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쓰기 평가에서 글씨 정확도와 평가 결과의 관련성 연구

        임천택 한국어문교육학회 2012 어문학교육 Vol.45 No.-

        이 논문은 초등학교 쓰기 평가에서 글씨 정확도의 수용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글씨 정확도와 평가 결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글씨 정확도는 쓰기 평가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글씨 정확도는 표현, 맞춤법, 조직 요소의 순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용 요소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문에서는 글씨 정확도와 쓰기 평가 결과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운문에서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쓰기 평가에서 글씨 정확도의 수용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글씨 정확도는 쓰기 평가에서 평가 요소나 기준으로 명시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글씨 정확도에 대한 평가자 연수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글씨 정확도 평가가 표현, 맞춤법 등의 평가 요소와 혼동되지 않도록 평가 기준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넷째, 산문 평가에서는 운문 평가에 비하여 글씨 정확도 변인 통제를 더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nmanship accuracy and the evaluation results in writing assess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This is for the purpose of seek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acceptance of the penmanship accuracy.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result is appeared a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penmanship accuracy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writing. And the penmanship accuracy in the order of the expression, spelling, organization, appeared as a meaningful correlation. But it has nothing to do with the content element. And the prose is penmanship accuracy and writing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But it did not appear any the correlation of verse.

      • KCI등재

        컴퓨터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담론 고찰

        임천택 한국국어교육학회 2007 새국어교육 Vol.0 No.75

        Investigation of the critical discussion against computer writing 이 글은 컴퓨터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연구 담론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비판적 연구 담론의 유형과 내용을 살펴보았다.가치 판단을 기준으로 나눈 ‘비판적 담론의 유형’에서 ‘낙관적 담론’은 컴퓨터 글쓰기의 효용성에 초점을 두었고, ‘비관적 담론’은 컴퓨터 글쓰기의 유해성을 지적하였으며, ‘상보적 담론’은 필자와 컴퓨터, 펜 글쓰기와 컴퓨터 글쓰기의 상호 보완성을 지적하였다.구체적인 내용을 기준으로 나눈 ‘비판적 담론의 내용’에서 ‘수사적 담론’은 컴퓨터 글쓰기가 계획하기의 부실을 초래할 수 있는 반면, 교정하기, 편집하기, 사회적 상호 작용 기능을 강화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고, ‘심리적 담론’은 컴퓨터 글쓰기가 필자의 쓰기 동기, 흥미, 자아 인식, 성취감, 자신감을 강화할 수 있는 반면, 책임감과 진지함의 결여, 컴퓨터 의존성을 초래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문화적 담론’은 컴퓨터 글쓰기가 언어 규범의 파괴, 인격 비하, 표절로 인한 저작권의 침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의 마련이 절실함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초등국어 임용고사의 실태와 개선 과제

