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력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01 발달장애연구 Vol.5 No.1

        This study is to inquiry for collaborative tcaching methcxIs betwee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the spccial education teacher to include special classroom contained students atgeneral classroom. The crilical issues of this study is compose to (1) the relationshipbetwecn full inclusion and collaborative teaching, (2)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3) and the collaboration methods to help a instruction of special studcnts at the general classroom.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ollowed.First, It should be emphasis the collaboration teaching to promote full inclusion forspecial classroom ctuldren at the gcncral classroom. It should be concemed on the interaction among trait, task, and teacher. This means to consider the curricula, the children,Second, It should be directi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special educational needs studcnt, but the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al needs student. The paradigm of the full inclusionshould be change to Ihe paradigm according to dcgree of inclusion from the paradigm as aplacement of special childrcn.Third, It should be design the systcms to lessen the prejudicc between gencral education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it should be change the each teachers' roles,general education teacher to teach general stud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teachhandicapped children. All teacher should be teach all studcnt.Fourth, It should be study for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pecial children. Toteach special students at the general classroom is the besl for all. But It should be considerthe situation, condition, and children trail of the effective teaching melhods for the specialchildren. 본 연구는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을 일반학급에 통합시켜 지도하기 위해서 일반교육 교사와 특수교육 교사가 협력하여 지도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통합교육과 협력교수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로써 비교적 통합교육과 협력교수가 용이한 특수학급으로 제한하였다. 또한, 통합교육과 협력교수는 타교장의 지도성과 교사의 의지에 의하여 그의 성패가 결정된다고 보기 때문에, 단위학교에서 이뤄건야 하는 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내용은 장애학생에 대한 통합교육의 연구 방향과 협력교수의 관계, 일반교육 교사와 특수교육 교사의 협력교수 성격, 그리고 특수학급 학생의 학습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협력교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장애학생에 대한 통합교육의 방향을 협력교수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일반교육 교사와 특수교육 교사의 협력교수는 협력교수의 기본적인 성격과 구조 그리고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협력교수를 저해하는 요인을 밝히고, 그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지적장애아동의 표현 언어기술에 미치는 효과

        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15 발달장애연구 Vol.19 No.1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on expressive language skill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lteration of verbal expressive language and usage of expressive language in the appropriate contex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se communication functions were analyzed. For the interventional programs hospital play, shopping play and birthday play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munication function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was effective on the verbal expressive languag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was effective on the children to express the suitable contexts using verbal expression. Third, the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was varied depending on the abilities of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discussing correlation between disabilities degree or languages character of subjects and effectivenes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and the varied effect of interventional programs depending formal experience and familiarity of the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지적장애아동의 표현 언어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려는 것으로 지적장애아동의 구어적 표현 언어의 변화, 그리고 표현 언어의 맥락 적절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3명의 지적장애아동이다. 이들의 의사소통 기능 분석 결과에 따라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은 병원놀이, 가게놀이 그리고 생일잔치 프로그램이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안내하기, 시범보이기, 활용하기 절차에 따라 지도하였다. 중재효과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에 의하여 처리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지적장애아동의 구어적 표현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둘째,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은 지적장애아동이 언어적 맥락에 적절하게 표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구대상자의 장애정도와 언어적 특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과 지적장애아동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경험, 친숙성 그리고 성취기준에 따라 다른 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학적 게임이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권주석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수학적 게임이 수학학습장애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어느 정도 효과를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시설에 거주하는 22명의 초등학생을 11명의 실험집단과 11명의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수학적 게임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15주간 투입하고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친 결과를 반복측정에 의한 변량분석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게임은 수학학습장애아동의 수학적 불안, 수학적 태도, 수학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특히, 수학적 게임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수학적 불안이었다. 둘째, 수학적 게임은 수학학습장애아동의 수학적 불안과 신뢰감의 긍정적 요인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또한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동기, 수학 유용성의 부정적 요인 감소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학적 게임은 수학학습장애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지도 방법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Research indicates that emotional factors toward mathematics affect learning disabled students' performance in mathematics. Using a sample of 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 divided equally at random in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a mathematical game on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mathematical game program for 15 weeks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were placed in the conventional teaching setting.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 tes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multiple outcome measures reflecting students' level of anxiety, belief, attitude, motivation, and utilization in mathematic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articipation in mathematical gam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level of anxiety, attitude, and utilization. In particular, mathematical games were most effective in releasing mathematics related anxiety. Second, while a mathematical game boosted the positive factors of mathematics-related anxiety and belief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it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the negative factors of attitude, motivation, and utilization in mathematic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mathematical game i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improve learning disabled students' emotional orientations toward mathematics

