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과 운동실천

        정호진,이종영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9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lue culture discourse on physical education and their exercise practice. The data was collected by administration organization data, education organization and group publication data, media and press data and in-depth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an archaeololgy discourse analysis in Foucault(1969), In so doing, a discourse theory is applied. The main results of the thesis can be summarized like the following. First, how are the objects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formed? The objects are formed by the surfaces of emergence, the structure of authority that defines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instance of limitatio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the grilles of specification. Second, how is the status of the subject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The status is determined by the status of subject, the legitimate places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locations institute of subject, the social situation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situation of subject. Third, how are concepts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formed? The concepts are formed by the forms of sequence, the forms of coexistence, the interaction of bases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value and by the procedures of intervention. Fourth, how are the strategies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formed? The strategies are formed by the incompatibility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points of diffraction, the economy of the discursive constell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value culture discourse betwee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other elementary subjects. Fifth,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lue culture discourse on physical education and their exercise practi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Instead, the teachers' exercise was only for their health and there was detachment between the two.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구조와 그 담론에 참여하는 교사의 운동실천 현상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푸코(Foucault)가 그의 저서『광기의 역사』에서 전개되어 이후『지식의 고고학』에서 보다 구체화하여 언급한 그의 고고학적 탐구들에 방법론적 기초를 부여한 담론형성규칙의 네 차원 ― 대상의 형성, 주체의 위치, 개념의 형성, 전략의 형성 ― 을 중심으로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담론의 질서』이후의 저서들에서 언급한 지식-권력 ― 서로가 서로를 산출한다는불가분의 관계 ― 을 중심으로 그 담론에 참여하는 교사의 운동실천 현상을 밝히고자 한다. 자료수집은행정기관 자료, 교육기관 및 관련 단체 발간 자료, 미디어 및 언론보도 자료,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Foucault(1969)에 의해 형성된 고고학적 담론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담론 이론을 근거로 하여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대상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대상은 초등체육 가치의 내용들: 출현의 표면, 초등체육의 가치를 규정하는 권위구 조: 제한의 심급, 초등체육 가치의 사회문화적 배경: 특이화의 그물 등에 의해 형성된다. 둘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주체의 위치는 어떠한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주체는 초등체육의 가치를 말할 수 있는 지위를 부여받은 사람들: 주체의 지위, 초등체육의 가치가 말해지는 합법적인 장소들: 주체의 제도적 정위, 초등체육의 가치가 말해지는 사회적 상황: 주체의 상황 등에 의해 위치 지워진다. 셋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개념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개념은 초등체육 가치 근거의 내용들: 계기의 형태들, 초등체육 가치 근거들의 관계: 공존의 형태들, 초등체육 가치 근거들의 상호작용: 간섭의 과정 등에 의해 형성된다. 넷째, 초등교사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전략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전략은 초등체육 가치의 양립불가능성: 회절점들의 규정, 초등체육의 가치에서 양립불가능성이 나타나는 이유: 언설적 별자리의 경제학, 초등체육과 타교과의 가치문화 담론의 관계: 언설적 형성들과의 관계 등에 의해 형성된다. 다섯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과 운동실천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과 운동실천의 관계는 “체육에 대한 가치인식과 운동실천은 관계가 없다(체육교육의 운동가치와 관련짓지 않는다).”, “내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 할 뿐이다(체육에 대한 가치문화가 의식화되어 있지 않다).”, “체육에 대한 가치 문화와 운동실천의 괴리현상은 초등체육 가치문화 담론을 표상한다.”로 나타난다.

