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CAB 경제적 태도 분석

        박영석,신혜원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ttitude of students toward an enterprise. We measured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questionnaire, which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open description and the scale displa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 toward the enterprise was positive but the affective attitude was negative. There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that responded to students' attitudes to enterprise. It was ‘making money’, ‘corruption’ and ‘contributing to economic development’ that the frequency is high as a description of the cognitive attitude. It was ‘scary’, ‘unbelievable’ and ‘bad’ that the frequency is high as a description of the affective attitude. Also, it was ‘I purchased and used the products of the enterprise’, ‘I visited the enterprise’, and ‘I got services at the service center’ that the most frequent description in the behavioral attitudes. This study represents that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was not negative in general, but that there is a need to be interested in the negative attitude formation factors because it still shows us both attitudes as positive and negative.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method including the open-ended questionnaire abundantly provided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respondent regarding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 We expect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e learning methods of the attitude study that is relatively weak. 본 연구는 학생들의 기업에 대한 태도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태도에 대해 개방형 서술과 척도 표시를 함께 할 수 있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의 기업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태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에 대한 인지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정의적 태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기업에 대한 태도를 응답하는 서술에서는 긍정적 서술과 부정적 서술이 함께 나타난 경우가 많았다. 기업에 대한 인지적 태도를 표현한 서술로 빈도수가 높은 것은 ‘돈 버는 곳이다’, ‘부정부패, 비리가 심하다’,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등이었다. 기업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표현한 서술로 빈도수가 높은 것은 ‘무섭다’, ‘믿을 수 없다’, ‘나쁘다’ 등이었다. 기업에 대한 행동적 태도를 표현한 서술로 빈도수가 높은 것은 ‘기업의 상품을 구매하여 사용해 봤다’, ‘기업에 견학 가 보았다’, ‘서비스센터에 가서 서비스를 받았다’ 등이었다. 이 연구는 우선, 고등학생들의 기업에 대한 태도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지 않았으나,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가 함께 나타난 경우가 많아서 부정적 태도 형성 요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태도 측정 방법으로서 개방적 기술을 포함한 방식이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태도와 관련한 응답자의 구체적인 태도 근거를 풍부하게 제공함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한국 고등학생의 타인종 · 민족 집단에 대한 태도 연구

        유종열(Yu, Jong Yo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인종 및 민족 집단들에 대한 태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그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학교 교육이 지향해야할 방향을 제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3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안다’고 인식하는 것과 ‘좋아 한다’고 느끼는 것은 다른(아는 것이 많다고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것이다. 둘째, 인지적 태도는 백인→흑인→일본인→북한인→중국인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의적 태도는 백인에 대해 가장 긍정적이었으며, 흑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동적 태도는 백인→북한인→흑인→중국인→일본인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태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정의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 간의 상관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타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올바른 태도 형성을 위해서는 의미있는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둘째, 인종과 민족 집단에 따라 다른 태도 특성이 나타나므로 이들 특성에 맞는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비교육적 집단의 요구에 의해 타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형성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며, 넷째, 타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태도 개선을 위해서는 인문·사회과학적 접근뿐만 아니라 자연과학적 접근이 합쳐진 융합적 접근을 해야 한다. 다섯째,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타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편견을 제거하고 다문화적 관점을 가지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The study identified Korean students’ (aged 16) attitude toward other races and ethnics groups. Firstly, Korean students assumed similar but a little different attitude from the prior researches in terms of cognitive aspect(stereotype). They had a positive stereotype for White as shown in the prior studies, but this was not the case for the surrounding countries. The students had stronger negative stereotypes against North Koreans than toward Japanese. Secondly, the students showed affective attitude toward other groups as follows: as for White, ‘respectable’ factor was high, ‘dislike·displeasure’ and ‘anxiety·discomfort’ were very low; as for Black, ‘pleasant,’ ‘likable,’ and ‘good’ factors were high, but ‘angry,’ ‘disliking,’ and ‘unpleasant’ were very low; as for Japanese, they evaluated high in cognitive aspect but low in affective aspect. They, in cognitive aspect for Japanese, had positive stereotypes such as ‘excellent’ and ‘hard-working,’ while negative biases such as ‘angry’ and ‘uncomfortable,’ ‘disliking,’ and ‘unpleasant’ in affective aspect. Attitude in behavioral aspect(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ers are as follows: White(3.70) won the highest score, followed in order of North Koreans, Black, Chinese, and Japanese. The students had the most positive attitude for White, whereas they had the most negative bias against Japanese. This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 needs to boost up favorable emotions, reducing unfriendly ones to diminish attitude toward foreigners. In other words, much information alone on other races or ethnic groups does not result in decrease in attitude toward foreigners.

