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종우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2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6 No.2
Based on the property control right, carbon emission rights can avoid being classified as traditional property rights and promote privatization of public resources, so private property protection can be promoted more appropriately. The greenhouse gas emission enacted by the Kyoto Protocol consists of three systems. These are the Joint Implementation (Jul),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and the Emission Trading (ET).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joint implementation system was to promote cooperation among EU signatory countries in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and Joint Implementation Scheme can provide technology and financial support to developing countries to cooperate in economic and resource development. Regarding the legal nature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civil rights or public law rights, that is, property rights or administrative rights, since the legal nature is not clearly defined, much discussion is needed on this topic as well. Two types of carbon emission allocation distribution methods are mainly discussed, free distribution and paid auction. Choosing a more appropriate method is a good measure to avoid mass emission of carbon. Currently, most of China's carbon emission trading laws ar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total amount of carbon allowances allowe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nitial distribution system, and transactions between the parties are not perfectly regulated. Since this causes anti-monopoly issues such as monopoly of allocation and unfairness of price formation in carbon emission trading activities, the optimal amendment to the law should be standardized after intensive discussion. On the other hand, if you look at the situation of the pilot operation of the carbon credit market in China, market transactions are not active, and there is a lack of a system for predicting future carbon prices through accurat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utures prices. It is ultimately necessary to maintain a unified carbon trading market for all of China and to boldly liquidate and organize the carbon market in the pilot region. Full disclosure of carbon emission market transaction information helps to alleviate carbon market information asymmetry and avoid distorted governance and insider trading. Several issues can be raised in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carbon credits. The fact that a causal relationship must exist and that the defendant's actions must be traced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carbon emission and property rights litigation issue. Although the US court does not stipulate the property rights status of carbon emissions by law, in practice, the property rights of carbon emissions are stipulated on the contrary. In relation to the carbon emission contract law, with respect to the legal uncertainty of carbon emission rights, the participating entity clearly recognizes the restrictive nature of the rights and attempts to approach it from the angle of consideration of the contract while avoiding the components and attributes that are excessively linked to the property properties. there is a bar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for the buyer to remedy any legal risks arising from the carbon emission trading system, such as change of ownership, sincerity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force majeure, illegal risk, eligibility of both parties, collateral and compensation clauses. Regarding the carbon emission tax law issue, in March 2009, China made clear guidelines considering the clean development enterprise income tax. In international negotiations on carbon emissions, the reliability of the joint marketing system for carbon emissions is key, and transparency through information disclosure and fairness of transactions must be ensured. A carbon emission dispute resolution body must use the national or regional law most closely related to the contract or dispute as its governing law. 재산규제권에 근거하면 탄소배출권은 기존의 전통 재산권으로 분류되는 것을 회피하여 공공자원의 사유화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유재산 보호를 더 적절히 추진할 수 있다. 교토의정서가 제정하는 온실가스 배출은 세 가지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 공동이행제도(Jul: Joint Implementation)과,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배출권 거래제도(ET: Emission Trading)가 그것이다. 