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지식에 대한 국제적 규제동향에 관한 연구 - 중국의 전통지식에 관한 법령을 중심으로 -

        류예리 한중법학회 2015 中國法硏究 Vol.23 No.-

        2014년 10월 12일 강원도 평창에서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되었다. 생물유전자 원의 많은 부분을 중국에서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중국의 생물유전자원 보호 법제 동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나고야의정서의 적용대상인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에 대한 중국정부 의 보호 법제가 우리나라 산업계에 끼칠 영향은 국익과 직결되므로 더욱더 주 의를 요한다. 행정법규 형태로 제정될 중국의 나고야의정서 이행법규는 현재 환경보호부에서 수정을 거듭하고 있다. 중국의 나고야의정서 가입이 늦어지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바로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에 관한 권리 보호 방안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여 진다. 우리나라 관련 업계와 부처가 가장 궁금해 하는 질문 가운데 하나는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에 대한 중국의 국내법이 마련되어 있는지, 그리고 있다면 우리나라 한방산업에 끼칠 영향이다. 본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물다양성협약과 나 고야의정서에서 각각 규정하고 있는 전통지식이 무엇인지와 어떻게 다른가를 이 해하여야 한다. 나고야의정서는 생물다양성협약의 자(子)조약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제조약상의 전통지식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이 국내법상으 로 어떻게 전통지식을 규정하고 있고, 그 내용이 우리나라 관련 업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것인지 그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생물유전자원 부 국(富國)일 뿐만 아니라 전통지식의 부국이기도 하다. 중국의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도 전통지식 이용에 대한 권리 확보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어, 향 후 우리나라 한방산업, 건강식품산업, 의약산업 등에 엄청난 영향을 유발할 것 으로 예상되므로 본고에서는 중국 중앙 및 지방정부의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 식에 관한 법제 분석 및 그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Nagoya Protocol came into effect on 12 October 2014 in Pyeongchang, Gangwon Province. We, the country which rely on genetic resources most part of from Chin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status of China’s legislation for protecting her genetic resources. Especially, because China’s legislation regarding with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directly affects our industries, this area need more attention. China’s national implementing legislation for Nagoya Protocol are being modified. One of the reasons that China delays accession to Nagoya Protocol is to make up the part of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One of the questions frequently asked from related industries and departments is whether China has legislation for prepared for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and if so, what can be their effect to our oriental medicine business. To answer this question,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understand differences of provisions of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Nagoya Protocol. Therefore, based o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nowledge of international treaties, we need to bring out implications of China's legislation. China is rich not only genetic resources but also traditional knowledge. And because China’s local government including central government has special interests in ensuring rights of traditional knowledge, this article is going to focus on China’s legislation and its implications.

      • KCI등재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 유형분류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이상준,이정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5

        본 연구는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의 활성화 수준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에 대한 유형분류 방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과 구성요소 분석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단계적 분석을 통해, 보다 일반화될 수 있는 유형분류 기준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은 3개 유형(블록중심형, 가로중심형, 광장중심형)과 이에 속하는 6가지 세부유형으로 구분됨을 제시하였다. 셋째, 각 유형별 구성요소 분석결과,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은 나타내는 현상이나 문제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활성화를 위한 방법 또한 달라야 함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통시장에 대한 유형분류를 실시하고 유형별 쇠퇴현상이나 문제점에 대한 개선으로 요구되는 활성화 요소(기능과 구성요소)에 대한 차별적 적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전통의 표상 공간, 인사동의 형성

