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임교사의 현장 적응에 대한 평가 연구 - 공주교육대학교 출신교사 중심으로 -

        한규정, 김형균, 권성룡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본교 출신 교사들의 현장에서의 교육수 행과 본교에 대한 교육계의 의견을 토대로 다가올 새로운 세기의 보다 나은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위상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는데 있다. 표집은 연구의 목적과 효율성을 위해서 임의 표집방법으로 대전, 충남지역 교사로 하 였다. 질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관한 문항 4개, 본교 졸업생들의 교육 수행에 대 한 선택형문항 문항 12개, 본교에 대한 의견을 묻는 문항 3개(선택형 1개, 자유반응형 2 개), 총 1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지의 배부 및 회수는 E-mail과 Fax를 이용 하였다. 설문지는 대전, 충남 지역 초등학교에 각각 439부, 129부씩 배부하여 96부, 33부ᄅ 씩 회수되었다. 이중 응답이 불성실한 것을 제외하고 총 108부가 연구에 이용되었다. 질문지의 각 문항별로 반응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필요에 따라 성별, 연령별, 담 당업무별, 학교 苷별 등에 따라 반응의 경향을 비교하였고, 통계처리는 백분율, X2 검 증을 SPSS WIN-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자유 반응형 문 항은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교 출신의 신임교사들이 학교 교육활동 전반에 대해 대체적으로 좋은 평가 를 받고 있다. 그러나 생활지도능력, 사무수행능력, 특별활동지도능력 등에 대해서는 타 항목 보다 /보통이다'는 반응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본교 출신의 강점인 /안간관계와 협력이 잘되는 것'은 약점으로 지적된 학연에 치우친다/와 연결되는 결과 이므로 강점을 강화하되, 지나친 학연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셋째, 반응에 응답한 교사들은 교대 교육과정이 현장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기를 원 하고 있다. 즉 현장과 접목할 수 있는 것과 예 • 체능, 영어 심화와 관련된 교육과정이 강화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ducational performances of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curriculum(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case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analysis. In order to accomplish,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survey were used. A questionnaire which was 19 question items concerning personal and educational performances, suggestions for university were made. Thi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568 school in Daejeon and Chungcheong Nam-Do. Finally well answered data 108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the 108 persons who responded to the mail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s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program techniques of frequencies, chi-squar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educational performance by the Graduates of the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mostly high. But the ability level of career guidance, office management, special program activities were comparatively lower.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 기술교육의 최신 담론을 반영한 초등기술교육의 지향

        최유현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2

        이 연구는 초등 기술교육의 쟁점이자 앞으로 지향해야할 철학적, 방법론적 패러다임 을 제시하기 위하여 'TECH'의 네 가지 키워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기술교육 에서 중요한 지향점 네 가지를 먼저 설정하고 그 타당한 논리와 배경을 중심으로 고찰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이 연구에서 제시 한 초등기술교육의 키워드는 교육의 목적론 차원에서의 기술적 교양(Technological Literacy), 교육의 내용 담론 차원에서의 공학적 접근(Engineering Education), 그리고 교육의 방법론 차원에서 창조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끝으로 교육의 가치와 당위 차원에서 공작적 인간(Homofaber & Homunclus)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초등 기술교육의 키워드는 다소 제한적 이지만 각 교육의 범주에서 중핵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물론 다른 키워드가 제시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여기에 제시한 TECH의 키워드가 잘 해석되고 적용될 때 우리 초등 기술교육은 한 단계 나은 도약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keyword of four types of the "TECH7 (which is) an issue of elementary technology education, also intend to present philosophy and methodological paradigm in the future. This study set the intention point of 4 types from elementary technology education at first. And it reviewed the focus of its reasonable logic and backgr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keyword presented from elementary technology education explained technological literacy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al purpose, engineering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ontents discourses, creative problem solving from the viewpoint of methodological, and homo faber & homunclus from the viewpoint of value and rationales of education. The keyword of elementary technology education presented from this study is able to explain the core concept from category of each education, though it leaves something to be restricted. Of course though the possibility which the different keyword presents is to be, Elementary Technology Education will see possibility of the better growth when the keyword is interpreted and applied rightly.