공동이행제도를 확립한 목적은 EU 각 협약국으로 하여금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서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함이었다. 청정개발체제 및 공동이행제도는 개발도상국에 기술 및 자금지원을 제공하여 경제 및 자원 발전에 협력할 수 있다. 탄소 배출 감축량의 법적 성질과 관련해서도 민사권리나 공법 권리, 즉 재산권인가 아니면 행정인가의 문제에 대해서 법적 성질이 분명하게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를 해야 한다. 탄소 배출 할당 분배방식은 무상분배와 유상 경매 두 가지가 주로 거론되는데, 보다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탄소의 대량 배출을 회피하는 좋은 대책이 된다. 현재 중국 탄소 배출 거래 법률은 대부분 탄소배출권 허용 총량 설정 및 초기 분배제도 확립에 편중되어 있고, 당사자 간의 거래행위 등은 완벽하게 규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것은 탄소배출권 거래행위에 할당 독점 및 가격형성의 불공정성 등 반독점법 쟁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추후 집중적으로 논의하여 최적의 법률 개정안이 규범되어야 한다. 한편, 중국 탄소배출권 시장이 시범 운영되는 상황을 보면 시장거래가 활발하지 않고 선물가격과 같이 정확한 통계 분석으로 미래 탄소 가격을 전망하기 위한 제도가 부족하다. 궁극적으로는 중국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하나의 통일된 탄소거래시장을 유지하고, 시범지역 탄소 시장에 대해서는 과감히 청산 및 정리작업을 하는 것이 앞으로 필요한 당면과제가 된다. 탄소배출시장 거래 정보의 전면 공개는 탄소시장 정보 비대칭을 완화하여 왜곡된 지배구조와 내부자거래를 회피하도록 해준다. 탄소배출권의 국제 협력에 있어서도 여러 쟁점이 제기될 수 있다. 탄소 배출액 準물권 소송문제에 대해서는 반드시 인과관계가 존재하고 피고 행위를 추적해야만 한다는 사실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법원에서는 법률로 탄소 배출액의 재산권 지위를 규정하지는 않고 있으나, 실무 과정에서는 도리어 탄소 배출액의 재산권 속성을 규정하고 있다. 탄소 배출액 계약법과 관련해서는 탄소배출권이 법적으로 지니는 불확실성과 관련하여 참가 주체는 해당 권리의 제한적 성질을 분명히 인식하여 지나치게 재산권 속성과 연결하는 요건은 회피하면서 계약의 代價 각도에서 접근을 시도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소유권의 변경, 탄소 배출 감축의 진실성, 불가항력, 불법 리스크, 쌍방 당사자의 적격성, 담보 및 보상조항 등 구매자가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에서 법적 위험이 발생하면 이를 구제하도록 해야 한다. 탄소배출권 세법문제와 관련해서 중국은 2009년 3월 청정개발기업 소득세를 감안하여 지침을 분명히 한 바 있다. 탄소 배출과 관련한 국제 협의에 있어서는 탄소 배출액 공동 경매제도의 신뢰성이 관건이며, 정보 공개를 통한 투명성 확보 및 거래의 공정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탄소 배출 관련 분쟁 해결기구는 계약이나 분쟁 사실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가 ...
마츠다 마사유키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0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4 No.2
인터넷 발달에 따른 새로운 사회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해, 일본의 출판사들은 전자서적 출판과 관련된 법적 문제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두 가지 문제로 논점을 제시할 수 있는데, 하나는 전자서적 유통과 관련된 법적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국립국회도서관의 검색시스템과 관련된 문제이다. 출판사가 전자서적을 유통시키기 위해서 서적을 전자화 하는 것은 저작권법의 복제권과 관련된다. 특히 출판사가 디지털 콘텐츠를 복제할 수 있는 법적 지위를 확보해 두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전자서적출판 계약에 따른 출판사업 확보의 문제, 출판사의 전자출판에 있어서 이익배분의 법적 근거를 확립하는 문제, 컨텐츠의 net유통에 있어서 가격결정권을 저작자와 출판사에 귀속시키는 문제와, 저작자와 출판사간의 디지털 컨텐츠 이용에 관한 애매한 법적 문제를 해소하고 명확한 법상황을 만들어야 하는 계약 실무의 확립문제 등에 대해 심도있게 다뤘다. 또한 저작권법에서 정의하는 출판이란 ‘인쇄 그외의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저작물을 문서 또는 도화로서 복제해, 이 복제물을 반포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포의 목적을 갖는 것’, ‘원작인 채’, 복제의 방법, 전자출판의 유형 등 출판 계약에 있어 출판사에 있어 법적 문제를 다루고 이에 대한 출판사의 대응방법과 한계에 대해 지적했다. 특히 판면(版面)에 대한 개념을 도입해 설명하고 판면과 관련된 출판결정권(=편집권), 출판협력의무, 판면보호의 법리와 계약상의 보호, 판면과 전자출판의 관계에 대해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일본 국회도서관 소장자료의 전자화와 일본서적의 검색제도에 관해 검토하였다. 일본 국회도서관은 서적의 ‘보존’과 ‘공중의 이용에 제공’할 목적으로 소장자료를 전자화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소장자료의 전자화가 저작권법상의 복제권과 상영권, 자동공중송신, 저작인접권 등의 규정과 관련되어 제한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도입된 것이 나가오 구상인데, 공공서비스로서의 전자서적 유통, 관외대출로서의 데이터 송신, 민간투자와의 관계 등에서 해결점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 국회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일본 서적 검색제도 또한 공공서비스, 국유재산화, 전자납본제도 확립, 공공도서관에 있어서의 이용과 저작자, 출판사의 보호, 국회도서관 등의 이용에 있어서 분쟁해결 기능의 측면에서 검토하고 결론을 내렸다.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해외진출과 그 법적 책임 -일본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중심으로-
김지만 ( Ji Man Kim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3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7 No.2
Recently, the Korean culture become the most popular one in the world. You can see the Korean popular drama and listen the Korean music in the many other countries. So, many Korean entertainment companies want to sell the own entertainment contents like drama, movie, music and so on. And also they want to make inroads in the export market in many countries. At this time, the providing of entertainment contents will perform signing contracts. Actually, the theory of civil law will apply on this contracts. But, the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rule of own entertainment industry. For this reason, Korean entertainment that want to enter other country need to search and study of other country laws. But, it is not easy to search and prepare for making contracts. Therefore, in the point of comparative study on laws, we need to study and understand other country`s law for entertainment business. As a first step, this thesis is for Japanese entertainment laws.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수반되는 형사법적 문제점 - 연예기획사 사건을 중심으로 -
