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후기술협력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정보 제공 및 시스템 구축 연구

        김지환,이천환 한국환경경영학회 2019 환경경영연구 Vol.11 No.-

        신 기후체제의 대응의 일환으로 기후기술의 국외 이전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기후기술 이전에 따른 양자 협력을 통한 온실가스 국외 감축량을 확보할 수 있고, 국내에서도 기술 개발의 활성화를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16년 11월에 발효된 파리협정은 선진국의 개도국 지원과 국내 기후기술의 국외 진출을 위한 기후기술 사업화 및 거래 활성화를 중요시 하고 있어 국가들 간의 기후기술협력의 중요성은 계속 강조될 것으로 전망 된다. 이미 우리나라 정부는 기후기술의 검색 및 정보의 공동 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체계 구축을 위해 ‘기후변화대응기술 확보 로드맵(CTR)'에서 국내외 기후기술 정보를 활용하여 기후기술협력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의 구축 계획을 수립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기술협력의 활성화를 위해 어떠한 정보가 요구되고 있고, 어떠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위해 구축된 국가기후기술정보시 스템(CTis, Climate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서비스를 하고 있는지를 소개하였다. As part of the response to the new climate regime, the importance of climate technology transfer is growing. This is because greenhouse gases reductions from abroad can be secured through bilateral cooperation due to climate technology transfer, and also domestic technology development can be sought in Korea. In particular, the Paris Agreement, which entered into force in November 2016, emphasizes the commercialization and trade of climate technology in order to support developing countries, the importance of climate technology cooperation among countries is expected to be emphasiz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In the climate technology roadmap, Korean government has already planed to develop an information system that can promote climate technology cooperation by utilizing climate technology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what information is required and what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for vitalization of climate technology cooperation, and also introduces the Climate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CTis) built up for the above objectives

      • KCI등재SCOPUS

        온라인 기술이전정보의 통합 콘텐츠 관리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서진이,임대현,정혜순,Seo, Jin-Ny,Lim, Dae-Hyeon,Jeong, Hye-Soo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5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6 No.1

        The aim of online technology transfer market is not just to offer meeting place for technology seller and technology buyer, but to save cost and time in technology transfer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echnology transfer. Providing timely information in technology transfer is important. As such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technology transfer information is requir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technology transfer. The existing online technology transfer sites provide simple technology information and can not check and update information from technology seller or buyer. This paper present an example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technology transfer information which provides technology seller and buyer timely information. 온라인 기술이전시장은 단순한 기술 수요자와 공급자가 만나는 자리일 뿐만 아니라 기술이전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이전에 있어서 그 시간적, 물리적 비용을 줄이는 데 그 존재의 이유가 있다. 기술이전시 정보제공에는 시의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콘텐츠 통합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종래의 온라인 기술이전정보 제공 사이트는 단순한 기술정보의 제공과 수시로 발생하는 기술판 매자나 수요자의 갱신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요자나 기술공급자에게 보다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온라인 기술이전정보 통합 시스템에 대한 구현의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정밀의료기술 연구와 적용 : 수집 대상 정보 관련 법제를 중심으로

        배현아(Bae, Hyun-A)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의생명과학과 법 Vol.24 No.-

        정밀의료기술은 개인의 유전 정보, 임상 정보, 생활습관 정보 등을 분석하여 질병의 진단, 치료, 예측,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최적의 맞춤형 의료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정의된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정밀의료기술 개발을 위한 수집대상 정보는 유전 정보, 임상 정보, 생활습관 정보 등으로 구분되며 그에 따라 생명윤리법과 의료법,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관련 법제들의 규제대상이 된다. 또한, 정밀의료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는 인간대상연구로 기관위원회의 심의 대상임과 동시에 연구 과정에서 가명처리 등을 통해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한 과학적 연구 특례 대상이 될 수 있다. 정밀의료기술을 적용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각 정보보호 관련 법제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정보보호와 정보 활용의 균형을 고려한 새로운 법정책이 필요하다. 정밀의료기술과 같은 새로운 의생명과학기술의 도입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법률의 경직성을 극복하기 위한 보건의료법체계 상 변화가 필요한데, 구체적으로는 의료서비스 제공 주체 제한,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의 한계 등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밀의료기술을 적용하여 실제로 맞춤형 의료와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 합의와 충분한 정보 제공 과정을 통해 불확실성이 내재된 과학기술에 대한 대응과 위험관리 절차가 필요하다. 그래야만 기존 전통적인 의료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밀의료기술의 실질적인 활용이 가능해질 것이며 이를 통해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Precision medical technology is defined as a technology that analyzes genetic information, clinical information, lifestyle information, etc. to provide personalized medical practice and healthcare services for diagnosis, treatment, predict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iseases. The information to be col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precision medical technology is classified into genetic information, clinical information, lifestyle information, etc., and related laws according to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Medical Service Act,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e subject to regulation. Research of precision medical technology is categorized as human subject research by Bioethics and Safety Act and is subject to examination by the institutional review committee, and at the same time, it may be subject to scientific research exceptions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rough pseudonymization. In order to apply and utilize precision medic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consistency of each of these information protection-related laws, and a new governance for considering both inform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In order to applicate precision medical technology, changes in medico-legal system are needed to overcome the rigidity of the law.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ubject and the contents of the heath care service provided. In addition, in order to actually provide personalized medical and healthcare services by applying precision medic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inherent uncertainty and risk management procedures through social consensus and sufficient information process for consumers. Only then will it be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medical services and to make practical use of precision medical technology, thereby securing competitiveness of the biotechnology and heathcare service industry.

