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기업의 ESG 실천 현황: ‘S(Social)’를 중심으로

        조상미,김아영,박윤세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In recent years, ESG has become mandatory for companies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S (social) in ESG is increasingly important. The current study aimed to present implications by developing a theoretical discussion on ESG centered on stakeholder capitalism and analyzing cases of how domestic companies are practicing ‘S’ management (DEI) of each stakeholder. As a result of the study,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of increasing importance of the “S” sector, domestic companies were also making efforts to systematically establish guidelines, dedicated organiza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throughout the DEI indicators. However, compared to the leading global companies such as Google and Microsoft, domestic companies seem to be responding somewhat passively. Starting with this study, more research is needed on approaching corporate sustainability or ESG from the perspective of DEI in Korea.

      • KCI등재

        지역사회 지원환경은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네트워크와 협력거버넌스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조상미,간기현,이수진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3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support environment of the local community on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how the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 Research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inkage between the suppor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and the actual growth of the local community network and governance, which in turn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In the meantime, if the impact o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al performance on some factors among support environment, network, and governance has been partially analyzed, this study expanded from the previous study to identify the above factors in one model. · Research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28.0 progra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the support environment on social economy performance and whether the support environment affects social economy performance through the double mediation of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each of the support environment,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each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environment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 performance. Third, it was found that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had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environment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 performanc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theoretical domain was expanded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support environment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it is important to resource regional networks and solidarity environments where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can be created, and civil society itself should be awakened and made efforts together. · 연구주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지원환경이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으로, 지역사회 지원환경이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를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연구배경: 정부 지원정책 기조에 따른 지역사회 지원환경이 실질적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성장시키고 이를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연계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그동안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지역사회 지원환경, 네트워크, 거버넌스 중 일부 요인에 대해 부분적으로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확장하여 위 요인을 하나의 모형에서 포괄적으로 확인하였다. · 연구방법: 지역사회 지원환경이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지원환경이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를 이중매개로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AMOS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분석법(SEM)법으로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첫째 지역사회 지원환경,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 각각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지원환경과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와의 관계에서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가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원환경과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와의 관계에서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대한 지원환경의 영향과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영역을 확장하였다.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 제고를 위해 네트워크와 협력거버넌스가 조성될 수 있는 지역 관계망, 연대 환경의 자원화가 중요하며 시민사회 스스로 각성과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참여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

        조상미,박윤세,간기현,조정화,정희수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論集 Vol.53 No.1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은 사회적 목적 실현과 동시에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기업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보다 높은 비용 구조를 감당해야 하는 등 지속가능성에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정부의 재정지원은 사회적기업에 최소한의 경제적 안전망으로 작용하여 자원을 마련하고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의 효과를 실증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정지원사업 참여 여부에 따라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재정지원사업 참여 개수에 따라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20년 12월 기준 서울시 소재 인증 및 예비 사회적기업 838개소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176개의 설문응답과 공시된 사업보고서 등을 활용하여 양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재정지원 사업에 참여한 사회적기업이 미참여 기업보다 사회적 성과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세부사업별 참여 여부에 따른 성과에서는 일자리창출사업 참여를 제외하고 모두 경제적 성과 또는 사회적 성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참여한 재정지원사업의 개수가 많을수록 경제적 성과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중소·중견기업 CSR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찰

        조상미,박초롱,정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how to make active corporate socialresponsibility of small and medium sized corpora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CSRvitalization methods were categorized by analytical criteria such as awareness enhancement,partnership, principles and guidelines and legal obligation. In addition, focus group interviewand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so as to assess the current CSR vitalization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external pressure and internal demand for CSRexecution even though the criteria for CSR of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was vague. The core factors for CSR vitalization and future direction were suggested. Internal corefactors for vitalization were CEO’s mind, employee awareness and sales improvement. Publicrelations, education, corporate partnership, case analysis and development should beaccompanied. When the virtuous cycle of internal motivation, atmosphere development,various financial assistance and legal obligation by the government, and sustainable externalstimulation was made, the active CSR of small and medium sized corporations will begradually facilitated. 본 연구는 중소․중견기업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성화방안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향후 실효성 있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중소·중견기업 CSR의 현황을 살펴보고, 2005년 이후 지금까지 제시된 활성화 방안들을 인식제고, 파트너십, 지침 및 가이드, 법적 의무화, 기타라는분석단위를 활용하여 분류하였다. 또한 전문가집단 심층면접(Focus Group Interview)및 개인면접을 실시하여 중소 ․ 중견기업 CSR의 현재를 살펴보고, CSR활성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활성화 방안은 16편의 문헌을 연도· 주체· CSR 분석단위의 분석틀을 통해 분류하였으며,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이를 고찰해 보았다. 문헌검토를 통해 중소․중견기업 CSR 활성화 방안의 시대적 특징 및 추세를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CSR 분석단위는 인식제고, 파트너십, 지침 및 가이드, 법적 의무화, 기타로 분류하였으며, ‘지침 및 가이드’, ‘법적의무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활성화 방안들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인터뷰를 통해 ‘지침 및 가이드’는 이미 포화 상태이며 그 실효성과 효과성에의문이 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법적 의무화’는 아직 시기상조임을 전문가들은 피력하였다. 한편 인식제고와 파트너십은 매우 중요하나, 홍보와 교육이 병행될 때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소 ․ 중견기업 CSR 활성화의 핵심요인 및 향후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CEO 마인드, 직원들의 인식, 매출향상은 활성화의 내부 핵심요인이며, 홍보 및 교육, 기업 간 파트너십, 사례분석 및 개발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내부 동기부여와 분위기조성, 정부의 법적 의무화, 지속적인 외부자극과의 결합이 선순환적으로 이루어질 때 중소 ․중견기업 CSR이 점진적으로 활성화 될 것이다.