        임천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을 평가하는 임용고사 문항의 실태를 고찰하고 개선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을 지식, 기능, 태도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런 다음 2008년~2009년 초등국어 임용고사 문항이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임용고사 문항은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책을 제안하였다. 첫째,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있어야 하고, 그러한 자질요소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자질 요소를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초등국어 교사의 자질 범주 중 ‘기능’영역에 대한 평가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선다형 문항을 서술형이나 논술형 문항으로 전환해야 한다. 다섯째, 초등국어 교육의 실 제에 부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자질 요소가 통합적으로 요구되는 응용 문항이 많이 출제되어야 한다. 여섯째, 임용고사 문항과 답안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장기적인 개선 과제로 수습교사제를 도입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지속적인 평가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ppointment examination a question which evaluates the quality of teacher who takes charge of a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rom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present a improvement subject. First divided with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category the quality of teacher who takes charge of a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rom the elementary school. After like that I analyzed the evaluation a question in 2008 and 2009 appointment examination to know whether will be able to evaluate the quality of teacher who takes charge of a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rom the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the evaluation a question in current appointment examination appeared with the fact that will not be able to evaluate quality of that. On the basis of this fact, it is presented a following improvement task. First, there must be agreement and discussion about quality of teacher who takes charge of a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rom the elementary school. Second, quality of that teacher will be able to evaluate properly, a question must be developed. Three, `functional\ evaluations in quality categories of that teacher must strengthen. Four, we must change the current multiple choice type with the statement type question item or description type. Fifth, the application a question which integrates the quality of that teacher must be made setting. Six, minimum information must be provided about the appointment examination a question and an answer. And must construct the setup will be able to evaluate continuously introducing probational teacher system control with the improvement subject which is long-term and period of certain period.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쓰기 과제 해결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임천택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problem-solving activities for writing assignment i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this purpose, textbooks of 60 volumes of low, middle, and high grades textbooks were collected. We analyzed contents of 6 writing assignments and 120 writing results included in it and two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main problem with the issue presented a difficult assignment to students to solve, lack of performance in content organization of assignment solving activities, presentation of uniform and inflexible procedures or activities, absence of self-directed solving assignment, lack of meta cognition about the process of writing and the writer himself. How to improve on this, It proposed a appropriate level of the assignment, support of material that help content creation, differentiation of the level of the assignment and presents the method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cess step, provision of learning activities of meta cognitive activation activities, systematic instruction training of contents organization activity, critical acceptance and creative utilization of problem solving process, presentation of the best article of the appropriate level of student. 본고는 초등학생들의 쓰기 결과가 드러난 국어 교과서의 분석을 통하여 쓰기 과제 해결 활동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저, 중, 고학년 교과서 60권을 수집하여 그 속에 있는 6개의 쓰기 과제와 60개의 쓰기 결과물을 내용 분석하였고, 두 명의 교사를 면담하였다. 그 결과 나타난 주요 문제점으로는 학생들 수준에 비추어 난이도가 높은 과제 제시, 내용 조직하기 활동의 성과 미흡, 획일적이고 경직된 쓰기 절차나 활동의 제시, 자기 주도적 해결 과제 부재, 쓰기 과정이나 필자 자신에 대한 메타 인지 활동의 부재가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수준에 맞는 과제 제시와 내용 생성을 돕는 자료 지원, 자기 주도적 해결 과제 제시와 학습 단계별 과제 제시 수준의 차별화, 메타 인지 활동의 활성화, 내용 조직하기 활동의 체계적인 지도, 쓰기 과제 해결 과정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창의적 활용, 학생 수준에 알맞은 모범 글의 제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매체 문식성 제고를 위한 국어 교과서 구성 방안

        임천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lan of composing Korean textbooks to improve media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s, it was found that, considering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language environment and media,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out the elementary school period. I have looked at three ways to organize textbooks that can realize this. These are reflection of media achievement standards, integration of media experience, and presentation of Korean materials based on media. Textbooks should be able to contain media achievement standards intensively or in an integrated way. And it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learning activities or materials themselves can enhance media literac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iscover and present a balanced presentation of materials in Korean based on media throughout all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support such a textbook composition, the problems of expanding and structuring media experience, providing high-quality and customized media materials, and media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use must be resolv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매체 문식성 제고를 위한 국어 교과서 구성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각 학년군별로 매체 문식성을 길러줄 수 있는 요소가 있고, 이러한 요소가 고학년으로 갈수록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의 언어 환경과 매체의 발달을 고려할 때 초등학교 전 기간에 걸쳐 매체 문식성 교육이 지금보다 더 강화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교과서 구성 방안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매체 성취기준 반영, 매체 경험 통합, 매체를 소재로 한 국어 자료 제시가 그것이다. 교과서는 매체 성취기준을 집중적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 활동이나 자료를 통해서도 매체 문식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 초등학교 전 학년에 걸쳐 매체를 소재로 한 국어 자료를 적극 발굴하여 균형 있게 제시해야 한다. 이러한 교과서 구성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차원의 매체 경험 확대와 구조화, 교과서 구성 시 양질의 맞춤형 매체 자료 제공, 교과서 활용 시 매체 접근성과 활용 편의성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다만 매체 만능주의나 지나친 매체 의존은 경계해야 한다.

