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조도시와 창조계급

        최병두(Byung Doo Cho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1

        창조도시 이론은 기본적으로 탈산업화 과정 속에서 ``문화적 전환``에 따른 경제환경의 변화와 사회공간적 재구성간 관계를 반영한 이론이다. 이 논문은 우선 창조도시 이론의 발달 배경으로서 지식기반경제 또는 문화경제의 접근방 법들을 고찰하고, 창조도시의 개념화에서 구분되는 유형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논문은 이러한 창조도시 이론을 직 접 논의한 국내외 연구 동향에서 비판적 관점들을 정리하고, 이의 함의를 신자유주의와 관련시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 논문은 창조성 또는 창조경제의 사회적 구성으로서 창조계급과 공간적 구성으로서 창조도시에 관한 개념적 논제들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창조계급의 개념은 ``계급`` 개념과 범위의 모호성, 계급-편향성과 경제 특 권적 사고, 상품화 또는 시장 가치화의 촉진, 탈공동체적 개체화, 유연적 노동시장의 규범화, 도시 경제의 성공 여부 에 대한 불확실성 등의 문제 또는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지적된다. 창조도시의 개념은 (대)도시에 한정된 관심, 국가 적 및 지구적 차원 무시, 탈맥락적 규범적 전망, 신자유주의적 도시의 정당화, 창조계급 유치 및 경제 발전과의 인과 성 입증 부족, 도시 및 국토 공간의 양극화 심화 등의 문제 또는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지적된다. The theory of creative city can be seen as one that reflects a relationship between recent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and socio-spatial reconstruction in the so-called ``cultural turn`` to deindustrialization. This paper considers approaching methods to knowledge-based economy or cultural economy as a context of development of theory of creative city, and suggests types of conceptualization of creative city. Then it reviews creative perspectives which can be found in recent domestic and oversea research trends on creative city, especially relating its nature with neoliberalism.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critically the concept of creative class as a social constitution of creativity or creative economy, and that of creative city as its spatial constitution. The concept of creative class can be criticized in terms of ambiguity of the concept of class, class-biased and economy-privileged idea, market valorization of culture, individualization against community, normalization of flexible labor market, and uncertainty of economic success of creative city. The concept of creative city can be criticized in terms of limitation of interests to city, ignorance of national and global dimensions, decontextual normative vision, legitimation of neoliberal city, lack of proof of causality between creative class and economic success, polarization of within and between cities.

      • KCI등재

        한국에서의 창조계급 적합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최일용(Il-yong Choi),황성원(Seong-won Hwa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창조경제시대에서 창조도시와 도시 성장의 핵심 자본인 창조계급에 대해 우리나라에 적합한 창조계급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Florida(2002)의 창조계급과 Mcgranahan & Wojan(2007)이 재구성한 창조계급을 국내 통계청의 2010년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직업분류기준표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창조계급과 혁신지수, 하이테크지수, 경제적 성과(임금)의 지역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창조계급과 국내 혁신지수, 하이테크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Mcgranahan & Wojan(2007)의 창조계급이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Flordia 보다 Mcgranahan & Wojan 창조계급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Mcgranahan & Wojan(2007)의 창조계급에 대해 혁신 및 하이테크지수, 경제성장과의 경로 분석을 실시하여 창조계급이 혁신, 하이테크,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국내의 다양한 창조계급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경제적 성장과의 분석을 통해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입안자에게 창조계급 유입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창조계급 유입을 위한 도시환경과 지역경제성장과의 관계 및 한국의 창조계급 지표 수립에 관한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itable creative class in korea as the core capital of creative urban growth under creative economy era. We are test to find it for two types of creative class. One is Richard Florida(2002)’s creative class, the other is Mcgranahan & Wojan(2007)’s recasting creative class. Data on 2010 for this paper are generated from Statistics Korea.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economic geography of creative class is highly concentrated. Furthermore, the geography of creative class is strongly associated with innovation index and high-technology industry location. And Mcgranahan & Wojan(2007)’s creative class is mor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all dependent variables than Florida’s. We also find that it has better power of explanation than Florida’s with all of them in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solutions. First, this study can be provided to government and local policy makers as basis data and practical policy guide to attract creative class. Second, this paper presents standard about a diversity of definitions for creative class in Korea. Third, this research also facilitates follow-up studies about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creative climates.