      • KCI등재

        정부의 사회적기업 재정지원이 임파워먼트, 직무성과, 사회적자본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조상미,간기현,조정화,박윤세,정희수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22 시민사회와 NGO Vol.20 No.2

        It is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that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quantitative growth of domestic social enterprises. However, the issue of this continues to be raised, and discussions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social enterprises are also being conducted steadily. This study goes one step further from existing studies that have remained in the impact of financial support on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nd examines whether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affects the individual, organization, and ecosystem capabilities of social enterprises. To this end,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is divided into four financial support projects and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combined with policy funds and other government subsidies to examine the impact of each total on individuals (empowerment), organizations (job performance), and ecosystems (social capital). Therefore,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the effect of financial support of social enterprises on empowerment, job performance, and social capital by using Seoul-based certification commitments, job performance, and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survey responses and published business reports. As a result of the study,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had significant results in empowerment and social capital, but the four financial support projects did not have significant results in all variables. 국내 사회적기업의 양적 성장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친 것이 바로 정부의 재정지원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문제제기는 계속되고 있으며, 사회적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논의 또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재정지원이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머물렀던 기존의 연구들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자원의존이론 관점을 바탕으로 정부의 재정지원이 사회적기업의 임파워먼트, 직무성과, 사회적자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부의 재정지원을 네 개의 재정지원사업과 정책자금과 기타 정부지원금을 합한 정부재정지원으로 나누어 각각의 총액이 임파워먼트, 직무성과, 사회적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서울시 소재 인증과 예비사회적기업의 설문응답과 공시된 사업보고서 등을 활용하여 사회적기업의 재정지원이 임파워먼트, 직무성과, 사회적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정부재정지원은 임파워먼트와 사회적자본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으나 네 개의 재정지원사업은 모든 변수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 KCI등재

        취업장애인의 임금 결정 요인

        조상미,김지나,조정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장애와 고용 Vol.20 No.3

        취업장애인의 저임금은 장애로 인한 높은 추가비용과 공적급여의 미비로 인해 빈곤과 직결되어 있으며, 사회의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키는 심각한 문제이다. 따라서 취업 장애인의 임금을 결정하는 요인을 포괄적이고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발전적 방향에 대한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취업장애인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학적,장애관련, 인적자본, 노동시장 요인에 따라 분석하고 근로소득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차년도 장애인고용패널 데이터의 취업장애인 중 자영업자와 고용주를 제외한 임금근로자 1,21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구학적 요인에서 성별, 결혼상태, 연령이, 장애관련 요인에서 장애유형, 장애등급, 장애발생 연령이, 인적자본 요인에서 고용서비스 이용여부, 직업교육 경험여부, 자격증 유무, 직급, 교육연한, 근속연수가, 노동시장 요인에서는 노동조합 유무, 복리후생 유무, 종사상 지위, 일자리 산업내용, 사업체 규모, 월근무시간이 월임금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취업장애인의 임금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인적자본 요인과 노동시장 요인을 중심으로 제언하였다.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Korea earned income accounts for the major proportion of their total income. This is due to a lack of public assistance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which means working is the major source of income.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their earned income is very low, so their economic situation is precarious. Nevertheles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done on the determinants of earned incom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emographic, disability, human capital,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affect earned income. Throughout this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opos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olicy and practice to increase earned income. Utilizing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1,212 samples were analyzed. Results found that the type of disabilities, gender, vocational training, occupational type, and employment status influence the earned incom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is paper argues that the capabil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improved by individualized vocational training. This paper also recommends the expansion of the employment market in the public sector and enterprise sector.

