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문제, 학업열의 및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김대명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4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roblems, academic enthusiasm, and life satisfaction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using 3rd year data of 4th grade panel)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do the sub-factors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ffect academic enthusiasm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roblems, academic enthusiasm,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ird, how does academic enthusiasm of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roblems and life satisfaction? To verify th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imated along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ignificantly affected academic enthusiasm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problems, academic enthusiasm,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between variables was found to be suitable. Emotional problems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enthusiasm and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enthusias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ademic enthusiasm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roblem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eniors at the point of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educational subjects in emotional situations, and to increase academic enthusiasm.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종합실태조사(2018)의 초등학교 6학년(4학년 패널 3차년 자료 사용)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문제, 학업열의,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문제의 하위 요인은 학업열의 및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문제, 학업열의, 삶의 만족도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열의는 정서문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어떻게 매개하는가? 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과 Bootstrapping과 더불어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문제의 하위요인은 학업열의 및 삶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들은 정서문제와 학업열의, 삶의 만족도 사이에는 서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변인 간 구조적 관계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정서문제는 학업열의 및 삶의 만족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열의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학업열의는 정서문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 하면,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전환되는 시점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서문제 상황에서의 가정 및 학교에서 교육 주체 간 긍정적 상호작용이 지속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과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하도록 하고, 학업열의를 높이기 위해 학업과 관련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 및 상담기법 적용과 다양한 학습동기부여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등에 대해 사시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이 정서지능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송민교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GRIT on the higher-grad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upon school adapta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where the GRIT affects school adapt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IT of the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adaptation. Second, the GRIT of the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adaptation. Forth,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IT and school adaptation.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highlight an effective coping strategy and the need f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GRIT for the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ile providing the base data to help personalized school adapta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과 정서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도권 및 경남지역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은 정서지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지능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그릿과 정서지능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대처 방안을 강조하고, 개별화된 학교적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결정과 학습몰입의 관계 : 진로인식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정(Kim Su Jeong),지은(Ji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결정과 학습몰입의 관계를 살펴보고 진로인식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경기도 B시에 위치한 B초등학교의 5, 6학년을 3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부분 수집된 298개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연구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결정과 학습몰입, 진로인식도의 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결정의 효과를 예측하여 초등교육과정의 학습선택권 확대의 의미를 고려한 초등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연구로써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습선택권 확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고학년인 5, 6학년 학생들의 자기결정, 진로인식도, 학습몰입에 대한 차이를 밝히고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육과정의 학습선택권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자기결정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of self-determination, career Awareness and learning flow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war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8 fifth and sixth graders of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 City, Gyeonggi-do, and 298 questionnaire items were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the relationship across self-determination, learning flow, and career awareness in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significant and had a partial effect on paring. Therefore, the study gives implications for the expansion of learning options for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cond, the difference in self-determination, career awareness, and learning flow of fifth and sixth graders, who are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proven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among participants. Third, specific measures of practice were proposed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in a way that would expand learning options in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imary education by predicting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in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onsidering the meaning of expanding learning options in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서보나,김유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3 초등상담연구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 가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7개 초등학교의 5~6학년 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자료 처리 및 분 석을 위하여 SPSS 25.0과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거부민감성은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자기자비는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유 의미하게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사회불안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정서표현 양가성과 자기자비를 통해서도 사회불안을 예측함 을 확인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사회불안을 예방하고 치료할 때 거부민감성, 정서표현 양가성 및 자기자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and how the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compass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335 5th and 6th grade students from 7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PROCESS Macro 4.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association with social anxiety. Seco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respectively.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s. As a result, two mediators turned out to be of significance. To sum up, the students’ rejection sensitivit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social anxiety. Also, the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compassion had positive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required to consider rejection sensit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compassion in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students’ social anxiety.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장효정(Hyo Jeong Jang),서은희(Eun Hee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개인적 변인(외모관심도, 자아존중감)과 환경적 변인(학교생활적응, 가족건강성)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성별에 따라 각 요인이 외모만족도에 주는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6월 29일부터 7월 17일까지 약 3주간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551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무작위 반응이나 무성의한 자료를 제외한 543부를 자료 분석에 포함시켰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들에 대하여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 검정,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외모만족도는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가족건강성과 정적 상관이, 외모관심도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은 성별에 따라 평균값에 차이가 없었으나, 외모관심도,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외모관심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가족건강성을 확인하였다. 그 영향력은 자아존중감, 외모관심도,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 순이다. 특히 외모관심도는 외모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주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인적 변인인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남녀학생모두에게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으나, 환경적 변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변인이 달랐다. 