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의 특징 - 발현의 맥락 및 논리적 사고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박준형 ( Joonhyeong Park ),송진웅 ( Jinwoong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열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의 특징을 `발현의 맥락`과 `직관적사고와 논리적 사고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9명에게 열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설명 기저에 있는 사고의 맥락을 총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임상면담 기법을 활용하여 학생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관적 사고의 특징을 `발현 과정의 특징`과 `발현의 촉진`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직관적 사고의 발현 과정에서 학생들은 직관적 사고를 통해 해결방법을 먼저 떠올리고 논리적으로 해결방법을 정당화하였으며, 문제 상황과 관련된 구체물과 추상적개념을 직관적으로 연결 짓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충분하지 않은 정보 속에서 직관적인 예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갔다. 둘째, 직관적 사고는 의도적인 사고 전략을 통해 발현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전략으로 그림으로 그려보기, 다른 관점이나 반대로 생각해 보기, 방법을 통합하기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직관적 사고에 대한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하였던 학생들의 직관적 사고를 드러내어 탐색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문제해결 상황에서의 과학학습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elementary students` intuitive thinking emerged during problem solving activities as it related to thermal phenomena, focusing on when intuitive thinking appears and how it is related to logical thinking. For this, we presented a problem related to thermal phenomena to nine 5th-grade students, and examined how students` thinking emerged in the activities. We conducted clinical interviews to investigate the thinking proces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made their own solutions and justified it later during the emergence process of intuitive thinking.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connected concrete materials and abstract concepts intuitively. They solved the problem by making predictions even when information is insufficient. Second, it was shown that intuitive thinking can emerge through the intended strategies such as drawing a mental image, think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integrating methods. These results, which are related to the students` intuitive thinking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and will be the basis for helping students in the context of discovery of their problem solving activities.

      • KCI등재

        연구논문 : 직관적 사고가 배심원 무효판결에 미치는 영향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공영호 ( Young Ho Kong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9 No.4

        배심원은 재판에서 채택된 증거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사안에 관련된법의 적용을 거부함으로써 배심원 무효판결을 내린다. 배심원 무효판결은 배심원에게 주어지는 재량권과, 일사부재리의 원칙과 일반평결의 사용으인해서 가능해 진다. 배심원이 어떤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야 될 때 어려운 문제를 쉬운 문제로 대체하는 직관적인 (혹은 비논리적) 사고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배심재판에서 법의 애매성과 법적 쟁점과 사실 관계의 복잡성에 의해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직관적 사고에 의지하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 타인의 유, 무죄를 결정해야 하는 중대한 과제를 처리함에 있어서 의구심을 가지는 것보다는 확신감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직관적 사고는 배심원이 처음에 주어진 동일한 문제점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잘못된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 배심원이 배심원 무효판결을 내릴 때도 직관적 사고를 사용할 수 있다. 배심원 무효판결에 직관적 사고를 사용하는 것의 문제점은 어떤 특정한 증거물에 과도하게 의존하거나 증거의 양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좌시하는 경우이다. 또한 배심원 무효판결이 직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극단적인 예측을 하기 쉽다. 그 결과 배심원은 배심원 설시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재판에서 증명된 사실관계와 증거에 일치하지 않는 평결을 내릴 수있다. 이와 같이 직관적 사고방식이 배심원 무효판결에 미치는 악영향을 축소하기 위해서 법원과 변호인 측은 배심원 설시를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배심원에 대한 설시를 통해서 배심원들은 직관적 사고방식에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상기 시켜야 한다. 배심원 설시는 배심원 선정 후에 그리고 실제 재판의 시작 전에 주어져서 직관적 사고의 가능성에 대한 경계심을 높여야 한다. 배심원 설시의 효과적인 사용을 통해서 직관적 사고가 배제된 배심원의 평의와 합의가 가능해 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Jury nullification occurs when jurors deliberately rejects the evidence or refuses to apply the law. Jury nullification can be facilitated primarily because of jurors’ discretionary power along with the double jeopardy clause and the general verdict. When a juror faces a difficult question to solve, he tends to rely on heuristic thinking mode in which he substitutes an easy question for the difficult question. They would prefer having confidence in their verdicts as they decide such an important matter as the fate of another individual. However, the problem of such heuristic thinking lies in that it can lead to errors and mistakes because jurors are not dealing with and solving the same question that they were given at the first place. In exercising jury nullification, jurors tend to rely on heuristic thinking mod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nd end up reaching a heuristic judgment. Problems with heuristic thinking in jury nullification are as follows. In heuristic thinking, jurors may put too much weight and reliance on a piece of evidence than what it is deserved. Since jury nullification is made in reliance of intuitive judgments, the jury is prone to make predictions that can be rather extreme. To minimize the ramifications from such heuristic thinking, the judges and lawyers must use jury instructions effectively. Through the jury instructions, jurors must be reminded not to rely on heuristic thinking method. The jury instruction should be given especially after the selection of the jury and before the beginning of the actual trial so that the jury can guard against the tendency for heuristic thinking. The deliberation and verdict with consensus free from heuristic thinking would become more probable with the effective use of jury instructions throughout the trial.

