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학 관련 내용 분석

        유종열(Yu Jongyo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2

        이 연구는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개발된 15개의 사회 교과서 중 10개 교과서를 선정하여 사회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0개 교과서 모두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학 관련 내용 요소들을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별로 반영하고 있는 학습 요소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동일한 사회학적 개념에 대해서도 서로 다르게 설명하는 내용 요소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검정 교과서 제도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별로 다루는 내용 요소에서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해 학생들이 혼란을 느끼게 된다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특히 입학시험이나 전국 단위 학력 평가에서 시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에 ‘최소필수내용요소’를 제시하거나 내용 편성은 교과서 집필자에게 맡기는 대신, 입학고사나 전국단위의 학력평가는 ‘최소필수내용요소’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한다면 교과서간 기술 내용의 차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 함께 사회과 교사들이 다양한 교과서에 수록된 사회학 관련 내용들을 종합적 파악하여 수업에 임한다면 교과서별 내용 차이에서 오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comparatively analyze how the 7th graders’ social studies textbooks embrace the sociologyrelated units on the basi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ten textbooks among fifteen newly edited ones. All the books in the study embodied substantially the contents that 2007 curriculum recommends. Each textbook, however, presented different details with regard to particular contents. In addition, the same contents even revealed differentiation in terms of way of explaining or delivering meanings. Different factors in textbooks have possibility of making students confused. This might discolor advantages of the system of authorized textbooks. For the compensation of the defect, it is recommended to identify ‘minimal learning contents’ and introduce the hierarchy of the concepts included in textbooks, on the basis of which evaluation questions should also be developed.

      • 중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의 지향

        유종열 ( Yu Jong You ) 인구교육센터 2010 인구교육 Vol.3 No.-

        이 연구는 중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이 다문화 교육에 대하여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교육의 목적과 지향점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다문화 교육의 양상은 매우 복잡하고 다면적인 양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때로는 서로 모순된 관점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다문화 교육의 관점은 동화주의를 넘어 다문화주의를 지향하고 있었으며, 다수자 대상의 소수자 이해 교육과 모두를 위한 교육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 편성의 전체적인 맥락은 기여적 내지 부가적 교육과정에 머물러 있지만, 구체적인 교육 목표와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변혁적 접근이나 사회적 행동 접근으로 규정지을 수 있는 특징들을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을 본 연구자는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먼저 사회과 교육과정 개편 과정에서 다문화주의적인 이념 체제를 도입하면서도 민족주의적인 지향성을 강화하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은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우리 나라 상황에 맞는 다문화 교육의 개념, 목표 범위, 내용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즉, 학교와 사회가 다문화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충분한 여건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how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pproache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purpose, goals and ori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extracted through a critical study on literature. Based on the result,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analyzed from the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research reveal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not only highly complicated multilateral aspects but also contradictory points of view throughout the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Even though the whole context accords with the contribution approach and the additive approach, specific objective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embrace characteristics of defined as the transformative approach and the social action approach. The following two factors account for the phenomenon. First, the 2007 revised curriculum has strengthened nationalism as well as multiculturalism Secondly, the sharply increasing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has not allowed for due consideration to fully establish concepts, aims, scope,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초,중등 교사의 결혼에 대한 가치관 분석

        유종열 ( Jong Youl Yu ) 인구교육센터 2013 인구교육 Vol.6 No.1

        학교 교육은 교사의 교수활동을 통해 구체적으로 구현된다. 교사들의 교육 활동은 학교 교육의 질과 성취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동하며, 학생들의 지식 및 가치관 형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저출산?고령사회를 대비한 교육적 노력들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결혼에 대한 가치관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실태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그에 대한 문제점과 대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루어졌다. 교사들은 결혼에 대해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5,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활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대상자 중 4,495명(응답률: 89.9%)이 응답에 참여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결혼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을 한 교사는 응답 대상자의 73.8%였다. 이를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세분하여 살펴보면,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남교사가 여교사 보다, 20대와 50대 이상이 30~40대보다, 기혼자가 미혼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결혼 및 가족 관련 교육을 시킨 경험이 있거나 연수를 받았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 보다 결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2006년 조사와 비교해 보면 결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다소 높아(결혼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 응답: 70.3%→73.8%) 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교사들은 이상적인 결혼 연령으로 남성은 29.1세, 여성은 27.8세라고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학교에서 보다 친가족적 가치관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가 친가족적 가치관을 가져야 하며, 교사의 사회 환경과 교육 환경을 친가족적으로 바꾸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It is very important to cover knowledge and values of marriage and family in school education. Since teachers embody school education through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teachers` views of marriage and family play a critical role in deciding the quality and achievement of school education. What views do teachers hold toward marri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73.8% of teachers surveyed gave positive responses to marriage. Its demographic analysis revealed there were positive responses among more men than women, among more 20s and 50s and over than the 30s and 40s, and among more married people than unmarried. Additionally, those who have ever taught or have been trained about marriage and family hol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marriage than those who have not. A little more teachers (70.3%->73.8%) have became to recognize marriage as necessary than in 2006 survey. Teachers answered the optimal age to marry is 29.1 for male and 27.8 for female. Teachers, therefore, should have family-oriented values to foster family-oriented values in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need to be changed toward family-oriented for teachers.

