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경 천교(天橋) 예술공간의 표상화 과정

        한남수 ( Nam Su Ha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2 No.-

        2013년 12월 천교가 재건되었다. 80년 역사의 공백을 넘어 市井문화 광장이 다시 회복된 것이다. 천교의 재건과 이 일대 공연문화예술지구의 설립은 천교 100년을 향한 문화 북경의 새로운 中軸線을 만들기 위함이다. 천교는 황제가 天壇과 先農壇의 제천 의식을 위해 지나는 다리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후 지역을 대표하는 이름으로 고착되면서 시장과 공연문화의 무대로 유명세를 더했다. 雜技, 空竹, 曲藝, 武術, 評書, 相聲, 大鼓 등의 기량이 뛰어난 才華가 전국에서 우후죽순으로 모여 들어 천교는 예술의 각축장이 되었다. 척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빚어낸 演藝의 精髓는 중국 문화의 우수성과 독자성을 확보하면서 전통 문화의 메카로 성장했다. 천교는 잡기, 演藝人의 요람으로, 북경 문화의 精髓이며 민속.문화예술의 발원지가 되었다. 중국 정부 또한 천교와 이 일대의 역사적인 주요 문화 광장을 현대적 의미로 환원, 계승해 ‘12.5’ 문화사업 정책의 지속적인 명맥을 잇고자 한다. 淸末 신해혁명, 民國시대, 신중국 건립에서 문화혁명까지 천교는 문화 중국의 명맥을 굳건히 유지했다. 천교는 자연 발생의 시정 문화 외에도 황실, 귀족과 사대부들에게 옷과 신발 등 주요 생활용품을 제조, 공급하면서 특화된 시장 기능도 담당했다. 청말 민국초기 천교는 이 일대 廟會와 더불어 상업과 오락 중심의 복합 문화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2009년 북경시정부는 성남가속발전행동추진계획推進城南加快發展行動計畵을 정식으로 공표했다. 2011년 10월 북경 西城區는 ‘공연예술지구’ 건립 계획을 추진하며 전통문화 회복과 문화 공간 확장을 위한 구체적인 플랜을 제시했다. 2012년 6월 20일 서성구는 국가오페라하우스, 중국대외문화기업 그리고 19개 京演예술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천교공연예술지구 설립에 전격 합의했다. 공연예술지구는 예술총본부, 문예연출, 문화전시, 휴식체험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국제수준의 문화 광장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2015년 올해가 바로 그 완공의 해이다. 천교 문화예술공간의 설립은 낡고 낙후한 저층 기반 시설을 교체해 도시의 실용성과 이미지 개선의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선회하는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문인의 문화, 시장의 문화, 廟宇의 문화, 공연의 문화가 모여 북경 문화 공간에 새로운 전통 공간을 재창조하기 위한 공정이다. 물론 이 같은 노력과 계획이 천교의 예술적 가치와 의미를 일깨우고, 전통 문화공간으로서 시민의 지속적인 소통을 이끌어 낸다면 매우 성공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 ‘百年天橋 天橋百年’이 가까운 미래에 와 있다. 따라서 80년 시공을 초월에 새롭게 창조된 전통 문화 광장이 융합과 소통의 기회를 열어갈 지는 북경 도시 문화 공간의 예술적 의미와 수준을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다. In December 2013, Tianqiao was reconstructed. It was the time when an urban culture plaza was recovered after 80-year absence. Reconstruction of Tianqiao and establishment of the performance culture art district are to build a new axis of Cultural Beijing toward the centennial celebration of Tianqiao. Tianqiao is the name given to the bridge the Chinese emperor had to cross to hold the heaven-worshiping rite at the Altar of Heaven and the Xiannong Altar. Then, it became the name of the district of a market and performance art. Numerous talents superb in various techniques and arts such as circus, diaobolo, martial arts, pingshu, shangsheng, dagu gathered here from all corners of China, and Tianqiao became to the place of competition of arts. The arts and techniques they performed here led this district to secure excellence and uniqueness of Chinese culture, and grow to be the mecca of traditional culture. The district became to be the cradle of performance art and acrobatics, essence of Beijing culture, and the origin of folk culture and art. The Chinese government also tries to take over the tradition of the cultural plaza of Tianqiao and the district, and include it as part of the ‘12.5’ Culture Project. Over the history from the end of Qing Dynasty, Xinhai Revolution minguo period, founding of the New China, to Cultural Revolution, Tianqiao maintained its tradition of Cultural China. In addition to providing an urban culture, Tianqiao also played the role of a specialized market which manufactured and supplied major daily items for the royal family, aristocrats and government officials. Around the time of the end of Qing and the early Mingook period, Tianqiao developed as a complex cultural space of commerce and entertainment, together with miaohui. In 2009, the Beijing Municipal Government announced the Accelerated Development Action Project for the chengnan Area In October 2011, xichengqu Beijing, while promoting the plan to establish ‘Performance Art District’, announced a concrete plan for the recovery of traditional culture and expansion of cultural space. On June 20, 2012, xichengqu made an agreement with the National Opera House, China External Culture Corporation, and 19 Art Groups to establish the Tianqiao Performance Art District. The Tianqiao Performance Art District is supposed to a world-class cultural plaza providing the functions of art center, art performance, art exhibition, and leisure, etc. In 2015, it will be completed. The culture and art space of Tianqiao has the meaning beyon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old and outdated infrastructure to fit the practical use and new image of modern Beijing. It is the process in which culture of scholars, culture of market, culture of miaohui, and culture of performance are collected, and a new traditional space is recreated in Beijing. If such efforts and plans awaken artistic values and meanings of Tianqiao, and stimulate continuous communication among citizens as a traditional cultural space, it will be a very successful case. ‘One Hundred Years Tianqiao, Tianqiao One Hundred Years’ will be realized soon. Whether the traditional cultural plaza newly created after 80 year absence will open an opportunity of convergence and communication will be a barometer measuring the artistic meaning and level of urban cultural space of Beijing.

