 남게 되었다. 억압적인 제국주의 체제를 비판하며 자유, 정의, 평화, 회복을 지향한 3.1운동의 정신은 마가복음의 신학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되며, 3.1운동에 참여한 기독교인들의 신앙이 복음의 정수에 근거한 것임을 확인하게 된다. 마가복음 역시 로마제국의 식민지배 체제를 비판하면서 하나님나라에 대한 신앙적 고민과 성찰이 반영된 복음서이다. 본고에서 다루는 마가복음 10:32-45은 갈릴리에서 예루살렘으로 가시는 여정의 마지막 즈음에 발생한 사건으로, 예수의 세 번째 수난예고, 제자들의 몰이해, 예수의 사역의미와 제자도에 대한 가르침이 잘 요약되어 있다. 이 본문에서 마가는 로마제국으로 대표되는 세상의 질서와 하나님 나라의 질서는 전혀 다른 것임을 시사하고, 누구든지 최고의 자리에서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들은 상대방의 종이 되어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하고 세상의 집권자들이 하는 것처럼 해서는 안 된다는 예수의 말씀을 강조한다. 이러한 예수의 말씀은 오늘날 한국교회가 다시금 새겨들어야 할 내용이다. 거짓된 은혜와 사명의 가면으로 정당화하거나 자신을 속이면서까지 권력, 명예, 부를 쫓아가고자 하는 한국교회와 지도자들은 예수의 섬김을 깊이 상고해야한다. 더 낮은 자리로, 섬김의 자리로 내려가서 인간중심적인 세상체제와 문화를 회개하고 하나님 나라 안에서의 인류와 생태계의 상호구원을 위해 일할때, 하나님께서 한국교회를 회복하시고 사용하실 것을 소망한다.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ill soon be celebrating its 100th anniversary, is deeply related to Christianity. First, many of the leading members were Christians. Besides, both the content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method and procedure of the 3.1 movement reflect the Christian faith. Under the imperialist rule of Japan, Christians who experienced unjust repression and impoverished life realized that the hegemony of the Japanese dominance was the opposite of God’s will, and unfolded a just and peaceful movement based on the faith of the cross. The 3.1 movement, which even seemed reckless, took the lives of many innocent people and seemed to fail, but the spark of independence did not go away. The embers were spread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and remained to this day a huge legacy of Korean peoples" participation movement. The spirit of the 3.1 movement, which criticized the oppressive imperial system and directed towards freedom, justice, peace and recovery, is equally found in the theology of Mark, confirming that the faith of the Christians involved in the 3.1 movement is based on the essence of the Gospel. The Gospel of Mark is a story of Jesus through the eyes of the colonized Christians who tried to live according to God’s will against the Roman Empire. Mk 10:32-45 which I deal with in this study, is a significant text which reflects the essence of Markan theology. It comprises of Jesus’ third suffering prediction, the disciple’s misunderstanding, and Jesus’ teaching of the discipleship. In this text, Jesus confirms that his disciples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world leaders who desire authority, honor, and richness in their minds. However, the real authority in the kingdom of God is coming from the power of the service. This is a paradox of the Kingdom of God. Whoever wants to be the first, the one should serve others like a servant. As Jesus’ life shows us as an example, we should go lower places and serve others as being like a servant, seeking for peace and justice in God’s salvation. This is the way of the Korean church for now and future, commemorating the heritage of the spirit of the 3.1 movement and the Gospel of Mark.