        전우용 ( Woo Yong Chu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0 No.-

        ‘전통’은 현재에 살아 있는 과거이며, 현재와 과거가 연결되어 있음을 입증하는 상징들이자 표상이다. 이것은 스스로 역사를 ‘공유’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합의하여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고, 보존과 전승의 필요성을 인정한 ‘낡은 것들’로서 사람들의 행동양식과 사고방식, 그들이 사용하는 물건 모두와 관계를 맺는다. 전통이라는 단어는 자주 ‘과거로부터 면면히 전승되어 온 공동체 문화의 정수’라는 의미의 접두어로 사용된다. ‘전통들’의 대부분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는 훨씬 ‘가까운 과거’에 발명되었지만 그것들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바뀌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관습과는 달리,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달라져서는 안 된다는 일반적 믿음의 대상이다. 그런데 대상을 ‘전통들’의 집체 또는 연쇄로 구성되는 도시 공간으로 확장하면, ‘전통의 불변성’이라는 명제를 더 이상 고수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서울을 대표하는 ‘전통문화의 거리’인 인사동의 경우, 1988년 서울시에 의해 ‘전통문화의 거리’로 지정되었으나, 2014년에도 서울시와 종로구는 ‘인사동 전통문화 거리’를 ‘되살리는’ 계획을 수립, 추진 중이다. 인사동 공간이 변화함으로써 ‘전통성’이 훼손되었기 때문에, 그를 재구성하고 보수하겠다는 것이 이 계획의 취지다. 그런데 인사동의 가로 경관과 분위기를 구성하는 전통들의 훼손과 변형에 대한 지적이 최근의 일만은 아니다. 인사동의 변화에 대한 불만은 1960년대부터 반복적으로 제기되었다. 생활과 사회관계의 급속한 변화가 전통의 ‘발명’을 요구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도시 공간의 급속한 근대화도 전통 공간의 ‘발명’을 필요로 했다. ‘전통 공간의 발명’은 변화가 일상이자 정상인 근대 도시 공간 내에 변화가 억제 또는 유보된 장소를 남겨 둠으로써 도시의 역사성과 지속성을 표현하려는 집단적 욕구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 공간은 서화나 골동과는 달라 화석 상태로 유지할 수는 없다. 전통 공간이란 변화가 정책적으로 억제, 관리되는 공간일 뿐이다. 변화 속에 ‘불변성’을 끼워 넣어야 하는 이율배반 때문에, 도시 공간의 전통성은 수시로 재구성될 수밖에 없다. 또 전통은 ‘발명’되기도 하지만 과거의 여러 자원들 중에서 ‘발굴’되는 경우가 더 많다. 따라서 전통문화의 거리 또는 전통 공간을 관리, 보존하는 문제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낡은 것들’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여 전통의 이미지를 구성할 것인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서울 인사동이 한국적 전통, 또는 서울의 전통문화를 표상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변화해 온 과정은, 한국인들이 ‘전통’으로 인정한 요소들이 특정한 도시 공간 내에 어떻게 퇴적되었고, 그것들이 어떤 이유로 보존 또는 발굴되었으며, 어떤 필요와 관점에서 상호 연계를 맺고 ‘전통’의 이미지를 구성하게 되었는가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인사동의 ‘전통’을 구성하는 요소로 인정되는 것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가를 살핀 것이다. 현재 인사동의 경관을 구성하는 ‘전통적 요소’들은 거의 전부가 ‘근대의 산물’들이다. 인사동은 한국인이 최초로 근대적 민영 출판사를 설립한 곳, 한국 최초의 근대적고서점이 자리 잡은 곳, 한국인 洋醫가 처음으로 개인병원을 낸 곳, 한국인이 처음으로 ‘바’를 차린 곳, 조선체육회와 조선음악가협회가 처음 자리 잡은 곳,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식당이 있는 곳이다. 이들이 처음 인사동에 ‘전통’의 이미지를 부여했고, 1970~1980년대 서울의 다른 지역들에서 ‘전통 경관’들이 급속히 소멸한 뒤 인사동을 ‘전통문화의 거리’라는 특별한 지위로올려놓았다. 그런데 도시 공간은 근본적으로 변화를 억제할 수 없는 공간이기 때문에 이 ‘전통’의 이미지는 수시로 재구성되어야 했다. 인사동에서 ‘전통’이 형성, 발굴, 창조, 재구성되어 온방식은 향후 서울의 ‘전통경관’ 또는 ‘전통공간’과 관련한 논의에 풍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 is the past alive in the present and the symbols or representations to demonstrate that the present and the past is connected one another. These are old things that people who believe they share same history agree to endow special value and to acknowledge necessity of conserving and transmission. These are connected with pattern of behavior, way of thinking, tools and goods of all the people in a nation. The word Tradition is often used as prefix that means the essence of culture of community continuously passed down from the pas’. The most part of traditions were invented in near past than people think, however they believe that traditions must be constant and unchanging. In this regard, traditions are different form the customs which people think that changing is natural. However, in the case of expanding the objects to city space, we can not insist eternity of tradition anymore. Insa-Dong has been appointed the street of traditional culture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1994, but the metropolitan government and Jongno-Gu are still trying to make a plan to revive the traditionon this place in 2014. The purpose of this plan is to reconstruct and repair the traditional image of Insa-Dong space which has been damaged by the development of city. By the way, the complaints against the change of Insa-Dong has been raised repeatedly since 1960’s. The rapid modernization of city space needed the invention of traditional placeas the rapid change of life and social relationships needed the invention of tradition. The invention of traditional space is a fruit of the collective desire to express urban historicity and durability. However, city spaces can not be conserved for ages. The traditional space in a city is in fact the space controlled by city government or civil society with the perspective of conserving traditionalculture. The traditionality of city space must have been reconstructed repeatedly, because of coexistence of changes and persistences. Also, tradition is more associated with excavation than invention. Thus, making traditional space is a kind of selection among old things that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past. The change process of Insa-Dong street shows how Korean traditions or Seoultradition were deposited in city space, how they were conserved or excavated, and how they constructed the images of tra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at how the cultural factors which Koreans acknowledged their own tradition settled in Insa-Dong. Almost all of traditional factors in present Insa-Dong are the products of city modernization in fact. The first modern private publisher, the first modern antique bookstore, the first modern western hospital, the first modern bar, the first modern music store, the first modern association of sportsmen, the oldest restaurants in Seoul were all in Insa-Dong. At first, these assign Insa-Dong the image of tradition, and as old sceneries rapidly has became extinct on other areas in Seoul,Insa-Dong can be the only one traditional culture street in Seoul. However, the city space is fundamentally changeable, so this image of tradition was frequently reconstructed. The way tradition was made, excavated, created, and reconstructed in Insa-Dong, will give a lot of lesson for the discussion about the future traditional scenery or traditional space in Seoul.