      • 교사의 수업 개선 및 협력적 교수활동과 신뢰 수준 간의 관계

        유종열(Yu, Jong Youl)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보편적 신뢰 수준과 수업 개선 및 협력적 교수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교사들의 보편적 신뢰 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 개선 활동 참여 정도는 연 2회가 가장 많았으며, 대화 내용은 학생들의 수업 태도 및 행동에 대한 것이 가장 많았다. 셋째, 공개 수업을 통해 수업에 대한 반성과 고민을 더하게 되었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수업에 대한 열의가 높아졌다는 응답은 많지 않았다. 넷째, 교사의 신뢰 수준이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수업 개선과 협력적 교수활동에 적극적이었다. 다섯째, 신뢰 수준이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수업 공개 후 자신의 수업 변화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교사들이 수업 개선 및 협력적 교수활동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학교 내에 다양한 소그룹을 만들어 소통하고 연대하며 생각을 교류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가 학교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 평가는 공정해야 하며, 학교 내부에서 정한 규칙이나 절차는 일관성 있게 지켜야한다. 셋째, 교사의 신뢰 수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The research studied the real conditions of teachers’ general trust level, lesson improvement, and collaborative teaching, the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The result revealed that teachers relatively had a high confidence in society. Secondly, the number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ctivities for lesson improvement twice a year ranked the highest. The most frequent topic that teachers talked about with their colleagues was their learners’ attitudes and behaviors. Thirdly, many teachers replied they reflected more and speculated more on their lesson with the open classes as a momentum, but little improvement on their enthusiasm for classes. Fourthly, the teachers with high level of trust engaged more actively in lesson improvement and collaborative teaching than the teachers with low level of trust. Fifthly, the teachers with high level of trust considered their changes in teaching more positively after the open classes than the teachers with low level of trust. Based on the analyses, the researcher suggested designing education in the following directions to promote more active participation from teachers in lesson improvement and collaborative teaching: firstly,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communicate and share ideas through a variety of small groups within a school; secondly, it is necessary to foster the atmosphere that teachers trust their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a school has to evaluate its teachers’ performance fairly and maintains consistency in its regulations and procedures; a school needs to develop the programs to improve the universal trust level of teachers, attracting active participation from teachers.

      • KCI등재

        협동학습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유종열(Yu Jong Yo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와 관점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 다. 연구결과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 나 ‘협동학습은 다인수 학습에서 실시하기 어렵다’, ‘협동학습 활동 과정에서 학생들 이 상처를 입을 수 있다’, 그리고 ‘협동 집단을 구성하면 모든 수업 활동에서 협동 학습의 효과가 나타난다’ 등에 대해서는 다른 항목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학습이 효과적인 학생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학업 성취도와 상관 없이 ‘모든 학생’에게 효과가 있다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협동학습이 효과적 인 영역에 대해서는 ‘사회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협동학습이 효과적인 사고영역으로는 탐구력, 의사결정력, 창조력, 비판적 사고 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들이 나타나는 원천에 대해서는 동료 간의 교수 활동이나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교사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관점은 한 가지 유형으로 정형화하기는 어려 웠으나 변혁적, 교류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The study has probed into teachers understanding and viewpoints about cooperative learning. The findings reveals that teachers understand cooperative learning at the high level. The teachers, meanwhile, shows relatively conceptual misunderstanding in terms of Cooperative learning is difficult for a large class, Students could get hurt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learning, Cooperative groups has striking effects on all class activities, etc. In addition, the survey received the most strong responses about the statement that cooperative learning works for every student and for improving social skⅢs. As for the thinking skⅢs, cooperative learning takes effect in the order of inquiring mind, decision-making, and critical thinking. Teachers recognize these effects result from teaching or interaction between peers. Teachers standpoints depart from the standard pattern, but most teachers view cooperative learning from a transformative or a transactional perspective.