      • KCI등재

        신약성서와 신학함, 그리고 신약학

        이승현(Lee, SeungHyun Simon) 한국신약학회 2019 신약논단 Vol.26 No.3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기독교의 쇠퇴와 AI시대에 직면한 21세기 현대 신약학의 정체성과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고민해 보고자 한다. 신약학의 가장 중요한 분석 대상이 신약성서이므로, 신약성서의 본질에 대한 바른 이해는 현대 신약학이 가져야 할 방향성을 설정하는 일에 있어서 가장 긴급한 문제가 될 것이다. 신약성서는 크게 구약을 배경으로 자신들의 정체성과 삶의 방향을 설정한 유대 공동체와의 대화 속에서 예수와 그의 제자들이 탄생시킨 예수전통과 이어지는 사도들의 목회적 신학적 적용을 담은 사도전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음서는 유대 공동체들과의 긴밀한, 그러나 긴장에 찬 대화를 통해서 형성된 예수와 그의 제자들의 신학함의 현재적 표현들을, 그리고 서신서들은 이방인들의 새로운 환경 속에서 어떻게 예수의 복음을 적용할지에 대한 제자들의 다양한 신학적 문제들과 해결책들을 담고 있다. 이처럼 그 시작부터 제자들의 치열한 신학함의 과정 속에서 탄생한 신약성서는 이어지는 정경화의 과정에서 초대교회의 삶과 신앙을 규정할 가장 권위 있는 책으로 인식되었고, 계속되는 교회사에서 교회들의 예배와 신앙을 정의할 예수와 사도들의 가르침을 담은 궁극적인 원천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현대 신약학은, 비록 비평적인 방법론으로 성서에 대한 비판적인 읽기를 추구해야 할 책임이 있지만, 신약성서를 통해서 자신들의 신앙 정체성을 규정하는 과거와 현재의 해석 공동체들과의 긴밀한 대화를 시도 유지해야 한다. 또한 신약학은 역사비평을 비롯한 과학적인 방법론들을 학자들의 신약성서 해석에 대한 주요 도구로 사용하데, 성도들의 종교적 체험과 신약성서에서 보존된 신앙적 고백의 문제들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신약학은 신약학의 분석 대상의 범위와 영역을 신약성서의 일부 책들에만 국한시키지 말고, 신약성서의 직 · 간접적인 배경을 담고 있는 신ˑ구약 외경들과 초대교회 교부들의 사상, 그리고 영지주의 문서들에까지 확장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신약성서의 배경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우리의 신약성서 이해를 한층 더 깊게 해 줄 것이고, 신약학자들의 학문적 대화들을 더욱더 풍부하게 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In this article, we will explore the nature of the modern New Testament (NT) study and its direction. Since the New Testament is the primary object of its analysis, ou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NT will help clarify the direction of its study. NT is consisted of the Jesus tradition, which came into existence in the dialogue between Jesus and his disciples and the Jewish communities, and the apostolic traditions, which contain the apostles’ application of Jesus’ Gospel to the new Gentile situations. In this way, NT contains the current theological expressions of Jesus and his disciples regarding who Jesus is, who his disciples are, and how they should live. In the following generations, NT became acknowledged as the most authoritative books for the churches’ definition of the canon; and in the following church history, NT was considered the ultimate source for accessing Jesus’ teaching about their identity and ethical behavior. This observation recommends that NT study should not avoid conversing with the ancient and modern interpretative communities of NT. While NT study will continue to resort to scientific methods like historical criticism in terms of its methodology, it should still pay attention to religious experiences and faith confessions found both in NT and in the lives of the believers. Moreover, NT study should not limit the scope of its analysis only to some major books of NT. But it should extend its analytic scope to the books and cultures which may reflect the background of NT, including Pseudepigrapha, NT apocrypha, early Church Fathers, and the Gnostic writings. For our deep understanding of the NT background will help us understand NT better, and moreover, will make our scholarly discussion more fruitful and productive.

      • KCI등재

        [번역논문] 정류(靜流) 이상근 박사의 그리스도론

        헤르만 리히텐베르거(Hermann Lichtenberger)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0 신약연구 Vol.19 No.3