      • KCI등재

        춘추(春秋) 패권 시대의 존왕양이론(尊王攘夷論)과 화이분별론(華夷分別論)

        김철운 ( Cheol Woon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2 No.-

        중국 역사의 무대에서 화이분별론(華夷分別論)의 본격적인 등장을 알렸던 것은 바로 춘추 패권(覇權)시대의 회맹(會盟) 질서에 입각한 “주나라 왕실을 높이고 사이를 배척한다”는 존왕양이론(尊王攘夷論)이었다. 이것은 천자국(天子國)인 주(周)나라를 중심으로 통일성을 유지하던 종법적(宗法的) 봉건 질서가 거의 다 무너져 내린 춘추 시대의 현실 상황에서 제후국들이 주나라를 대신하여 사이(四夷)의 침입을 막고 제하(諸夏)의 문화를 보호한다는 명목 아래 그들 간에 연합 동맹(會盟)을 맺고 그 분산된 힘을 하나로 결집해 나가자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존왕양이’의 기치 아래 결집한 제후국들은 제하와 사이를 ‘안’과 ‘밖’으로 철저하게 구별하였는데, 그 근거는 ‘생활 방법의 차이’(농업 생활과 유목 생활)와 ‘정치 방법의 차이’(연합 동맹의 참여 여부’), 궁극적으로 ‘예악 문화의 수용 여부’였다. 이를 통해서 그들은 어느 정도 사이 문화의 유입도 막을 수 있었고, 또한 제하 문화의 우월적 지위도 지켜 낼 수 있었다. 하지만 ‘존왕양이론’은 그 안에 내포된 배타적 성격으로 인하여 문화 간의 상호 교류와 공동 발전을 철저하게 방해하거나 봉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그것은 사이 문화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사이의 문화를 제하의 문화로부터 격리하거나 제하의 문화에 동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로부터 제하 문화에 의한 사이 문화의 패권적 지배는 더욱 더 견고해져 갔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사람들을 편협한 민족주의적 사고에 길들여지게 했던 동시에 그러한 이념의 공고화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시켰을 뿐이다. Chunqiu period`s Zun-wang-yang-yi-lun was made appeared Hua-Yi-Fen-Bie-Lun on the stage of china history. In those times Zhou`s feudalism almost collapsed, and so feudal princes gathered under the banner of Zun-wang-yang-yi signed a coalition Alliance and united all their efforts to solve the problem. Therefore they were able to stop the influx of Si Yi`s people, and were able to keep Zhu Xia`s cultures from Si Yi `s cultures. But, because Zun-wang-yang-yi-lun is implied the exclusivity in it, it was thoroughly blockaded the mutual exchange and joint development between cultures. and because it does not recognition the cultural diversity, it was suppressed or assimilated Si Yi `s cultures. Therefore Zhu Xia`s cultures`s dominance for Si Yi `s cultures was even stronger. Finally, these culture consciousness injected people with the thinking of the illiberal cultural supremacy, and so was dropped people as a means of strengthening ideology.