      • KCI등재

        대학생의 직관적 사고, 디자인 사고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의성향에 미치는 영향

        주맹희,김보경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Although emphasizing creativity in education, intuitive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the driving force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has been less emphasized, while logical and rational thinking have been emphasized. Especially, creativity education itself tends to be less emphasized while students becomes older. In this article, this author has studied intuitive thinking, the only way of thinking of human beings, and examined how design thinking, the way of thinking and solving empathic problems, would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mediated self-efficacy. For this study, the authors has analyzed the data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uitive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has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Second, self-efficacy has had mediated effects in relation between intui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between design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Third, after analyzing moderated effects of nationalities and grade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no moderated effect in nationality, but in grades. Thes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they should be redesigned from the content-based education to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er should respect learners’ needs and emotions, and allow for a holistic understanding, physical sense, and nonverbal expression rather than accuracy. These also imply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curriculum to train convergent thinking skills which express intuitive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with confidence and self-efficacy in their own way. 교육에서 창의성 함양을 강조하고 있지만 여전히 논리적·합리적 사고를 중요시하며 상상력, 창조력의 원동력이 되는 직관적 사고와 디자인 사고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두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학령이 높아질수록 교육에서 창의성을 덜 강조하는 경향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유일한 사고방식인 직관적 사고와 공감적 문제해결을 위한사고방식인 디자인 사고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의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한국과 중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이행하였다. 연구결과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관적 사고, 디자인 사고는 자기효능감과 창의성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직관적 사고와 창의성향, 디자인 사고와 창의성향의 관계에서 각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적과 학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국적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않았으나, 학년에서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창의성향을향상하기 위해서는 교과내용 중심의 교육에서 학습자중심 교육으로 재설계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의 욕구와 정서를 존중하고, 정확성보다는 총체적 이해를, 신체감각과 비언어적 표현을 허용하여야 한다. 또한학생이 자신의 방식에 대한 확신과 효능을 가지고 직관적 사고와 디자인 사고를 발현하는 융합적 사고를 훈련하는 교육과정을 기대한다.

      • KCI등재

        중국 성악전공 대학생의 직관적 사고가 공감능력을 매개로 연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韓沙霖,김보경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4

        Vocalists who use their bodies as instruments are more important to expressiveness than other musicians. In addition to their voices, they must act with facial expressions or gestur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effects of intuitive thinking and empathic capacity developed by artists on their expressivenes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capacity and the path coefficient of the amount of practice. This study has been with Chinese vocal music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intuitive thinking, empathic capacity, and expressiveness of Chinese vocal music college students, intuitive thinking has a positive effect on expressiveness and empath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intuitive thinking ability one student may have, the better empathy for the object and the richer the expressiveness she or he may have. Second,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uitive thinking and expressiveness of Chinese vocal music college students. Third,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has been a moderating effect on the amount of practi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intuitive thinking, empathy, and expressiveness of Chinese vocal music college students. In other words, the group with long practice time per week had less influence on each path of structural relationship than the short group. Through this research, it has been recogniz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upport the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respect the intuitive thinking tendency of vocal music college students and improve their empathy ability. In addition, the low-practice group has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intuitive think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are high, suggesting that the instructional method of expressiveness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verage practice time of an individual student. 자신의 몸을 악기로 사용하는 성악가들은 다른 악기 연주자들보다 연기표현력이 매우 중요하다. 이들은 목 소리 외에도 신체를 움직여 표정이나 제스처로 연기를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가들에게 발달된 직관적 사고와 공감능력이 이들의 연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특히 공감능력의 매개효과와 연습량으로 경 로계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중국 성악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중국 성악전공 대학생의 직관적 사고, 공감능력, 연기표현력의 관계에서 직관적 사고는 연기표 현력과 공감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관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대상에 대한 공 감을 잘하고 연기표현력이 풍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중국 성악전공대학생의 직관적 사고와 연기표현력 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감능력을 높여주는 것은 학생이 직관 을 사용하여 연기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부분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중국 성악전공대학생 의 직관적 사고, 공감능력, 연기표현력의 구조적 관계에서 연습량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 당 연습시간이 짧은 집단이 긴 집단에 비해 구조관계의 각 경로의 영향력이 컸다. 연구결과를 통해 성악전공 대학생들의 직관적 사고 성향을 존중하고 대인간 공감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연기 표현력 향상을 도와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습량이 적은 집단이 직관적 사고의 영향력과 공감능력의 매 개효과가 크다는 것을 볼 때 개인의 평균 연습시간이 적은 학생에게는 시각적, 비언어적, 신체감각과 같은 직 관의 속성을 반영한 지도법이, 평균 연습시간이 많은 학생에게는 구체적이고 수사적 어휘를 사용한 과학적 지 도법을 적용해야 효과적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직관적 사고의 교육적 의의와 교수설계에의 시사점

