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에 분포하는 지의류상 연구

        박정신,우정재,오승환,오순옥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0 보존과학회지 Vol.36 No.2

        지의류는 효모를 포함하는 곰팡이와 조류의 공생체로 복합미생물이다. 지의류의 다양한 종들 은 문화재에서 흔히 발견되며 풍화작용과도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유럽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문화재에서 지의류에 관한 연구 보고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에서 진행하는 생활권 및 특수지역에 서식하는 버섯⋅지의류 탐색 및 분류 연구 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의 지의류상 조사에서 밝혀진 내용을 보고한다. 총 19기의 태실로부터 총 65점의 지의류를 채집하였으며, 채집된 지의류를 형태학 및 분자 생물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3강 10목 17과 23속 40종이 밝혀졌다. 형태학적 분류 결과 잎의 형태를 띠는 엽상지의류(24점, 36.9%)와 딱지 형태를 띠는 가상지의류(24점, 36.9%)가 나뭇가지 형태를 띠는 수지상지의류(17점, 26.2%)에 비해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다. 이들 중 엽상지의류에 속하는 Xanthoparmelia coreana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가상지의류인 Lepraria sp.가 19기 태실 모두에 분포하였다. 또한 수지상 지의류인 Cladonia속이 8종으로 종 다양성이 가장 높았다. 계양군 태실에서 16종의 지의류가 채집되어 가장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인 반면, 금성대군 태실의 경우 5종의 지의류가 채집되어 가장 낮은 종 다양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재에 분포하는 지의류 종 다양성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A lichen is a complex microorganism comprising fungi and algae. Various lichens are commonly found in cultural heritage and are reportedly related to weathering. Lichens are commonly studied in Europe; however, few reports exist on lichens in Korean cultural heritag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Korean National Arboretum’s “A study on the Fungus and Lichen.” We report the lichen diversity found at the Placenta Chambers of King Sejong’s Sons, Seongju. A total of 65 lichens were collected from 19 placenta chambers and one memorial stone. We identified 40 species belonging to 10 genera, 17 families, and 23 orders.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revealed that foliose lichens in the form of leaves(24, 36.9%) and crustose lichens in the form of crust(24, 36.9%) were distributed at a higher percentage than that of fruticose lichen in the form of branches(17, 26.2%). Xanthoparmelia coreana(foliose lichen) and Lepraria sp.(crustose lichen) were the most collected lichens and were distributed on 19 chambers. In addition, Clodonia, a fruticose lichen, ha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with eight species.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of lichens was identified on the chamber of Prince Kyeyang(16 lichens), whereas the chamber of Prince Geumsung had the lowest species diversity(five lichens). This study will be used as primary data for the study of distribution of lichen diversity in Korean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법주사 당간지주 지의류의 동정 및 FT-IR 스펙트럼 특성 분석

        김영희,이정민,최명주,홍진영,조창욱,김수지,정소영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7 보존과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에서는 법주사 당간지주의 석재 표면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생물피해 요인인 지의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당간지주의 지의류는 5종으로 한정할 수 있다. 그 중 우점하는 2종의 고착상지의류는 Aspicilia sp.와 Pertusaria flavicans이며, 고착상지의류 위에 드물게 관찰되는 엽상지의류 1종과 수지상지의류 1종은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흑색조류층을 따라 서식하는 지의류는 Leprocaulon textum으로 확인되었다. 지의류가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을 분석하기 위하여 ATR FT-IR을 적용하였다.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의 FT-IR 스펙트럼을 비교해 본 결과, cyclic carbohydrate에 기인하는 C-O-C 결합과 carboxylic acid에서 기인하는 FT-IR 스펙트럼의 흡수피크가 특징적으로 관찰되어 이들이 생산하는 지의산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tictic acid와 sekikaic acid가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를 대표하는 지의산으로 화학구조에서 작용기의 차이에 의한 스펙트럼의 변화 및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ichen as a typical biomass damage on the surfaces offlagpole-supporting stones in the Beopjusa temple. The lichens present on the flagpole-supporting stones were limited to five species. Two dominant lichen species were identified: Aspicilia sp. and Pertusaria flavicans. One foliose species and one fruticose species, which are rarely observed on crustose lichens, were identified as Xanthoparmelia conspersa and Ramalina sekika, respectively. The lichen inhabiting the black algae layer was confirmed as Leprocaulon textum. ATR-FTIR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econdary metabolites synthesized by the lichens. By comparing the FTIR spectra of Xanthoparmelia conspersa and Ramalina sekika, the synthesized organic acids were confirmed to differ from each other. Furthermore, the spectr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due to functional groups in the molecules were confirmed.

