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수학지도지식이 수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성민경,김지현 한국아동권리학회 2018 아동과 권리 Vol.22 No.4

        Objectives: This research verifies whether an infant teachers’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relates to play teaching efficacy and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e also examine if infant teachers’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ediates the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random-sampling method that was sent to 210 teachers-in-charge at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BM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infant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mathematical education knowledg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Infant teachers’ high level of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s correlated with the high level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econd, infant teachers’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ediated the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for infant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to predict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mathemat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lusions: This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the variables for predicting infant teachers’ mathematical teaching initiative beyond the current research that overconcentrat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bfor the improvement of infant teachers’ quality mathematical teaching and eventually assuring infants’ rights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athematics experiences.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놀이교수효능감, 수학지도지식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적극성은 놀이교수효능감, 수학지도지식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수학지도적극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수학지도지식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만 1세 및 2세반 담임교사 210명을 임의로 표집하고, 질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적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Wilcox-Herzog와 Ward(2004)에 의해 개발된 교수적극성 척도를 김양은과 김연하(2008)가 한국 유아교사에 적합하도록 번안, 서정민과 이정화(2017)가 수학활동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한 것을 영아교사에게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측정을 위해 신은수, 유영의 그리고 박현경(2004)에 의해 개발되고, 이재진(2013)이 수정⋅보완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영아교사의 수학지도지식의 측정은 홍희주(2012)에 의해 개발된 수학지도지식 측정도구를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수정 및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수학지도지식은 수학지도적극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높은 수준의 수학지도적극성을 가진 영아교사는 높은 수준의 놀이교수효능감과 높은 수준의 수학지도지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수학지도적극성을 예측하는 관계를 수학지도지식이 부분적으로 매개한다. 즉,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수학지도적극성을 직접적으로 예측하면서 동시에 수학지도지식을 매개로 수학지도적극성을 간접적으로 예측하는 경로가 존재한다. 결론: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의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영아교사의 수준 높은 영아수학지도를 통해 영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 분석 : 제 1~7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teacher´s guidebook of 3rd. 5th and 7th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정혜승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4 No.-

        본고는 1~7차 중학교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그 체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용 지도서가 어떤 기능을 수행해 왔으며,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그 자체에 대한 해설과 안내,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설명,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 평가 안내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교사용 지도서가 이와 같은 기능을 다 할 때 교육과 정의 의도한 대로 보다 충실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교사용 교사용 지도서의 기능을 기존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을 분속한 결과, 국어과 교사와 지도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그차체에 대한 핵설과 안내가 비교적 잘 되어 있는 편이며,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해 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7차 지도서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나 평가에 대한 안내 면에서 많은 발전을 이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교사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것은 교사용 지도서의 계속된 문제이다. 장차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교사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를 올바로 인식하고 있을 때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가 될 수 있다. 교사용 지도서는 바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교사에게 제공하는 통로이다. 즉, 교사용 지도서는 교과서 개발자와 교사의 의사소통을 매개하는 교량 역할을 해야 한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 1st~7th teacher's guidebook for middle school(hereinafter "guidebook") in order that we can review its functional performance and can find any problem of it. A guidebook should meet functional requirements that it should include explanation about and guidance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 explan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presentation of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instruction for evaluation. The purpose of curriculum can be accomplished through fulfilling the functional requirements. The analysis results on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 1st~7th guidebook from the viewpoint of above function requirements shows that the guidebook includes good explanation about and good guidance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nd they have been developed consecutively. Especially the 7th guidebook shows much growth in the area of specific instruction and evalu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However it is a common problem from the 1st to 7th guidebook that no enough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has been offered to teachers. It is thought that this problem should be solved in the future guidebook. The teacher can be the subjec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hen he or she correctly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 The guidebook is the path for furnishing in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guidebook should play a role of bridge connecting textbook developer and teacher.