      • KCI등재

        初等學校 漢字 敎授學習 方法에 대한探索과 提案

        진철용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5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and organize and suggest in my own wa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in summary.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there requires the organ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ord. principles and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an easily accessible manners. But in terms of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ord. principles, there is no sufficient discussions even at the academic level and in terms of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y have been suggested in various and distracted manners depending on each researcher. Therefore, writer organized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by classifying them into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principles, and techniques based on the discussions, which have been announce so far, regarding the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is study, it is presumed that the content of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based on Chinese characters and vocabularies and the system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is suggested. In addition, the previous discussions for the Chinese characters are reviewed in the asp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echnique and model of class and also the previously made statements regarding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extracted. Also, together with that, the achievement of studies related with character education, language education, neuroscience were reviewed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regarding the instruc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s obtained from above reviews have been readjusted in writer's own way, the principles and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in elementary school were suggested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principles and strategies(methods) depending on the scope of the content. It was believed that suggesting of the basic class model for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was more desirable than the patternization of Chinese character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so basic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was designed and suggested.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 research and organizing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in elementary school, including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should be proceeded more systematically and throughly and then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has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should be distributed to the teachers at the chalkface as soon as possible. 이 연구는 초등학교 漢字 敎授學習 方法을 탐색해 보고, 필자 나름대로 초등학교 漢字 敎授學習 方法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漢字와 漢字語의 지도 기법, 원리, 교수학습 모형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漢字와 漢字語의 지도 기법과 원리는 학문적 수준에서 논의조차 미흡한 편이며, 교수학습 모형은 연구자마다의 기본적 입장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산만하게 제시되어 있다. 이에 필자는 그동안 발표된 敎授學習 方法에 관한 논의들을 토대로 초등학교 漢字 敎授學習 方法을 교수학습 모형과 원리, 기법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여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초등학교 漢字 교육의 내용은 漢字와 어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초등학교 漢字 교육의 내용 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漢字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교수학습 이론의 적용, 교수학습 원리, 전략이나 기법, 수업 모형 측면에서 검토하고, 또 漢字 지도에 관한 기존의 진술들을 추출하여 보았다. 또한 이와 아울러 문자교육관련, 언어교육관련, 뇌과학 관련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여 초등학교 漢字 지도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검토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필자가 나름대로 가감하여 필자는, 초등학교 漢字 지도의 원리와 기법을 내용 영역에 따라 원리와 전략(기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초등학교 漢字 수업 모형을 유형화하기 보다는 초등학교 漢字 수업의 기본적인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여, 초등학교 漢字 교수학습의 기본적인 모형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漢字 敎授學習 方法을 포함한 漢字 한문 敎授學習 方法에 대한 연구와 정리는 앞으로 더욱더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며, 또 체계적으로 정리된 敎授學習 方法이 일선의 교육 현장에 하루 빨리 보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양태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1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수업참여 과정에서 ’어려움이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하며 성장하는지‘, ’이 러한 경험을 통해 이야기되고 내면화되는 가치는 무엇인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의미를 심층적으 로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교육대학교 체육실기Ⅰ 수업 수강생 중 미술교육과 5명, 영어 교육과 3명 총 8명의 초등예비교사가 참여하였으며, Clandinin & Connelly(2007)가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예비교사 알아가기에서는 ‘초·중등학교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현재의 몸상태’, ‘목표상실’ 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하기에서는 ‘동작도전 수행능력 향상전략(단계별·수준별 학습법, 보조법, 멘토링)’,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 경험(성취감과 자신감 향상, 두려움 극복, 동료애, 칭찬)‘, ‘적극적인 도전활동(한 계극복, 실패경험)’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 경험의 의미에서는 ‘초등예비교사의 준비 와 역할’, ‘동작도전의 즐거움’, ‘체육의 필요성 인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경험을 할 때 느끼는 것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the ‘difficulties’ in challenge activity class participation proce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 they overcome and grow’, ‘the value shared and internalized through such experience’, and their experience and meaning in-depth through narrative inqui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8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5 students from Department of Fine Arts Education and 3 students from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aking Sports Practice I course at G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This narrative inquiry utilized the method suggested by Clandinin & Connelly(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understanding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showed ‘awareness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resent body condition’ and ‘loss of goal’. Secondly, the challenge activity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Strategies for Improving Challenge Active Performance(phased and level-based learning, assisting method, mentoring)’, ‘Experience Challenge Activit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improve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overcoming fear, comradeship, compliment)’, ‘Active Challenges activities(overcoming limitation, failure experience’. Thirdly,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challenge activity cla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preparation and role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y of Challenge Activity’, ‘awareness on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These results will help in-depth understanding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ings while experiencing the challenge activity.

