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의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몰입도 관련요인

        진영란(Young Ran Chin),이광순(Kwang So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노인요양시설의 조직문화 유형에 대한 인식과 조직몰입도, 장기요양기관 평가등급 간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 전국 30인 이상 노인요양시설 149개소를 우편설문조사하였다. 노인요양시설의 조직문화는 관계지향 문화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 유형 중 관계지향(β=0.45, p<0.001)과 혁신지향(β=0.34, p<0.001) 성향은 조직몰입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56%였다(F=14.83, p<0.001). 장기요양기관 평가등급이 상위기관일수록 조직몰입도가 높았고(F=7.18, p<0.001), 조직몰입도는 장기요양기관 평가등급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β=0.53, p<0.001). 이상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 째, 해당 기관의 조직몰입도 및 장기요양기관 평가등급 향상을 위해서는 구성원 간 관계를 긴밀히 하기 위한 노력을 체계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둘 째, 장기요양기관 평가에서도 조직의 관계지향성 관련 평가지표를 다룰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nationwide mailing survey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February 7th, 2013 to February 18th, 2013. With regard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a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was predominant. Th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β=0.45,p<0.001)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β=0.34,p<0.001)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has 56% of the explanatory power(F=14.83,p<0.001).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with higher evaluation grades showed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F=7.18,p<0.001), which affected positively the evalu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β=0.53,p<0.001).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managers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should strive to build good relationships with staffs as to achieve great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igher evaluation scores. Second, more researches are neede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relationships among staffs.

      • KCI등재

        호텔종사원들의 주도적 성격이 조직몰입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핵심자기평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형권(Lee, Hyeongkwo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조직몰입도와 조직시민행동을 유발시키는 호텔종사원들의 성격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단순매개분석과 단순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231명의 호텔종사원들의 응답자료를 Mplus 8.1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종사원들의 주도적 성격이 강할수록 조직몰입도가 증가하고 이는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핵심자기평가가 증가하면 주도적 성격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이 증대되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핵심자기평가의 증가는 주도적 성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자기평가의 크기가 증가하면 주도적 성격이 조직몰입도를 경유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의 간접효과가 증가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분석결과에서 특히 호텔종사원들의 핵심자기평가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주도적 성격의 간접효과(조건부 간접효과)와 주도적 성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조건부 직접효과)이 모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기 때문에 조직몰입도와 조직시민행동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호텔종사원들의 주도적 성격과 더불어 핵심자기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roactive personalit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Specifically, this article intends to investigate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proactive personality to examine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ata from 231 hotel employees were analyzed using Mplus 8.1.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ronger when employees’ core self-evaluations are high. Third, core self-evaluations moderated the path from proactive personality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that the positive indirect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is more pronounced when core self-evaluations are higher rather than lower(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이 자아존중감, 조직몰입도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강원 동해안 6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손진아 ( Son Jin-a ),안치순 ( An Chi-soon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강원 동해안 지역에 위치한 6개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이 개인, 조직 및 고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그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공무원이 인식하고 있는 공공조직에서의 양성평등의식의 정도(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에 따라 개인 자신에 대한 태도인 자아존중감, 조직에 대한 태도인 조직몰입도, 그리고 고객에 대한 태도인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차이의 존재유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양성평등의식, 자아존중감, 조직몰입도, 그리고 고객지향성과 관련된 이론 및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계하고, 해당 6개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설문자료의 정화작업을 거쳐 최종적으로 독립표본검증(T-검증)을 통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의 정도(낮은 집단과 높은집단)에 따라 개인에 대한 태도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t=1.072, p=.032). 둘째, 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의 정도(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에 따라 조직에 대한 태도인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935, p=.017). 셋째, 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의 정도(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에 따라 고객에 대한 태도인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t=.875, p=.028). 아울러 본 연구의 정책 및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공공조직에서 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이 공무원 개인은 물론 조직 및 고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라는 증거를 뒷받침해주는 경험적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공공조직에서 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을 고양할 수 있는 지속적인 제도개선은 물론 양성평등의 가치실현을 위한 건전한 조직문화의 정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 이라는 변인이 공공조직의 성과나 효과성을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새로운 개념이 될 수 있다는 실증적 증거를 통하여 조직행태 및 조직관리 이론의 지평을 확장해주는 이론적 가치를 갖고 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논의가 사회정책 내지 여성정책의 영역에서 조직행태론 및 조직관리론의 영역으로 담론의 장이 확장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public serva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the attitude towards individuals, organization and customer. The study was based on six local self-governments of the east coast regions of Gangwon Province. Specifical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that the degree of public serva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public organizations has a strong effect on oneself (self-esteem) as well as one`s attitude towards the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s (customer orientation). Thus, this study designed a research model and a hypotheses on the basis several theories and advanced researches o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elf-esteem,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public servants working at six local self-governments, and carried on a independent sample verification after the data clean-up in order to test such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w and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t=1.072, p=.032)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on self-esteem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ly,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low and high group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t=.935, p=.017). Thirdly, the low and high group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t=.875, p=.028)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on customer orient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esented as empirical evidence that the public serva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s a important variable that effects the attitude of organization, customer, and the individual itself. Therefore, continuous reform in the enhancement of public serva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public organizations is essential. Secondly, the knowledge that public serva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may play an important tole in public organization performance, helps enlarge theories involved i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Finally, this study will provide a turning point that can extend the academic discourse o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rom social and women policy to organizational behavior and management in general.