        김보경 ( Bokyeo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기계가 모사할 수 없는 인간의 직관에 관심을 가지게 한다. 왜냐하면 인공지능의 논리적·분석적 사고와 인간의 직관적 사고가 서로 상보적 역할을 하는 인간-기계 협업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관적 사고의 속성과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직관적 사고가 교수설계에 어떠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간지능의 강점으로서의 직관을 고찰하고, 직관적 사고의 속성으로 ‘감각적’, ‘상황적’, ‘비이성적’, ‘총체적’, ‘정서적’, ‘도전적’, ‘자기확신적’, ‘순간적’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직관적 사고는 미래교육에서 인간의 비합리성에 대해 수용하게 하며 기계적 인간에 대비한 인성과 존엄성을 지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직관적 사고는 교수설계의 지식기반 영역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첫째, 교수설계자는 디자인행위자이며 창의적, 감성적, 직관적 설계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학습자는 내면의 힘으로 학습할 수 있는 온전한 존재이며 그들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기반위에 교수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육의 내용은 학습자의 욕구를 반영하여 이를 충족시키고 새로운 욕구를 창출하는 경험을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학습과 수행에서 거시적 인지와 총체적 이해를 지향하며, 지엽적인 내용의 정확성 부족으로 발생되는 오류에는 관대한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신체감각과 정서를 개입시켜 체화된 인지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여섯째, 매체는 의도적으로 부족하게 제공하여 자유로운 사고를 하게하고, 스몰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찰하도록 한다. 교수설계에서 직관적 사고를 수용하는 것은 이성적 담론과 더불어 감정, 상상, 직관과 같은 대안적이고 비이성적인 이해와 경험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학습의 합리적 속성과 비합리적 속성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며 일상의 무형식 학습의 설계까지 확장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While technolog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en rapidly developed, people have been more interested in human intuition or intuitive thinking of which machine may not be able to have. It would be important, because artificial Intelligence's logical and analytical thinking, relied on big-data and humane intuitive thinking are going to help human beings and machine co-work in near future. This author has studied characteristics of intuitive thinking and examined how the intuitive thinking would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instructional design. In order to do this study, this author has examined intuition as strong points of human intelligence, and taken sensible, unreasonable, overall, emotional, challenging, self-convicting, and momentary characteristics of intuitive thinking. And this author has explained that intuitive thinking would be accepted for human unreasonableness in future education and it would be an alternative for human personality and dignity not just to be mechanical human. In addition, this author has found that intuitive thinking has provided following implications in instructional design knowledge-base. At first, an instructional designer is a designer with creative, emotional, intuitive design capacity. Secondly, a learner is an intact person who is capable of learning with her or his inner strength. Thus, the instructional design should be based on finding her or his capabilities. Thirdly, educational contents should satisfy a leaner’s desire and would urge her or him for another learning. Fourthly, educational course and practice should foster a broad understanding to look at a big picture, so that there should be generous environment for learners’ minor errors. Fifthly, embodied cognitional strategies should actively be taken to use body sense and emotions. Sixthly, enough media should not be given for learners to think free and to examine small data. Accepting intuitive thinking in instructional design should not exclude reasonable discussion, while it would embrace alternatively unreasonabl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such as emotions, imagination, and intuition. It would help to understand totally reasonable and unreasonable characteristics for education, and then provide opportunities to extend to design everyday education without form.