      • KCI등재후보

        정보시스템 관련 지식 및 기술의 신 분류구조

        김용겸 한국기업경영학회 2009 기업경영연구 Vol.16 No.4

        1990년대 중반 이후 프로그래밍전문가에 대한 수요보다는 정보기술/정보시스템 전략과 기획․분석 등 경영전반의 문제를 정보기술이나 정보시스템 등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정보시스템전문가는 경영지식 및 경영관리기술 등을 고루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시스템에 대해 정보시스템전문가는 물론 정보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일반사용자의 인식 등이 급격히 변해 가고 있는 시점에서 학계 및 산업계에서 필요한 정보시스템 관련 지식 및 기술에 대해 분석해 보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므로 학계와 산업계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한 경영지식 및 경영관리기술을 비롯하여 정보시스템 관련 지식 및 기술에 대해 포괄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의 정보시스템전문가의 학문적 준비 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왜냐하면 정보시스템 관련 교수 또는 전문가의 프로토콜로부터 얻어진 핵심 지식 및 기술 영역에 대한 목록이 제시되기 때문이다. 정보시스템 관련 연구는 경영학, 경영정보학, 컴퓨터공학 등 학제적 성격을 띠고 있어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연구된 결과에 대한 포괄적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이제는 단순히 정보시스템의 기술 및 서비스 차원을 뛰어 넘어 기업의 경쟁우위와 연계시키는 노력이 필요한데, 이는 기술적 측면도 중요하지만 특히 국가 및 사회 시스템과 기업의 조직시스템에 대한 고려가 더욱 더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계와 산업계 등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된 정보시스템 관련 지식 및 기술의 기존 분류구조에 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후 상기의 주요 내용이 포함된 정보시스템 관련 지식 및 기술에 대한 신 분류구조를 대분류→중분류→소분류 항목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신 분류구조에 의하면 정보시스템 관련 지식 및 기술을 국가 및 사회시스템(환경적 차원), 조직시스템(관리적 차원), 기술시스템(기술적 차원)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렇게 기술시스템과 비기술시스템을 구분함으로써 일반인들이나 경영관리자들, 그리고 일반 정보교육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분류구조의 형태를 띠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보시스템 관련 지식 및 기술에 대한 신 분류구조는 정보시스템 관련 지식 및 기술에 관한한 포괄적 분류구조라고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시스템전문가는 국가 및 사회시스템, 조직시스템, 기술시스템에 대한 지식 및 기술 등을 모두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그러나 신 분류구조는 기존 분류구조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것이므로 한계점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신 분류구조 및 관련 항목들은 신중하게 해석되고 응용되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자는 학계 및 산업계의 공통적 관심 주제나 이슈 등을 다루기 위해 대화채널 등을 통해 상호 협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It is a point to be considered that information systems(IS) are an important strategic tool for achieving and maintaining competitive advantage for the enterprises survival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e large amount of knowledge/skills accumulated in IS today has created a status where the IS researchers need some sort of taxonomy to construct the IS classification schemes and link with its relational items(i.e. IS knowledge/skills). Owing to growing demand of IS specialists, not programming experts but IS experts with management skills, to resolve the general management problem(e.g. IS strategy formulating/planning/analyzing/etc.) by utilizing IS, IS specialists are necessary especially to have management knowledge and skills. To meet this demand, educational institution like universities have make a variety of curriculum designed to prepare students for careers in IS. Due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IS, there is much debate about schemes of curriculum in IS. Few Standards are existed to introduction and evaluation of such taxonomy in relation to the needs of IS students and specialists. When considering the changes of IS cognition of general user as well as IS specialists,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IS knowledge/skills to be necessary in academia(research) and industry(practice). The key questions were what are the expected changes in IS knowledge/skills required by IS specialists an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expected changes on IS curriculum. It can also serve as a guide for recruiting the IS specialists and developing IS curriculum. IS specialists need a balance of both social/managerial and technological knowledge/skills to develop IS that satisfy customers’ requirement. Unfortunately, there is no complete consensus about which knowledge/skills are more important in the IS field. The paper has been an attempt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required IS knowledge/skills so that educators, researchers, and specialists may better prepare for the future. Therefore, it is very significant to analyze comprehensively IS knowledge/skills as well as management knowledge/skills to be focused on the demand of academia and industry. Because of having relation between the study results and academic preparation of future IS specialists, it presents very important implications. That’s why it presents a list about IS knowledge/skills categories observed in the protocols of IS educators or IS researchers or IS specialists.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classification schemes(foreign and domestic study) on the IS knowledge/skills is reviewed. Second, based on this review, the researcher induce the limit 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the new classification schemes based on the six prepositions are then presented. It need to analyze comprehensively the results of diverse studies area because IS study has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e.g. management, MIS, computer science, etc.). It is time to strive with competitive advantage of enterprises besides IT and service area. It means that the national․social/organizational dimensions as well as technological dimension of IS are also import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new classification schemes(i.e. large → medium → small taxonomy: symmetric 3 level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chemes) about IS knowledge/skills after investigating the structures of existing classification schemes of IS knowledge/skills to be focused on the demand of academia and industry. It is desirable that the researcher consider the next prepositions to present the new classification schemes with few duplication/easy understanding/multiple items improving the limit of various researchers: First, classification schemes are characterized by (symmetric 3 level) large → medium → small taxonomy not array structure/large → medium taxonomy/asymmetric structure. The new classification schemes are expressed by...