      • 자동차 판매지점 영업소장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성과(성장률)에 미치는 영향:구성원 업무만족도, 업무몰입도, 자아효능감, LMX 그리고 경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세현,이윤철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6 No.-

        기업들은 시장이 자율화되고 기술경쟁이 격화되는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효과적인 대응과 경영관리 역량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그 어느 때 보다 리더다운 리더를 요구하고 있다. 오늘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쟁력 있는 기술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기술혁신의 결과로 도출 된 성과물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유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 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여타 기업에 대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혁신과 변화를 주도하고 경영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 중 하나로 리더십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리더십 유형의 대표 중 하나로 자기 인식과 자기 규제를 통해 성과와 태도, 행동 등에 중대한 변화를 이끌어내는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과 최근 진정성 있는 리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며 화두가 되고 있는 진성 리더십(authentic leadership)의 효과성을 한 모형 내에서 동시에 분석하고, 두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두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의 직무태도 및 특성(업무만족도, 업무몰입도, 자아효능감, LMX, 구성원의 경력)이 어떻게 상이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지에 관한 실무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이 강할수록 조직성과가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하며, 구성원의 업무만족도를 조절변수로 하였을 경우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구성원의 업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더 약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반면 리더의 진성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구성원의 업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더 강화될 것이라 예상한다. 리더가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우 기존의 상황을 혁신하게 되므로, 구성원이 기존 상황에 만족할수록 변화를 거부하는 성향이 나타나서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보았으며 진성리더십을 발휘하는 경우 구성원과 원만한 관계를 바탕으로 조직성과를 높이는 방식이므로, 구성원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관계에 의한 성과향상이 더 강화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구성원 업무 몰입도를 조절변수로 하였을 경우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구성원의 업무몰입도가 높을수록 더 강화될 것으로 예상하며 리더의 진성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구성원의 업무몰입도가 높을수록 더 강화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업무만족도와는 달리 업무몰입도는 두 가지 리더십에서 모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지닐 것으로 예상한다. 구성원 자아효능감을 조절변수로 하였을 경우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구성원의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더 강화될 것이라 예상하며 리더의 진성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구성원의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더 약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자아효능감이 높다는 것은 자신의 업무 수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주어진 상황을 스스로의 힘으로 타개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 변화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관계에 의한 성과향상이 더 강화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반면 진성 리더십은 구성원의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관계에 의한 성과향상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라 예상한다. 리더와 부하의 교환관계(LMX)를 조절변수로 하였을 경우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LMX가 높을수록 더 강화될 것이라 예상한다. LMX는 리더와 부하직원의 관계의 정도를 각각 다르게 지각하는 것으로서 두 리더십의 효과를 모두 강화시킬 것으로 예상한다. 구성원 경력을 조절변수로 하였을 경우,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구성원의 경력이 많을수록 더 약화될 것으로 예상하며 리더의 진성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구성원의 경력이 많을수록 더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구성원의 경력이 많을수록 관성(inertia:그 자리에 머무르려는)이 커져서 변혁적 리더십의 변화를 거부할 것이라 여겨지며 진성의 경우 관계에 의한 성과향상은 경력이 많을수록 관계의 양과 질이 높아져서 성과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국내 자동차 회사에 속한 판매지점의 영업소장과 직원들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할 예정이다.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다양성 특성, 포용-배제인식, 조직성과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안소영,조상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2 사회복지정책 Vol.4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diversity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are sufficiently included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to examine how the employees’ perception of inclusion-exclusion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this purposes 853 workers at communit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results of exploring the diversity characteristics, first, the men were more inclusive than women in social welfare where women could be represented as the mainstream group because of the high proportion and experienced parental leave were more exclusive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mployees who majored in social welfare at the undergraduate level and those with first-class social welfare had a higher perception of inclusion. Third the higher position and regular employee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inclusion. These majorly explored diversity characteristics mediate perception of inclusion-exclu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osi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ther words, it was revealed that diversity characteristics, which had