      • KCI등재

        다양성 특성(Diversity Characteristics)은 어떠한 경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 소속감 및 다양성 조직풍토 인식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조상미,안소영,윤조현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4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workforce diversity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unique industrial background affect the perception of inclusion and diversity climate, as well as the turnover intention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diversity characteristics, gender marital status , age, working area and depar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inclusion and diversity climate. Second, among the diversity characteristics tha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re was a path that lowered turnover intention by mediating the climate for diversity and inclusion in married men than married women. An indirect path was found for those in their 20s, who had a high turnover intention, to mediate inclusion and lower the intention to turnover. In addition, working area and department lowered turnover intention by mediating the two perceptions, where there was no direct effect. Third, the perception of climate for diversity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perception of inclusion, and in the high perception of climate for diversity, inclusion steeply lowered the turnover intention. It is urgently necessary to prepare an effective diversity manag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ity identified in the Korean cultural context and unique organizational background. It was suggested that a cultural approach for all members is important beyond the focused diversity management of a specific minority group.

      • KCI등재

        다양성 특성! 조직 구성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차별, 배제, 불공정성 경험을 중심으로

        조상미,안소영,윤조현,정삼영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ity that cause discrimination, exclusion, and unfairness in the organiz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sociocultural and the organizational context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he proces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raising children, discrimination was found among married women. Second, the experiences of exclusion were found in the generational gap, the difference in the physical work environment, and the information sharing among the mainstream. Third, the experiences of unfairness were reflected in the unique organizational context, such as the education gap between employees in the manufacturing site, the different evaluation standards for each department, and the background groups formed during the mergers and acquisitions.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epare effective diversity and inclusion policies and practices for employees who regard themselves as non-mainstream. The cultural approach for all members was sugges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diversity-friendly human resource management.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조직의 독특한 맥락을 고려하여 조직 내 구성원이 차별, 배제, 불공정성을 일으키는 다양성 특성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심층면접을 통한 주제별 분석법과 삼각측정 방법을 활용하는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임신과 출산, 육아 과정에서 자녀가 있는 여성 기혼자의 차별 경험이 두드러졌다. 조직 내 차별 경험은 대개 성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여전히 전통적 관념으로 여성성이 규정되면서 성별에 따른 상이한 차별 인식이 나타났다. 둘째, 조직 내 배제 경험은 세대 간 격차, 물리적 근무환경의 다름, 주류들의 은밀한 정보공유에서 나타나, 한국 사회의 연공서열 및 지역적 집단주의 문화의 특성이 여실히 드러났다. 셋째, 조직 내 불공정성 경험은 제조공정 임직원 간 학력 격차, 근 무부서별 상이한 평가 기준 및 인수합병 과정에서 경력별 카르텔 형성 등에서 나타나, 독특한 조직적 맥락이 반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 다양성 관리는 다양성을 포용하는 제도적 기반과 다양성을 강점관점으로 바라보는 조직문화적 접근이 핵심임을 제시하였다. 상호 잠재력을 인정하고 구성원들이 다양한 역량을 발휘 하여 차별적 기여를 하고 더 나은 차이를 만들어가는 조직의 역량강화가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한국 사회의 각 분야에서 이러한 수월성을 가진 조직들이 사회적 영향력과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고 ‘포용과 다양 성’의 지역사회, 한국문화를 만들어 가는 탄탄한 마중물이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시민과 일반 시민은 사회적경제 인식과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가?

        조상미,정승애,정지수,박윤세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1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of ordinary citizens and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and suggest the future social economy policy directions. Through the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promoting policies with the core values of 'citizen-centered social economy,' 'local base,' and 'everyday experience.'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47 questions was conducted on 300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and 1,002 ordinary citizens. The data was analyz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ꠓsis and differe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economy perception of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Economy Revitalization 2.0 Plan wa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citizen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had higher empowerment than the general citizens.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ocial economy policies of Seoul had improved the citizens' social economy percepꠓtion and empower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can prove the continuing need for policies that can expand citizens’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본 연구는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고관여 시민’과 ‘일반 시민’의 사회적경제 인식과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향후 사회적경제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시는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추진계획’을 통해 ‘시민중심의 사회적경제’, ‘지역기반’, ‘일상체감’을 핵심가치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를 위하여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시민 300명과 일반 시민 1,0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빈도분석과 차이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사업에 참여한 시민의 ‘사회적경제 인식’이 일반 시민에 비해 높았다. 둘째, 사업에 참여한 시민이 일반 시민에 비해 임파워먼트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민중심의 사회적경제’를 표방한 서울시의 사회적경제 정책은 시민의 ‘사회적경제 인식’과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밝혀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시민중심, 지역기반, 일상체험의 기조를 바탕으로 시민의 참여와 인식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입증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