      • KCI등재

        초등영어교사의 정체성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안경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model for the identity development of primary English teachers. It also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odel on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when it was applied in a teacher education course. In additio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identities were investigated. The participants were 18 graduate students registered in a class on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 taught by the researcher. Pre- and post-survey responses, autobiographic essays,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model helped the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theory, practice, and research in English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to reflect on and develop their identities as English teachers. Also,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facilitated the teachers’ awareness of primary English teachers’ role identities and field-base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Thus,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provided the teachers with various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Secondly, the teachers realized English teacher identities existed distinct from homeroom teacher identities and indicated that their English teacher identities changed and develop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othe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ithin the context the teachers were located. Thirdly, the teachers revealed the identities of nonnative English teachers, teacher learners, teacher researchers, and English users as well as of primary English teachers. Lastly, th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were affected by factors connected with the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English and English instructional skills), institutions (whether they taught English as English subject teachers or as homeroom teachers, teachers’ relationships and co-teaching with native English teachers, learners’ proficiency levels and responses to teachers’ instruction, working conditions of the schools where the teachers were employ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y had participated in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tensiv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other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 macro-structur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English educational polici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 makers regarding English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of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영어교사들의 정체성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 강좌를 개발하여 적용한 효과를 고찰하고, 초등영어교사들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했다. 모형이 적용된 강좌를 수강하는 초등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 및 자서전적 에세이, 1, 2차 성찰일지 및 사후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교사교육 모형을적용한 결과 교사들은 초등영어 교사교육의 이론, 실제 및 연구에 대한 인식을 고양하게 되었고,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을 성찰하고 발전시키게 되었다. 또한 초등영어교사 역할 정체성을 명시화하게 되었고, 초등영어교사들의 현장 기반 소통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교사교육 모형이 적용되면서 초등영어교사들은 전문성 신장의 기회를 가졌다. 둘째, 교사들은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이 교사들이 처한 맥락 안에서 학생, 교사, 관리자와의 관계 속에서 확립되며 변하고 발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담임교사 정체성과는 구별해 인식했다. 셋째, 교사들은 초등영어교사 정체성 이외에도 비원어민 영어교사, 교사학습자, 교사연구자, 영어사용자의 정체성도 드러냈다. 넷째,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개인적 배경요인(교사의 영어능력 및 영어교수능력), 근무 학교(영어전담교사 여부, 원어민 교사 및 원어민 교사와의 협력수업, 학습자 수준 및 반응, 근무 학교 맥락), 교사교육 프로그램(대학원 프로그램, 심화연수 등 직무연수) 및 국가의 거시적 맥락(국가교육과정 및 영어교육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결과는 영어 교사교육, 영어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발달 및 전문성 신장과 관련해 교사, 교사교육가 및 정책입안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도입에 따른 초등 진로교육의 방향성 탐색

        정진철,김재호,방재현,남중수,정지은,이현민,임소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도입에 따른 초등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첫째, 초등학교 진로교육 특성 및 현황 분석, 둘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 및 역할 도출, 셋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 및 역할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 변화 방향 도출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거쳐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는 선행연구의 종합 및 분석을 통해 크게 기획, 운영, 평가로 구분하여 총 11개의 직무를 제시하였으며 직무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 운영의 방향 또한 기획, 운영, 평가로 구분하고 11개의 직무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직무에서 진로전담교사와 학교관리자, 담임교사의 역할과 협력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placement and role of elementary career teachers. Specific contents of this study wa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second, to derive the duty and role of the career teacher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ird, to derive the change direction of career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duty and role of the career teach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ynthesized related literatures and previous researches and analyzed, then w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rough expert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ggesting 11 tasks of career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second, dividing a total of 11 tasks into plan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third, proposing the roles and cooperation plans of career teachers, homeroom teachers, and principles in each job.