김성천 ( Seong Cheon Kim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0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4 No.2
In 2009, Stars Entertainment CEO Jong-seung Kim forced serving alcohol and Sex Services. In 2019, YG Entertainment's singer Seungri provided Sex Services. The commonality between the two cases is that the entertainment agency commercialized the female sex, and attempted unfair competition through Sex Services, such as appearing and attracting investments. Most domestic entertainment companies are common in that they convert women into sex products. There is a socially unfavorable view of the behavior of sexual commodification. These social criticisms cause psychological discomfort for those who participate in sexual commodification. This psychological discomfort can be resolved through rationalization as a defense mechanism of the self. Through rationalization, as you overcome the discomfort in your inner mind about sexual commercialization and work on it, you gradually get used to it. If you try hard to rationalize while doing sex commercialization, you will be very familiar with rationalization without having an ethical resistance to sexual commercialization at an increasingly higher level. As rationalization works more and more smoothly, emotional reactions disappear and only rational thinking remains. When you reach this stage of Intellectualization, you can force sex services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emotional response. If we are immersed in the commercialization of female sex, the normative consciousness in our mind that not to do sex services disappears. In that respect, domestic entertainment companies have a common risk. By doing sex services, it is unfair competition to have your celebrities appear on broadcasts, attract investments, make media outlets write favorable articles, and let investigative agencies dominate the case when a case arises. The rules for bribery do not apply to the rest of these, except for bribes to investigative agencies. Instea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rticle 357 of the Criminal Code will be applied, and it is clear that a request for contribution or inducement of investment, etc., constitutes an “unfair solicitation”. However, whether sex services are'property benefits' is problematic for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prostitution punishment law, the act of providing sex opportunities in exchange for money and goods is subject to punishment. However, nevertheless, the Supreme Court condemned the act of not paying the price while having sex by cheating on paying such a price as a fraud under Article 347 of the Criminal Code. According to the legal and economic concept of property,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precedent, all economic benefits except criminal interests are property. 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cept, it would be difficult to recognize the property for the provision of services called prostitution. Nevertheless, seeing prostitution services as a property benefit means that the Supreme Court is not seriously aware of the criminality of prostitution. It may be a bit confusing because there are prestigious penalties, but it is reasonable to view sex services as a property benefit. Therefore, doing unfair solicitation and doing sex services in return is a crime. The act of unfair solicitation violates the fairness of job performance in the private sector. Even if it is not the job of a public official, fairness should be ensured for jobs performed by institutions with strong publicity, such as schools and labor unions. This is because, even if they are not state institutions, these institutions with strong publicity have a strong influence on members of society. Entertainment agencies also have strong publicity. It is an organization that sells products to the general public and has a psychological impact on many people. In this way, the Unfair Solicitation Prohibition Act was enacted in order to prevent people who handle business with strong publicity regardless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from losing the fairness of their job performance by receiving illegal solicitations or receiving money and goods on a regular basis. In order to prevent unfair competition from entertainment companies, I think that executives and employees of entertainment companies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subject of the Unfair Solicitation Prohibition Act.
