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가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제7차 교육과정 연구, 개발 체제를 중심으로

        김재춘 한국교육과정학회 2002 교육과정연구 Vol.20 No.3

        이 글에서 연구자는 제7차 교육과정의 연구·개발 과정에 참여한 경험과 자기 반성에 근거하여 국가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가 교육과정의 연구·개발 체제의 문제점을 다섯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국가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는 첫째, '숙의'보다는 '설계' 중심의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 둘째, 과잉 통제된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 셋째, 총론과 각론간의 일관성이 결핍된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 넷째, '원인' 규명없는 '처방' 중심의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 다섯째, 지나치게 위계화된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라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 진단에 근거하여 연구자는 교육과정의 연구·개발 체제의 개선 방향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민주성 : 연구·개발에의 참여 범위의 확대, 둘째, 숙의성 : 교육적인 숙의와 합리적인 정책 결정 추구, 셋째, 다양성 : 다양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연구·개발 체제 지향, 넷째, 단순성: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위계적 구조의 단순화 추구, 이러한 문제점 진단과 개선 방향의 배후에는 새로운 교육과정 연구 개발 체제로 전통적인 방식, 즉 주기적, 일시적, 전면적, 국가 주도적인 방식의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인 '제도적인 모형'과 이에 대한 대안으로 언급되는 수시적, 점진적, 부분적, 교사 주도적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인 '낭만적인 모형'을 변증법적으로 종합하는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의 '절충적인 모형'을 추구하는 연구자의 신념이 자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Korean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system and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curriculum R&D on the basis of a researcher's experience and self-reflection of participating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D. In the former part, this study proposes five major problems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R&D system. First, design rather than deliberation is being emphasiz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R&D process. Second, the curriculum R&D process is too much controlled by government officials in terms of the R&D period, money, and personnel. Third, there are too many discrepancies between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features of subject curricula. Fourth, prescription is being preferred to understanding in the R&D process. Fifth, there is a very hierarchical structure in the R&D system. In the latter part, this study proposes four basic principl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R&D in Korea on the basis of current R&D problems identified above. First, the R&D system should be more democratized by involving more persons in the R&D process. Second, the R&D system should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deliberate over the major problems. Third, the R&D system should be changed to produce diversified curricula. Fourth, the R&D system should be simplified in order to make curriculum implementation more plausible.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upposes that an eclectic model of curriculum R&D system is better than an institutional model in which national curriculum is revised periodically and whole scale on the national level by government-led policies, and better than a romantic model in which national curriculum is revised constantly and gradually on the school level by teachers. Here, an eclectic model is regarded by a researcher as the synthesis of an institutional model (as thesis) and a romantic model (as antithesis).

      • KCI등재

        미국의 교육 개혁 논의에 있어서 학교 선택권 담론 : 차터 학교 운동을 중심으로 An Analysis Centering Around Charter schools

        김재춘 한국교육과정학회 1998 교육과정연구 Vol.16 No.2

        이 글은 최근 미국에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교육 개혁 담론 중의 하나인 교육 수요자의 학교 선택권 논쟁, 그 중에서도 특히 차터 학교에 관한 것이다. 이 글은 크게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미국에서 학교 선택권 담론의 역사적 기원과 최근 동향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학교 선택권 논의의 역사적 기원은 18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1960-70년대에 다시 한 번 개혁 논의로 등장했다가 80년대 후반부터 일반인과 교육자들의 본격적인 관심을 받게 되었다. 학교 선택권 담론은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차터 학교 담론으로 대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 차터 학교 운동의 일반적 특징을 간략히 살펴 본 다음, 미국에서 최초로 차터 학교법을 통과시킨 미네소타 주와 현재 가장 많은 수의 차터 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캘리포니아 주의 차터 학교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셋째, 미국의 차터 학교 운동이 우리 학교 교육 개혁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간략히 분석해보았다. 차터 학교 운동은 공교육에 자율성과 책무성, 다양성과 선택, 시장과 경쟁의 원리를 도입하려는 개혁 운동으로서, 우리 교육 개혁 방향 설정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이라는 역사 사회적 맥락에서 등장한 미국식 차터 학교를 우리 나라에 그대로 이식하게 되면 운영에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할 뿐만 아니라 기대하는 효과도 달성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해 볼 수 있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school choice discourses, centering around charter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which has recently caught increasing attention from the general public and education professionals.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it explor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urrent trends of school choice discourses. School choice discourses first appeared as early as eighteenth century writings of Adam Smith and Thomas Paine. During the 1960s and 1970s a discourse of school choice reapperared briefly as a school reform alternative, but it failed to catch much attention from the general public. In the late 1980s, school choice discourse has emerged as one of mainstream schoo reform discourses in the United Stages. Second, this article examin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arter schools and reviews the Charter School Acts of Minnesota and California. Minnesota was the first State to pass the Charter School Act and California presently leads the nation in number of charter schools. Third, this article explores some implications of American charter schools in order to get help in setting the right direction for Korean school reform. Charter school movement is pursuing such basic values as autonomy and accountability, diversity and choice, and market and competition in the public school system. The values might imply the direction Koreans have to follow in their school reform efforts, but the American style of charter school might not be appropriate within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if not modified to some extent.