no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in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inclusive perception. Through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diversity characteristics that make a difference in inclusive perception with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revealed that the employees’ perception of inclusion-exclusion is a major factor in enha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본 연구는 인간의 존엄성과 다양성 존중을 기치로 하는 사회복지조직에서 임직원들의 다양성특성이 충분히 포용되고 있는지 진단하고, 임직원들이 조직 내 포용되어 있다는 인식이 조직성과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전국 지역사회복지관 종사자 852 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조직 내 다양성 특성을 포용-배제인식으로 진단한 결과 첫째, 여성 비중이 높아 여성이 주류집단으로 대표될 수 있는 사회복지조직 내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포용되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육아휴직 경험자가 조직 내 포용되고 있다는인식이 낮았다. 둘째, 학부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한 임직원과 사회복지 1급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임직원보다 조직 내 포용되고 있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상태에서 직급이높을수록, 정규직 임직원이 포용되어 있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였다. 이렇게 주요하게 탐색된 다양성 특성은 포용-배제인식과 조직몰입도를 매개하여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경로가 나타났다. 조직성과에 직접 영향이 없던 다양성 특성은 조직 내 포용되어 있다는 인식을통해 조직몰입도를 높여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영향이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최초로 사회복지조직 내 다양성 특성을 탐색할 수 있었고, 임직원들의 조직 내 포용되어 있다는인식은 조직몰입과 조직성과를 높이는 주요한 요소임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방송사 pd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 연구 :방송사 및 pd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전범수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09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방송사 PD들의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을 방송사별, PD 유형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사별 PD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을 살펴보면 KBS와 MBC 간에는 비교적 유사한 결과가 나타난 반면 SBS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BS와 MBC PD들의 경우에는 아낌없는 격려와 지원 등과 같은 집단응집도 요인이 업무몰입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SBS PD들은 조직 통제 및 제작 문화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들의 가치 요인들이 업무몰입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PD 유형별로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을 살펴본 결과 예능 PD들의 경우에는 팀워크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양 PD들은 구성원들 간의 신뢰도가 업무몰입도를 결정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능 PD와 교양 PD 모두 조직 통제 요인이 부적인 방향으로 업무 몰입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하게 드라마 PD들의 경우 방송의 사회적 역할이나 구성원 간의 유대감 등은 부적 방향으로 업무몰입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producers work commitment among three Korean terrestrial broadcasters including KBS, MBC and SBS. Using survey data, this research focused on differences of the degree of work commitment among program producers. The results showed that determinants of producers work commitment in public broadcasters such as KBS and MBC were different from that of producers in the private broadcaster such as SBS. It also showed that although entertainment producers work commitment were mainly determined by team works, public affair producers commitment were determined by credibility among team members.

      • KCI등재후보

        삶의 만족감과 조직 몰입도의 관계 및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육사 생도 설문결과를 중심으로-

        유희성,강원석,성의철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7 신산업경영저널 Vol.35 No.2

        Korea Military Academy(KMA hereafter) cadets' dropout and KMA alumni officers’discharge rates are increasing. One of the reasons for the phenomenon is predicted that the rise of discharge intention leads to the decline of cadet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ason,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KMA cadets’Lif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amine whether the intermediation effects as to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are existed or not. In brief, we present the following findings: (1)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Cadets' Life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gression model. (2)As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result,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POS) has mediational effects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mproving cadets's life satisfaction and POS is practically required to boost KMA's organizational commitment. 최근 들어 육사 생도들의 자퇴율과 육사출신 장교들의 조기 전역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원인들 중 하나로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 상승과 조직몰입도가 감소된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 육사에 재학중인 생도들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와 조직몰입도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함께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생도들의 삶의 만족도는 조직 몰입도에 정(+)의 관계를 가진다. 두 번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조직지원인식은 삶의 만족도와 조직몰입도간의 관계 사이에 매개효과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군의 엘리트 리더를 양성하고자 하는 육군사관학교의 훈육 시스템에 구성원들의 삶의 만족도를 반영하고 조직지원인식을 향상시키는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병역제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차이 분석