      • KCI등재

        전통시장의 점포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도읍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변충규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2 산업혁신연구 Vol.28 No.3

        소도읍은 농어촌지역의 중심적인 지역으로 경제, 교육, 문화, 유통의 중심지 기능 및 지역산업의 기반이 되는 경제적 기능을 하고 있다. 소도읍의 전통시장은 상업과 문화가 복합된 공간으로 지역민들에게 상품교환 장소 및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이 되고 있다. 최근 소도읍 지역은 인구 감소 및 고령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지역 외부의 대형할인점의 진출에 따라 전통시장의 상권이 위축되고 있다. 이러한 상권의 위축은 소도읍 전통시장의 매출과 고객 수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지역경제문제와 상인들의 생계문제와 연결되고 있다. 소도읍 전통시장은 전체시장 중에서 22.3%를 차지하고 있으며,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전통시장 및 지역상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소도읍 전통시장의 특성파악과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도읍 전통시장의 고객만족결정요인과 활성화 수준에 따른 차이점을 조사하고자 한다. 전통시장 이용고객의 점포선택변수를 판매되는 상품, 판매되는 시설, 판매하는 사람으로 분류하여 관계혜택, 접근편의성, 상품구색, 물리적 환경, 서비스 등 5개의 변수로 도출하여, 전통시장 이용고객들의 고객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전통시장의 활성화 등급에 따라 소도읍 전통시장에서 구매하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통시장의 점포선택속성은 상품구색, 서비스, 관계혜택, 물리적 환경, 접근편의성 순으로 고객만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통시장 활성화 등급이 높은 시장의 고객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접근편의성을 제외한 서비스, 관계혜택, 상품구색, 물리적 환경 순으로 고객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전통시장 활성화 등급이 낮은 시장의 고객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상품구색의 만족도는 높았지만 접근편의성, 서비스, 관계혜택, 물리적 환경은 불만족 하고 있었다.