      • KCI등재

        한국창조과학회의 창조과학교육 분석

        박광현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KACR). KACR was founded in 1981 with the help of Henry M. Morris who established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ICR) in the USA. During the last 40 years, KACR has done a lot of things for Korean churches, Christians, and the society. KACR has about 1,300 members and most of them are scientists and professors. This is the reason why KACR focuses on creation science education for next generation and church members to formulate faith for the Creator, God. KACR has tried to form creation faith, to defense creation against evolution, to teach creation in public education, to make science educational books and materials, to develop scientific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 to suggest the Good News through science wit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of creation scienc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ACR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First of all, we will survey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KACR. After then, we will analyze the meaning of ‘creation’ and ‘science’ from the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ACR.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e can find the educational aims, purposes, contents and methods of KACR. Lastly, we will discuss the meanings of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ACR. This study focuses on the educational meanings and values of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ACR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이 글의 연구 목적은 한국창조과학회(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KACR)의 창조과학교육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창조과학회는 1970년 미국에서 창조과학연구소(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ICR)를 세운 헨리 모리스(Henry M. Morris)의 도움으로 1981년에 설립되었다. 한국창조과학회는 지난 40년 동안 한국교회와 성도들 뿐 아니라 사회를 위해 많은 활동을 하였다. 한국창조과학회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약 1,300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가 교육자이기에 설립 초기부터 다음 세대와 성도들의 창조신앙 형성을 위한 창조과학교육에 집중해 왔다. 한국창조과학회는 창조신앙의 형성, 창조의 변증을 통한 진화론 반대, 공교육에서의 창조론 교육의 시도, 창조에 근거한 과학교육 책자와 자료 제작, 창조에 근거한 과학 학술연구, 과학을 통한 복음의 제시 등 다양한 창조과학교육을 진행해오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창조과학회의 교육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한국창조과학회의 배경과 역사를 살펴본 후, 한국창조과학회의 창조과학교육에서 ‘창조’와 ‘과학’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이런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창조과학회의 창조과학교육의 교육목적,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어서 창조과학교육의 의의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 글은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창조과학회의 창조과학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가치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 KCI등재

        미카엘 벨커의 창조윤리

        홍순원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3 기독교사회윤리 Vol.55 No.-

        창조주 하나님의 사역은 과거의 시간 속에 갇힌 지나간 사건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도 지속되는 영원한 하나님의 현존이다. 창조주의 사역은 피조물의 발생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피조물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포괄한다. 하늘을 창조하신 하나님은 하늘에 계신 존재로만 제한될 수 없다. 하나님은 다양한 피조영역들을 생산적인 상호의존의 관계 안으로 창조한다. 창조영역은 사람과 식물의 관계, 그리고 사람과 동물의 관계를 의미한다. 창조질서로서 하늘은 보이지 않는 영역, 땅은 보이는 영역을 대표하며 창조질서를 보전하는 책임을 맡은 인간에게 생육하고 번성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창조 안에서 중요한 핵심은 자연계시가 아니라 자연적 신인식을 넘어서 우리에게 일어나고, 경험되는 하나님의 활동이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은 창조공동체를 돌보고 보호하여 공생의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 인간은 다른 피조물들과 연대적인 공동체 안에 존재하지만, 그는 하나님의 형상을 소유한 존재이기 때문에 피조물들과 구별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은 창조공동체를 돌보고 보호해야 하는 책임을 위임받았다. The work of God as Creator is not a bygone event trapped in the past, but the eternal presence of God which continues in the present and to the future. The work of the Creator is not limited to the generation of creatures, but encompasses maintaining his relationships with creatures. The God who created heaven can not be limited to the existence in heaven. God creates the diverse realms of creation into the productive relationship of interdependence. The realm of creation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plants, and between humans and animals. As the order of creation, heaven represents the invisible realm and earth the visible realm, providing a space to grow and prosper with humans responsible for preserving the created order. The important point in creation is not natural revelation, but the activity of God that happens and is experienced beyond the natural recognition of God. A human being created in God’s image must take care of and protect the community of creation to maintain the order of symbiosis. Man exists in a community of solidarity with other creatures, but he is distinguished from the creatures because he is a being who possesses the image of God. In this sense, the human being is entrusted with the responsibility to care for and protect the creature community.