      • KCI등재

        교사의 지도성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박세훈,박지훈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4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study trends on the leadership factor of school teachers in Korea. Research literatures from the last 10 years, which include published manuscripts, dissertations, and academic papers were examined, considering the quality of the research data and contents, resulting to the analysis of 30 research materials. The analysis of research framework was categorized into four parts. Overall,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a limitation on contents and depth of the study of school teacher’s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Meanwhile,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of school teacher’s leadership and school effectiveness, student achievement levels, among others and to focus on research trends in diversifying the research on the concept of school teacher’s leadership and its role, along with the research on school teacher’s leadership development and program. In terms of research topic and contents, the research contents related to the school teacher’s classroom leadership should be varied, categorizing the types of teacher’s leadership through the concept of classroom leadership, school organization leadership, communication leadership,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ituation of study contents of each type of leadership. Finally, when looking at the research perspectives, we need to conduct the alternative approaches of analytical, critical-situational approaches, which would eventually lead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leadership of teachers.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사의 지도성에 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근 10년 간(2004년부터 2014년 상반기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단행본, 박사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교사의 지도성 관련 논문을 살펴보았고, 연구 자료의 질과 전문적인 내용들을 고려하여 30편의 분석 대상 자료들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기준으로 연구주제 및 내용 측면에서 교실수업 지도성, 학교조직 지도성, 의사소통 지도성, 일반적 지도성 등으로 내용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실증주의적 접근, 해석적 접근, 비판적-상황적 접근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주제 및 내용 측면에서 우리나라 교사의 지도성 연구는 교실수업 지도성과 학교조직 지도성 등에 좀 더 집중되어 있었고, 의사소통 지도성과 일반적 지도성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였다.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는 실증주의적 접근으로 많이 편중되어 있었으며, 최근 들어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한 해석적 접근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였다. 하지만 비판적-상황적 관점에서의 교사의 지도성에 대한 접근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종합적으로, 우리나라 교사의 지도성 연구는 그 폭과 내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그동안 교사의 지도성과 학교효과성, 학업성취수준, 학생만족도 등과의 관계에 집중되어 있는 연구경향을 다양화하여 교사의 지도성 개념 및 역할에 관한 연구, 교사의 지도성 개발 및 프로그램 관련 연구 등으로 확대시켜야 한다. 또한 연구주제 및 내용 측면에서 교사의 교실수업 지도성 관련 연구내용들을 더욱 다양화시켜야만 하고, 교사의 지도성 유형의 범주라 할 수 있는 교실수업 지도성, 학교조직 지도성, 의사소통 지도성, 일반적 지도성 등의 개념 규정에 관한 연구, 각각의 지도성 유형이 발휘되는 현상과 실태에 관한 연구 등으로 연구내용들을 확대해야 한다. 한편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교사의 지도성 연구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는데, 해석적 접근, 비판적-상황적 접근 등의 대안적 접근을 통해 교사의 지도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분석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수학과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관한 교육실습생들의 인식 연구

        한혜숙 한국학교수학회 201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수학과 수업실습의 내실화를 위하여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34명의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포 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교육실습생들이 수업실습 기간 동안 작성한 교과지도 활동지 또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에 의하면, 예비교사들은 대체로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 습지도교사의 지도 실태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담 및 교과 지도 활동지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은 주로 수업의 반성 및 평가의 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지도 내용으로는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학습 내용적인 측 면에 대한 지도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는 교사교육자, 수업 참관자, 수업 협력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 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실습지도교사의 교사교육자 또는 수업 협력자로서의 역할 이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role of cooperating teachers and teacher interactions during teaching practicum. Thirty-fou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ho finished student teach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a questionnaire, interviews, and written docu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more than 50 percent of the participants showed negative responses to all of the questionnaire items on teaching activities or guidance of cooperating teachers. Cooperating teachers mainly played a role in the stage of reflection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practice, and they provided specific feedback and guid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ntents. Cooperating teachers played roles as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classroom observers, and co-teachers, but their roles as teacher educators or co-teachers should be more stressed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교사 교육과정 담론 속 역사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향 모색