      • KCI등재

        미디어가 재외동포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종열(Yu, Jong Youl)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6 글로벌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등학생이 가지고 있는 재외동포에 대한 인식에 미디어(방송)가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재외동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위해 필요한 교육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고등학교 2학년 295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방송에 비친 재외동포의 모습은 출신국별로 차별화되어 있었으며, 긍정적인 인식보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함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것을 시사했다. 첫째, 뉴스나 방송에서 재외동포를 다룰 때 특정 지역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또 다른 지역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다루는 것을 피하고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을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둘째, 어느 특정지역의 재외동포의 삶에 대하여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발생시킬 수 있는 방송 내용 요소를 제거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미디어(방송)를 통해 재외동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나 고정관념을 줄이기 위해서는 재외동포의 삶과 문화를 현상적이고 추상적으로 다루기보다는 심층적이고 구체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The study aims at disclosing the influences of Media on how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overseas Koreans and then suggesting educational ideas, which are essential to understand overseas Koreans correctly. The research studied 295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media tended to produce overseas Koreans programs biasedly by their country of residence. In addition, the students had more negative views of overseas Koreans than positive ones. The analyses suggested the following measures: firstly, the media need to give balanced coverage to overseas Koreans by avoiding positive reports about some areas or negative reports about other areas; secondly, the media need to refrain from broadcasting contents fostering hierarchical ranking among overseas Koreans; thirdly, the media should produce overseas Koreans programs in more deep and specific ways to reduce negative perception or stereotype through the media.

      • KCI등재

        저출산 문제에 대한 사회 이론적 접근

        유종열(Yu Jongyo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4

        이 연구에서는 교환이론의 관점에서 저출산 문제를 검토하고 그 정책적 대안들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환이론의 형성과 발전, 출산율의 변천과정과 원인, 그리고 교환이론적 관점에 터한 저출산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논의과정을 통해 사회과 교육 전문가들과 실천가들로 하여금 출산율 저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 가능성을 이해하고 대안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고민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교환이론은 행태주의, 합리적 선택이론, 집단의 사회심리학에서 영향을 받은 이론으로서 1960년대 이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론 자체의 정교화와 유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환이론에서는 사회문제 해결방안으로 균형화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한 균형화 전략에는 먼저, 동등한 가치의 다른 것으로의 보상이 있다. 둘째, 다른 보상 원천의 개발이 있다. 셋째, 새로운 자격이나 지위 획득이 있다. 제도 개선을 통해 유자녀 가구에 대해 새로운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넷째, 강제력의 사용이다. 이는 자녀가 있는 가구와 그렇지 않은 가구 간에 사회적 혜택에서 차별을 두는 것이다. 다섯째, 연합적 활동이 있다. 유자녀 가구의 가구주 혹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대우 개선을 위한 사회 행동을 전개하고 정치적 압력을 행사하기 위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유자원의 질 향상이다. 유자녀 가구의 여성을 위한 특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가지고 있는 교환 자원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The study examines problems of low fertility in terms of exchange theory, providing alternative policies to the issue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 intends to find solutions to low fertility, based on the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xchange theory, the changes and the causes of fertility, and the viewpoint of exchange theory. Exchange theory is affected by behaviorism, rational choice, and social psychology. The theory has been under vibrant research since the 1960’s, extending its sophistication and usefulness. It has enormous potentials for development as a sociological theory. Exchange theory normally seeks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through balance strategies. The first balance strategy is compensation through a substitute equivalent to a loss. The second is developing other sources for compensation, such as providing various income sources for childbearing women. The third is acquisition of new qualification and position, which abolishes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ose women through institutional improvement. The fourth is enforcement of legal force, which makes distinction between families with children and families with no children. The fifth is solidarity, which develops social actions for enhancing childbearing women’s status and treatment or exercises the right to vote for political pressures. The last is upgrading the quality of those women’s property, which enhances the value of exchangeable resources with specialty development programs.

      • 학교 인구교육의 운영 사례와 실천 과제-학교인구교육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유종열 ( Yu Jong Youl ) 인구교육센터 2014 인구교육 Vol.7 No.-

        본 연구는 학교 인구교육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학교 인구교육의 실천 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특히,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던 학교인구교육 사례들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인구교육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SWOT) 요인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인구교육의 강점으로는 인구교육에 참여하는 이론가와 실천가들의 강한 열정, 학교 인구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재 개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 등이었다. 약점으로는 학교 인구교육의 저변이 약하고, 학교 인구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법률적 뒷받침이 부족하며, 학교 인구교육 담당자의 잦은 교체를 들 수 있다. 기회요인으로는 학교 인구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문 인력 확보의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학교 인구교육의 성격과 특성에 대한 전문가 집단 간의 갈등이나 정부 지원의 유동성 등은 위협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학교인구교육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강점과 기회 요인은 유지하면서 약점과 위협 요인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함을 제언 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current situation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and suggest action plans for school population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For the purpose, the study analyzed school population education project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o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dentifying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factors. According to the research, strong passion of theorists and doers engaged in that fiel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materials, continuous interest served as strength factors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On the other hand, fragile infrastructure, lack of legal support, and frequent changes of the persons in charge served as weakness factors. Increasing social requirement for school population education and better chances of securing population experts served as opportunity factors. And last but not the least, a conflict between expert group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dentity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worked as threat factors along with the fluidity of government supports.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for the vitalization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strength and opportunity factors need to be promoted, making weakness and threat factors reduced.