      • ICT 발전트렌드에 대응하는 공간정보의 환경이슈 적용 체계 구축 : 빅데이터 분석과 위성영상 활용을 중심으로

        이명진 ( Moung-jin Lee ),이정호 ( Jeongho Lee ),윤정호,심창섭,김근한,채성호,이선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기본연구보고서 Vol.2017 No.-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공간정보 중 위성영상을 중심으로 최근 주요 이슈가 되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융합을 통하여 해외 선진 사례와 국내 주요 환경 이슈에 대응하는 시범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년도 연구 성과를 통하여 위성영상이 환경공간정보 전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외 위성영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환경 분야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고찰하였다. 더불어 해외 선진 사례 중 실제 위성영상과 ICT 기술을 융합한 사례(토양수분 변화 분석을 통한 가뭄 감지)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술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범연구(전북지역)를 수행하였다. 전년도 연구 결과를 통하여 피력한 바와 같이 최근 다양한 환경이슈의 해결을 위하여 실질적인 도구로서 위성영상의 활용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에 정밀 지구관측을 통한 환경문제 대응을 위하여 우리나라는 2020년까지 총 8대 이상의 위성을 운용할 예정이다. 이러한 기조에서 위성영상의 환경공간정보와 ICT 기술의 융합·활용이라는 연구주제의 기술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구관측 위성, 기상·해양·환경 위성, 정지궤도 환경위성으로 분류되는 위성영상 비교 분석 및 이기종 위성영상의 활용 사례 특히, 위성영상과 ICT 기술의 융합 활용의 해외실증 프로젝트 사례를 조사하였다. 더불어 빅데이터(Big Data) 분석 중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을 활용하여 기존의 국내 위성영상의 활용 현황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위성영상이 주류로 활용되고 있는지, 시기별·분야별로 정밀 분석을 수행하여 이기종의 위성영상의 환경공간정보와 ICT 기술의 융합 활용을 통한 환경이슈 대응 방안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다면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토양수분의 실질적 사례에 대한 위성영상과 ICT 기술 융합 활용의 기술적 체계인 기술지도를 작성하였으며, 기술지도 내용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시범연구를 진행하였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관측 및 검증에 필요한 정보를 ICT 기반으로 연계하여 분석·활용하는 방안을 구현하였다. 추가적으로 향후 발전된 ICT 기술과 위성영상의 융합 활용에 대하여 재구성을 통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및 향후 환경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국내외 위성영상의 특징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지구관측 위성(아리랑 시리즈, Landsat 시리즈) 및 기상·해양·환경 위성(천리안 시리즈 등), 정지궤도 환경위성(TEMPO, 천리안-2B GEMS 등)으로 대분류하여 국내외 위성의 제원을 조사·정리하였다. 이기종 위성영상의 활용 사례 조사에서는 국내 지구관측(아리랑 시리즈) 위성, 기상·해양·환경(천리안 시리즈) 위성, 환경 주제도를 활용한 55건의 문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지구관측 위성의 활용 사례는 수문학적 재난 등 총 15건, 국내 기상·해양·환경 위성의 활용사례는 토양수분 증발량에 관한 연구를 포함하여 총 18건, 환경 주제도의 활용 사례는 토양 침식계수 선정 등 총 22건이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조사된 총 55건의 융합 활용 사례는 재난재해, 농업, 산림, 해양, 수질, 및 기후의 6개 분야로 구분되어 분석되었다. 국내의 대표적인 아리랑과 천리안 위성 사례 및 환경주제도 사례를 분석한 결과, 55건의 사례 중 약50%의 연구가 토양수분과 직·간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재난재해분야에서 14건 중 9건, 농업분야에서 7건 중 7건, 산림분야에서 8건 중 3건, 해양분야에서 3건 중 1건, 수질분야에서 17건 중 5건, 기후분야에서 6건 중 1건에서 토양수분과의 직·간접적인 연관성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국내 위성과 환경분야 주제도 중심의 융합 연구로서 토양수분에 대한 연구가 적합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토양수분 관련 위성영상과 ICT 융합 활용 실증 사례를 조사하였다. 분석된 위성영상 및 ICT 융합 활용 해외 선진 사례는 ‘Afsis 프로젝트’, ‘WEAM4i 프로젝트’, 및 ‘ERMES 프로젝트’ 등이 해당된다. 각각의 사례에 대하여 위성영상과 ICT 기술이 토양수분의 환경이슈 부문에서 어떠한 기술적 역할을 담당하며 활용되는지 조사·정리하였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기종 위성영상 융합 활용 분석에서는 빅데이터 분석방법 중 비정형 데이터 및 자연어 분석방법인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는 전년도에 개발한 R프로그램 기반의 텍스트마이닝 프로그램의 자체 개선을 통한 네트워크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기존의 국내 위성영상의 활용 현황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어떠한 위성영상이 주류로 활용되고 있는지, 시기별·분야별로 정밀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기종 위성영상 융합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이는 위성영상의 공간해상도, 분광해상도 및 시간해상도로 구분하여 융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이기종의 위성영상의 환경분야 융합 활용에서 기반이 되는 중심 분광 파장대역, 공간 해상도 등을 도출하였다. 이기종 위성영상의 융합 활용방안으로서 공간해상도가 좋은 지구관측 위성과 시간해상도가 좋은 기상·해양·환경 위성을 융합하여 보완 활용이 필요하며, 특히 향후 천리안 2B호에서 제공하는 300~500nm 파장대역에서 융합 활용할 수 있는 지구관측 위성의 활용이 필요하다. ICT 기술을 반영한 위성영상 중심의 환경공간정보 활용 재구성에서는 전술된 융합 활용방안을 토대로 토양수분의 실질적 환경이슈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토양수분에 대한 위성영상 및 ICT 기술의 적용 및 활용 체계 구축을 기술지도 작성을 통하여 제시했으며, 이는 토양수분 관련 해외 실증 프로젝트(위성영상과 ICT 융합)의 국내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해외 실증 프로젝트의 1) 위성영상 이용 토양수분 정보 획득, 2) ICT 플랫폼 구축을 통한 외부데이터 연계, 3) 분석·활용 서비스 제공의 세 단계의 구성을 통한 토양수분 관련 위성영상 및 ICT 기술의 융합 활용을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체계를 구축하여 제시하였다. 기술지도 내용 중 국지적 토양수분 관측 및 ICT기반 외부데이터 연계를 통한 분석·활용하는 방안을 구현하기 위하여 실제 시범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시범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위성영상 중심의 환경공간정보 및 ICT 기술을 융합하여 토양수분의 환경이슈를 해결하는 활용 방안을 토양수분 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토양수분에 위성영상 및 ICT를 활용한 환경이슈 적용 체계는 우선적으로 지구관측 위성 및 환경관측 위성의 이기종 위성영상을 중심으로 기후·대기 관측정보, 토양수분 관련 실측자료 및 관련 주제도가 필요하다. 각각의 활용 가능한 환경공간정보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기상위성센터, 국가환경위성센터, 기상청, 농촌진흥청 및 KEI 등에서 생산 및 관리하고 있다.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ICT 기술 중 ‘빅데이터 플랫폼’, ‘인공지능인지컴퓨팅’, ‘클라우드컴퓨팅’, ‘IoT(Internet of Things)’, ‘5G 유·무선 네트워크’의 기술을 활용하여 농업생산량 예측, 가뭄피해 예측, 농사정보 등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및 정책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정책제언에 대한 검토는 네 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환경주제도 갱신(내용 및 주기) 고도화의 필요성이다. 현재 환경주제도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토지피복지도이고, 토지피복지도는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기초로 제작된다. 즉, 향후 토지피복지도 갱신, 더 나아가 환경주제도 갱신 및 고도화를 위해서는 위성영상 중심의 기본 자료 및 최신 ICT기술이 적재적소에 융합되어야 한다. 이는 4차 산업혁명 기반 일반 국민 대상의 신산업가치 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적극 활용할 수 있으므로 토지피복지도 및 관련 환경주제도의 갱신을 위한 적극적 기술 개발 투자 및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위성영상의 제도적 위상 재정립의 필요성이다. 현재 위성영상과 관련한 국내 법·제도적 규정에서는 위성영상은 위성정보(통신, 음향 및 음성 등을 포함)의 일종이며 위성의 정보 생산 목적 및 활용에 따른 위성정보의 구분 및 정의는 명시하지 않고 있다. 원격탐사 방식의 위성영상 정보는 환경뿐만 아니라 기상, 국토 관리, 교통, 재난재해, 기후변화 등 다양한 국민생활 이슈에 공간정보 형태로 활용이 가능하고, 이종 원격탐사 위성 간의 자료 융합 및 분야별 융합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향후 이에 대한 수요처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원격탐사 방식의 위성정보에 대한 관리와 이용에 대해 별도의 새로운 제도적 체계가 필요하다. 셋째, 위성영상 정보 접근성 확장의 필요성이다. 위성영상의 고유의 활용 및 ICT 등 타분야 융합을 통한 정책 적용 잠재성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위성정보의 접근 통제 환경을 점진적으로 완화할 필요가 있다. 위성영상 정보 관련 법 및 제도 내 정보 보안에 관한 조항 등의 수정은 물론, 정보보안 및 군사안보와 관련된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에서 운용하는 위성영상 관련 보안규정 역시 정보 접근성 완화를 골격으로 한 개선이 시급히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신정부 정책의 실천을 지원하는 민간기업의 참여 확대의 필요성이다. 신정부 100대 국정과제 내 주요 전략은 일자리 창출이며, 이는 원격탐사 방식 위성정보 활용 서비스의 핵심인 처리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미래 신성장 동력의 핵심 기술로서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다. 