박성진,이규호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3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7 No.1
Saudi Arabia's copyright law was first enacted in 1989, and the 2018 amendments are still in effect today. In terms of international treaties, Saudi Arabia is a signatory to the Berne Convention, TRIPS, and the Marrakesh Treaty, but there was a lack of legislation to prepare for the internet environment, so in 2018, a major overhaul of intellectual property laws was carried out,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the Copyright Law was revised in 2018 as a result. In particular, the kingdom has declared 'Vision 2030,' a major reform policy for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o address national challenges, and is actively promoting a project to create an intellectual property ecosystem in cooperation with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Saudi Arabia's religious, political, cultural, and social conditions are inhospitable to the development of copyright, the country has begu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as an intangible asset and is currently focusing all of its efforts on the reform policy, laying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s intellectual property and carrying out specific projects, as well as creating an intellectual property ecosystem that is conducive to innovation and creation. We believe that the future of copyright in Saudi Arabia will be very bright if the government continues to maintain this momentum. In light of the recent construction of Neom City and its accompanying projects, it may be necessary to conduct bilateral FTA negotiations with Saudi Arabia, the centerpiece of the GCC, in terms of copyright protection in the future, so it is meaningful to take a glance at copyright system in Saudi Arabia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사우디아라비아 저작권법은 1989년 최초로 제정된 이래 2018년 개정된 법률이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국제조약과 관련하여 베른협약, TRIPS 및 마라케시 조약에 가입하였으나 인터넷 환경 등에 대비하는 법안이 미흡하여 2018년 지식재산청의 발족을 필두로 지식재산권법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가 진행되었고 그 성과로서 2018년 저작권법이 개정되었다. 특히,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대한 대대적 개혁정책인 ‘Vision 2030’을 선포하면서 대한민국과 협력하여 지식재산 생태계 조성사업을 활발히 진행하는 등 지식재산권법의 전방위적인 체제개선을 추진 중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적, 정치적, 문화적, 사회적 여건은 저작권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는 열악한 환경이지만, 무형자산인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현재 국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시행 중인 개혁정책과 더불어 국가 지식재산의 근간을 세우고 구체적인 정비작업에 돌입한 한편 혁신과 창작에 부합하는 지식재산 생태계 조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기조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면 사우디아라비아 저작권의 미래는 매우 밝을 것으로 전망한다. 최근 네옴시티 건설과 이에 수반하여 여러 사업의 수행과 관련하여 향후 GCC 회원국인 중심축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저작권 협상을 진행해야 할 수도 있는 바, 사우디아라비아의 저작권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보는 것은 비교법적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 빅데이터 거래에 관한 법적 고찰 -정보법을 중심으로-
김군 ( Jin Jun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8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2 No.2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conomic society promotes the rapid development of Big Data. According to the survey conducted by the China Academ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hat the size of China's Big Data industry was 470 billion RMB in 2017, demonstrating a 30% year-on-year increase. There can be no doubt that Big Data industry is becoming a new economic growth engine and will play significant role for the future patterns of the information industry. Although Big Data transactions have developed vigorously, there is still no specific rules to regulate it. In practice, Big Data transaction is regulated by The General Rules of the Civil Law, Contact Law, Copyright Law, Law of the PRC against Unfair Competition, and the Information Protection of related regulations and policies. In order to provide grounds for Big Data transaction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general situation of China's Big Data Exchanges and the types of Big Data transactions, as well as the laws related to Big Data and the trading rules of Big Date Exchanges in China. In fact, there is no explicit rules for attribution of big data, and the attribution of Big Data is determined by agreement in legal practice generally. If there is no agreement in previous, the right of Big Data should be attributed to the Data collector (or creator). In the aspect of Big Data circulations, the information collector, which shall specify the using of information method, the extent and purpose of information to the individuals, shall obtain the individuals consent in advance. Finally, this article also review two cases related Big Data. According to the ruling, without permission of using Data, which is legally collected by others, is an unfair competition. In the case of cookies, the court established a standard for using personal information to infringe on the privacy rights of individuals.