즉 여학생에게는 학교생활적응이, 남학생에게는 가족건강성이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남녀 학생 모두에게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외모관심도를 적정 수준으로 낮추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여학생에게는 학교생활적응에 더 중점을 두고, 남학생에게는 가족건강성에 더 무게를 둔 접근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est in appearance, self-esteem,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strength on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high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identify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543 students in grades 5 and 6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Appearance satisfaction, body esteem scale, interest in appearance scale, self-esteem scale,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and the family strength scale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5.0 program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in correlation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strength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interest in appeara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average difference by gend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depending on gender, bu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family strength,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high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ere interest in appearance, self-esteem,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strength. The influences were self-esteem, interest in appearance, family strength,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order. In particular, interest in appear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Third, depending on the variables, the effec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differed by gender. Among the variables, self-esteem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ffecte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school life adjustment for girls and family strength for boys were found to affect their appearance satisfaction.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self-respect and adjust the level of interest in appearance to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lso, a more focused approach to school life adaptation is required for girls and a more focused approach to family strength for boys.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물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 고학년용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김유라 ( You Ra Kim ),이지은 ( Ji Eun Lee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본 연구는 인간이 사용하는 물의 양의 나타내는 지표인 물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고학년용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에서 물의 소중함, 물 오염과 부족, 물의 보존과 같은 물 환경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는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의 학습자 발달단계뿐만 아니라 복잡한 시스템이나 인과관계에 대한 이해보다는 일상생활과 연계된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물 환경교육과 물발자국에 대한 이론적 고찰, 물 환경교육 모형 설정, 교육프로그램 목표 및 주제 선정, 교육프로그램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전문가 검토, 수정·보완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한 개 학급(30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에 적용하고, 물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물 환경교육에 활용할 8개 주제 16차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수·학습 과정안, 활동지, 읽기 자료, 평가 자료로 구성된 교사용 교수자료와 활동이 포함된 활동지, 읽기 자료, 학습자용 자료로 구성하여 실제 수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개발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물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향상시키는 교육적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최근 국제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물 오염과 부족, 물의 보존 등과 관련한 물 환경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서, 우리 사회가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 교사들이 물 환경교육을 효율적으로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ater footprint concept-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the water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 of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o achieve the effectiveness of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aining precious water, pollution and shortages of water, the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following 4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verification, field test and evaluation. The experiment made progress a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in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hour for 8 week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on water environment. The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program follows the three regions which are contents process of water conservation, practical part on water conservation based on water footprint concept and expanding environments principle in accordance with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is made up of eight parts: our life and precious water, water pollution and shortages, understanding of water footprints, closing & textiles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dietary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housing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reducing water footprints of school and local community life, and reducing water footprint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society life. Third, the developed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on water environment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n conclusion, the developed program was an applicable example on water-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tudy provide to teaching material to proceed with effective class on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by field teacher toward sustainable society.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more intensively and systematicall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lated to a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홍현정,김선희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rt therapy on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especially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art self-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4th grade children of two-classes were selected as a participant group in Seoul. With the consent of the principal,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30 participants of one clas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EG) and 30 participants of the other clas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CG). Excluding the data of participants dropout, 42 data were obtained. 20 data of EG and 22 data of CG were examined for the final analysis. EG children were provided with the weekly class of art therapy (eight sessions over a two-month period; one session per 40 min.) instead of regular art-class. CG children were not provided with any art therapeutic activities. Both group were evaluated with the scales of emotional expressivity and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DAPR(Draw A Person in the Rain) assessment. In order to present the changes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the paired samples t-test was conducted. Also, ASEA(Art Self-Expression Assessment) was measured in EG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the art works. ASEA was conducted by selecting works of the 1st and 8th session of school art therapy. This study shows that the art therapy in school gives children a positive and meaningful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rt self-exp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at the school art therapy as a psychological servic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vides a supportive program, which is to prevent and reduce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N구에 소재한 사립 초등학교의 4학년 학급 아동을 대상으로교장, 담임교사와 논의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2개의 학급이 선정되었다. 실험집단 1개의 학급에는 2017년9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 주 1회 4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미술교과 수업시간에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 1개의 학급에는 동일한 기간 동안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의 측정도구로 자기보고식 설문지인 정서표현 척도,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 빗속사람그림(DAPR)검사를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학급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의 하위요인인 주제표현, 색채, 형태, 화면의 구성, 창의성 영역의 점수가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의빗속사람그림(DAPR)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점수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자원 점수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겪는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측면의 문제를 조기 발견하고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 독서요법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신호, 노윤정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5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맞는 독서요법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독서요법 프로그램 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중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처리는 t-검정을 하였으며, 자료 처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SPSSWIN(verlO.O)이다. 독서요법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공격성이 통제집단의 공격성 보다 현저하 게 감소한 것으로 나와 독서요법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서요법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공격성 하위 영역 중 공격성 전 영역 즉 폭행, 간접적 공격성, 흥분성, 부정성, 언어적 공격 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서요법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공격성 하위영역 중 적의성(원한, 의식, 죄의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bibliotherapy program on decreasing the aggression of seni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by applying a program appropriate to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bibliotherapy program, the level of aggress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get lower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ich suggest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for reducing the aggression of seni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bibliotherapy progra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rop statistically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entire area of aggression among the aggression sub-areas, such as violence, indirect aggression, irritability, negativity and verbal aggression, which showed the program was effective for dropping the aggression of seni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ird, bibliotherapy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reducing hostility(grudge, consciousness and the sense of guilt) among the aggression sub-areas for seni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ly, the bibliotherapy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have effectiveness in dropping the aggression of seni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it, this study propos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st measures and bibliotherapy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it suggested that research needs to continue to raise the students with their whole personality by using a variety of bibliotherapy programs in the field of school.