      • 초등학교 양성평등적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진로교육 실태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분석 연구

        김신호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5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진로교육 경험정도, 초등학생의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활동에 대한 인식 및 관심도, 초등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포함되기를 기대하는 내용과 개선요구 사 항을 조사 분석하여 초등학교 양성평등적 진로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 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생 661명(남자•• 329명, 여자:332명) 이 표집되었고, 이들에게 본 연구의 내용과 관련한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되었으며, 수집 된 응답결과를 통계분석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직업체험활동의 기회가 많으며, 둘 째 진로에 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채널과 관련하여 남녀 학생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 고, 셋째 관심 있는 직업에 대한 인식정도와 특정 직업을 선호하는 이유와 관련하여 남녀 학생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넷째, 남녀 학생 모두 진로관련 정보의 습득과 진로관련 검 사에 대하여 인터넷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체험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초등학 교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의 진로발달단계와 그들의 흥미를 고려하여 개발할 필요성 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concerning (1) the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2) the awareness and interest in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activities, and (3) the expectation and the need for the content of future career education program in order for the development of gender-equal career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329 male students and 332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re sampled for the present study and 50-item research questionnaire were disseminated to and gathered from these research subjects. Responses were dealt and tested through the statistical method and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synthesized as follows: (1) male students had more opportunities of the vocational experience activities than female students, (2) there were big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concerning the channels to access the career information, (3) there were big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bout the level of awareness in the interested occupation and the reasons for preferring specified occupation, (4) both groups of students preferred utilizing internet program to search job-related information and job-related test inventories, (5) various ways of the vocational experience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6)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stages of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their interests.

      • 초등 수학 영재 선발 방식의 내실화를 위한 연구 -수학적 내용 영역과 사고 영역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중심으로-

        임문규, 권성룡, 강흥규, 조영미, 김혜숙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8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8 No.1

        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실시된 영재 선발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공주교육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 수학 영재 선발에 내실을 기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영재 선발에 사용된 수학 문항들을 크게 수학 내용 영역 측면과 수학적 사고 측면으로 구 분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2005 년과 2006년에 실시된 영재 선쌀 평가 결과였다. 분석 결과로, 먼저 합격자 집단과 불 합격자 집단 사이에 표준화 점수 차이가 가장 많이 나거나 적게 나는, 수학 내용 영역 과 수학적 사고 영역을 알아보았으며, 둘째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전형 단계에서 합 격에 영향을 미치는 수학 내용 영역과 수학적 사고 영역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 는 내실 있는 영재선발을 위한 문항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way of selecting the mathematics-gifted students i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that purpose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s through the statistics methods. And for the analysis we classified the mathematics items according to the content domains and several mathematical thinking.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obtained the followings. First, we could find the mathematics content domains and mathematical thinking on which the gap between the passers and failures was the largest and the smallest. Second, we could recognize the content domains and mathematical thinking which were related to the pass of the examinations.

      • 공주교육대학교 출신 신규교사의 교육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 조사

        권성룡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1

        본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 출신 신규교사의 본교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 해서 실시되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전과 충남지역에 소재한 568개 초등학 교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138부를 회수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본교의 교육과정(교양교육과정, 전문교육과정, 심화교육과정, 교육실습)이 전문성을 갖춘 초등교사양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주교육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이(대학교육을 받은 사람으로서 교양과 식견을 갖추게 하는 등) 초등교사의 기본적인 자질함양에 기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답을 한 반응이 전체의 34%였다. 둘째, 공주교육대 학교의 전문교육과정 이 초등교사의 전문성신장에 기 여 하는가라는 질 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답을 한 사람은 전체의 47.8%였다. 셋째/ 전문교육과정 중 심화교육과정은 특정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기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답을 한 사람은 전 체의 36.2%였다. 넷째, 교육대학의 교육실습은 교육대학생들이 초등교사로서의 학습 및 생활지도 능력 과 직무 수행능력을 개발하는데, 그리고 초등학교 현장에 적응하는데 기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79.7%가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섯째 , 공주교육대학교의 발전방안으로는 초등현장과 실질적으로 연계된 교육과정을 운영, 보다 우수한 교수진을 확보, 사명감 있는 초등교사양성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 램 강화, 전문성을 갖춘 초등교원양성이라는 특수목적에 맞는 교육과정운영, 대학의 지 역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문화적 경험 제공 등을 들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ews of new teachers graduated from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n the curriculum of GNUE. For convenience’s sake, the subjects were restricted to new teachers worked for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and have been teaching less than 5 years.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gathered through survey, several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 First,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was 34%. Second,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major course was 47.8%. Third,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advanced course was 36.2%. Fourth, the rate of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al practice was 79.8%.