      • KCI등재후보

        사범대생의 쓰기 태도 분석 -서울지역 K 대학교를 중심으로-

        오택환 ( Taeg Hwan Oh ) 한국작문학회 2009 작문연구 Vol.0 No.9

        사범대생 필자가 쓰기 태도에 관해 어떠한 인식의 경향을 보이는지 살펴봄으로써 그 의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지역 K 사범대생들의 쓰기 태도는 학년별로 차이를 보였고, 분석결과 학생들의 쓰기 태도 점수는 학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쓰기 태도는 남녀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분석 결과 학생들의 쓰기 태도 요소 가운데 ‘인식’은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 태도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쓰기 태도 발달을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쓰기 태도에 관한 연구에 앞서 먼저 독서 태도 발달에 관한 연구가 이뤄졌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쓰기 태도 발달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야 시행되었다. 인지·정의·행동요인을 포함하는 쓰기 태도는 쓰기 교육에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쓰기에 대한 인지적 영역인 능력과 전략 못지않게 중요하게 다루어져 야 할 정의적 영역인 쓰기 태도에 대한 보다 발전된 후속 연구가 뒤 따라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alysis of an attitude toward writing in teachers-college students, and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writing attitude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Writing of ``K`` teachers-college students in Seoul, it did see the difference by grade, the results of students writing attitud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scales between grades have been. On the other hand, it did not see the difference by genders, the results of students writing attitud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scales between genders ``recognition`` have been. Writing skills and strategies for the cognitive domains should be treated no less important writing attitudes for the affective domains that more advanced follow-up studies will follow later. We must discuss writing attitude education. And this discussion must be a foundation to recover and reinforce essential on writ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 KCI등재

        읽기 태도의 개념과 성격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6

        이 연구는 읽기 태도 검사 도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읽기 태도의 개념과 성격을 정리하고, 그것의 국어교육적 의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읽기 태도는 읽기를 추동하는 정의적 요인으로 읽기 능력과 성취, 자아 계발, 사회생활, 독서문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읽기 태도는 가치, 흥미, 선호, 동기, 의도와 구분되는 개념인데,‘ 읽기를 대상으로 좋고 싫음의 평가를 내리고 그러한 평가에 따라 읽기 상황에 접근하거나 회피하는 등의 반응을 일관되게 산출하는 심리적 경향’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이러한 정의는 읽기 태도가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읽기 태도는 읽기 교육의 목적이면서 결과이고 수단으로 볼 수 있으며, 관련 대상으로 전이되는 성질을 갖는다. 한번 형성된 읽기 태도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이나 변화가능성 또한 열어두고 있다. 읽기 태도는 학습에 의해 형성 가능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태도 교육이 가능하다. 읽기 태도 교육이 실효성 있게 전개되기 위해서는 우선 아동의 읽기 태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진단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읽기 태도 검사 도구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외국에서 개발된 것을 번역하여 사용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아동의 읽기태도를 측정하기에 어려움이 크다. 읽기 태도를 구성하는 요인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일이 필요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This study aims at arranging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an attitude toward reading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required for developing a testing instrument for the attitude systematically, and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the attitude in Korean education. As an affective factor of stimulating reading the attitude plays an important role in ability to read and achievement, self-development, social life, and reading culture. Distinguished from value, interest, preference, motive and intention, it can be defined as“a psychological tendency to make positive or negative evaluation about ‘reading’ and consistently produce a response such as approaching or avoiding the situation of reading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uch a definition means that it consists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elements. The attitude can be seen as a purpose, result and method of reading education,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transferred to related objects. Once formed attitude toward reading is continuous and stable, but also open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An attitude toward reading which can be formed by learning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systematic and intentional attitude education. Understanding and diagnosing a child`s attitude toward reading accurately should come before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However, the existing nonsystematic testing instrument for the attitude and the use of translated one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make it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attitude. That is why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factors which compose it and develop a testing instrument for it.