      • 헤어(R.M.Hare)의 직관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에 나타난 합일적 공리주의

        안병웅 한국철학교육학회 2008 철학ㆍ윤리 교육 연구 Vol.24 No.40

        본 논고는, 일상언어학파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현대 윤리학자인 리차드 머빈 헤어(R.M.Hare)의 공리주의 사상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현대 윤리학자들이 메타윤리학적 관점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기가 쉬우며, 칸트의 윤리설과 공리주의를 별개의 이론으로서 공통점이 없다고 여기고 있고, 특히 행위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는 서로 배타적인 이론으로 간주하고 있다. 하지만 헤어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분은 아무런 의미도 갖지 못한다. 그는 언어 문제로부터 윤리학을 출발하고 있지만 전통윤리학자와 같이 도덕의 규범에 관심을 갖는 윤리학자이며 칸트의 이론과 공리주의 이론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주창하고 있고, 특히 행위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는 외연이 일치하는 합일적 공리주의라는 주장을 전개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논제 중에서 헤어의 합일적 공리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는 바, 합일적 공리주의는 결국 직관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구분하기만 하면 자연스럽게 드러난다고 주장한다. 즉 사고의 수준을 구분함으로써 어떻게 합일적 공리주의의 탄생이 가능한지를 논의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KCI등재

        교과의 내면화의 언어학적 측면

        최향미(Hyang-Mi Choi) 한국도덕교육학회 2020 道德敎育硏究 Vol.32 No.2

        이 글은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에 시사되어 있는 교과의 내면화의 특정한 측면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브루너는 그 당시 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내용의 측면에서 중간언어를 가르칠 것이 아니라 지식의 구조를 가르칠 것을 제안하였고, 그 후 문화를 가르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브루너는 사고의 측면에서 분석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의 관련을 범형적 사고와 내러티브적 사고의 관련으로 대체하여 설명하고 있다. 브루너가 강조하고 있는 내러티브적 사고는 직관적 사고를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하여 직관적 사고는, 특히 분석적 사고와 대비될 때, 표현 이전의 사고에 더 가까운 것이다. 그리하여 지식의 구조와 표현 이전의 직관적 사고는 교과의 내면화와 다른 것이 아니며 이 점에서 내러티브는 교과의 내면화를 가능하게 하는 특별한 언어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옹에 의하면 내러티브는 모든 말의 원형적 형태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몸감각, 맥클루한의 용어로는 공통감각을 심층적 원천으로 하여 성립하는 언어이다. 이 몸감각 또는 공통감각은 마음의 변화와 몸의 변화가 미분화된 채 나타나는 전신체적 반응과 다른 것이 아니다. 교과의 내면화는 이러한 전신체적 반응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이 점에서 내러티브 이론은 교과의 내면화를 가능하게 하는 언어와 그 구사방식에 관심을 기울이게 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shed light on certain aspects of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which is implied in Bruner s theory of narrative.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s of education at the time, Bruner suggested not teaching middle language in terms of content, but teach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then teaching culture. In addition, Bruner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tical thought and intuitive thought in terms of thought, replacing it with that of paradigmatic thought and narrative thought. The narrative thought emphasized by Bruner can be seen as referring to intuitive thought, but strictly speaking, intuitive thought is closer to ‘the not-yet-manifested’ thought, especially when contrasted with analytical thought. Thus, the structure of knowledge and the intuitive thought of ‘the not-yet-manifested’ are not different from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and in this respect narratives can be regarded as a special language that leads us to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According to Ong, the narratives refer to the original form of all words, so that narrative is a language that is formed by kinesthesia-equivalent to the English word ‘body’s sense’ and McLuhan s term for synesthesia-equivalent to the English word ‘common sense’ as an in-depth source. This kinesthesia or synesthesia is not different from the response of the whole body in which the change of the mind and the change of the body appear undifferentiated.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can be defined by the response of the whole body, and in this respect the theory of narratives makes us interested in the language and its ways of speaking that enable us to internalize the studying subject.