또한 시장 규모로 볼 때 대기업이 아닌 중소 전문기업 또는 스타트업 규모에서 집중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아이템이다. 따라서 원격탐사 분야와 ICT 분야, 이를 융합 활용하는 분야에서 활용 서비스 스타트업 및 전문 중소기업의 육성을 신정부 내 국정운영의 한 축으로 하는 게 중요하며, 원시 위성영상 생산 이후 자료 처리 및 유통 단계서부터 정부 또는 국가기관 주도가 아닌 민간기업의 참여를 정책적으로 장려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ase study of best practices overseas and a pilot study to deal with major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through integration of ICT that has recently become a major issue, focusing on satellite images among various kinds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ase in which satellite image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all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made in the previous year. In addition,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atellite images in Korea and overseas, and examined the cases in which they were used in the field of environment. Furthermore, an applicable technology roadmap was drawn up to apply the case in which satellite images and ICT are integrated ― detecting drought by analyzing the variation of soil moisture ― to Korea, and a pilot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roadmap in Jeonbuk. There is more and more use of satellite images as an actual tool to resolve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as shown in the previous year’s research findings. Thus, to cope with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precise earth observation, South Korea will manage at least 8 satellites by 2020. Consider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opic which is integration and use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of satellite images and ICT,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satellite images classified into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meteorological/ocean/environmental satellites, and geostationary environmental satellites. In addition, it studied cases in which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are used, especially verifiable projects from overseas about integration and use of satellite images and ICT. Moreover, multifaceted analysis was attempted to empirically review measures against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integration and use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of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and ICT by conducting a detailed analysis by period and field in order to determine which satellite images in particular are mainly used in Korea, using text mining among big data analysis. Based on this analysis, a technology roadmap was drawn up, which is the technical system of integration and use of satellite images and ICT in the actual case of soil moisture.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study area for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technology roadmap. Then a method was implemented to analyze and use the data required for observation and verification using satellite images based on ICT. In addition, an application plan was presented based on restructuring of integration and use of ICT and satellite images developed later.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and global satellite imag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current and future environment field. Data of local and global satellites were also investigated and summarized by classifying them into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rirang series, Landsat series), meteorological/ocean/environmental satellites (Chollian series, etc.), and geostationary environmental satellites (TEMPO, Chollian-2B GEMS, etc.). In the case study of using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total 55 literatures were examined, which used domestic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rirang series), meteorological/ ocean/ environmental satellites (Chollian series), and environmental thematic maps. Total 15 cases including hydrologic disasters were examined in the case of using domestic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total 18 cases including studies on soil moisture were examined in the case of using domestic meteorological/ocean/environmental satellites, and total 22 cases including selection of soil erosion factor were used in the case of using environmental thematic maps. These 55 cases were analyzed in 6 fields: disaster, agriculture, forest, ocean, water quality and climate. As a result of analyzing cases of Korea’s leading satellites Arirang and Chollian as well as environmental thematic maps, about 50% of 55 cases we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soil moisture. More specifically, direct or indirect correlation with soil moisture was found in 9 out of 14 cases in the disaster category, 7 out of 7 cases in the agriculture category, 3 out of 8 in the forest category, 1 out of 3 in the ocean category, 5 out of 17 in the water quality category, and 1 out of 6 in the climate category. This showed that research on soil moisture is adequate for research on integration and use of domestic satellites and thematic maps in the field of environment. Based on the above,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integration and use of soil moisture-related satellite images and ICT. The advanced cases about integration and use of satellite images and ICT included ‘AfSIS project’, ‘WEAM4i project’, and ‘ERMES project’. This study examined and summarized which technical role is performed by satellite images and ICT in the environmental issues of soil moisture for each case. In analyzing the integration and use of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using big data, the text mining method was used, which is a method of analyzing unstructured data and natural language among various methods of big data analysis. This was conducted in a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self-developed text mining program based on the R program developed in the previous year. A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time and field regarding which satellite images are mainly used in Korea. In addi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ntegration and use of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was analyzed. This was categorized into spatial resolution, spectral resolution and temporal resolution to present integration method. Based on the above, central spectral wavelength range, and spatial