      • KCI등재

        초등학교 돌봄 목적 사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탐색연구

        유재봉(Yoo, Jae-Bong),강문숙(Kang, Mun-Suk)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돌봄 목적 사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돌봄 목적 사교육의 실태 파악은 교육부과 통계청 사교육 데이터를 통해 사교육비와 참여율, 참여목적을 지역과 부모 경제활동, 가구소득 수준으로 구분하여 문헌분석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사교육비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돌봄 관련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사교육 목적에 따른 교과별 사교육 참여율은 교과의 특성에 따라서 사교육 목적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돌봄 목적 사교육 개선방안은 ‘초등학교 저학년 하교시간 연장: 학부모와 교사의 한 목소리’, ‘초등돌봄교실 내실화: 프로그램 운영방식 변화에 대한 목소리’, ‘돌봄 서비스 컨트롤타워 구축: 시급성에 대한 목소리’로 도출되었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하교시간 연장에 대해, 학부모와 교사들은 반대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초등돌봄교실의 내실화와 관련하여, 초등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초등돌봄교실 운영방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각 부처별 돌봄 서비스는 시행시기, 지원법, 지원대상, 운영형태, 자비부담 여부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 부처별 돌봄 서비스에 대한 실효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돌봄공간 환경, 그리고 적합한 돌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처별 지원 사항을 조율하는 컨트롤타워 구축이 요청된다. 결론 및 제언: 초등학생 보육 목적 사교육은 다른 목적의 사교육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돌봄 사교육 개선을 위한 방안과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private tutoring for the purpose of caring for elementary school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it. Metho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private tutoring in elementary school care, the trend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and participation rate was examined using the private tutoring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2017 to 2019. The literature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it into economic activity and household income level. In addition, FGI (Focus Group Interview) of 6 experts related to care was conducted in order to derive a policy to reduce private tutoring expenses in elementary school. Results: Th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rate by sub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rivate tutoring in elementary school diffe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shadow education was generally high in the order of supplementary education for school classes, the purpose of prior learning, and the purpose of childcare. In addition, measures to reduce private tutoring for primary school care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of the dismissal time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parents generally agreed, but the teachers overwhelmingly presented the opposite opinion. Second, in relation to the substantia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care classes,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operating method of elementary school car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ird,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are service control tower, sinc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plementation period, support law, support target, operation type, and whether or not the care service was self-pay for each department, the effectiveness of care services for each department was checked and various programs were developed. It is requested to build a control tower that coordinates support for each department to provide appropriate care services, and environment for care space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of private tutoring for primary school care were as follow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ivate tutoring for childcare was relatively higher than private tutoring for other purpo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olicy to reduce private tutoring in elementary schools, and more specifically, policy measures for the reduction of private tutoring for primary school care were presented.

      • KCI등재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학교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향

        서강식 ( Kang Sik Suh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5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업을 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일차 자료로서 초등 교사들이 가장 신뢰하는 자료이다. 또 장차 교단에 서고자 준비하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가장 많이 공부하는 자료이다.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의 중요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2007년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과 개선점을 찾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수행하기 위해 먼저 제4차 교육과정 시기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기까지의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를 고찰하고, 이러한 고찰을 근거로 하여 바람직한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결론으로 다음과 같은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제재의 해설 부분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지도서에서 제재의 구성과 수업 계획이 중복되는 부분을 정리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실 현장에서 도덕과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수록하도록 한다. 셋째, 교수·학습 지도안의 양식을 초등학교 교실에서 교사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또 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차시 교수·학습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is a first resource material o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 on when they are going to study about teaching- learning in moeal educaion. Also many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o. We may find some desirable developmental points of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from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t 4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t 2007 year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First, we have to develop the quality on explanation of the unit. Second, we ought to structure and lesson plan of unit in order to help the class lesson practically. Third,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mode of teaching-learning plan. Fourth, we must to develop the lesson plan, so teachers can know the flow about period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初等學校 『漢字』敎材의 內容 比敎 考察