      • KCI등재

        수학 기초 학력 부진 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태도 연구

        권주석,장대준 한국발달장애학회 2008 발달장애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수학 기초 학력 부진 아동으로 진단된 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수학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남Y시의 초등학교에서 수학과 기초 학력 부진 아동으로 진단된 107명이다. 이들의 개인요인, 가정환경요인, 교사,학급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학습태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이원변량(Two-Way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재, 개인요인 중에서 지능은 수학 기초학력 부진 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 요인 중에서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수와 가정의 학습 지원 수준은 수학 기초 학력 부진 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의 학습 지원 수준은 수학과 기초 학력 부진 아동의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학급요인 중에서 담임교사의 성별과 학급 분위기는 수학 기초 학력 부진 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기초 학력 부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지도는 지능, 사회경계적지수 그리고 가정에서의 학습지원정도 등이 고려되어야한다. 둘째, 수학의 학습태도는 지능과 가정에서의 학습 지원 수준을 고려하여 지도해야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인 권리 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수용태도 및 인식 분석

        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16 발달장애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and analyze how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ake and perceive the recently in effect act on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the parents reside in the Gwangju and Jeonnam area. 185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4.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had high level of understanding and expectation for the act, but they showed low level of acceptance for the national policies regard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acceptance of people without disability. The parents think highly of guarantee of self-determination and right in judicial and criminal proceeding and think lowly of exclusive prosecutor and judicial police officer system, measure to prevent crime target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elfare service appliance and penalty system. The parents experienced cases of physical abuse, neglection, bullying and sexual abuse in this order. The parents request welfare services in the order of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support, employment and vocational training, care and support and early diagnosis support. The parents seek aid in the order of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center, community service center, school and education offic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discuss and suggest amendments regarding act on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발달장애인지원법’)이 시행되면서 장애학생 부모의 수용태도 및 인식이 어떠한 지에 대하여 조사ㆍ분석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ㆍ전남지역의 장애학생 부모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185개의 질문지는 spss win 24에 의하여 통계 처리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수용태도는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우선 적용과 발달장애인지원법에 대한 이해와 기대는 높은 수용태도를 나타냈으나, 발달장애인에 대한 국가정책과 비장애인의 태도에 대해서는 낮은 수용태도를 나타내었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에 대한 인식은 법에 나타난 자기결정권의 보장과 형사ㆍ사법 절차의 권리보장 등은 높게 인식하는 문항이었다.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전담검사 및 사법경찰관제도, 발달장애인 대상 범죄 예방 조치, 복지서비스 신청제도, 벌칙, 양벌규정 등의 적정성 등은 낮게 인식하는 문항이었다. 장애학생 부모가 경험한 피해 사례는 장애학생에게 신체폭력 및 유기, 집단따돌림, 그리고 성폭력 순이었으며, 장애학생 부모가 요구하는 복지 서비스는 재활 및 발달지원, 고용ㆍ직업훈련, 돌봄 및 휴식지원, 그리고 조기진단 순이었다. 그리고 장애학생 부모가 주로 찾는 기관은 발달장애지원센터, 읍면동사무소, 학교 및 교육청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 수용태도 및 인식에 근거해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시행 초기부터 바로 잡아야 할 점에 대하여 논의하고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