resolution were elicited, which form the basis of integration and use of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in the field of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and use the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with good spatial resolution and meteorological/ocean/environmental satellites with good temporal resolution as a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use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that can be ingegrated in 300-500 nm wavelength band provided by Chollian 2B. In restructuring the use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focusing on satellite images that applied ICT, a measure to resolve actual environmental issues of soil moisture was present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lan of integration and use. To this end, a technology roadmap was drawn up to establish th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scheme of satellite images on soil moisture and ICT, which is intended to apply global advanced projects related to soil moisture (integration of satellite images and ICT) in Korea. More specifically, a technological system is established and presented to apply the integration and use of soil moisture-related satellite images and ICT from overseas verifiable projects in Korea through the following steps: 1) acquiring soil moisture data using satellite images, 2) linking external data by establishing the ICT platform, and 3) providing analysis and utilization service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n actual study area for demonstr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method to analyze and use the data by linking ICT-based external data and observing local soil moisture among the content of technology roadmap. Finally, this study restructured the plan to integrate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focused on satellite images with ICT to resolve environmental issues of soil moisture into a soil moisture time-space monitoring system. The system to apply to environmental issues using soil moisture satellite images and ICT need soil moisture data and climate/air observation data derived from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of earth and environmental observation satellites, as well as in-situ data on soil moisture and related thematic maps. The available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are produced and managed by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 Cente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KEI. Based on this data, ICT such as ‘big data platform,’ ‘artificial intelligence cognitive computing,’ ‘cloud computing,’ ‘IoT (Internet of Things),’ and ‘5G wired and wireless network’ can be used to predict agricultural production, forecast drought damages,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consumers such as farming data, and support policy decision making. Review of policy suggestions was carried out in four views. The first is the need to renew and upgrade the environmental thematic maps (content and cycle).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of the environmental thematic map is land cover map, which is made based on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graphs. In other words, to renew and upgrade the land cover maps as well as environmental thematic maps,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basic data focusing on satellite images and latest ICT in the right place. This can be actively used as the basic data to create new industrial values for the general public based on quaternary industries. Thu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vest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nduct research to renew land cover maps and related environmental thematic maps. The second is the need to reestablish the systematic status of satellite images. In the current legal-systematic regulations related to satellite images in Korea, satellite images are a type of satellite information (including communications, sound and voice), without providing their purpose of creating information and distinguishing or defining satelli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ir use.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s in the form of remote sensing can be used as spatial information in various issues of national life, such as environment, climate, land management, transportation, disaster and climate change. integration of data among multi-sensor remote sensing satellites and integration among different fields can be relatively easy, and demands for this is expected to grow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new system regarding management and use of remote sensing satellite information. The third is the need to expand accessibility to satellite image data. To actualize the potential for policy application with the use of satellite images as well as integration with other fields like ICT,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ease the current access control of satellite information. Provisions about information security in laws and systems related to satellite image data must be amended. In addition, security regulations related to satellite images managed by government departments and affiliated agencie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and military security must also be improved immediately, with focus on alleviating access to information. The fourth is the need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private enterprises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government policies. The major strategy in the 100 major government projects by the new government is creating jobs, and development of processing software, which is the essence of remote sensing satellite information service, can be acknowledged as the key technology of new future growth engine. Furthermore, not large companies bu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or startups can focus on this business in terms of market siz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nurture service startups or specialized SMEs in the fields of remote sensing, ICT and integration and use of these fields as a major part of governance in the new government. It is also necessary to politically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enterprises instead of having the government or a national institution lead the entire project from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after producing raw satellite images.