      • Effect of some lichen extracts on insecticidal activities and development the larvae of Aedes albopictus

        Sumi Lee,Byungsik Shin,Minhyo Kang,Jiyoung Hong,Dasol Bae,Yaeji Yoon,Byungmin S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04

        지의류 추출물이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에 대하여 살충활성 및 생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종의 지의류의 메탄올 추출물이 흰줄숲모기 3령 유충에 미치는 치사농도, 사충수, 생장억제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Parmelia sp.엽상체 추출물경우 LC50농도는 0.13%로 나타났으며 Porpidia albocaerulescens의 LC50농 도는 0.45%로 나타나 Parmelia sp.의 추출물이 더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24h, 48h, 72h의 노출시간 따른 농도별 사충 수를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지의류의 메탄올 추출물이 고농도일수록, 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충의 사충 수는 증가하였다. Parmelia sp. 엽상체의 추출물에서 사육한 유충의 경우 용화시간은 대조군보다 지연되었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시간이 지연된 것으로 보아 지의류 추출물이 흰줄숲모기 유충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암석학적 특성과 풍화훼손도

        윤석봉,곽연천,박성미,이정은,이찬희,최석원,Yun, Seok-Bong,Kaug, Yean-Chun,Park, Sung-Mi,Yi, Jeong-Eun,Lee, Chan-Hee,Choi, Seok-W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 자원환경지질 Vol.39 No.6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흑운모가 많은 중립 내지 조립질 화강섬록암으로서 암회색을 띠며, 미약한 편마상 구조 및 페그마타이트 세맥이 발달한다. 이 석불입상과 기반암의 전암 대자율 측정 및 지구화학적 분석 결과, 두 암석은 동일 마그마로부터 형성되어 거의 유사한 분화과정을 경험한 것으로 보인다. 이 암석의 CIA는 기반암이 51.43, 석불입상이 50.86이며, WPI는 각각 4.52와 8.95로서 이들은 모두 풍화잠재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석불입상은 열화 및 박리에 의한 물리적 풍화가 진행된 상태이고, 이차적인 오염물질과 침전물질이 산재해있다. 기반암도 불연속면의 발달에 따른 지반붕괴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 석불입상의 표면은 황갈색으로 변색되어 있고 암회색 및 암흑색 침전물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착지의류의 피도가 심하고 균류, 조류 혹은 선태류 등도 발견된다. 따라서 이석불입상의 복합적 손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제어하기 위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리가 시급하며 지의류에 의한 오염, 박리 및 균열로부터 석불입상을 보호하기 위한 체계적인 보존과학적 관리가 요구된다. The Standing Buddha Statue in the Gwanchoksa temple consists of medium to coarse grained biotite granodiorite with dark grey color, and it has a week gneissosity along the pegmatite veins. The results of magnetic susceptibility and geochemical patterns of the host rock of Standing Buddha Statue and the basement rock suggest that both values are formed from the co-genetic magma with the same differentiation process. The CIAs of the basement rock and the Standing Buddha Statue are calculated to 51.43 and 50.86, and the WPIs are estimated 4.52 and 8.95, respectively. So the weathering potential from the host rock of Standing Buddha Statue and basement rock prove to be high. The Standing Buddha Statue is terribly damaged with physical weathering from deterioration and exfoliation, and are scattered with secondary pollutant and precipitate. Basement rock is also in danger of ground collapse because of irregularly developed discontinuity system. Most surface of Standing Buddha Statue is seriously discolored into yellowish brown and dark gray, or black precipitates are also formed. Moreover, it is heavily covered with crustose lichen, fungi and algae, or moss are also found. In order to control the influential factors with the complex deterioration of Standing Buddha Statue, it is needed to rearrange a site environments, and conservation scientific management is required to protect it from covering lichens, exfoliations and fractures.