      • 토의·토론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 신장 방안 연구 : 교수 프로그램과 교수 활동을 중심으로

        임천택,김은경 한국어문교육학회 2013 어문학교육 Vol.46 No.-

        이 논문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적용된 토의·토론 프로그램과 수업 저널을 분석하였다. 교수 프로그램 변에서 교사는 토의·토론에 필요한 기초 기능을 잘 지도해야 한다. 또 토의·토론의 유형은 쉽고 학생들 흥미에 부합해야 한다. 그리고 수업 목표 도달에 적합한 토의·토론 유형과 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아울러 수업 설계 단계에서 토의·토론 요소와 주제를 잘 드러내야 한다. 교수 활동 면에서 교사는 학습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또 교사는 다양한 토의·토론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토의·토론에 필요한 기능 지도와 사고력 훈련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토론에 필요한 자료 수집과 분석이 잘 준비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oster the discussion debate programs were applied and related materials were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 should teach to the necessary basis skill for discussion debate in the field of teaching program. The types of discussion debate appropriate for interested students should be easy. The types and techniques of discussion debate should be applied suitable for reaching class goals. And the elements and themes of the discussion debate must appear well in the class design phase. The teacher should understand clearly the level and range of learning content in the field of teaching activity. The teacher must know how to do various discussion debate. Guidance of skills and thinking training required for discussion debate should be continuously. And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quired for discussion debate should be prepared well.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국어과 평가 전문성 실태 분석 - 평가 문항 개발을 중심으로 -

        임천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is study researched assessment tool development for Elementary Teacher in assessing Korean Language. With this tried to observe a part of professionality for elementary teacher in assessing Korean Language. I set four kind analytical focuses accomplishing standard, performance characteristic, thinking characteristic, question item suitability. And analyzed studies accomplishing question items 60 and performance assessment question items 18 of 2 grade 1 semester. Those were col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Question and direct conversation led and in addition collected analyzed a data about assessment tool development. The result with after words is same. Teachers who made the question items for studies accomplishing assessment had a proper question item development ability in accomplishing standard and question item suitability. But the question item development ability which is sufficient an performance characteristic and thinking characteristic was insufficient. According to area characteristic and accomplishing standard characteristic the accomplishing standard reflection degree, performance characteristic reflection degree and thinking characteristic reflection degree appeared differently. This was ratiocinated. with the fact that the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question item development operated. Teachers who made the question items for performance assessment had a proper question item development ability in performance characteristic and thinking characteristic reflect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and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assessment. But it appeared the set of assessment standard which is objective and consistent was insufficient from part. Also it understands a area by mistake or does not reflect a corresponding area characteristic does not reflect an accomplishing standard with the result well from part. 본고는 초등교사의 국어과 평가 문항 개발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초등교사의 국어과 평가전문성의 한 부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취기준, 수행성, 사고력 부합, 문항적합성의 네 가지를 분석 초점으로 하여 부산시내 세 초등학교에서 수집한 2학년 1학기 국어과 학업성취도 평가 60문항과 수행 평가 18문항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설문과 면담을 통하여 평가 문항 개발에 관한 자료를 추가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어과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개발한 교사들은 성취기준과 문항적합성에 부합하는 문항 개발 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수행성과 사고력에 부합하는 문항 개발 능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역이나 성취기준 특성에 따라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성취기준 반영 정도, 수행성 반영 정도, 사고력 부합 정도가 달리 나타났다. 설문 반응과 면담 분석 결과, 이러한 차이는 문항 개발과 채점의 수월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수행평가 문항을 개발한 교사들은 국어과의 수행 특성과 수행평가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행성과 사고력에 부합하는 수행평가 문항의 개발 능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평가기준 개발 능력에서 미흡한 점이 나타났고, 영역 구분을 잘못 이해하거나 영역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성취기준을 타당하게 반영하지 못한 점도 일부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