      • KCI등재

        전통식품의 권리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박재원 ( Jae Won Park ),권보경 ( Bo Kyung Kwon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4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8 No.1

        전통지식은 오랜 역사동안 지역 공동체에서 지적활동에 의해 축적되고 발전되어온 기술혁신이나 지식체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통지식은 현대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그 경제적인 잠재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부정이용과 남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특히 우리 고유의 전통식품이 세계화에 발맞추어 한류와 맞물려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만큼 그 권리를 확보하고 지속적인 발전과 보존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전통지식의 보호방안에 대해서 논의가 되고 있으나 통일된 국제적인 규범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의견 대립이 있다. 일반적으로 풍부한 전통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은 새로운 특별보호방식(Sui Generis)에 의한 적극적인 보호를 주장하고 있다. 반면에 선진국은 기존의 지식재산권 범위 내에서의 방어적 보호를 주장하고 있다. 전통지식의 권리보호 방안으로서 지식재산권법에 의한 보호, 전통지식과 관련된 특별법에 의한 보호 등 전반적인 내용들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의 지식재산권법 체제하에서는 전통지식의 특징상 권리보호를 받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특허출원의 개선방안으로서 출처표시의 의무화와 전통지식의 문서화에 대해 검토한다. 전통지식의 문서화는 제3자가 전통지식을 그대로 혹은 약간 변경하여 특허로서 독점적 권리를 취득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방어적 보호로서 신규성을 판단하는 선행기술의 인정범위에 대해서 국제적 통일화가 이루어진다면 전통식품의 문서화도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이러한 문서화는 WIPO 회의에서 논의된 최소문헌화를 위해서도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기존의 지식재산권 제도 하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선행기술로 활용하는 적극적 보호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새로운 입법도 마련 하여야 할 것이다. Traditional knowledge means that it is a technological innovation or knowledge system which have been accumulated and developed by mental activities in local communitie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s traditional knowledge has increased the need of protection from abusing as the awareness about the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ies and the economic potential has increased. Especially, it is very essential that we should continuously secure the rights, develop and preserve our traditional foods as they are becoming popular along with Korean wave in keeping with globalization. Therefore, there is a discussion on methods for protecting traditional knowledge to achieve this goal, but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between advanc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because unified international rules are not existing. Developing countries which have normally enough traditional knowledge but relatively insufficient technologies are insisting on the active protection by Sui Generis system while advanced countries are insisting on the defensive protection within the boundary of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n this study, we will review the entire contents such as protection by intellectual property and protection by special law related to traditional knowledge as a method for protecting rights of traditional knowledg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protecting rights due to the nature of traditional knowledge within the current legal system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Thus, we will review the obligation of disclosure of origin and the document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s a method for improving a patent application. We consider that the document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will do itself justice if it makes the international unification about the boundary of admitting the prior technology for judging novelty as the defensive protection which protects third parties from obtaining a dominant right as a patent by using or changing traditional knowledge. Especially, this documentation is a task to be done for minimum documentation discussed in WIPO. Therefore, we should arrange the active protection which establishes DB and uses it as the prior art under the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 system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prepare for new legislation at national level.

      • 전통시장 활성화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김준식 ( Jun Sik Kim ),김종진 ( Jon Gjin Kim )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구 사회과학종합연구소) 2013 社會科學論叢 Vol.28 No.1