        池載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2 No.-

        우리 민족은 수천 년 동안 우리말과 더불어 한자를 언어와 문자 생활의 근간으로 삼아왔다. 그러나 8·15광복 이후 우리의 어문정책이 한글전용정책으로 편중되고, 더욱이 초둥학교에는 정규한자교육과정이 없어. 한자교육이 재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제 6·7차 교육과정부터는 '재량활동'시간에 한자를 가르칠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라 몇몇 검인정교재가 편찬되어 한자교육을 희망하는 학교에 따라 교재를 선택하여 한자를 지도하고 있다. 본 고는 이들 교재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여 초등한자교육을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첫째는 교재의 체제와 내용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교재는 교재별로 1~4(6)단계로, 재량활동시간이나 특별활동시간에 지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교재의 外的體制는 교재마다 비슷하게 구성되어 었다. 內的體制는 단원의 구성체제·초등한자교육과정의 반영내용이나 반영비율·평가의 내용이나 구성 등에서 교재별로 특성 있게 구성되어 있다. 둘째는 교재별로 나오는 한자와 한자어를 분석하여 정리하였고, 교재별로 특징적인 구성과 그 보기 등을 들어서 비교하였다. 셋째는'초등학교교육용 기초한자'를 정하였다. 현재는 '초등학교용 기초한자'가 정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한자교재에서 노출되고 싣는 한자 697자를 '초등학교교육용 기초한자'로 선정하였다. 넷째는 초등교재에 나오는 한자의 훈을 분석하여 대표훈을 정하였다. 교재에 나오는 한자 중에서 137宇의 훈이 달라서, 이것을 하나의 훈으로 통일하고자 하였다. 이들 한자를 훈의 빈도수와 선행연구자료를 참고로 하여 하나의 훈으로 통일하여 대표훈을 정하였다. 다섯째는 필순이 서로 다르게 나오는 한자의 필순을 비교·분석하여 필순의 통일을 기하였다. 먼저 교재별로 필순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글자를 추출하여 田·由·曲·里·至·佳·王·羊·美·??·艸·靑 등의 유형별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낱글자로 나오는 來·勇·臣·育·長·馬·心 등의 글자의 필순이 교재별로 다른 점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본 연구자는 한자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써 초등학교에 한자교육과정의 도입을 적극 주장한다. 한자는 우리 국민의 어문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한자학습열도 매우 높아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한자교육과정을 도입하는 데에 별 문제가 없다고 본다. 21세기 희망찬 東北亞시대를 열면서. 우리의 어문정책을 과감하게 개혁하여 초등학교에서부터 한자교육이 조속히 실현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We have used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for several thousand years. Then during the 36 years under Japan, we couldn't use our own words. As a result, we used the Korean Language Only Policy after our independence. Therefore, it caused difficulty in education, a drop in students' competency, and increased the gap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our society. Moreover, there is no official Chinese characters course in elementary school, so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was only accomplished by the effort of certain principals and teachers. However, it became possible to teach Chinese characters in the 'school discretion time' due to the 6th and 7th Curriculum. Consequently, some Chinese characters textbook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become published. Schools willing teach Chinese characters have chosen their own textbook and have guided their students with it. In this study, we have selected three textbooks and have analyzed the following aspects to help activate the elementary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First, we analyzed the system and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on the basis of the current curriculum. The Chinese characters textbooks are divided into four levels and organized so that teachers can use it in 'school discretion time' or 'club activity time'. The external organization of textbooks are mostly the same. The internal organization is made up differently in different books, for example the organization of chapters, the reflection percentage of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evaluation. We have suggested a method of organizing textbooks based on these books. Secondly, we have analyzed and arranged the Chinese characters that appear in different books. In addition, we have compared the distinctive organizations and their examples. Thirdly, we have chosen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is no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curriculum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consequently there is no fixed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ence, we have selected 676 Chinese characters that are actively used in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textbooks and have made them the fundamentals for 'Basic Chinese Characters'. Fourthly, we have analyzed the Korean translations for the Chinese characters and have chosen the key translation. There are different translations for 137 Chinese characters, so we tried to put them into one.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translations and former studies, we chose the key translation. Fifthly, we unified the different orders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First we picked out the characters that have a difference among different textbooks and have classified and compared them by styles such as 田?由?曲?里?至???王?羊?美?????靑. Furthermore, we have taken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in writing orders of single characters such as 來?勇?臣?育?長?馬???. Through this study, I insist that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should be done in elementary schools. Chinese characters take up an important part in Korea's language and are being neglected in basic education due to wrong language policies. There is high public opinion for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refore there are many textbooks. The absence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very sad. As the new generation of northeastern Asia opens, I hope the Korean Language Only Policy becomes reformed and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gets introduced into elementary schools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초등국어 임용고사의 실태와 개선 과제