      • KCI등재후보

        공기업 창조경영 수준진단 방법에 관한 사례 연구

        장남철,김상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3

        최근 기업들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 상상력과 창의성이 융합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창조경영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선행연구에서도 창조경영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실행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지만, 실제로 창조경영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추진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론이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학계에 발표되었던 ‘창조경영 수준진단 모델’를 적용하여 국내 최초로 공기업을 대상으로 창조경영에 대한 수준을 진단하였던 사례이다. 창조경영 수준 진단은 창조경영의 역량과 환경, 창조경영의 추진 프로세스, 창조경영 성과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서 진단하였으며, 그 결과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창조경영의 수준에 관한 측정 절차는 설문조사, 심층면접, 전문가집단의 검증 등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국내 최초로 공기업을 대상으로 창조경영에 대한 수준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창조경영 진단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에서 창조경영을 도입하고 실행하는데 있어 활용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이 분야에서의 컨설팅 활용측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창조경영 수준진단 방법론은 창조경영 컨설팅 방법론의 기본 프레임웍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공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 중소기업에 대한 창조경영 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게 함으로서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창조경영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In the midst of rapidly changing management environment, companies have high interests in creative management for its survival and growth to develop products and services in combination of imagination and creativeness. Although in precedented studies, it has been emphasized that for creative management to be implemented efficiently, it needs to set up a proper implementation structure, however, in reality, it lacks methodology that describes how to efficiently promote creative management. This study shows the case that measures creative management level of public enterprises, through applying the 'Level Measurement Model for Creative Management' which was announced in the academic field. The measurement was conducted on three parts; a) competence & environment for creative management, b) promotion process of creative management, c) achievement of creative management, and as a result, meaningful results were derive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in a sequence of survey, depths interview, examination by experts group. And ke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 for measuring creative management level of state-owned enterprises as the very first case in domestic. Also, it suggests based on measurement results the methodology of creative measurement, which enhances its utilization as well as leading to versatile application in consulting purpose. Secondly, the measurement methodology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a basic framework of consulting methodology for the creative management. In furtherance, by being able to comprehensively measure the creative management level of public enterprises as well as large enterprises or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it could contribute to the promoting the creative management in a systematical way, based on its creativeness.

      • KCI등재

        창조도시 담론의 비판

        박규택(Kyu Taeg Park),이상봉(Sang Bong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1

        창조도시 담론이 서구 자본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진행된 세계화 혹은 탈산업화 사회 속에서 도시 발전 혹은 재 생을 위한 정책수단으로 활용됨에 따라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현실적으로 세계의 많은 국가의 도시들이 창조 도시에 관한 충분한 검토를 결여한 채 도시 발전 혹은 재생 정책으로 채택하여 실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조도시, 특히 창조산업과 창조계급에 관한 문헌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 새로운 틀로 생성의 로컬리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틀은 창조성 혹은 창조도시와 관련된 문화?예술, 창조 행위자, 장소에 토대를 두고 있으며, 기존의 창조도시 논의를 생성하는 로컬리티 측면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나아가 도시 및 지역이 직면한 현실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생성의 로컬리티로서 창조도시는 세 가지 요소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향후 제시 된 틀은 다양한 창조도시 이론의 비판적 검토와 사례 연구를 통해 보완되고 정교화될 필요성이 있다. The discourses of creative city have been developed as a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policy or plan in the contexts of globalization or deindustrialization society mainly progressed by Western capitalist nations and there are a variety of effect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city in different national and local conditions. Many nations or cities have adapted and practiced the idea of creative city as a policy of development or rehabilitation without its critical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ceptual framework of newly interpreting creative city particularly focused on creative industry and class. The framework of creative city as a becoming locality consists of culture and art creative actor and place continuously interacting and it will take an active role to solve a variety of problems in the cities or regions due to globalization or deindustrialization. Creative city as a becoming locality should be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 with the real situ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창조경제와 창조관광,그리고 정책화에 대한 고찰