      • KCI등재

        직관적 수준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문제해결 과정 분석

        이대현 대한수학교육학회 2014 학교수학 Vol.16 No.4

        In general, the intuitive knowledge that can use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is one of the important knowledge to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tuitive knowledge in relation to intuitive and counter-intuitive problem solving. For this, I performed survey to us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roblems that can solve in intuitive methods and cause the errors by counter-intuitive methods. 161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 got the conclusion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intu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s very low. I special, many preservice teachers preferre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to intuitive problem solving. So, it’s needed to try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problem solving ability via ensuring both the quality and quantity of problem solving education during preservice training courses. Many preservice teachers showed errors with incomplete knowledges or intuitive judges in counter-intuitive problem solving process.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intu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e have to develop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materials for preservice teachers to go through intuiti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dd to this, we will strive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about mathematics itself and value of mathematics. 학교수학에서 직관적 사고에 의한 문제해결은 종전의 문제해결이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한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측면에 치중해 왔다는 면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직관적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이용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의 문제해결 정도와 방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 161명을 대상으로 직관적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는 10개의 문제로 구성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에서는 문제해결 과정에 활용된 수준을 논리적 수준과 직관적 수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정답률이 낮게 나타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학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관심과 재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직관적 사고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에서는 알고리즘 수준에서 정답을 한 비율이 높았으며, 직관적 사고에 의해 오류 발생 가능한 문제해결에서는 문제 정보에 대한 불완전한 지식이나 고착화된 지식에 의한 즉각적인 판단으로 오류를 보인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예비교사 교육 기간에 걸쳐 예비교사들의 수학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다양한 측면에서 문제해결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수 방안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Model Eliciting Activity(MEA)를 통한 초등 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 특성 분석

        윤진아,한금주,남윤경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9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MEA(Model Eliciting Activity)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P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입학 선발과정에서 1차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통과한 40명의 초등과 학영재를 대상으로 MEA활동을 실시하고 활동지를 분 석하였다. 수행된 MEA활동은 ‘Coffee cup challenge’로 컵 도면을 활용하며 주어진 크기의 종이에 컵 옆면과 바닥을 가장 많이 배치하는 최적의 방법을 고안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학생들이 문제해결과정에서 그린 3가지의 그림과 그 그림에 대한 설명이 주요 데 이터로 수집되었으며, 통계적(상관분석)과 질적 분석 을 통해 1)직관적 사고와 시각적 표현 그리고 2) 분석 적 사고와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의 결과 1) 직관적 통찰은 시각적 표현능력과 전체 문 제해결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분석적 사고와 정교화 과정이 의사소통능력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EA활동이 스스로 아이디어를 구성하고, 다양한 해 결방법을 찾아갈 수 있는 학습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초 등과학영재들에게 반성과 사고를 촉진하고 학문적 연 결과 의사소통능력을 길러주는 유용한 활동임을 고찰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of the thinking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a MEA(Model Eliciting Activity)ac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0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who passed the first screen for the admission to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in P university in 2018. The MEA activity was 'Coffee cup challenge', which is to find the best way to place cup side and bottom to save paper in a given material. Three drawings from each student and explanations of each drawing through out the design process were collected as the main data source.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ly (correlation coefficient) and qualitatively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1) the intuitive thinking and visual representation and 2) analytical think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reflect MEA activities. In conclusion, first, intuitive think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bility of visual representation through pictures and the whole problem solving process. Second, the analytical thinking and elaboration process which are reflected through reflection on the arrangement of the drawing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MEA activities are useful activities to stimulate both intuitive and analytical thinking in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o develop communication ability, by organizing their own ideas and providing learning opportunities for various solutions.

      • KCI등재후보

        중등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선호도와 논리형 문제의 해결능력에 관한 통계적 검증 연구

        박홍경(Hong-Kyung Pak) 한국산업정보학회 2009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4

        수학적 사고의 입장에서 중등학생들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수학교육에서 중요하고도 흥미로운 과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등학교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이러한 문제를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이들 중등영재학생들의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에 대한 선호도와 논리형 문제의 문제해결능력 사이의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한다. It is one of important and interesting topics in mathematics education to study the process of the logical thinking and the intuitive thinking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from the viewpoint of mathematical thinking.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investigate on this problem with reference to secondary talented students (students aged 16~17 year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for logical-type problems by apply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