      • KCI등재

        생태공간의 지리적 상상과 녹색 오리엔탈리즘 -환동해(環東海) 원주민 문화표상을 중심으로-

        신진숙 ( Jin Sook Sh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4 No.-

        본 논문은 현대 동(북)아시아(환동해지역) 문화 속에서 생태적 삶의 전형으로 자리한 변방의 원주민 형상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의미를 분석한다. 동아시아인의 생태공간에 대한 지리적 상상과 그것의 메커니즘으로서의 녹색 오리엔탈리즘(Green Orientalism)의 응시 구조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녹색 오리엔탈리즘은 발전 오리엔탈리즘(Development Orientalism)을 환경적으로 전유한 시각이다. 정치적인 발전 오리엔탈리즘은 빈곤하고, 미개하고, 전통중심적인 남(Global South)에 대해 근대화되고 과학적이고 민주화된 북(Global North)으로 공간분할을 위계화하고 이를 정당화한다. 녹색 오리엔탈리즘은 이러한 이분법을 뒤집어 저개발 지역이 생태적 보전지역이며 인류의 미래를 위해 자원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녹색 오리엔탈리즘 역시 정치적 오리엔탈리즘과 마찬가지로 중심부로부터 밀려난 주변부 지역에 대한 공간 분할을 문제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더욱이 남과 북의 거시적 공간 분할은 각 사회의 미시적인 공간 분할로 바뀌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원주민은 생태학적으로 가치 부여되며 동시에 근대 문명의 바깥으로 주변화 되는 포함과 배제의 이중 과정에 포섭되어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2000년대 대중 미디어가 생산하고 있는 ``원주민`` 문화 표상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의 녹색 오리엔탈리즘의 의미와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대상 지역은 동아시아에서 생태공간으로 부상한 환동해지역, 특히 한반도의 북방, 즉 옛 만주와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다. 이 지역은 원시림과 초원이 발달해 있으며, 대체로 경제적으로 저발전 지역이 많다. 하지만 최근 동아시아 환경파괴 심화로 인해 이들 지역은 새로운 생태적 보존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가치 변화는 동아시아 생태담론이라는 사상적 맥락과 무관하지 않다. 본고는 한국, 중국, 러시아 다큐멘터리 작품을 중심으로 원주민 문화 표상을 추출하고, 이러한 문화 표상의 메커니즘으로서의 녹색 오리엔탈리즘을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생태담론의 논쟁적 차원을 면밀히 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stereotype of the indigenous people`s images and to explain its sociocultural meaning in East Asia (East Sea Rim). In connection with the representation of the indigenous people, most of mass media has mainly focused on the point that the natives have maintained their own ecological culture from the primitive to the present in the border areas. There have been the coherent geographical imagination where the indigenous people live in. In other words, this thought means that they are mostly uncivilized until now. That`s why the nature in the undeveloped borderlands is considered as better-preserved than in the developed core city. Especially the realistic spectacles of the nature produced by the mass media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visible resources to verify it. Needless to say, the mass media contributes to reconstruct the conventional dichotomous way of thinking and the hierarchy between the urban modernity and the primitivity (civilization and savage). To put it another way, re-discovering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indigenous culture means finding alternatives to recover the ecosystem destroyed by the civi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Ultimately, what East-Asian ecology discourses emphasize is rethinking about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nature. However, ``the subject`` who can estimate and preserve the value of the nature is not the indigenous people but the civilized outsiders. On the other hand, the way of representation is similar to the mechanism of environmental orientalism, called ``green orientalism``. Therefore, even though green orientalism fosters awareness of green issues, it is still based on the ``development orientalism`` producing the geographical, historical, and cultural hierarchical division of the Global North and Global South. In this view, I would like to show sociocultural meanings of representing the indigenous people in the East-Asian ecology discourses.

      • KCI등재

        중국 고교생의 한류인식에 관한 연구

        육담성 ( Tansheng Lu ),정용교 ( Yongkyo Ch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중국 고교생들의 한류인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검토하여 학생들이 자민족문화와 외래문화의 상호작용 하에서 올바른 인지를 확립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중국 上海시에 소재하는 5개 고등학교의 각 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총 364부 중 부적절한 자료를 제외한 313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분석모형에서 민족문화정체성을 독립변수로, 다문화의식을 매개변수로, 한류인식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해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Sobel검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고교생들의 학년, 해외경험유무 그리고 민족문화정체성 등은 다문화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성별, 학년, 성적, 해외경험유무, 민족문화정체성 및 다문화의식 등은 한류인식(드라마, 영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성별, 해외경험유무, 민족문화정체성 및 다문화의식 등은 한류인식(음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중국 고교생들의 해외경험유무 및 다문화의식 등은 한류인식(인터넷 게임, 한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반면 민족문화정체성이 한류인식(인터넷 게임, 한국음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되었다. 다섯째, 중국 고교생들의 민족문화정체성과 한류인식(드라마)의 관계에서 다문화의식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민족문화정체성과 한류인식(영화, 음악)의 관계에서 다문화의식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민족문화정체성과 한류인식(인터넷 게임, 한국음식)의 관계에서 다문화의식의 매개효과를 찾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Cultural Identity, State Pride,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nd Korean-wave Cogni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China. For this purpose, a survey questionnaire was given to 400 students from five high schools located in Shanghai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22.0 which appli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grades, living-abroad experience and national cultural ident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ulticultural consciousness. Secondly, the gender, grades, academic achievement, living-abroad experience, national cultural identity and multicultural consciousness were meaningfully correlated with Korean-wave cognition(drama, movie). Thirdly, the gender, living-abroad experience, national cultural identity and multicultural consciousness were meaningfully correlated with Korean-wave cognition(k-pop). Fourthly, the living-abroad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consciousness were meaningfully correlated with Korean-wave cognition(internet game, Korean food). Lastly, multicultural consciousness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cultural identity and Korean-wave cognition(drama, movie and k-pop).