      • KCI등재

        특허정보 분석 방법을 이용한 지상무인화 기술 분야 핵심 특허 및 기술 분석

        박재용,Park, Jae Y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7 No.5

        무인화 기술은 전기, 전자, 기계, 인공지능 기술과 ICT 기술 등 다양한 기술들을 융 복합하는 대표적인 기술이다. 특히 지상 무인화 기술은 군사 분야에서 많은 연구 개발과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활용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정보 분석을 위해 새로운 특허정보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 지상 무인화 기술 관련 특허정보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특허정보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핵심특허 및 기술을 추출하기 위한 특허정보 분석 프로세스는 6단계로 분석 대상 기술선정, 세부 기술 분류, 특허정보 수집, 특허정보 분석 방법 선정, 특허정보 분석, 마지막으로 핵심특허 및 핵심 기술 추출로 이루어 진다. 세부적으로 지상무인화 기술에 대한 기술 분류를 실시하고, 특허지수인 CPP와 IPC 코드 연결성 분석을 통해 지상 무인화 기술의 핵심기술과 핵심특허를 추출하였다. 제시된 특허정보 분석 방법을 이용한 특허정보 분석 결과는 다양한 분야의 기술에 적용하여 분석이 가능하고, 향후 연구개발 방향을 전망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Unmanned technology is a representative technology that integrates various technologies like electric, electronic, mechanical, artificial intelligence, ICT technology, ect. In special emphasize, ground technology has been developing exponentially in the military field and expanding its utilization area. The patent information analysis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proposes a new patent analysis methodology for patent information analysis and patent information on unmanned ground technology. The patent information analysis processor has 6 levels to extract core patents and technologies. The process consists of: selection of technology to be analyzed, classification of detailed technology / key keyword selection, patent information collection / noise reduction, selection of patent information analysis method, patent information analysis, finally, core patents and key technologies that are extracted. Patent information on unmanned ground technology is also analyzed in this study. First, the technical classification of ground unmanned technology is carried out in detail. The core technology and core patents of ground unmanned technology were extracted through CPP and IPC code connectivity analysis. The results of patent information analysis using proposed patent information analysis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technology and analysis. These can be used as a material to foreca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technology to be analyzed.