        심원섭,김자영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10

        This study focused on the tourism policy making as a creative tourism. For the study, theoretical reviews on creative economy, creative industry, the index of creativity, the component of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tourism were applied. Based upon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creative tourism and proposed an creative tourism framework which was composed of 5P: creative tourism person, creative tourism participation, creative tourism product, creative tourism process, creative press. The previous tourism policy were examined by 5P framework and it suggests the tourism policy direction and tasks for creative industrialization of tourism. In conclusion, this study is proposed that the tourism policy should be concerned with training the creative tourism talents and human resource, expanding creative tourism participation, developing the creative tourism products, establishing creative policy system, cooperating on a creative tourism policy, and making creative tourism environment. The study, however, should adopt more in-depth analytical approach for providing more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academic contributions. 본 연구는 창조경제, 창조관광에 대한 개념화를 토대로 창조관광실현을 위한 정책화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창초경제, 창조산업, 창조성 지수, 창조경제의 구성요소 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토대로 창조관광을 정의하고, 5P로 구성된 창조관광 구성모델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5P는 창조적 관광인력(creative tourism person), 창조적 관광참여(creative tourism participation), 창조적 관광자원(creative tourism product), 창조적 관광추진체계(creative tourism process), 창조적 관광환경(creative press)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5P 모델을 토대로 기존 관광정책을 평가하고, 창조경제시대에 요구되는 관광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창조경제시대에 있어서 창조적 관광은 창조적인 관광인력을 육성하고, 아이디어, 기술, 문화, 예술 등 창조성에 기반한 관광자원을 발굴 및 지원하며, 정책영역간 경계를 해체하는 거버넌스로 전환을 유도하고, 사람, 자원, 정책 등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창조적 관광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창조경제라는 개념적 틀 안에서 통합적인 창조관광 구성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창조경제와 창조관광에 대한 연구가 통합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창조적 관광정책을 구성하는 요인을 세부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 KCI등재

        도시경제성장을 위한 창조산업의 활성화 및 정책적 노력

        이규명(Lee, Kyu-Myoung),김진열(Kim, Jin-Youl),정문기(Jeong, Moon-Gi) 서울행정학회 201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창조산업이 도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창조산업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기존의 이론과 한국의 현실을 고려하여 창조산업의 분류체계를 구성하고, 창조산업과 도시경제의 관계를 입지계수와 변이할당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버블차트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창조산업이 기반산업인 지역은 창조산업과 도시경제가 함께 성장해 나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각급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이 창조산업의 급격한 성장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방자치단체의 창조산업 관련 정책이 창조산업의 활성화와 이를 통한 도시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버블차트를 활용하여 지역 내 산업구조에서 창조산업이 차지하는 비중 및 위치를 명료하게 파악하고 창조산업이 활성화 되는 지역의 정책 검토를 통하여 창조산업의 활성화에 정책적인 노력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industry and the urban economy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n considers the effect of government`s policy efforts on vitalization of creative industry. To analyze the effect of creative industry on regional economic growth, this study employs location quotient and shift-share analysis. Then, the bubble chart analysis is us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current state of creative industry in the research area and to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suitable for local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of creative industr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urban economy. In doing so,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olicies for creative industry play significant roles. It implies that at the stage that creative industry is less mature than other industries, government`s active policies should be needed. Prior to that, governments should understand the growth potential and conditions of creative industry that varies among localities.