      • KCI등재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글로벌 시대의 문화 표상-

        정수진 ( Soo Jin J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3 No.-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법제화된 무형문화재 제도는 국가로부터 비교적 자율적으로 영위되던 지역의 생활양식들 중 역사적?예술적으로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것을 선별하여, 그것이 국가적 정체성과 낭만적 민족의식을 담보하는 문화적 표상으로 기능하도록 작용해 왔다. 그러나 이제 그 문화적 표상은 국가적 차원을 넘어 세계적 표상으로 거듭나고 있는바, 이러한 양상은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둘러싸고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가속화되었다. 이른바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의 전환은 그 명칭의 변경 이상으로 그것이 기왕에 지녔던 문화적 표상으로서의 위상과 의미 및 기능의 변화를 수반한다. 이 글은 표상의 의미와 기능을 사회학적 차원에서 주목했던 뒤르케임과 오기노 마사오의 논의를 방법 삼아 그 변화의 양상을 고찰했다. 오기노는 지역의 생활양식이 문화재로 거듭나는 양상을 ``추억의 질서``에서 ``문화유산화``로의 전환으로 분석했지만, 이 글에서는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변화를 ``추억의 질서``에서 ``문화유산화``로의 전환으로 포착한다. 그리고 그 전환이 후기자본주의 시대 일기 시작한 문화유산의 산업화 양상과 연동하고 있음을 주목한다.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egislated by enactment of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t at 1965, has selected the things considered to have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among the local lifestyles that were engaged relatively autonomous from the state, and operated them to function as a cultural representation to guarantee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romantic national spirit. But now beyond the national level the cultural representation become a global representation, this aspect has been accelerated in a stiff competition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surrounding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The change so-called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tails the change of the previous social status, meaning and function the cultural representation had, more than the change of its name. This paper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change with the sociological dimension of Durkheim and Ogino Masao who noted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the social representation as theoretical methods. Ogino have explained the aspect that the local lifestyles are reborn as a cultural properties as the transition from the “order of memory” to “making heritage”, but this paper regards the change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the transition from the “order of memory” to “making heritage.” And it argues the transition to be interlocking directly to the commodification of cultural heritage started to happen in late capitalist era.

      • KCI등재

        일본의 문화외교와 국가브랜드 전략으로서의 쿨재팬

        강성우 ( Sung Woo K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5 No.-

        본고는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일본의 대외문화정책의 추이를 통시적(通時的)으로 고찰하고, 21세기 일본 문화외교의 구호인 ‘쿨재팬’ 정책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서 일본 문화외교의 의미와 한계를 논의 한 것이다. 특별히 일본의 문화외교의 흐름을 전체로서 조망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세계화로 국경의 장벽이 낮아지고 국가 간 사회, 경제, 문화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세계 각국은 자국의 이미지 개선과 국가 브랜드 가치 증대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 일본은 패전국이나 침략국가라는 이미지를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문화국가로 변화시키고, 경제발전과 수출촉진을 위해 경제외교를 진행했으며, 경제적 강대국으로 부상한 이후 일본의 국제적인 역할에 대한 요구에 대한 대안으로 문화외교의 외연을 확장시켰다. 이러한 발전과정을 거쳐 21세기에 일본이 내놓은 문화외교의 방안은 “쿨재팬”이다. 일본은 21세기 산업구조를 변화시키고 경제ㆍ문화교류와 협력을 증진하며, 소프트 파워를 강화시키면서 국가브랜드를 높이는 방안으로 “쿨재팬”으로 브랜드화 했으며, 제조업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굴뚝 산업뿐 아니라, 의식주와 문화 콘텐츠 (애니메이션, 드라마, 음악 등)를 포함한 “문화와 생활양식(life style)”의 매력을 경제적 부가가치(附加價値)가 있는 문화산업의 형태로 변형시키려는 정책적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자국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을 개선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대외문화정책을 활용하고 있다. 이에 일본의 대외문화정책은 동아시아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문화정책에 의미 있는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ool Japan” as a Japan’s cultural diplomacy and nation-branding strategy in the 21st century. After World War II, Japan was in need of transforming its nation’s image. The foundation of the “peaceful expansion of Japan’s economic power. After the economic recovery in the 1950s, Japan began to rebuild it state as well as its nation image. As Japan grew into an economic superpower in the 1960s to 1980s, Japan exercised its power and influence other countries and attempted to expand its ”economic cooperation“ to promote exports. At the same time, Japan turned the formal KBS(Kokusai Bunka Shinkokai) into the Japan foundation(Kokusai Koriyu kikin) in 1972 in order to redeem its image from militaristic and fascist to peace-loving and democratic state. Moreover, Japan strategically continues to enhance its national brand. In the coming of new era, Japan desired to transform its “industrial structure” by focusing on cultural sector. I will examine how “Cool Japan” slogan came about in the early 2000s and will analyse the promotion of “Cool Japan” project in depth. Moreover, Japan launched “Cool Japan Fund” to invest private companies to promote Japan’s popular culture, such as comic books, movies, fashion, and food. Japan has been successful in promoting its image and national brand. Japan’s Cool Japan strategy is a dire reminder of what it means to be “cultural diplomacy” and “nation-branding,” which is prevalent in the world of diplomacy and politics.