        임천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을 평가하는 임용고사 문항의 실태를 고찰하고 개선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을 지식, 기능, 태도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런 다음 2008년~2009년 초등국어 임용고사 문항이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임용고사 문항은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책을 제안하였다. 첫째,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있어야 하고, 그러한 자질요소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자질 요소를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 범주 중 ‘기능’영역에 대한 평가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선다형 문항을 서술형이나 논술형 문항으로 전환해야 한다. 다섯째, 초등국어 교육의 실 제에 부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자질 요소가 통합적으로 요구되는 응용 문항이 많이 출제되어야 한다. 여섯째, 임용고사 문항과 답안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장기적인 개선 과제로 수습교사제를 도입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지속적인 평가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ppointment examination a question which evaluates the quality of teacher who takes charge of a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rom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present a improvement subject. First divided with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category the quality of teacher who takes charge of a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rom the elementary school. After like that I analyzed the evaluation a question in 2008 and 2009 appointment examination to know whether will be able to evaluate the quality of teacher who takes charge of a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rom the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the evaluation a question in current appointment examination appeared with the fact that will not be able to evaluate quality of that. On the basis of this fact, it is presented a following improvement task. First, there must be agreement and discussion about quality of teacher who takes charge of a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rom the elementary school. Second, quality of that teacher will be able to evaluate properly, a question must be developed. Three, `functional\ evaluations in quality categories of that teacher must strengthen. Four, we must change the current multiple choice type with the statement type question item or description type. Fifth, the application a question which integrates the quality of that teacher must be made setting. Six, minimum information must be provided about the appointment examination a question and an answer. And must construct the setup will be able to evaluate continuously introducing probational teacher system control with the improvement subject which is long-term and period of certain period.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초등체육의 미래와 전문가 양성 방안

        전세명(Semyung Joe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초등체육의 미래모습과 초등체육 전문가 양성 방안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미래 교육에 대한 다양한 문헌분석과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 협의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체육의 미래 모습을 교육환경과 교육내용, 교육방법, 정과 외 체육활동에서 살펴볼 수 있었고, 전문가 양성 방안에서는 현장교사와 예비교사 교육으로 구분하여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등체육은 교육환경 측면에서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확대와 학교 공간의 혁신이 예상되며, 사물인터넷과의 연동 가능성도 제안하였다. 교육방법 측면에서는 교육과정의 자율화와 함께 놀이 교육의 확장과 1-2학년의 체육시간 확대를 제안하였다. 교육방법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상시학습,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 활용과 스마트 교육의 실시를 예측하였고, 정과 외 체육활동으로 학교운동부와 스포츠클럽은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운영을 제안하였다. 전문가 양성 방안으로 현직교사의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초등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중장기적인 전문연수과정이 필요하며,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와 초등체육 전문가의 등용을 제안하였다. 예비교사 교육에서는 현장성 강화와 실제 지도할 내용에 대한 실기교육 참여경험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초등체육은 평생 체육의 밑바탕으로 미래 사회로의 변화에 맞춰 초등체육이 활성화되고 안정화되기 위해서는 교육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체육의 가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기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초등교사의 역량 강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uture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directions and plan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ocument analysis and delphi survey were undertaken to collect data. In terms of the future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ee domains emerged: i) employing virtual reality based physical education will be expanded, ii) curriculum redesign, digital textbooks, expanding play education and establishing physical education in year 1 and 2 were discussed, iii) the importance of online-based learning plans for school-community conn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pedagogies school sport teams and sport clubs were explained. Regar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eloping specialized training courses, using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and expanding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a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initial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lans making students understand education field and participate in a range of 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