        소비자들이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는 상품의 유통이라는 기본 기능을 수행해왔던 전통시장은 지역의 전통문화와 지역주민들의 정서가 담긴 곳으로 영세상인들에게 고용의 기회를 제공하고 중·저소득층에게 중저가의 상품구매 기회를 제공하면서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지 기능 등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수행해 오던 도심의 대표적인 상업 중심지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 소매업태의 등장 및 국민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소비자 선호의 변화 등에 의해 전통시장은 지속적인 침체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침체는 영세한 자영업자들의 삶의 터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구도심의 침체 및 공동화 현상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전문가설문을 중심으로 다계층 의사결정모형(AHP)을 구축하여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축된 모형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분류 분석결과 침체된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원이 가장 효과적이며, 노후된 상가건물 등을 개선하거나 개축하는 것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 등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전통시장 관련 문화의 활성화를 통한 방안은 전통시장을 활성화 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4개의 세부 활성화방안을 살펴보면,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부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재래시장 상품권인 온누리상품권 유통확대가 가장 효율적이고 그 외에 대부분의 전통시장의 문제점인 주차장의 확보가 중요하며, 또한 셔틀버스 운행 및 대형마트 규제가 쇠퇴한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방안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중점적으로 지원해온 지속적인 상인교육, 문화적 측면의 재생방안 및 아케이드 설치 등은 기대와 달리 전통시장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재생 측면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시장 활성화 방향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rovement schemes of traditional markets through establishing a revitalization model(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of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In larger category class, It is recognized by experts that the most effective scheme of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s is economic assistance and an physical improvement or redevelopment of the blighted commericial buildings in traditional markets is a somewhat effective scheme. Whereas, a cultural revitalization scheme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ve focused on improving a condition of traditional markets is not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thod by experts. In a specific class level, it is suggested that an expansion supply of an onnuri merchandise coupon that is partly used in traditional marke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followed by running a shuttle bus and a regulation of large modernized markets. However, an education of merchants, Arcade and cultural festival that most local governments has put the first priority is not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thod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direction of a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 KCI등재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김현주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raditional play education, and to specifically investigate methods for applying traditional play to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28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J city.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high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play as they had more experience, and a low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play as they had less experience. In addition, although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ighly recognize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play, the perception that traditional play is difficult is also high. Lastly, it was found that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ferred after school time and physical education time for physical development of students as a method of applying traditional play.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applying traditional games to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reflect traditional play in physic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diversity of integrated education related to traditional play, and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raditional play education through lectures on traditional gam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들의 이해도와관심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전통놀이를 초등학교 체육교과에 적용시키기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조사 및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J시에 소재한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결과를도출하였다. 결과: 그 결과, 예비 초등교사들은 전통놀이에 대한 경험이 많을수록 이해도가 높고 경험도가 적을수록 전통놀이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 초등교사들은 전통놀이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있는 반면, 전통놀이가 어렵다는 인식 또한 높게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 초등교사들은 전통놀이의 효과적인 교과 적용방안으로 학생들의 신체적 발달을 위하여 방과 후 시간 및 체육시간을 활용한 전통놀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통놀이를 초등학교 체육교과에 적용시키는데 예비 초등교사들의 긍정적인인식을 확인하였으므로 전통놀이를 실제 체육교육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전통놀이와 관련된 통합교육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초등교사들을 위한 전통놀이 강연이나 연수의 기회가 체계적으로 확대되어 이를 통해 전통놀이 교육을 활성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강원도 전통시장 캐릭터 개발 연구 - 주문진건어물시장 캐릭터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김소영,이철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2 No.67

        비대면 시대가 도래하면서 전통시장에도 소비 트렌 드와 환경적 영향에 의해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문화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 및 캐릭터 개발에 주목했으며 대부분의 전통시장이 특성화 지원 사업을 통해 브랜드와 캐릭터를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강원도 전통시장의 캐릭터를 분석 한 결과, 대부분의 전통시장이 지역특산물과 문화를 접목한 소재를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중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캐릭터 개발이 두드러지고 있는 결과에서 볼 때, 전통시장의 캐릭터 개발 시 지역 특 산물의 이미지는 향후 계속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단순히 조형적인 부분에 그치지 않고 그 지역 의 전통시장을 이해하고 스토리를 접목한 캐릭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캐릭터의 개발은 여전히 전 통시장 지원사업에 의지하고 있으므로 지자체와의 협 의를 통해 단계별로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통시장 캐릭터의 개발 및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그 방향성을 도출하기 위함이며, 주문진건 어물시장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향후 전통시장 캐릭터 개발 및 활용 시 유의미한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다. With the arrival of the non-face-to-face era, traditional markets are also experiencing many changes due to consumption trends and environmental impacts. In response, the government paid attention to brand identity and character development to establish a cultural foundation for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market, and most traditional markets are developing brands and characters through specialization support projects. Through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s of traditional markets in Gangwon-do and found that most traditional markets use materials that combine local specialties and culture. Among them, the image of local specialties is expected to continue to be used in the future when developing characters in traditional marke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market of the region and develop characters that incorporate the story, not just the formative part. However, since the development of characters still relies on traditional market support projects, it should be encouraged to proceed step by step through consultation with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velopment and use of traditional market characters and derive their direction,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Jumunjin dried fish market are a case study to use them in a meaningful way in the future.