      • KCI등재

        도시재생 위기 극복을 위한 창조도시 성공요인의 중요도 분석과 시사점

        Hye Won Ah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 창조도시 이론의 검토를 통해 창조도시의 성공 전략 간 상대적 우선순위를 분석 한국 창조도시의 성공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와 국내의 다양한 창조도시 선행 연구 들을 바탕으로 창조도시의 기본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국내 창조도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 다. 한국적 창조도시의 성공전략 제시를 위한 전문가AHP분석 결과, 국내 창조도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에 창조 도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거버넌스 확립과 커뮤니티 형성이 가장 최우선시 되어야 하며, 아울러 제도의 뒷받침, 자원과 공간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적 창조도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도시정책에 대한 공동목표와 문제해결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체 마련, 호혜주의적인 사회적 규범과 신뢰 형성, 공 동실행을 위한 조직적 학습과 상호주체간 정보공유 등 거버넌스 확립이 가장 최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주민들 간의 교류와 정책에 대한 의사 반영 노력, 지역의 발전을 위한 창의성의 발현과 창조적 인재 육성 노력, 지역 발전을 위한 민관협의체의 다양성과 활발한 활동 등의 커뮤니티 형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하 고 있었다. 향후, 한국적 창조도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창조적 공간의 재발견, 혁신적인 제도의 지원, 창조 자원 의 발굴, 커뮤니티의 확립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문화거버넌스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즉, 지방정부 의 역할, 민간기업의 역할, 시민사회의 역할이 정립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ought-provoking for the success of the creative city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ve priority between success strategies of the creative city and review of theory. Therefore this study deduced basic elements of the creative city from the precedent researches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analyzed empirically to the professionals. As a result of analysis of AHP, local professionals suggested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an establishment of governance and a community and needed system, resource and place for the success of Korean creative city.

      • KCI등재후보

        기능적 창조도시에서 창조적 학습도시로 : 창조도시논의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의 유용성

        이병준,박지연,박응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5 No.3

        After the discussion for cultural city and learning city, the discussion for creative city is spreaded recently. It shows that the discussion for city is spreaded to all over the society & science and emerged as the studying subject among the school systems. But if examining the discussion for recent creative city, several studies lead that discussion so the possibility of studying among the school systems for the creative city is still narrowed. The viewpoint of Charles Landry, quoted by a lot of researchers is reduced in the discussion process. This study discusses which usefulness educational discussion has in the discussion for creative city. It say that the discussion for creative city under the educational viewpoint can be unfolded by connecting city culture, city space, creative competency, creativ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creative organizational culture, practical community, etc. variously. Especially, education focuses on human and social subjects which form the creative city. Extensive set-up for subject can make the discussion for creative city more affluent under the educational viewpoint. 문화도시와 학습도시 담론에 이어 최근에는 창조도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이는 도시에 대한 담론이 이제 사회과학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학제간 연구주제로 떠오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창조도시 논의를 살펴보면 몇 개의 학문들이 담론을 주도하고 있어 여전히 창조도시에 대한 학제간연구의 가능성을 좁히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인용하고 있는 찰스 랜드리의 입장 또한 논의과정 속에 축소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학적 담론이 창조도시 논의에서 어떠한 유용성을 가지는지가 이야기된다.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창조도시논의는 도시 문화와 도시 공간, 창조역량과 창조적 인력개발, 창조적 조직문화와 실천공동체 등 다양하게 연계되어 전개될 수 있음을 밝힌다. 특히 교육학은 창조도시를 형성해가는 인간과 사회적 주체에 초점을 둔다. 이러한 교육학적 측면에서의 광범위한 주제설정은 창조도시 논의를 좀 더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