      • KCI등재

        스마트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강민채(Min-Chae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특수교사들의 스마트 교육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졸업 후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2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예비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 총 38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예비 특수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와 사후검증 방법인 Tukey 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특수교사들의 스마트교육 태도 수준은 전체 ‘보통이다’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행동적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의적 태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학년이 1학년보다 태도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실습 이수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유형별로 ‘인지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understand attitude toward smart education of preliminary special teachers who major in special education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support strategy for preliminary teachers after graduation for applying smart education to their students. To this end, 230 students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programs were studied.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attitude toward smart education of preliminary teachers consisted of a total of 38 questions including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o calculated general statistic analysis such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t-test, ANOVA and a post-verification method, Turkey were perform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 variabl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smart education behavior of prospective special teachers was ‘moderate’, and behavioral attitud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behavior, and the affective attitude was the lowe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grade is significant and attitude scores of seniors is higher than freshmen’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ttitude’ as sub-factors of attitude by whether the practice teaching was conducted.

      • KCI등재

        수학 기초 학력 부진 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태도 연구

        권주석,장대준 한국발달장애학회 2008 발달장애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수학 기초 학력 부진 아동으로 진단된 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수학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남Y시의 초등학교에서 수학과 기초 학력 부진 아동으로 진단된 107명이다. 이들의 개인요인, 가정환경요인, 교사,학급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학습태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이원변량(Two-Way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재, 개인요인 중에서 지능은 수학 기초학력 부진 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 요인 중에서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수와 가정의 학습 지원 수준은 수학 기초 학력 부진 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의 학습 지원 수준은 수학과 기초 학력 부진 아동의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학급요인 중에서 담임교사의 성별과 학급 분위기는 수학 기초 학력 부진 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기초 학력 부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지도는 지능, 사회경계적지수 그리고 가정에서의 학습지원정도 등이 고려되어야한다. 둘째, 수학의 학습태도는 지능과 가정에서의 학습 지원 수준을 고려하여 지도해야한다.

      • KCI등재

        국내 주요 과학 교육 학술지의 정의적 영역 연구 동향

        김선희(Kim Seon Hee),정찬미(Jung Chan Mi),신동희(Shin Do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에서는 지난 30여 년 간 과학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국내 연구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과학 교육 학술지 중 한국과학 교육학회지와 초등과학교육에서 2014년 마지막 호까지 발간된 논문 중 정의적 영역 을 명시적/암묵적으로 제시한 820개의 논문이다. 선정된 논문을 대상으로 정의적 영 역의 제시 범주와 경향,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방법, 연구 분야, 정의적 영역 요소를 기준으로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명시적 제시의 비율이 암묵적 제시보다 약 6배 정도 높았으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정의적 측면의 연구 비율이 감소했다. 자료 수집 방법의 경우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정의적 영역 요소 중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관련 연구 비율이 가장 높 았다.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명시적/암묵적 제시 비율과 질적 연구와 혼합 연구의 비율의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연구 분야가 보다 다양화 되었다.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 연구의 감소에 비하여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교수 관련 태도의 증가가 나타났다. 끝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한 총체적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과 학 교육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studies related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in science education over the past 30 years in various aspects. We analyzed explicitly/implicitly presented 820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an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s of until the last volume of 2014. And we grasped the overall flow based on proposed scope, trends of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the object of study, research methods, research areas, factors science related attitud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the explicit presentation was about six times higher than the implicit presented and science related attitude research ratio decreased as the school level increases. For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was done more than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ratio of attitude towards science learning is the highest among factors of science related attitude. Looking at the trend by year, explicit/implicit proposed rate and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studie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areas of research has been more diversified. Generally, attitudes toward learning science and attitudes related in science teaching increased than the reduction in the attitude of the scientific research. This research provide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overall results illuminat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 태도 분석