      • KCI등재

        묘회(廟會)에서의 춘절(春節)표상화 과정 -현대 북경 지단(地壇)과 용담(龍潭) 공원을 중심으로-

        한남수 ( Nam Su Ha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8 No.-

        개혁개방 이후 공원 묘회(廟會)에서의 춘절(春節) 재개는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정부의 ‘문화만들기’에서 시작되었다. 북경의 지단(地壇)과 용담(龍潭) 공원이 묘회의 주요 개최지로 시범 운영되면서 춘절을 맞이하는 세태도 변화가 일어났다. 묘회는 춘절의 전통적 가치와 일상을 자연스럽게 융합시키고, 특정 공간을 향유하는 동력으로서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한다. 때문에 묘회는 개인과 사회, 공동체 모두에게 춘절을 체현하고 발원하는 곳이다. 그러나 유구한 역사를 간직해 온 춘절이 신해혁명 이후 여러 정치.사회적 갈등으로 인해가치와 정서 그리고 전통적 유산들이 폄하되거나 파기되었다. 이로 인해 정부는 혁명의 실패를 만회하고자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시작했고, 문화정책에 실천적 의지를 표명했다. 1980년대중반 개방 정책 이후의 경제적 상황이 일정 부분 실효를 거두면서, 춘절도 정치적인 방벽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특히 1984년 북경의 용담공원과 1985년 지단이 춘절 묘회 개최지로 확정되면서 전통적 가치에 대한 문화적 의미가 강조되기 시작했다. 이 두 공간은 춘절 문화의 정서를 환기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하는 통로로 시민의 지지를 받았다. 오랜 기간 춘절은 내전과 정치적 불협화음으로 위기에 봉착했고, 시민의 나눔과 교류가 부재한 채 정치적 교화의 장으로 변질되었다. 정부는 이 같은 정치적 현실을 만회하기 위해 전통문화의 회복을 서둘러야 했다. 그런 의미에서 북경 공원 묘회의 탄생은 춘절이란 민족적 정서를 공고히 하고 동시대의 전통적 가치를 회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례가 아닐 수 없다. 공원 묘회에서의 춘절의 재개는 단절된 과거로부터 전통 문화의 상흔을 회복하고, 문화를 향유하는 주체자로서 시민을 중시하는 첫 단계로 의미를 지닌다. 때문에 공원에서의 묘회의 개방은 일상의 공간, 시민의 공간, 춘절 축제의 공간으로 종교적인 색체를 과감히 제거하면서도 ‘전통’이란 이미지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물론 이 ‘전통’의 의미가 과거의 역사적 정서를 그대로 옮겨오기에 한계가 있었지만 시민에게는 묘회와 춘절이란 명칭만으로 여전히 그 유효한 가치를 심어주었다. 시민들은 묘회에서의 춘절을 통해 소통과 교류 그리고 문화적 정서를 공유할 수 있었고, 묘회를 문화 광장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묘회는 거대한 박람회장을 방불케 하며 시민들의 다양한 요구와 삶의 변화를 수용했고, 정부 역시 전통문화공간으로서의 춘절의 이미지를 구체화하면서 자연스럽게 주도권을 행사할 수있었다. 지단 공원은 도서 시장인 서시(書市) 개최를 지원하면서 책과 시민의 만남을 수용했고, 용담 공원 호수의 자연 자원을 활용해 단오(端午)에 용선절(龍船節) 축제를 열어 전통 문화 체험 장으로 자존감을 높였다. 현대 북경 공원 묘회는 춘절의 강력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으며, 전통적 정서와 일상 공간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문화 광장의 새로운 동력이 되고 있다. The re-starting of Chinese New Year in the park temple fair after the Reforms and Openness in the 1980s began with the ‘culture making’ by the government in its effort to find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pilot operation of Jidan Park and Yongdam Park in Beijing as major sites to hold temple fair ,the custom of holding Chinese New Year among people has also changed. temple fair naturally fuses traditional values and daily life of Chinese New Year, and strengthen cultural identity as the driving force of enjoying a specific space. Therefore, temple fair is the place which leads individuals, society, and community to experience Chinese New Year and prey for something. The value, mood, and traditions of Chinese New Year which had a long history were despised and destroyed by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following the Sinhai Revolution in 1911. Then, the government, to compensate for the failure of the revolution, collected opinions from various sectors of the society, and expressed its willingness to pursue cultural policy. As the economic situation became better after the Open-door policy in the mid-80s, Chinese New Year also could escape from the political obstacle. Especially, with Yongdam Park in Beijing being selected as the site for holding Chinese New Year temple fair in 1984, and Jidan Park being also chosen as such a site in 1985, the cultural meaning of traditional value began to be emphasized. Those two sites received the citizens`` support as the channels of reviving Chinese New Year culture and recovering cultural identity. For a long time, Chinese New Year had faced crisis because of the civil war and political dissonance, and changed into the site of political teaching lacking citizen sharing and communication. The government, to compensate for such a political reality, had to hurry recovery of traditional culture. In such a respect, re-birth of park temple fair in Beijing was an important case where people could strengthen nationalistic mood and recover contemporary traditional culture. To re-start Chinese New Year in temple fair in the park has the meaning of being the first step to recover the customs of the traditional culture from the extinct past, and attach importance to citizens as subjects who enjoy culture. Thus, the opening of temple fair in the park was the space of daily life, of citizens, and of Chinese New Year festival, and could maximize the image of ‘tradition’, while drastically eradicating religious colors of it. Of course, there are limits in reviving historical mood of the past in the ‘tradition’. But, the names temple fair and Chinese New Year were effective to make people enjoy tradition. Through Chinese New Year in temple fair, people could share communication, exchange, and cultural mood, and began to recognize temple fair as a cultural plaza. temple fair resembled a huge exhibition which embraced various demands and change of living styles. The government, by concretizing the image of Chinese New Year, could naturally lead the event. Jidan Park, with its support for the ‘Book City’, book market, supported the meeting of books and citizens. Using natural resources of the Yongdam Park Lake, it held the Yongseonjeol festival at The Dragon Boat Festival, upgrading its pride as the place of experiencing traditional culture. Currently, park temple fair in Beijing provides new driving force of cultural plaza which sends a strong message of Chinese New Year, and gives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ood and daily space.