        정류 이상근박사는 신약성경과 구약성경 그리고 외경까지 주석함으로써 한국 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Jae Woog Bae, Summary, 32, 46, 59, 66) 정류와 슐라터(Adolf Schlatter)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비슷하다. 두 사람 모두 기본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으로 규정된다. 정류와 슐라터 사이의 중요한 공통점이 마태복음 주해에서 나타난다. 정류에게 마태복음이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리스도론 진술 외에도 교회론적인 진술이 마태복음에 발견되기 때문이다. 정류의 많은 작품은 한국의 끔찍한 시대에 만들어졌다. 그의 성경 주석은 세속화 시대(Zeitalter der Säkularisierung)에 오늘날 한국 교회를 위한 길이 될 수 있다.(Summary, 32) “한국교의 회복과 갱신은 성경으로 돌아가는 데 있다.”(Summary, 37) 그래서 오늘날 한국 교회가 나아야할 길에서 그리스도론적인 진술이 가장 중요하다.(Summary, 35) 정류가 ‘대승 불교’(Mahayana-Buddhismus)와 토론하기 위하여 요한복음을 선택한 것은 이치에 맞다. 요한복음은 예수의 세례 그리고 수난과 부활에서 공관복음과 여러 면에서 일치하지만, 많은 세부 사항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그것은 요한복음에서 그리스도론적인 칭호는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것과 연관된다. 그 다양성은 특정한 전통적-역사적인 맥락에서 나타나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은 다른 기능을 표현한다. 요한복음은 신학적인 발전의 정점(頂點)에 있고 정류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정류는 석사 학위 논문에서 ‘하나님 상’을 다루었고 박사 학위 논문에서 ‘요한복음의 예수와 대승 불교의 부다’를 비교했다. 정류는 대승 불교의 정교(精巧)한 교리와 대조하고자 요한복음을 선택하여 요한복음에 통일되게 나타나는 ‘고기독론’을 명확히 이해했다. 정류는 요한복음의 발전된 그리스도론을 대승 불교와 비교 연구하여 요한복음의 그리스도론을 명확하게 하고자 하였다. 요한의 그리스도론은 예수의 존엄성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 인상적으로 배타적이다. 정류는 요한복음의 아버지의 개념과 관련하여 친자(親子)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친자(親子) 관계’의 근거는 하나님이 ‘아버지 되심’에 있다. 예수의 아들되심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유일무이하고 아버지에 의하여 결정된다. 정류는 우리에게 신적인 영광으로 비교할 수 없는 방식으로 요한복음에 나타난 예수를 보여주었다. 그것에 대하여 우리는 정류에게 매우 감사한다. 정류는 그의 모든 주석을 교회란 관점에서 연구하여 성경신학과 실천 신학적인 관점에서 예수를 선포했다는 점에서 교회를 위한 신학자였다. Jung-Ryu(靜流) Dr. Sang Kun Lee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theology through his commentaries on the New Testament, the Old Testament, and the Apocrypha. (Jae Woog Bae, Summary, 32, 46, 59, 66) Jung-Ryu and Adolf Schlatter are similar in various perspectives. They are basically defined as conservative tendencies. An important commonality between Jung-Ryu and Schlater appears in the com-mentary on Matthew. The Gospel of Matthew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Jung-Ryu. Because in addition to the Christological statements, ecclesiological statements are found in Matthew’s Gospel. Many of Jung-Ryu’s works were made during the confusing times of Korea(1960’s). His biblical commentary could be the solution for the Korean church today in the era of secularization (Zeitalter der Skularisierung). (Summary, 32) The restoration and renewal of Korean Church lies in returning to the Bible (Summary, 37). The Christological statemen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path to be restored (Summary, 35) It makes sense that Jung-Ryu chose the Gospel of John to discuss with ‘Mahayana-Buddhismus’. The Gospel of John is in many ways consistent with the Synoptic Gospel in Jesus baptism and in Passion and Resurrection, but in many details it is out of harmony. It is associated with the diversity of Christological titles in the Gospel of John. Its diversity emerges in a specific traditional-historical context, and on the other hand it discloses a different function. The Gospel of John is at the peak of theological development and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for rectification. In his master s thesis, Jung-Ryu dealt with ‘The Statue of God’ and in his doctoral thesis, he compared ‘Jesus in John’s Gospel and the Buddha in the Great Buddhism’. Jung-Ryu chose the Gospel of John in order to contrast with the elaborate doctrine of Mahayana Buddhism, for clear understanding of high-christology that unified in the Gospel of John. In addition, Jung-Ryu tried to clarify the Christology of John’s Gospel by comparing and studying the developed Christology of John s Gospel with Mahayana Buddhism. John’s Christology is impressively exclusive in describing the dignity of Jesus. Jung-Ryu talks about paternity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father in John s Gospel. God s Father is the basis for the paternity of Jesus Christ. Jesus’ sonship is unique and determined by the Father in his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Jung-Ryu showed us Jesus according to the Gospel of John, with divine glory in an incomparable way. For that we are very grateful to Jung-Ryu who was a theologian for the church, also studied all his commentar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church and also proclaimed Jesus from the viewpoint of biblical and practical th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