      • KCI등재
      • KCI등재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의 보존과학적 풍화훼손도 평가

        김영택,이찬희,이명성,Kim, Yeong-Taek,Lee, Chan-Hee,Lee, Myeong-Se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6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반상 흑운모 화강섬록암으로 총 149매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암석은 페그마타이트 세맥과 염기성 포획암을 함유하고 있으며, 사장석의 반상조직이 고르게 발달되어 있다. 이 탑은 부재의 탈락 및 파손이탈은 많지 않으나 대기오염과 산성비의 영향으로 전체적으로 석질이 약화되어 표면박리와 입자박락이 왕성하게 진행 중이다. 석탑의 4층옥개석을 구성하는 부재는 뒤틀림과 이격으로 인해 구조적인 불균형이 관찰된다. 이 불균형은 석탑 상층부의 안정성에 위협을 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암석의 용해반응으로 용출된 철과 망간산화물의 오염물질이 부재의 표면에 침착되어 화학적 풍화작용을 가중시키고 있다. 석탑의 거의 모든 표면은 황갈색, 암흑색 및 회백색 오염물로 피복되어 있으며, 특히 각층의 옥개석 하단부와 옥개받침에서 망간산화물과 회백색 침전물에 의한 표면착색이 심각하다. 부재의 표면에는 균류, 조류, 지의류나 선태류들이 기생하면서 연회색, 암회색 덴 암흑색 등 다양한 산출상태를 보인다 .기단부에는 일차적으로 균류와 조류에 의해 검게 변색된 표면 위를 회백색 고착 지의류가 밀생하고 있으며, 각층 옥개석의 상부에서는 수근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석탑은 구조적인 안정성을 규명하기 위해 정밀안전진단과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상층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거동을 면밀하게 검토해야 말 것이다. 특히 부재의 표면변색과 이차오염물질의 침착현상이 심각하여 정밀진단을 통한 종합적 보존방안의 수립과 임상실험을 통한 과학적 보존수복을 실시해야 한다.법성과 적법성 문제에 대한 갈등을 기본 서사구조로 제시한 채, 노동계를 포함한 시민사회와 정부기관이 대립적인 행위자로 등장했다. 사건의 갈등 해소 단계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두 신문이 대통령과 야당 지도자간의 정치적 해결과 노동법 통과에 대한 위헌론 제기를 중심으로 한 노동단체들의 지속적인 연대를 중심 서사구조로 각각 제시했다. 이 시기에서 주요 행위자들의 대립관계는 종료되었다. 조응분석 결과, 사건 발생과 위기 고조 단계, 그리고 갈등 해소 단계등 모든 시기에서 두 신문의 주요 행위자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다시 말해, 조선일보는 기본적으로 총파업을 둘러싼 문제의 구성과 발전, 해소 과정에서 정당이나 대통령, 야당 지도자 등과 같은 정치관련 행위자를 강조하고 있었다. 반면에, 한겨레는 대체로 로든 사건진행 단계에서 노동 관련 단체들과 시민단체의 역동적인 연대와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술 후 24시간에 599.4$\pm$145.6, 678.8 $\pm$256.4였다(t-test, p < 0.05). 동종 수혈은 RAP군에서 34명 중 7명에서(20.6$\%$), 대조군에서는 46명중 16명에서(34.8$\%$) 시행되어, RAP군에서 유의하게 빈도가 낮았다(Chi-square test, p < 0.05). 결론: 역행성 자가 충전법은 심폐바이패스의 충전에 의한 혈액희석을 최소화함으로서, 개심술 후 출혈과 동종수혈을 또한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The rocks of the five 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are 149 materials in total with porphyritic biotite granodiorite. They include pegmatite veinlet, basic xenolith and evenly developed plagioclase porphyry. This stone pagoda has comparably small fracture and cracks which are farmed in the times of rock properties, but surface exfoliation and granular decomposition are in process actively since the rocks are generally weakened from the influence of air contaminants and acid rain. Structural instability of constituting rocks in the 4th roof materials are observed to occur from distortion and tilt. Such instability is judged to threat stability of the upper part of the stone pagoda. Also, chemical weathering is operating even more as the contaminants, ferro-manganese hydroxides eluted from water-rock interaction on the rock surface. Most of the rock surface is covered with yellowish brown, dark black and light gray contaminants, and especially occur in the lower part of the roof rocks on each floor. The roof underpinning rocks are severe in surface pigmentation from manganese hydroxides and light gray contaminants. The surface of rocks lives bacteria. algae, lichen, or moss and diverse productions in colors of light gray, dark Bray and dark green. Grayish white crustose lichen grows thick on the surface with darkly discolored by fungi and algae in the first stage on basement rocks, and weeds grows wild on the upper part of each roof rocks. This stone pagoda must closely observe the movements of the upper part rock materials through minute safety diagnosis and long term monitoring for structural stability. Especially since the surface discoloration of rocks and pigmentation of secondary contaminants are severe, establishment of general restoration and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are necessary through more detailed study for this stone pago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