      • KCI등재

        학교 교육과 다양성 추구

        김재춘 한국교육과정학회 2000 교육과정연구 Vol.18 No.1

        이 글에서 필자는 우리 학교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성을 고려한 교육을 실시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필자는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다양성이 결핍된 우리 교육의 모습을 기술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의 역사와 의의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둘째, 교육에서 다양성의 중층적 구조를 분석한 다음, 각 층위에서 필요한 다양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다양성의 중층적 구조는 학생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하여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성, 교육 내용의 다양성, 교육과정 운영의 다양성, 학교의 다양성 순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교육에서 다양성은 단순히 방법론적 수준에서 다양성을 고려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다양성 자체를 추구하는 교육을 실시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 글은 최근 들어 우리 교육 논의의 초월적 기의로서 작용하는 다양성에 대해 교육과 관련하여 본격적인 논의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일단의 의의를 지닌다. In this article, I maintained that we should not only consider diversity, but also pursue diversity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s of schooling in Korea. The article is cmoposed of three sections. First, I described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diversity in the educational literature and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considering and/or pursuing diversity in schools, after briefly describing some characteristics of our schools which are eminently lacking diversity. Second, I tried to identify some different arenas of schooling in which deversity is desperately needed, and suggested potential stategies in the respective arena of schooling. In the article,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and type of schools are identified as the key arenas lacking diversity and diversifying strategies for each arena are proposed. Third, I argued that diversity in education should not be pursued just as a method of teaching the given more effectively, but also as an aim of introducing students to the multiple forms of knowing and differing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is an initial article on the diversity in education. Although diversity in education has recently been frequently talked about in Korea, it is yet to be examined systematically within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 KCI등재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과 ‘가르침’의 의미와 관계 탐색

        김재춘,배지현 한국교육학회 2012 敎育學硏究 Vol.50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learning and teaching expressed in G. Deleuze's philosophy. Deleuze uses the word of learning in his works「Proust and Signs」 and「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uses the word of teaching in his works 「Difference and Repetition」and「Cinema 2: Time-image」. First, Deleuze defines learning not only as an activity triggered by an encounter with signs but also as an activity of exploring into the world of ideas where every being is in a constant genesis. Deleuze’s learning, which is described as both an encounter with signs and exploration into ideas, includes a cycle of the following two stages: ① collapse of the existing understanding through an encounter with signs; ② genesis of a new understanding through an exploration into ideas. Deleuze’s learning implies the creation of a newness in the learner’s body and mind through an infinite repetition of difference. Second, Deleuze defines teaching as an activity of learning on the part of teacher with students. An activity of teaching can be well exemplified in his phrases such as "Do with me" rather than "Do as I show". In 「Cinema2: Time -image」, Deleuze also regards teaching as an activity of showing strangeness so that people can come out of their preexisting ways of feeling and thinking. After exploring a new meaning of learning and teaching in Deleuze's philosophy, the researcher drew three implications for education First, learning should be understood as an activity triggered inadvertently, not as an activity introduced intentionally or consciously by the teacher. Seco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teacher with the student are to be emphasized in the context of teaching. Third, learning as an activity of creating a newness presupposes a special type of ‘learning-teaching relationship', where learning plays a key role, in even defining the meaning of teaching itself. 이 연구는 들뢰즈의 철학적 논의에 나타난 배움과 가르침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들뢰즈는 「프루스트와 기호들」과「차이와 반복」에서 ‘배움’에 대해 종종 언급하고 있으며,「차이와 반복」과「시네마 2: 시간 이미지」에서는 ‘가르침’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들뢰즈의 배움과 가르침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들뢰즈는 배움을 한편으로는 ‘기호와의 우연한 마주침’에 의해 촉발되는 활동으로 정의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존재가 끊임없이 새롭게 발생되는 ‘이념의 세계에로 탐험’하는 행위로 정의한다. 들뢰즈의 배움은 기호와의 마주침과 이념에의 탐험이라는 두 요소/단계로 구성된 하나의 사이클의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도 있다. ① 기호와의 만남을 통해 기존에 현실화되었던 인식틀이 파괴되는 ‘와해’의 단계, ② 이념에의 탐험을 통해 새로운 인식틀이 발생되는 ‘생성’의 단계가 배움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 구조를 바탕으로 한 들뢰즈의 배움은 무한한 차이의 반복을 통해 학습자의 신체와 정신에 새로움이 계속해서 창조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들뢰즈는 가르침을 학생과 ‘함께’ 하는 교사 자신의 ‘배움’의 행위로 정의한다. 들뢰즈에게 있어 가르침의 행위는 “나처럼 해봐” 보다는 “나와 함께 해보자”로 표현될 수 있다.「시네마 2: 시간 이미지」에서 들뢰즈는 가르침을 기존의 감각·사유 방식으로부터 빠져나와 강도 높은 차이를 창조하도록 하는 활동으로 규정한다. 들뢰즈 철학에서 추출한 배움과 가르침의 의미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교육적 함의를 끌어낼 수 있다. 첫째, 배움은 교사에 의해 이끌어지는 계획적·의도적 행위의 결과라기보다 우연한 계기에 의해 학습자에게 촉발되는 행위이다. 둘째, 가르침은 학습자와 함께하는 ‘교사의 배움의 활동’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교육에 있어서 교사 자신의 배움 활동이 중요하다. 셋째, 새로움의 창조 행위인 배움은 특정한 형태의 배움과 가르침의 관계를 전제하는데, 이 관계에서는 배움이 가르침의 의미를 규정한다는 점에서 배움의 가치와 역할이 가르침의 그것보다 더 우선하고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 조기졸업제, 어떻게 활성화할 것인가