      • 전통과 현대의 효교육 비교 -가정교육을 중심으로-

        김명운 ( Myumg Woon Kim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2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과 현대의 효교육 비교를 통하여 오늘날 청소년의 문제해결에 역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이는 무엇보다도 가정에서 효교육을 통하여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으며, 전통과 현대에서 효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결국 올바른 인간형성에 있다. 전통가정에서는 효교육의 목표는 입신행도(立身行道)라고 보았으며, 현대 가정에서의 효교육의 목표를 자아실현(自我實現)으로 분석했다. 이는 결국 같은 맥락에서 지정의(知情意)를 이룬 올바른 인격형성에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첫째, 전통적 가정에서의 효교육은 어떻게 이루어 졌는가를 살펴보면서, 먼저 대가족과 교육삼대(敎育三代)를 통한 가족의 형태와 효교육이 삼대가 한 가족으로 이루어져 온 배경은 무엇이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전통 가정은 농경문화를 배경으로 가부장적인 체제를 중심한 부자관계(父子關係)라는 수직적 특성을 갖고 있었다. 그 가족 형태는 조부모와 부모 그리고 부계 쪽으로의 형제자매를 포함해서 대가족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가정에서의 효교육의 형태는 무엇보다도 부모의 역할이었으며, 부모가운데서도 부친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고 보았다. 전통가정에서의 가옥의 구조는 사랑방과 안방으로 구분되었다. 아버지는 언제나 사랑방에 기거하면서 자녀들에 대해서는 언제나 위엄과 권위적인 존재로 비춰졌다는 사실이다. 그러면서 대조적으로 어머니는 언제나 자녀와 자주 대면하게 되는 만만한 존재였다. 이러한 입장에서 어머니의 역할 또한 아버지의 역할 못지않게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역할은 무엇보다도 남편과 자녀사이에서 보조적이며, 교량적인 성격을 띠는 입장이었다고 보았다. 자녀에 대한 전통적 가정교육은 가정에서 효를 근간으로 해서 실천적인 내용이었다. 이는 주로 생활 속에서 자녀의 엄격한 자세와 규율을 몸에 익히도록 교육했다. 그리고 전통가정에서 효교육을 통해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는 바로 입신양명(立身揚名)이라고 보았다. 입신양명은 단지 출세지향적인 의미로서가 아니라 입신행도가 궁극적인 목표였다. 둘째, 현대적 가정에서의 효교육은 변화된 가족의 구조와 배경으로서 핵가족과 교육이대(敎育二代)는 사실 가정교육의 어려움이 불가피하게 나타날 수 밖에 없었으며, 무엇보다도 전통적인 아버지의 권위와 위엄이 약화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현대는 수평적 핵가족을 중심으로 부모는 자녀에게 자율과 친밀한 관계성을 기반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연구자는 보았다. 전통가정에서는 주로 아버지가 자녀에게 교육의 역할이 주어졌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어머니 쪽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러한 입장에서 전통적인 가정에서 이루어졌던 효교육의 양상을 살펴보면서 연구자는 현대에 있어서 자녀의 올바른 효교육을 위해서 전통 가정에서의 효교육의 형태와 방법으로서 아버지로서의 권위를 되살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교육은 역시 아버지의 권위와 위엄의 부재는 가정에서 효교육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연구자는 보았다. 전통가정에서 어머니의 입장으로서의 교량적 역할이 강조되었던 것과 같이 아버지로서의 교육적 역할분담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에 강조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전통가정과 현대가정에서의 효교육의 차이점과 연관성을 분석하였고, 전통가정과 현대가정에서의 사회구조적 변화로 인한 가정교육의 불가피한 변화의 상황을 인식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현대사회가 아무리 급격히 변화되고 현대화되었다고 해도 인간이 갖추어 할 기본적인 가치는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아무리 핵가족을 중심한 현대의 가족의 형태일지라도 부모와 자녀사이에서의 인격수행의 길로서 효교육은 생략할 수 없다. 따라서 효의 본질로서 사랑과 존경은 퇴색됨이 없이 가정에서 계속 이루어져야 할 중요한 덕목으로서 효교육의 핵심이라 아니할 수 없다. This study has been done for finding a solution to young people`s problems through comparing filial piety education in modern family with that in traditional family. I made a point that the filial education can be a solution for the problem because the education has an important role for human personality formation in the modern family and the traditional family altogether. The target to achieve through the filial piety education are ``rising in the world and winning fame`` in the traditional family and ``self-realization`` in the modern family. These are connected to the personality formation through knowledge, sense and justice after all. This researcher has done the study as follows: Firstly, looking into how the filial piety education in the traditional family has beendone, I examined what the background is in which the family form through a large family and three educational generations and the filial piety education are made into one family. It is found that the traditional family having agrarian