      • KCI등재

        안면인식기술을 이용한 생체인식정보의 활용과 그 한계 : 실종아동 등 신원확인을 위한 법제를 중심으로

        김송옥(Kim, Song-Ok),권건보(Kwon, GeonBo) 한국헌법학회 2021 憲法學硏究 Vol.27 No.1

        안면인식기술이 국가에 의한 감시의 도구로 전락할 위험성에 따라 그 확대에 대해서는 논쟁적이다. 중국이 이 기술을 전면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인권침해국가라는 비난을 받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이 기술의 금지 또는 확장을 놓고 활발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감시의 위험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이유는 감시의 효과가 곧 기본권 제한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것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에 대한 제한만이 아니라 표현의 자유, 일반적 행동의 자유 등 여러 기본권들을 동시에 제한할 수 있다. 특히 CCTV에 안면인식기술이라는 AI 기술을 적용할 경우, 감시는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정보주체가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위험성은 높아진다. 그러나 유럽연합의 기본권보호청(FRA)이 안면인식기술에 관한 보고서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기술은 또한 테러와 같은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거나 실종아동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찾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전면적인 금지는 어려울 전망이다. 또한 수집의 편리성이라는 이 기술의 효용으로 인하여 출입국심사와 치안 등 제한적인 영역에서는 이미 사용 중에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은 실종아동을 찾기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의 필요성에 착안하여, 안면인식기술을 적용한 CCTV 영상 처리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여러 위험성과 법적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러한 위험성을 차단하고 문제점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의 GDPR를 포함한 개인정보보호법제를 참고하고, 안면인식기술에 관한 유럽연합내 최근 논의들을 따라가며 참고할만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어떠한 선한 목적의 정보처리시스템이라도 그 오용과 남용의 위험성은 항시 존재하므로, 시스템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법률에 근거한 시스템 도입 및 운영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나아가 목적제한의 원칙, 데이터최소화의 원칙 등 개인정보처리의 기본원칙들을 준수하도록 하고 정보주체의 열람권, 처리거부권, 정정권 등 개인정보보호권을 보호하며, 이러한 원칙들이 준수되고 있는지와 아울러 정보주체의 권리들이 제대로 보장되는지에 관한 정기적인 개인정보 영향평가와 감독기구에 의한 모니터링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expansion of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is controversial depending on the risk of becoming a tool for surveillance by the state. While China is accused of being a human rights violation state by the full use of the technology, active discussions are underway over the ban or expansion of the technology in the U.S. and European Union. The reason why the risk of surveillance should be taken seriously is that the effect of surveillance is linked to fundamental rights violations. It can simultaneously limits not only privacy secrets and freedom, but also various fundamental rights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and general freedom of action. In particular, if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one of AI technology, is applied to CCTV, the risk of surveillance increases because it can be done remotely and in real time without the data subject recognition. But as the European Union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FRA) points out in its report on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it is also unlikely to be a full ban, given that it could be a quick and efficient way to respond to situations like terrorism or find missing children. In addition, due to the utility of this technology, the convenience of capture, it is already in use in restricted areas such as immigration and security. Under this background, this paper aimed at diagnosing various risks and legal problems posed by the introduction of CCTV systems applied with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and suggesting ways to prevent the risks and solve the problems. To this end, it was intended to refer to the EU’s data protection laws, including GDPR, and to follow recent discussions within the European Union on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to obtain some useful implications. Ev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ood purposes, there is always a risk of misuse and abuse, so it is essential to operate the system based on law to improve transparency in its introduction and operation. Furthermore, it should comply with the basic principles relating to personal data processing, such as the principle of purpose limitation and data minimization, protect the right of data subjects, such as right of access, right to object and right to rectification. Also, regular privacy impact assessments and monitoring by supervisory bodies should be conducted on whether these principles are being followed and whether the rights of data subjects are properly guaranteed.

      • KCI등재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보는 지능정보기술 도입시의 쟁점에 대한 탐색적 논의

        서형준(徐亨準)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0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3 No.4

        지능정보기술 분야에서 후발주자인 한국은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지능정보기술의 도입은 긍정적인 영향 못지않게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하고, 사회적으로 상반된 의견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능정보기술에 따라 야기될 사회적 논쟁을 행동경제학적 관점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비합리성을 설명하는데, 갈등이 단순히 합리적 대안이 아닌 개인 가진 인식 및 프레임에 기인한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정보기술 도입에 따른 대표적인 쟁점 사항으로 시민통제, 노동대체, 개인정보침해 등 이슈를 행동경제학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설명하는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시민통제는 이중 프로세스 이론과 휴리스틱 이론을 적용하여, 시스템 1의 사고와 가용성 휴리스틱에 따라 시민들이 지능정보기술이 시민을 억압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인식을 강화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둘째, 노동대체는 프로스펙트 이론을 적용하여, 노동대체는 시민들에게 손실회피성, 보유효과, 현상유지 바이어스, 공정성 등에 따라 시민들이 지능정보기술의 등장으로 고용환경변화 등을 손실로 여기기 때문에, 기본소득도 해결방안이 되지 못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개인정보침해는 프레이밍 효과를 적용하여, 시민들이 개인정보활용에 따른 이득보다 손실프레임을 강화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시민들이 지능정보기술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제언으로 첫째, 지능정보기술의 활용 주체인 공공부문에 대한 신뢰를 증진시키고, 둘째, 기술결정론적 시각이 아닌 인간중심의 지능정보기술 도입 정책을 구현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Korea that is a second mover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have made policies with regard to proliferation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the introduction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es not only positive effect but also negative effect, so it causes social controversy. In this study, it explained social issue which is caused by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with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Behavioral economics that stems from alternative economics have been appli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According to behavioral economics that can explain well irrationality of human choice, the reason of conflict stems from individual perception or frame. In this study, it conducted exploratory study that explained the issues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civil control, labor replacement, and privacy infringement with the behavioral economics frameworks that have dual process theory, heuristics, prospect theory, and framing effect. First, according to dual process theory and heuristics, citizen can increase their bias that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can be used as civic control tool. Second, according to prospect theory, due to loss aversion, endowment effect, status quo bias, and fairness, citizen will feel that change of employment environment by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can negatively affect them. Third, according to framing effect, citizen can strengthen loss frame than benefit frame. In order to increase acceptanc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to citizens, first government should improve trust in public sectors and second carry out human centeric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