      • KCI등재

        초등학교 4학년과 저학년 수학의 비교 연구

        김성준 한국학교수학회 2007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0 No.4

        학교교육에서 학교급간, 학년 간, 영역 간 이행은 본질적인 문제이다. 이와 함께 교육내용 간의 연계성은 발달과 교육의 문제에서 그 중심에 놓여 있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수학에서 저학년과 고학년 사이의 간격은 초등수학과 중등수학의 간격만큼이나 그 간격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행과 연계성이라는 문제의식에서부터 시작하여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수학 사이의 연계성을 염두에 둔 비교 연구에 해당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저학년과 고학년이 구분되는 지점인 4학년 수학을 중심으로 하여 두 가지 관점에서 저학년 수학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첫 번째는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3, 4학년 수학 교과서에서의 영역별 내용 비교를 실시함으로써 수학을 배우고 가르치는 입장에서 어려움의 정도를 검토하였다. 두 번째는 교실 수업을 비교하는 과정으로, 1, 4학년 수학 수업을 기록하고 '수업과정분석'을 통해 저학년과 고학년에서의 수학 수업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비교 작업을 통해 이후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수학 사이의 연계성 검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KCI등재

        코로나(COVID-19) 시기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또래관계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현령,정애경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2 청소년상담연구 Vol.30 No.1

        This study explored th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s of female elementary school seniors in the COVID-19 situation (2020-2021). Specifically,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we explored what these students experienced regarding peer relationships after the occurrence of COVID-19 and how school context influenced their experiences.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sixth-grade female students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District from October 8 to November 19, 2021. From the data, six themes and 32 domains emerged: (a) going to school is a driving force to make friends; (b) making friends in school is only possible through conversations; (c) school life becomes more enjoyable when having friends in the same class; (d) I feel limited to getting closer to friends in school; (e) I spend time with friends outside of school to develop strong bonds of friendship; and (f) It is difficult to make new best frie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ed coping strategies and efforts of the students in making and maintaining friendships during COVID-19.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school context to th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s of female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nally, we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to parents, school teachers, and counselors regarding supporting the social development of female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is difficult era of COVID-19.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2020-2021)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또래관계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1년 10월 8일~11월 19일까지 인천의 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등교가 친구를 사귀는 원동력이 됨, 학교에서는 친구를 대화로 사귈 수밖에 없음, 같은 반에 친구들이 생기니까 학교 생활이 재미있어짐, 학교에서는 친구와 더 친해지는데 한계를 느낌, 친구와 더 친해지려고 학교 밖에서 만남, 새로 사귄 친구와 단짝 친구가 되기 어려움이라는 6개의 주제와 32개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19 시기 학교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들이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에서의 대처와 노력을 소상히 드러내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들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맥락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을 조력하기 위한 부모, 교사, 상담자를 위한 함의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