culture as its background has vertical peculiarity as patricentric father-children relationship. The family has the shapeof a large family including grand parent and parent, and brothers and sisters in the paternal line. For the filial piety education of family, above all, parental role, especially fatherly role, is thought to be absolute. Th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family is divided into the reception room and the sitting room. The father, always living in the reception room, isthought by his young children as a being of dignity and authority. On the other hand, the mother is a being often contacted with her children. In this viewpoint the motherly role is also a role-sharing as important as the fatherly role. The mother has her position of assistant, connecting and mediate character between her husband and children. The traditional family education for children is mainly practical with the root of filial piety in the family. In that education children`s strict carriage and discipline is emphasized to become their habitual behaviors in their lives. And in the traditional family the target to achieve through the filial piety education is ``rising in the world and winning fame``. The rising in the world and winning fame is thought not merely as having meaning of success in life, but as having ``rising in the world and practicing moral principle`` as its ultimate object. Secondly, for the filial piety education of modern family the difficulty of family education appeared inevitably owing to a nuclear family and two educational generations as changed family structure and background, and, above all, the traditional fatherly authority and dignity is showing a tendency of getting weaker. This researcher thought that in the modern times centering on horizontal nuclear family, the education can be done in self-regulation and as parent have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e traditional family education in which mostly the father educated his children has changed the direction to the mother in the modern times. In this viewpoint this researcher, while looking into the aspect of the traditional family education,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bring to life the fatherly authority for the right education for children in the modern times, for the filial piety education in the family is difficult to be expected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the fatherly authority and dignity disappeared. I emphasized that the fatherly educational role-sharing is still necessary in the modern times just as the connecting role of the mother is emphasized in the traditional family education. Lastly, the filial piety educations in the traditional family and the modern family are compared. Through the comparison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relation and difference of the traditional family and the modern family, and emphasized the inevitable change of the family education caused by the social structure change of the traditional family and the modern family as well. However radically the modern society may have been changed and modernized the basic value which human being should have should be maintained. This means that even in the nuclear family-centered modern family formation not only the practice of the filial piety between parent and children but also the road of the filial piety as a means for self-character cultivation cannot be omitted. Therefore I cannot help emphasizing that without fading away love and respect as the essence of the filial piety is the hard core of the filial piety education as an important moral principle which should be kept observed in the family.