      • 초등교사 실용지능 구성요인 확인을 통한 초등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강영햐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4 No.-

        이 연구는 초등교사 실용지능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교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 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9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초등교사 실용 지능 문항을 수집하고,24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된 문항에 대한 적절성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289명의 교사로 하여금 선정된 실용지능 평가 문항에 대 한 자기평가를 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요인분석 하였다. 초등교사 실용지능 요인으로 10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나,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적으 로 선정된 요인은 추진능력,의사소통 능력,판단능력,대인관계 능력,지도능력, 풍부한 지식기반 그리고 탐구태도의 7요인이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초등교사 교육의 방향으로 전문성 발달을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에서 추출된 실용지능 구성요인과 관련된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과 직전교육의 교육실습과 워크샾 등을 통한 실용지능 요인과 관련된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제안되었다. 학생,학부모나 관련인사를 대상으로 초등교사 실용지능 요인을 밝히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of elementary teachers' practical intelligence and suggest the orientation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practical intelligence items were recruited from 46 elementary teachers and then the relevance of items were evaluated by 246. The final items, which were self rating scale, administered to 289 elementary teachers. The test results were factor-analysed. Push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judging ability, interpersonal skills, leadership, knowledge base, and exploring attitud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to develop the abilities such as push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judging ability, interpersonal skills, leadership, knowledge base, and exploring attitudes. And the student-practices or workshops should be provided to practice these abilities. It was suggested that the studies of the elementary students, parents or other persons were need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practical intelligence for elementary teachers.

      • 차기 초등교육과정에서의 통합교과의 성격

        김승호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8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8 No.1

        이 논문은 차기 초등교육과정에서의 통합교과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합교과가 탄생한 4차 교육과정 때부터 지금까지의 통합교과의 변천사를 고찰한 후에, 이를 바광으로 하여 차기 초등교육과정의 통합교과 가 얼마나 변화하였는지를 통합교과별로 따져보았다. 그 결과, 차기 통합교과는 이전과 비교해 볼 때 크게 달라진 것이 없으며, 단지 7차 교육과정의 '탈교과적 활동주제 중심 통합' 논리를 구체적인 각론에서 수정, 보완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한편, 초등학교 통합교과 문제와 논란의 핵심은 바로 7차 교육과정의 탈교과 적 활동주제 중심 통합 논리에 있으므로, 부분적으로 수정 • 보완하는 차원보다는 전면 적인 개편의 편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차기 초등교육과정에서의 통합 교과는 무조건 탈교과를 지향하기보다는 오히려 각과 교과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통합 교과를 운영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나 이 논문 또한, 차기 통합교과에 대 한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점과, 아직 시행되지 않는 문서를 바탕으로 한 연 구라는 점에서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ature of integrated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 result was as follows. Comparing the integrated subjects i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to the integraed subjects in the 7th curriculum, there are nothing so much different. The former was focused on making up for the weak point of the latter. So, the former will be remembered only as a amended and complemented version of the latter. But, the problems which the 7th curriculum has included is still left untouched. The so-called "trans-subject matter integration" actually doesn't exist. Therefore, what is the desirable integration logic and direction of integrated subjects education must be newly and wholly reconsidered.