        이미미,이소은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교사교육연구 Vol.62 No.4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과 교사용 지도서의 현황과 교사용 지도서가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7종의 중학교 역사 교사용 지도서 1개 대단원의 구성 체제와 기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교사 교육과정 구성과 실천에 도움을 주는 역사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중학교 역사 교사용 지도서는 ‘도입-차시 내용-평가 및 마무리’라는 기본 구성 체제와 단원 도입, 차시 지도안, 해설, 보충자료, 수행평가, 기타 평가, 단원 마무리, 기타 활동이라는 세부적인 구성요소에서 전반적인 유사성을 보였다. 기능 측면에서는 자료의 제공(79%), 교사와 학생 행동의 지시(19%), 교사의 학습 ・성장・변화 지원(2%)이라는 교사용 지도서의 세 가지 기능에 주력하고 있었으며, 7종의 지도서는 기능 분포에서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7종의 교사용 지도서는 구성 체제면에서는 차시별 수업 내용을 중심에 두고 있고, 기능 측면에서는 자료의 제공에 주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 교육과정이 활발하게 논의되는 담론 속에서 수업 내용 전달에 중심을 둔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도 더욱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해 볼 때, 중학교 역사 교사의 수업 구성과 교수・학습 향상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정보 전달을 넘어서 교사의 교육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교수용 교재로서 교사용 지도서가 거듭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적 교수학습자료로서의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언하였다. Based on the concept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7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guides. Focusing the analysis on one unit from each guide, the study aimed at providing suggestions in the development of teacher guides which promote teacher-created curriculum materials. All 7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guides shared the ‘introduction-lessons-assessment and summary’ organization with categories including unit introduction, lesson plan, commentary, additional materials, performance assessment, other assessment, unit summary, and other activities.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eachers’ guides devote 79% to providing materials, 19% to directing teachers’ and students’ actions, and 2% to educative supports that assist teachers’ learning, growth and chang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urrent teachers’ guides concentrate on lessons category by providing instructional materials to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a challenge in terms of implementing teacher-created curriculum materials. Teachers’ guides that focus on providing materials to teachers without supports for teacher learning have a high chance of being neglected by teachers. The study discusses two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teachers’ guides.

      • KCI등재

        일본의 지도력 부족교사 평가시스템 분석

        전제상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일본의 신 교사평가제 도입에 따른 지도력 부족교사 평가시스템을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새로운 교사평가제 도입운영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본 교사평가제의 변천과정과 새로운 교사평가시스템의 주요 내용(평가의 목적, 평가방법, 평가시기, 평가과정, 평가자, 평가결과 및 활용), 지도력 부족교사 문제의 등장 배경과 평가시스템의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도력 부족교사의 관리시스템, 지도력 부족교사의 개념과 유형, 지도력 부족교사의 평가기준과 인정절차, 지도력 부족교사를 위한 관리방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으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새로운 교사평가제 도입, 지도력 부족교사 대책 수립을 위한 실증적 연구 실시와 현실적인 대안 강구, 교사평가제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와 다양한 연수체제 마련이 요청된다.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교육실습과정 탐색: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강경리(Kang, Kyu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예비중등교사의 교육실습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2018년 1학기 교육실습과정에 참여한 예비중등교사 19 명과 교육실습과정의 실습지도에 참여한 실습지도교사 12명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 성찰일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교 육실습과정의 초기, 중기, 말기의 단계에 따라 신뢰성 요소의 역량과 관련 있는 실습 지도교사의 전문성 측면에서 예비중등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정보제공, 연습의 기회와 지속적인 피드백, 실행의 기회와 구체적인 조언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 요소의 도덕성, 호의성과 관련 있는 실습지도교사의 정서적 지원 측면에서 예비중등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적극적 소통의 태도, 존중의 태도, 공감을 통한 지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을 위한 지원 체계를 실습지도교사의 능력과 학교조직의 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예비중등교사와의 신뢰 형성을 위해 실습지도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멘토로서의 자질로 전문적 능력과 정서적 지원 능력으로 나타났다. 예비중등교사와의 신뢰 형성을 위한 학교조직의 환경적 요인은 학습공동체 지향을 목적으로 실습지도교사 간의 신뢰 형성을 통한 실습지도교사의 성찰 공유, 실습지도교사와 실습학교관리자와의 신뢰 형성을 통한 실습지도교사의 보상 강화, 대학수준교원양성기관과 실습중등학교 간의 신뢰 형성을 통한 예비중등교사의 중등학생과의 관계성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형성을 기반으로한 교육실습제도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practice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more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ho completed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12 practical teachers who completed teaching experience of the educational practice in the first semester of 2018.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reflec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the educational practice. In terms of the practical teachers profession related to competence of reliability fact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d providence of information, opportunities for practice and continuous feedback, and opportunities for performance and specific advice. In terms of the practical teachers emotional support related to morality and fidelity of reliability fact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attitude of communication, attitude of respect, and support through sympathy. Second, this study explored the support system for the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the educational practice, focusing on the ability of the practical teacher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In order to form reliability with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the ability required for the practical teachers was the mentor s qualities as professional ability and emotional support ability. In order to form reliability with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for learning communit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chool organization were supportive environment for sharing reflection with practical teachers, preliminary education of the university about relations with secondary student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ward enhancement for practica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practice system based on the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 KCI등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적 탐구