        김재춘,Kim, Jae-Chun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7 大學敎育 Vol.149 No.-

        다양성, 창의성 그리고 자율성이 강조되는 21세기에는 제도교육도 변화의 물살을 피해가기 어렵다. 조기졸업제란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정해진 기간보다 빨리 졸업할 수 있게 허용하는 제도이다. 교육과정 이수에 학생의 개별적 능력을 고려할 수 있으며, 학사운영에 있어 다양성과 창의성을 부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실제 우리나라 조기졸업제는 많은 모순을 안고 있다. 여기에 우리나라 조기졸업제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하자.

      • KCI등재

        1·2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국가주의‧시장주의 특징 분석

        김재춘 한국교육정치학회 2017 敎育政治學硏究 Vol.24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1st and 2nd round evaluation for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in Korea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1st & 2nd round evalu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Politics vs Markets. For this purpose, I will first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1st round evaluation through four controversial issues and analyze whether the objectives of the evaluation were achieved. The four controversial issues to be discussed are the following: ① A general reduction plan for entrance quotas of universities against an expulsion plan for inadequate universities, ② Compulsory entrance quota reduction plans against autonomous entrance quota reduction plans, ③ A single monolithic evaluation district on a nationwide level against multiple evaluation districts differentiated by region and by type, ④ Innovating the higher education ecology against maintaining the status quo. Next, I will also examin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2nd round evaluation for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The appraisal of the 2nd round evaluation will be made by comparing with the 1st round evaluation, focusing on the four issues employ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1st round evaluation. This study, conducted when the 2nd round evaluation is beginning, will result in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2nd round evaluation and in identifying the tasks to resolve for the success of the 2nd round evaluation. 이 연구는 1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가 마무리되고 2주기 평가기 시작되는 시점에서 1․2주기 평가의 국가주의‧시장주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1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국가주의‧시장주의 특징을 1주기 평가 과정에서 대두된 네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에 활용된 네 가지 쟁점은 다음과 같다. ① 정원의 강제 감축 방안 대 자율 감축 방안, ② 강제 정원 감축 대학의 광역성 대 협소성, ③ 단일 평가군 설정 방안 대 복수의 평가군 설정 방안, ④ 특정 고등교육 생태계의 전제 여부. 둘째, 1주기 평가 분석에 사용된 동일한 분석틀로 2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국가주의‧시장주의 특징을 분석하고, 1주기와 2주기 평가의 분석 결과를 비교 논의하고자 한다. 2주기 평가가 막 시작되려는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이 연구는 1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후속되는 2주기 평가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을 것이다.