      • KCI등재

        중국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 연구 -교표(校標)를 중심으로-

        안병삼 ( Byung Sam A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3 No.-

        본 논문에서는 중국 조선족학교의 상징체계로서 교표 도안과 그 특징 및 내용을 살펴보았다. 중국 조선족학교는 중국이라는 타국에서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조선족으로서의 민족정체성자각과 학생, 교사 그리고 학부모가 모두 단결할 수 있는 조선족 공동체의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교표를 만들고자 하였다. 중국 조선족학교 교표의 특징과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조선족학교 ‘학교문화’중 교표의 특징이다. 첫째, ‘학교문화’ 교표에 대한 기록이 없다. 둘째, ‘학교문화’ 교표에 대한 다양한 사용방법이 강구되지 않고 있으며 점점 중시도(重視度)가 사라져가고 있다. 셋째, ‘학교문화’ 교표 도안에는 도상(圖像)을 자주 사용하였다. 넷째, ‘학교문화’ 교표 도안에는 학교 영문이니셜을 이용한 상징체계로 조선족학교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다섯째, ‘학교문화’ 교표도안에는 색깔마다 각각의 뜻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조선족학교는 교표에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학교문화’ 교표에는 조선족학교의 민족의식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둘째, ‘학교문화’ 교표에는 교육적ㆍ지역적 특색을 모두 담고 있다. 즉, 해당 조선족학교의 교육적 이념 및 명칭, 그 지역적 특색 등 다양한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조선족학교 ‘학교문화’ 교표에는 시련 극복의 메시지를 많이 가지고 있으며, 해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조선족학교 폐교와 함께 사라져가는 ‘학교문화’ 중 교표(校標)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는 조선족학교가 그동안 창조한 ‘학교문화’의 소실을 극복하는 의미 있는 작업이며 민족문화영역을 한반도 이외의 지역으로 확대하는 작업이다. 중국에서 한민족인 조선족이 그동안 창조한 다양한 ‘학교문화’가 조선족학교의 폐교와 함께 사라지는 것을 막고 보존되기를 바라며, 이 분야의 연구가 앞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 I have studied the designs, the features, and the contents in the School Symbols of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These schools have intended to make the students realize their own identity, and also make the students, parents, and all the teachers become one through ‘the School Symbol.’ To begin with, about the recent situations of the School Symbols of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firstly, there are no written data about it. Secondly, there are no motivated intentions to use the school cultured school symbols in diverse ways, and eventually they have not been used. Thirdly, the iconography is often used. Fourthly, the English initials have been used to indicate that they are not Chinese Schools. Fifthly, there are different colours indicating different meanings.Then, I have studied generally in what the meanings of the School Symbols have. Firstly, the cultured school symbols put emphasis on the students being Koreans in diverse ways. Secondly, they contain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and district such as the names and the philosophy. Thirdly, there are the messages of overcoming the hardships and trials which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 do hope that this report would motivate researchers to study more of the vanishing school symbol cultures of the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and to help the fewer number of the Chinese-Korean Schools in China to be successive. We Koreans should extend our school activities from South Korea to the Korean descendants outside of this country.