      • KCI등재

        전통공간의 세계화를 위한 브랜드 전략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한식당 ‘비비고’를 대상으로 -

        김사라,남경숙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4

        국가의 위상이 점점 높아지는 가운데, 실내건축분야 또한 전통공간의 세계화를 통한 국가브랜드형성 발전을 위한 브랜드전략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국외에 진출한 대형외식업체인 비비고를 대상으로 국외 사례 총 5개국 12개 지점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4개의 표현방법과 10개의 디자인 키워드를 사례분석의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브랜드 전략은 포지셔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각종 문화행사, 공식후원사로의 역할, 제품시연, 맞춤형 스타마케팅 등의 다양한 브랜드 전략을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에서 나타나는 브랜드 전략은 전통공간을 모티브로 다양한 전통가구, 전통장식품, 조명, 재료, 색채 등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자연적인 색채와 전통디자인 형태의 추상화, 단순화에서 고객과의 친밀감을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었고, 낯설 수 있는 형태와 디자인의 거부감을 낮출 수 있었다. 지역과 입점장소의 상항에 맞춰 디자인요소들이 전통그대로 재현되긴 보단 변형화, 추상화, 단순화, 상징화 되어 간결하고 절제되어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이 기반은 전통공간의 직설적 모방과 부분적인 변용을 표현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지역별로 나타나는 매장의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통일성 있게 계획됨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 나타나는 디자인키워드는 상징성, 탈기교성, 시간성, 연속성, 자연성, 통일성이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전통적인 요소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상징적으로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장식이나 부가적인 요소보다는 자연적인 내면 그대로의 본질이 보이는 탈기교성을 표현한다. 옛 것의 전통적인 요소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러운 변화를 보여주는 시간성, 전통과 현대의 공존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조화를 추구하는 전통사상에서 나타나는 자연성, 전통적인 디자인이 새롭게 쓰이기 위한 변화의 다양성을 포용하여 발전시키는 통일성을 나타낸다. 공간의 기능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여건 안에서 적절하고 과하지 않은 변형, 생략 등의 디자인 전략을 통해 전통공간의 세계화에 부합할 수 있는 공간이 나타난다. 또한, 지역적으로 나타나는 지역 성향을 고려하여 마케팅 전략 및 브랜드 형성이 필요하다. 그 결과를 토대로 공간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In light of the gradual enhancement of Korea's position in the worl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n overseas case analysis of Bibigo, a large restaurant enterprise that entered the foreign market, with the aim to stud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national brands for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spaces as well as interior architectures. The study used four methods of expression and ten design keywords drawn from previous studies as the evaluation tool for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welve franchise branches in five countries, it was found that brand strategies differed by positioning.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various brand strategies were being implemented, such as participating in cultural events, serving the role of official sponsor, presenting product tasting, and adopting customized star marketing. The brand strategies reflected in the spaces utilized various traditional furniture and ornaments, lights, materials, and colors with the motif of traditional spaces. They were able to build intimacy between the space and the customers in natural ways using colors of nature along with abstract and simplified forms of traditional design, and also reduce resistance against forms and designs that may seem unfamiliar. Rather than reproducing tradition as it is, design elements were altered, abstracted, simplified and symboliz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of the region and the place of establishment, and thus used in concise and restrained manner. Such groundwork, therefore, utilized the method of expression which combines direct imitation and partial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spac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tmosphere of the restaurants in each region was overall planned with unity. The design keywords found in the analysis result were symbolization, detechnique, temporality, continuity, naturalness, and unity. The restaurants demonstrate the unity of embracing and improving the diversity of transformation for new uses of traditional designs, showing that traditional elements should be presented symbolically rather than used directly; avoid techniques for decoration or additional elements and instead show their essence truthful to their innate nature; have the temporality that reflect how traditional elements go through natural changes along the passage of time; show continuity of space from the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the modern; maintain naturalness reflected through traditional ideas that pursue harmony with nature. Spaces that can measure up to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spaces emerge through design strategies such as appropriate and moderate transformation and omission under the condition of meeting the functional demands of the spaces. Also, it is necessary to build marketing strategies and brand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trends manifested in each region. Spaces should be planned based on thes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