      • 지식기반사회에서 정보기술에 의한 학습환경의 변화

        강인애,이인희,황승연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9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5 No.-

        정보사회에 이어 지식사회가 도래하고 있다고 한다. 정보사회는 정보 통신기술의 혁명적 발달로 인해 파생된 광범위한 사회적, 조직적 변화의 시대라고 본다면, 지식사회는 정보기술과 인간의 창의력을 결합해 '지식'이라는 새로운 핵심생산요소를 등장시키는 사회이다. 따라서 컴퓨터, 인터넷, 통신 등 정보와 통신기술의 혁명적 발전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정보사회는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를 위한 짧은 과도기적 상태이며, 지식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초석을 다지는 인프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사회에 이르러서도 정보기술 인프라는 지식사회에서 강조하는 새로운 개념의 지식이 생산, 소비, 유통, 관리, 그리고 공유되어, 궁극적으로 전략적 생산기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토대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여전히 '문명사적 전환과 변화'를 갖고 올만큼의 대단한 영향력을 지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정보통신기술은 교육환경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교육패러다임의 변화는 정보기술이 지닌 패러다임과 거의 맥을 같이 하면서, 점차 교강사 중심적 교육환경에서 학습자 중심적 교육환경으로의 변화라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기술의 발달과 교육이론적 발달의 상부상조적 발달을 통해 이전과는 판이하게 구분되는 교육환경적 변화(자율적 학습자, 참여와 탐구의 학습, 재미있는 학습 등)의 요구와 노력이 제기되고있다. 정보기술이 우리 사회 전반에 미치는 전면적 영향력의 증가가 어쩔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지만,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은 그 전개 방향이나 성격을 확실하게 규명하기 어려운 상황이고 보면, 정보기술의 음영에 대한 진지한 고려가 필요하다. Knowledge-based society is advancing followed by the information society. The information society featured by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brought out social and organizational changes in a wholistic and broad sense, while the knowledge-based society foregrounds 'knowledge' as a new essential productive element, which is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association between human creativity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is a short and transitory period scaffolding as infrastructure to step forward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Yet, even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infrastructure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still might be immensely influential to all aspects of the society. Particularly, the paradigms of educational environment cannot be fully explained without considering the paradigm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 other words, along with the humanistic trend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proceed from teacher-centered toward learner-centered, from didactic to autonomous, from passive to inquiring, from linear to hypertext.

      • KCI등재

        정보지향성과 기술사업화능력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사업화능력의 매개효과 및 기술축적역량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성현,허철무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nformation orient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bility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corporate workers. Information Orientation consisted of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information behavior and valu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consisted of productization capability, produc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as sub-variables,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city was used as a coordinating variable.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349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corporate employees. Analysis results using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3.4 First, information orientation and technical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In addition, information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n the productive capacity and the productive capacity in the variable of competency was in the order of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information behavior and value, but the influence on marketing capability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ults.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and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were in order. Second, the product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produc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ability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y performance independently of information orientation. Third, the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and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echnical performance, but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ability and marketing ability in information behavior and value was significant, the indirect effect of transit was not significant. Fourth, only the interaction terms of production capacity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city were significant among the sub-variabl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city, commercialization capacity, and marketing ability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capacity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can be interpreted as lower in firms with high technology accumulating ability than in lower firms, subsequent studies will require the introduction of other independent variables, model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arameters and control variables. 본 연구는 기업 근무자를 대상으로 정보지향성과 기술사업화능력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정보지향성은 정보기술능력, 정보관리능력, 정보행위 및 가치를 기술사업화능력은 제품화능력, 생산화능력, 마케팅능력을 하위변수로 구성하였고 기술축적역량을 조절변수로 하였다. 기업 직장인으로부터 수집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지 349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v22.0과 Process macro v3.4를 사용한 분석결과 첫째, 정보지향성과 기술성과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지향성이 기술사업화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모두 유의적으로 나타났고, 기술사업화능력의 변수에서 제품화능력과 생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정보기술능력, 정보관리능력, 정보행위 및 가치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마케팅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앞선 결과와 다르게 정보행위 및 가치, 정보관리능력, 정보기술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사업화능력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보지향성과 독립적으로 기술사업화능력의 제품화능력, 생산화능력, 마케팅능력은 기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기술능력과 정보관리능력은 기술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행위 및 가치에서 제품화능력과 마케팅능력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나, 생산화능력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술사업화능력의 하위변수 중 생산화능력과 기술축적역량의 상호작용항만이 유의적으로 나타났고, 기술축적역량과 제품화능력, 마케팅능력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생산화능력과 기술성과 간의 관계가 기술축적능력이 높은 기업이 낮은 기업보다 낮을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후속 연구로는 다른 독립변수의 도입, 매개변수 및 조절변수가 도입된 모형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