      • KCI등재

        플라톤과 니체의 ‘동굴’ 비유에 나타난 교육의 의미 비교 분석

        김재춘 한국교육철학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4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Plato's Republic and Nietzsche's Thus Spoke Zarathustra in terms of the meaning of education. First, the study explores the main features of the caves used by Plato and Nietzsche. Both Plato and Nietzsche use the same term of 'cave', but they imply different ideas for it. While Plato's cave is a place of ignorance or obscurity from which one should flee as quickly as possible, Nietzsche's or Zarathustra's cave is a place of learning where one can experience enlightenment while descending and ascending repeatedly. Secon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Plato's and Nietzsche's caves and their background ideas. In Plato's and Nietzsche's works, similarities are found in the analogy of the cave. (1) Both Plato and Nietzsche emphasize not only learning but also teaching. (2) Learning is understood as an activity that requires several steps which carry quite distinctive features. (3) Learning and teaching are described as a difficult and enduring process. Notwithstanding the similarities, the cave metaphors used by both Plato and Nietzsche showed more differences than similarities in view of education. While Plato emphasizes the education of being, memory, and reason, Nietzsche emphasizes that of becoming/creation, oblivion, and body. Plato affirms the former and denies the latter, thereby locating the former and the latter as oppositional. Nietzsche, on the other hand, believes that the former and the latter have a 'non-symmetrical' relationship, with the latter including the former. Facing these different paradigms of education,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er's position. 이 연구는 플라톤의 『국가』와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제시된 ‘동굴’ 비유의 교육적 의미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플라톤과 니체 저작에 제시된 동굴과 그 배후 사상의 주요 특징을 탐색하였다. 플라톤과 니체 모두 ‘동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들의 동굴은 서로 다른 특징과 교육적 의미를 지닌다. 플라톤에게 동굴은 무지 또는 무명의 장소로서 가급적 빨리 벗어나야만 하는 공간이라면, 니체또는 차라투스트라에게 동굴은 하강과 상승의 반복을 가능하게 하는 깨달음이 일어나는 공간이다. 둘째, 플라톤과 니체의 동굴과 그 배후에 있는 사상이 지니는 교육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플라톤과 니체의 동굴 비유는 ① 배움과 가르침을 모두 강조하고 있고, ② 배움을 몇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활동으로 파악하며, ③ 배움과 가르침을 힘들고 지난한 과정으로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라톤과 니체의 동굴 비유는 교육의 유사점보다는 차이점을 더 두드러지게 보여 준다. 무지의 동굴에서 벗어나 빛의 세계로 나아가는 교육을 추구하는 플라톤은 존재·기억·이성의 교육을 강조하는 데 반하여, 어두운 동굴에서 깨달음을 얻는 니체는 생성·망각·신체의 교육을 강조한다. 우리 삶을 영위하는 데에 낮과 밤이 모두 필요하듯이, 우리 교육을 제대로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플라톤의 존재·기억·이성의 교육과 니체의 생성·망각·신체의 교육 모두 우리에게 필요함을 논하였다.

      • KCI등재

        들뢰즈의 기호론에 따른 문학교육 방법 탐색

        김재춘,김비아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硏究 Vol.- No.64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terature education method drawing on G. Deleuze's early theory of sign. It tries to infer a new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from Deleuze's philosophy in which an encounter between literature and a reader is being emphasized. According to Deleuze, literatur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releases sign which can trigger a reader's senses. Sign makes readers change their faculty of senses and reasons, and readers can regain faculty to feel and think anew by decoding sign. Deleuze's theory of sign opens the way to approach literature as an object of affect, not as an object of intellectual analysis, and it argues that many different senses of literature can be generated as a result of an encounter between literature and a reader. In this study,traverse, question, and revelation are presented as three steps which literature education can follow in order. 본 연구는 들뢰즈의『프루스트와 기호들』에 나타난 초기 예술론인 ‘기호론’에 기초하여 문학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문학 작품과 독자의 만남을 중시하는 들뢰즈의 철학에 근거하여 문학교육의 특징과 방법을 탐색하였다. 들뢰즈에 따르면 문학이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독자의 감성을 흔들어 깨우는 ‘기호’들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기호’는 독자의 감각 능력과 인식 능력의 변화를 요청하며, 독자는 기호를 해독함으로써 대상을 새롭게 감각하고 사유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할 수 있다. 들뢰즈의 ‘기호론’은 교육 현장에서 문학을 지적 분석의 대상이 아니라 감응의 대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특히 작품과 독자의 마주침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서와 인상이야말로 독창적인 사유로 나아가는 토대가 된다는 점을 인식론적으로 해명함으로써 교육의 소재로서 문학이 지닌 가능성을 확장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들뢰즈의 기호론에 근거한 문학교육 방법으로 횡단, 질문, 계시의 세 단계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