      • KCI등재

        북경 유리창의 표상과문화사적 의미 -시사(市肆)를 중심으로-

        이홍식 ( Hong Sik Le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0 No.-

        본고는 청의 대표 상업공간으로서 북경 유리창이 갖는 문화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행사들이 기술한 유리창 시사(市肆)의 풍경을 정리하고, 그 속에 투영된 공통된 시선을 밝혀 유리창을 매개로 이루어진 한중 문화 교류의 물적 토대와 심리적 기저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유리창 시사에서 실제 수입된 주요 물품과 그것으로 인해 야기된 조선후기 문화의 변화까지 고찰함으로써, 상업공간으로서 유리창이 갖는 실질적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한중 문화 교류사에서 유리창이 차지하는 의미는 매우 크다. 특히 유리창 서점에 서 판매된 서적과 서점을 매개로 이루어진 지식인 교류가 조선후기 문화사와 지성사에 적잖은 영향을 미쳤던 만큼, 그 의미는 적지 않다고 하겠다. 그런데 서점가로 잘 알려진 유리창은 북경 제1의 번화가이자 시장이기도 했다. 유리창 동서 거리에는 서점뿐 아니라 서화와 골동을 파는 가게와 안경을 비롯한 서양의 기물을 파는 상점 등이 즐비했고, 술집과 찻집, 은전포와 전당포 등으로 성시를 이루었다. 천하의 다양한 물건들이 다 갖추어져 있고 화려한 유리창 시사는 연행사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고, 페르시아 시장으로 이미지화되어 결국에는 중국의 부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인식되기에 이른다. 물론 사치와 비실용이란 이름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유리창은 긍정의 대상으로 자연스러운 물품 구매를 자극한다. 그 결과 연행사들은 이곳 유리창에서 책 외에도 서화와 골동, 안경과 자명종 등 다양한 물품들을 구매했으며, 이렇게 구매된 상품들은 조선에 유입된 후 문화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야기했다. 그 중에서도 안경은 사대부들의 독서생활뿐 아니라 천문과 역법, 지리와 군사 등의 제 영역에서 다기한 변화를 이끌어내었고, 결국에는 대상에 대한 근대적 인식을 싹트게 하는 데 일조하게 된다. 이렇듯 청과 서양의 기물을 구매할 수 있는 대표 시장으로 기능했던 유리창은, 청과 서양의 문물을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를 자극했을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의 실질적인 문화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일조하게 된다. 한중 문화 교류사에서 유리창 시사가 차지하는 의미를 축소하거나 간과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This paper`s purpose is to reveal the cultural meanings of Beijing Liulichang(琉璃廠) as major commercial space in Ching. For the purpose, this paper organized the scenery of market stores in Liulichang written by Yeonhangsa(the representatives). Revealing common views projected in those, it researched what were material and psychological bases of Chosun and Ching`s cultural exchanges. In addition, as it considered main goods imported from the stores and cultural changes arisen from them in the late of Chosun, draw practical meanings of Liulichang as a commercial space. The meanings of Liulichang in the history of Chosun and Ching`s cultural exchanges ar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as intellectual`s exchanges formed by media like books and bookstores in Liulichang influenced the history of culture and intelligence in the late Chosun, the meanings are significant. By the way, Liulichang well known as the street of bookstores also was the first main street of Beijing. The street from east to west consisted of bookstores, stores selling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tiques, teahouses, public houses, pawnshops and so on. Splendid stores in Liulichang preparing with various things from the world were enough attracted Yeonhangsa`s interests. They were become animage of a Persian market and were acknowledged as a symbol indicating wealth of Ching. Even though they were a critical subject as luxury and unpracticalness, in many case they, as positive subjects prompted natural buying things. As a result, Yeonhangsa purchased a variety of goods which wer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tiques, glasses, alarm clocks, besides books. They were imported to Chosun and brought changes of general life as well as culture. Glasses out of them draw various changes of astronomy, calendar, geography, army and reading life. Finally glasses helped to arise modern recognition against objects. Like this, Liulichang was an representative market which could purchase things from Ching and the Western, a space prompting to change of attention watching culture of Ching and a material base leading culture changes of the late Chosun.