        김재춘,박정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교사되기'의 길을 걷는 과정에서 어떤 생활지도 경험을 하는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생활지도 능력은 어떻게 성장하는 지를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진솔하게 드러내어 보여줌으로써 학교 공동체 구성원들의 관심과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2007년 9월 1일자로 발령받은 초임교사 두 명에 대해 2009학년도 1학기까지 2년간에 걸친 내러티브적 탐구를 통해 두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을 연구하였다. 초임교사로서 2년간의 생활지도 경험을 통해 김교사와 이교사가 깨달은 것 중에서 이 연구에서는 첫째,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능력 신장 문제, 둘째, 초임교사의 이른바 '문제 학생'의 생활지도 문제, 셋째, 중간 발령 초임교사의 학급 담임으로서의 생활지도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교사양성과정이나 임용 전후 연수를 통해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능력을 길러주는 방안, 둘째, 연?월?주간 생활지도 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하고, 생활지도 활동 평가표에 따라 실시현황을 점검해 보도록 함으로써 생활지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 셋째, 중간 발령으로 인한 초임교사의 학생 생활지도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실습지도교사 지원 여부에 따른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육 실습생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차이

        김향자 ( Hang Ja Kim ),김태인 ( Tae In K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육실습생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해 실습지도교사 지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소재 대학들의 실습생 100명으로 Kuehl(1984)의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신현주(1998)가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평균, t검정, F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에 대해 교육실습생들이 가지는 기대는 평가, 실습 안내, 상담자, 교수활동지도, 성장기회 제공, 연구자, 실무지도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실습지도교사의 지원 여부에 따른 교육실습생들의 기대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담자 역할의 경우 1년 미만 경력 지도교사보다 10년 이상 경력 지도교사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F=2.90, p<.05). 둘째, 실습지도교사가 실습기간동안 수행한 역할에 대해 교육실습생들은 성장기회 제공, 평가, 연구자, 교수활동지도, 상담자, 실습 안내, 실습지도역할의 순으로 인식하였다. 실습지도교사의 지원 여부에 따른 교사의 역할 수행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습지도교사의 학력에 따라 실습 안내의 역할 수행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2.96, p<.05). 반면에 실습기관의 유형에 따라 역할수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t=-5.56, p<.001) 국공립 실습지도 교사들의 역할수행 점수가 높았다. 셋째, 교육실습생이 기대하는 실습지도교사의 역할과 실습지도교사가 수행한 역할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습지도교사 지원 유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보였다 (유, t=6.16, p<.001 / 무, t=7.43, p<.001).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실습지도교사 지원이 약간의 효과가 있으나 교육실습 실제에서 좀 더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멘토, 슈퍼바이저와 같은 방안도 함께 활용하여 그 효과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He purpose or this study is to analyz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teachers`` role-expectation and role-performance by support for cooperating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are: (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role expectation of cooperating teachers? (2)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The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role expectation of cooperating teachers except between novice teachers and expert.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except education levels of cooperating teachers. On the other han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between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hird, there were a fe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by support for cooperating teachers.

      • KCI등재

        교사의 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주현준,김태연,남지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간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80년부터 2011년까지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관계를 분석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CMA 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간의 전체 상관관계는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의 상관관계는 과거보다 현재, 중등학교보다 초등학교, 학생 수준보다 학급 수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지도성 유형 중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효과성의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지도성은 학생의 지적·정의적 발달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학급을 만드는데 큰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학교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개별 교사에게 권한과 자율을 부여하는 공유와 분산적 접근이 향후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현장 교사들이 권한을 부여받고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지도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학교급과 지도성 유형을 고려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