      • 위험사회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기술·합리적 접근에서 사회·문화적 접근으로

        유종열 ( Yu Jong-youl ),윤수정 ( Yun Soo-jeong ) 인구교육센터 2016 인구교육 Vol.9 No.1

        본 논문은 재난이 일반화된 사회, 즉 위험사회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대 사회의 위험들과, 한국사회에서 발생하는 위험(재난)의 발생원인, 그리고 위험사회에 필요한 시민적 자질은 무엇이며,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위험 사회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검토 및 분석은 위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사회과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재난 및 위험 사회의 도래는 압축성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위험과 재난은 개인의 힘으로는 결코 제어할 수 없으므로 위험과 재난에 대비한 안전은 공공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위험과 재난에 대한 대비의 일차적인 책임은 국가에 있으며, 위험에 대비한 교육 역시 국가가 책임지고 해야 할 기본적인 책무 중에 하나이다. 위험과 재난에 대비하는 안전이 공공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시민교육에 여러 가지를 시사한다. 안전의 확보는 개인의 힘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므로 공동체 전체가 함께 노력하고 협력해야 한다. 협력하는 사회는 위험과 재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협력하는 사회는 사회 구성원들이 국가, 사회, 그리고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신뢰가 있을 때 가능하다는 사실에 주목해야한다. 그런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시민교육에서는 협력하는 사회나 신뢰 향상과 관련된 논의가 그리 많지 않으며, 위험(재난)에 대한 접근 방식도 추상적이고 구체성이 결여된 경우가 많다. 특히 현대 사회가 가지고 있는 위험의 본질적인 측면을 제대로 탐색하고 해결 방안을 구안할 수 있는 내용이 결여되어 있다. 이는 2015 개정사회과 교육과정을 통해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위험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에서는 사회가치관 측면이 강조되어야 하며, 한걸음 더 나아가 사회시스템과 제도가 위험 사회에 얼마나 잘 대응하고 있는지를 감시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도 길러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probed the direc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risk society, where disaster has became a new normal. The study analyzed what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preparing for the risk society, exploring risk factors in contemporary society, causes of disasters in Korean society, and citizenship qualities needed in risk society. The review and analysis from the study could be used as a point of reference in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students for risk society. It can be said that the compressed economic growth in Korea has resulted in the advent of risk society. In additi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hould be in public realm as individuals cannot effectively control them.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take primary responsibility for implementing disaster and safety measurements and for providing safety education. The fact that disaster and safety control belongs to the public realm suggests several key points in terms of citizenship education. Safety should be secured through the effort and cooperation from the whole community, not just by each individual. Cooperative society can effectively handle dangers and disasters. For the cooperative society, each social member needs to have mutual confidence in government, society, and other individuals. Regretfully, however, the current civic education does not include enough discussion related to cooperative society or public confidence level. What is worse, its approach toward disaster and safety lacks specificity and detail. To put it concretely, it lacks contents to analyze fundamental risk factors and come up with solutions. The researcher identified this problem throughout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emocratic civic education should stress social values to cope with risk society. On top of that, it should cultivate capacity to filter and analyze how well social safety system and policy are working.

      • KCI등재

        사회과 예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연구

        유종열(Yu, Jongyo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과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은 정교한 수준에 도달해 있었으며 학년 간, 전공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1순위로 꼽은 좋은 수업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이었으며, ‘학습자의 사고력을 길러주는 수업’, ‘학습자들에게 흥미있는 수업’이 그 뒤를 이었다. 셋째,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할 지식으로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을 가장 중요시 하였다. 넷째, 앎에 대한 신념이 정교한(sophisticate) 예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들에 비해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좀 더 중시하였다. 그리고 지식과 앎에 대한 신념과 좋은 수업 실행을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할 지식의 종류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면서, 창의적인 인성을 갖춘 예비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들의 지식과 앎에 대한 신념, 즉, 인식론적 신념을 정교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운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 and their perception of good less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 represented a highly sophisticated level, hav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grade and major; secondly, the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selected ‘lessons with acti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s the number one good lesson, followed by ‘lessons enhancing thinking ability’ and then ‘lessons intriguing students’; thirdly, they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subject contents knowledge’ as the essential qualification necessary for teachers to implement good lessons; fourthly, those who have more sophisticated epistemological belief in knowledge set a higher value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an those no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lief in knowledge and teacher qualifications for good lessons. The researcher, based on those findings, argued that creative preservice teachers in this information age could be cultivated through developing and managing programs, which aim to sophisticate their belief in knowledge, or epistemological belie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