      • KCI등재

        중국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 연구 -당안관 자료의 외부 공개-

        안병삼 ( An Byung-sa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8 No.-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학교를 대상으로 그 학교의 ‘울타리 문화’를 형성한 목적과 그 내용을 분석하였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울타리 문화’란 조선족학교가 교문을 포함하여 학교주변을 둘러싼 울타리(담장), 학교 게시판 및 학교 건물 외벽 등 사람이 많이 다니는 장소에 학교의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고 있는 문화를 가리킨다.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에서 볼 수 있는 자료는 학교의 역사는 물론 상부에서 받은 표창, 공문서, 학교 규칙, 학생들의 수상내용, 시간표, 교표, 교가, 교훈, 상장, 활동 사진, 졸업 사진 등 실로 다양한 자료들이다. 또한 조선족학교가 ‘울타리 문화’를 통해 이루고자 한 목적은 내부 구성원들에게는 학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외부인들에게는 학교를 알리는 홍보 역할과 더불어 정부의 정책을 선전하는 선봉의 역할을 하면서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충실히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의 내용을 장소별로 크게 세 곳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교문과 학교를 둘러싸고 있는 울타리(담장)에 나타난 당안 내용이다. 교문에는 학교의 명패가 있다. 교문 바로 옆 경비실 주변의 울타리(담장)에는 상급 기관의 문건, 학교의 알림, 학생 규칙, 학교 당직자 및 휴식 시간표, 스쿨버스 시간표, 사회 안전 및 범죄예방 포스터, 학교 교과주임과 담임 배정표 및 각 과(科)와 실(室) 인원배치표, 일과표, 수업 시간표, 학비 공고 등이 있었다. 교문과 거리를 두고 있는 울타리(담장)에는 주로 공산당 및 사회주의 선전 문구, 전통문화 그림, 항일열사 소개 등이 있었다. 둘째, 학교 게시판의 당안 내용이다. 학교 내 설치 게시판에는 학교에 관한 내용인 학교의 역사, 학교 이념, 교훈, 교가 등 학교소개, 학교 관리 설명, 인성교육 자료, 민족교육 홍보, 선진문명 실천에 대한 포스터 등이 있다. 학교 외부에 설치한 게시판에는 학교 통지의 여러 문건이나 학교의 알림, 학교의 자랑거리, 스쿨버스 정보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밖에서 바라보이는 학교 건물 외벽의 당안 내용 등이다. 건물 외벽에는 각종 학교가 지향하는 배움의 방향을 나타내는 문구들이 있다. 중심 건물의 가운데에는 교표가 걸려 있고, 건물 벽에는 학교의 교훈, 학교가 내세우는 문구 등이 쓰여 있다.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내포하고 있었다. 첫째,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의 가장 많은 내용을 차지하는 것은 당정관리 자료(黨政管理類)였다. 이것은 당정관리자료의 당안 범위가 46가지로 가장 많은 종류를 포함하기 때문인 동시에 당·정의 공문서와 학교의 공문서들은 학교를 통해 반드시 학교 구성원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구성들에게도 전달되어야 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둘째,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에서 민족적 색채가 사라져가고 있다. 정문에서부터 울타리, 게시판, 외벽에서 보이는 변화들은 아무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서서히 중국화가 되어 가고 있었다. 셋째, 조선족학교 ‘울타리 문화’ 에 통일성이 없었다. ‘울타리 문화’를 구성하는 정문, 울타리(담장), 게시판, 건물 외벽의 내용들이 학교마다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되어 있었고, 서로 다른 내용들의 당안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넷째, 도시와 농촌 학교 간 ‘울타리 문화’의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조선족학교는 ‘울타리 문화’를 통해 지역사회와 소통을 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in China. This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refers to a culture in which Chinese-Korean schools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bout schools including fences, fences surrounding fences, school bulletin boards, and exterior walls of school buildings.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have a lot of documentations. for example, the history of Chinese-Korean school, the direction of school, the contents of school administration, the contents of learning, information about students and teachers. The important fact that contents have been released through the fence cultures is the fact that documents of the Archive(檔案館, Dang An Gwan). In this paper, the content of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is divided into three places by place. First, the information shown in the fence surrounding the school and school gate. Second, it is the content of the school bulletin board. Third, it is the content of the Archive, including school buildings facades overlooking outside. The fence culture of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had many characteristics. First, the most important contents of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were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documents. Second, the ethnic color is disappearing from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Third, there was no unity in the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Fourth, the gap of Chinese-Korean School Fence Culture between urban and rural schools was very large. Fifth, Chinese-Korean School is communicating with local community through ‘Fence culture’. I hope that the interest in various school culture of Chinese Korean schools and the systematic research and study in various angles will be actively purs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