        박종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Military Service TypeJongtak Park Abstract: It is intended to present an efficient military service system to the Korean military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soldiers and executives. The subjects were surveyed on 210 executives and soldier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t-test, ANOVA, pe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content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service personnel through the type of conscription and recruitment, and analyzed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higher in the executive class than in the warrior clas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transition to a recruitment system for the efficient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military organizations, and follow-up studies through various factors. Key Words: Military Service System,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ruitment System, Conscription System 병역제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차이 분석박 종 탁*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병역제도에서 징병으로 병역의무를 이행하고 있는 용사계급과 개인의 자유의지에 의해 복무하는 간부계급과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한국군에 효율적인 병역제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간부와 용사계급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연구 방법은 통계분석 방법은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Person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징・모병의 유형을 통해 군 복무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내적 일관성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한국군에 필요한 무형전력을 연구하였다. 결론 및 제언: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는 자유의사에 의해서 군 복무를 이행하고 있는 간부계급이 용사계급에 비해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군 조직의 효율적 운용과 성과를 위해 모병제로의 전환을 제언하고, 여러 변수를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핵심어: 병역제도, 직무만족도, 조직몰입도, 모병제, 징병제 □ 접수일: 2022년 7월 30일, 수정일: 2022년 8월 2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조선이공대학교 군사학과 교수(Professor, Chosun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Email: arfabeta@naver.com)

      • 팔로워십 유형과 교회학교 교사의 조직몰입도의 상관성 연구

        함영주 總神大學校 2006 總神大論叢 Vol.38 No.-

        본 연구는 교회학교 교사들의 팔로워십 특징과 교사의 조직몰입도의 상관성에 대한 논문이다. 팔로워십은 리더십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연구의 주제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이는 팔로워십이 리더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아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의 영역에서는 팔로워십에 대한 연구가 그리 활발하게 연구되지 못하였다. 더욱이 교회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팔로워십 연구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회학교 교사의 팔로워십 특징들을 규명하고 그것이 조직몰입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총 253명의 교회학교 교사가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교회학교 교사들의 팔로워십 하위 척도인 독립적-비판적 사고의 평균점수는 5점 척도에서 3.31, 적극적-능동적 참여는 3.49를 나타내서 적극적-능동적 사고가 다소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또한 조직몰입도는 4.0을 나타내었다. 팔로워십 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적극적-능동적 참여가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세 가지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독립적-비판적 사고 능력 배양을 통한 부서사역에의 적극적 의견개진 및 참여이다. 둘째, 지속적인 적극적-능동적 참여를 위한 팔로워십 내적 동기부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 부서별 맞춤형 팔로워십 교육의 필요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기체이면서 동시에 조직인 교회와 교회학교를 건강하게 세우기 위하여 팔로워십을 건강하게 세워줄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및 교수효능감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강정희,안진경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수효능감과 조직몰입도를 알아보고, 회복탄력성, 교수효능감과 조직몰입도의 각 변인에 대한 관계를 밝히고, 회복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K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64명이다. 연구도구는 회복탄력성 검사(김주환, 2011), 교수효능감 검사(이분려, 1999)와 조직몰입도 검사(강지영, 2009)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수효능감 및 조직몰입도는 평균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수효능감 및 조직몰입도 전체와 각 하위요인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조직몰입도 전체에 영향을 주는 회복탄력성과 교수효능감 하위변인을 단계적으로 투입한 결과, 긍정성과 일반적 교수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이 설명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ilience, teaching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The subjects were 26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K city, Jeollabukdo. The test were 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Kim, 2011), Teaching Efficacy Test(Lee, 1999)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est(Kang,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methods of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α valu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dered the level of their resilience, teaching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be above averag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ir total scores of resilience, teaching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hese variables and their total scores as well. Third, the sub-variables of resilience and teaching efficacy affec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put in by stages. It showed total 22% of explanatory power, and goodness of f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