      • 2007학년도 공주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

        한규정, 김주연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2

        본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의 2007학년도 신입생들의 기본정보와 가정환경, 경제적 환 경, 대학에 대한 태도, 가치관, 심리적 특성, 그리고 학생생활연구소에 대한 태도 등 총 7개영역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조사로서 본교 신 입생 535명중 489명이 응답하였고 이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07 학년도 신입생의 연령분포는 만 21세 이상이 34.2%로 2006학년도에 비해 평균연령이 낮아졌으며, 과외를 받은 경험은 다소 높아졌다. 둘째, 신입생들은 다양한 사회적, 문화 적 그리고 종교적 배경 속에서 성장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이런 다양성이 대학교육 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전년도와 비교해 볼 때, 신입생들이 지각하는 가정의 경제 형편은 부유해졌으며, 학비 조달에 있어서도 큰 어려움 없이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06학년도에 비해 신입생들은 본교 입학에 대한 만족감이 다소 낮아졌음 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섯째, 신입생들은 진실한 대인관계를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가 치로 또한 사회적 성공요인으로는 성실.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여섯째, 혼전 성관계에 대해 신입생 응답자의 69.3%가 상관하지 않는다고 하여서, 캠퍼스 내외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성희롱 및 성폭력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일곱째, 신입생들이 직 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들은 대학생활과 대인관계들이며 따라서 상담지원으로 진로 및 인간관계 개발과 대인 관계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year 2007 freshmen in the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terms of their demography, family backgrounds, socioeconomic status, attitudes toward the university, valu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ttitudes toward the Research and Service Center for Students. Among 535 freshmen, 489 students replied to the survey. The results lea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34.2 % of replied freshmen were beyond 21 years or older, the average age of freshmen and private tutoring that they took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year 2006. Second, they came from various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s, so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granted to guide and teach them. Third, as compared the results of the year 2006, the percentage are increased that most freshmen think their domestic economy a little better. Fourth, we found they were unhappier with entrance to this university but happier with Department than freshmen of the year 2006. Fifth, they think the great value in life is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primary factors of success are honesty and hard work. Sixth, 69.3 % of replied freshmen don't care a premarital sex, so the publicity toward sexual harassment should be released to prevent sexual assaults on and/or off campus. Seventh, the problems that are now being faced to freshmen ar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hip, and counseling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do the career orientation, development guidance and personal relationship.

      • 초등 과학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절차와 실제 -정보화 시대와 자석의 이용-

        권오종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5 No.-

        초등 과학영재를 실제로 교육하는 교수 또는 교사들은 여러 가지 필요에 의해 영재를 위 한 교수-학습 자료를 스스로 개발하게 된다. 이 때 흔히 느끼는 두 가지 어려움은 절차와 소재이다. 초등 과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초등 과학영재의 정 의, 이 정의에 따른 영재의 판별, 영재성을 진작시키기 위한 교육 방법과 영재들의 학습 특 성 및 이러한 학습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모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 지식 과 이해를 바탕으로 몇 개의 교수-학습 모형을 결합하여 자신만의 교수 전략을 확립한 후 에 적절한 소재를 마련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한다. 생소한 소재를 다루게 되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미비로 인해 제대로 탐구를 하지 못한 다거나, 흥미를 잃거나 혼란을 야기하는 둥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주위의 친근한 소재를 선택하여 더 넓게 보고 깊이 생각하며,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창의적인 결과 를 내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시대와 자석의 이용'이라는 주제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주제는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과학 교과서의 '자석놀이' 단원, 6학년 2학기 과학 교과서 의 '전자석' 단원, 그리고 실험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자기유도 현상과 밀접하게 관 련되어 있어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이 어느 정도 친근감과 자신감을 갖고 탐구를 시작할 수 있다. 이 자료의 목적은 우리가 혼히 보는 자석과 전자석이 정보화라는 사회적 변화를 어 떻게 이끌었는지를 조사와 실험 • 관찰, 그리고 프로젝트를 통해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When teachers in charge of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develop their own teaching programs, at first, they should build an instructional strategy. This requires concrete knowledge of definition and selection of the gifted, and category and models of education for the gifted. The next step is to choose some appropriate inquiry subjects. Unfamiliar sujects usually cause children to fall down the inquiry, to feel not much interest or to be in confus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ake programs out of familiar subjects so that the gifted chidren can view them in different ways, consider carefully, approach systematically, and achive creative results.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instructional programs o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the use of magnet, according to the above mentioned procedure. In the course of programs, the gifted children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contribution of magnet to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orientatio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