        최윤선(Youn-Su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들의 무용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전공별, 남녀별, 학년별로 구분해 분석했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하는 전공자 남녀 각각 126명, 357명을 대상으로 Jadranka et al.(2014)가 고안한 무용태도 질문지법을 이용해 정의영역, 인지 영역, 행동 영역별로 구분해 조사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남ㆍ여간 무용에 대한 태도 분석결과 정의적 태도 영역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p<.05), 전공 간 분석결과는 실용 무용 전공자들이 발레나 한국 무용 전공자들보다 무용에 대한 정의적 반응이 보다 긍정적이었다(p<.05). 학년별 무용 태도는 저 학년인 1 학년이 고 학년인 4 학년보다 정의적 태도에서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p<.05). 향후 이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할 때는 보다 많은 조사 대상자와 남녀, 전공, 학년별 균등한 조사 대상자 선정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선정 대상자 또한 수도권에 국한하지 말고 전국에 걸쳐 선정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ance attitude differences between gender, majors, and grades. Attitudes-towards-dance inventory(Jadranka et al., 2004) which covered affective, cognitive, and action aspects of attitudes, as well as to reflect, in a similar number of items,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s dance was used to investigate dance attitude for 483 dancers who are collegian. Male students were more positive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among dance attitudes than female students(p<.05). Dancers who major practical dances revealed more positive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than dancers majoring ballet and Korean treditional dance(p<.05). In addition, freshmen have a more positive dance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compared with seniors. It was suggested that more subjects should be studied from considering major, local university as future study.

      • KCI등재

        초등영어 수업 유형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순용,홍진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8 교육과학연구 Vol.3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원어민 영어 협력 수업을 포함한 초등영어 수업의 유형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초등학생의 동기, 흥미, 불안 심리, 자신감의 정의적 영역 항목이 원어민 영어 수업 형태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와 수업 형태에 따른 정의적 영역의 변화 차이를 야기하는 요소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 영어 학습에 있어 ‘원어민 내국인 교사 연합 유형’, ‘원어민 교사 주도형’, ‘내국인 교사 단독형’의 수업을 각기 받고 있는 세 집단의 서울 소재 공립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을 모두 사용한 혼합연구 방법을 이용했으며 수집한 자료는 정의적 영역의 범주로 나누어 분류한 다음 이를 시기별, 집단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원어민 영어 수업 형태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호도 및 학습효과를 파악하고 각 유형별 개선 방안을 강구해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 원어민 협력 수업이 수업 유형별로 다양하게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집단 간 유의차를 보이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영어 교육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업 유형별로 고려될 수 있는 사항을 탐색하여, 원어민 협력 수업을 통한 영어 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모색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native English speaker assisted instruction on the affective domai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ee questions were used to guide the research. First, what differences do the three types of instruction show in the affective domain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ch as motivation, interest, anxiety, risk-taking, and cultural familiarization? Second, which factors of the three types of instruction bring about the differences in affective domain changes? Third, to what extent d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 native English teacher assistedx English instruction and how can it be accommodated in practi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ree subject groups of student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Each group was instructed in a classroom of "native English teacher and Korean teacher collaborative type," "native English speaker as lead teacher type," or "Korean teacher only typ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ixed research method that combine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n the first and second phases of th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the final phase. Before-and-after surveys, participant observations, interviews, documentation, recordings, video recordings, and transcriptions were utilized in the process. The collected data were divided into affective domain categories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period and group. The overall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is that native English teacher assisted instruction influenced and produc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ffective domain of elementary students of the subject groups. Therefore different factors that contribute to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instruction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native English teacher assisted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