「광고산업 진흥법안」의 목적 및 정의 규정에 관한 검토
양승광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3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7 No.1
While academia and industry have long recognized the nature of the advertising industry as a high-value-added industry and a knowledge industry based on human resources, the government still seems to view it as an auxiliary industry. For this reason, the advertising industry has been devalued despite its economic impact. In the face of this reality, the "Advertising Industry Promotion Bill" has been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pplement the need for the bill to be enacted and to examine the definitions of key terms in the bill.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need for the promotion of the advertising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the culture state and the fulfillment of the state's duty to promote effective employment. Furthermore, the article examines the arguments that may be raised against the need to promote the advertising industry and examines their validity. Next, we examined the definitions in Article 2 of the Advertising Industry Promotion Bill. As the scope of advertising is rapidly expanding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defining terms based solely on the existing state of the industry may halve the expected effect of the legislation. After reviewing key terms from a legal system perspective and a techno-social environmental perspective, we proposed alternatives. 광고산업은 전통적으로 보조산업으로만, 미디어의 재원형성산업으로만 이해되어 왔다. 광고는 기업 경영에 있어서 부수적 요소에 불과하며, 내수 경기가 살아나면 광고산업 역시 살아나는 것으로만 생각되어 왔다. 다른 산업에 비해 정부의 육성 정책이 현저히 미흡한 것은 이러한 인식 탓이다. 학계나 업계에서는 광고산업의 성격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적자원을 기반으로 한 지식산업으로 인식한지 오래됐지만, 정부는 아직 광고산업을 보조산업으로 보는 것에 머물러 있는 것만 같다. 이러한 이유로 광고산업은 그 경제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가치가 평가절하되어 왔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국회에서는 「광고산업 진흥법안」이 발의되었다. 이 연구는 이 법안이 제정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충하는 한편, 법안에서 행한 주요 용어의 정의규정을 검토하기 위해 행해졌다. 먼저 이 글에서는 먼저 광고산업 진흥의 필요성을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와 국가의 효과적 고용 촉진 의무 이행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에 그치지 않고 광고산업 진흥 필요성에 관해 제기될 수 있는 반론을 살펴본 후 그 타당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광고산업 진흥법안」 제2조의 정의규정을 검토하였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광고의 범위도 급속하게 확산되는 터라, 용어들을 기존의 산업현황에만 기대어 정의한다면 애써 제정된 법률의 기대효과가 반감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주요 용어들을 법체계적 관점 및 기술사회환경적 관점에서 검토한 후 대안을 내어놓았다.
이충훈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3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7 No.2
영상을 제작한 영상물공동저작자 중 영화감독을 중심으로 저작권법 제100조의 규정에 의한 영상저작물양도특례규정의 문제점과 저작권이 양도된 후 양수인이 많은 수익을 얻게 된 경우에도 영화감독 등은 이에 비례한 보상이 지급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제기하면서 영화감독 등 연출가에게 추가보상청구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과거부터 존재해 왔다. 그러던 중‘오징어 게임’으로 촉발된(물론 그 이전부터 영상물 저작자의 권리보호 목소리는 있었지만) 영상물저작자의 추가보상청구권 도입문제는, 이제 추가보상청구권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저작권법을 개정하자는 주장으로 강화되었고, 이 문제에 대한 공청회가 여러 번 개최되었다. 이를 지지하는 학자와 이를 부정하려는 학자들의 의견대립도 팽팽하게 대립되고 있다. 그러나 추가보상청구권을 법으로 규정하자는 견해는 저작재산권을 양도한 사람이 무엇을 근거로 양수인(영상물최종제공자)에게 추가보상을 요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법적 근거가 미약하다고 할 것이다. 저작권양도로 저작자에게는 어떤 권리도 남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외국에서 영상물저작자에게 추가보상청구권을 인정하고 있다고 하면서 우리나라에도 이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외국의 법문화 및 법체계는 우리나라와는 다르기 때문에 추가보상청구를 인정할 수 있다는 점도 주의해야 할 것이다. 외국법의 무분별한 도입은 우리법 체계에 결코 도움이 될 수 없다 할 것이다. 2015년 정부가 공표한 ‘표준 영화화 권리 이용허락계약서’, ‘표준 영화화 권리 양도 계약서’를 보면 영상물저작권자가 주장하는 추가보상청구권에 해당하는 수익배분규정이 존재한다. 법적 근거가 빈약한 법정의 추가보상청구권보다는 당사자간의 약정에 의한 수익배분규정이 법리적으로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표준계약서가 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우선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지식재산권은 물권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다고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식재산권분야에서는 지식재산권을 물권보다 더욱 강력한 권리로 이해하여, 물권인 소유권보다도 더 쉽게 취득하고, 더 쉽게 처분이 가능한 권리로 취급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여기에 재산권양도의 법리에는 부합하지 않는 저작재산권 양도인의 추가보상청구권까지 인정하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다면 지식재산권의 처분행위는 준물권행위가 아니라, 초(超)물권행위라고 정의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의문이 든다. 저작권법의 개정은 저작권법을 전공하신 분들이 여러 법리를 고려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방향으로 방향을 정하실 것이라 믿고 있다. 그러나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은 저작권도 재산권이므로 재산법적 법리에 맞는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There have been arguments that the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should be recognized for principal directors, including lighting directors, director of photography, who are among the co-authors of audio-visual works by raising the issue of the special rules concerning audio-visual works under Chapter V-2 of the Korean Copyright Act because, even if the film producer earns a large amount of revenue after the transfer of the copyright, the film director is not paid proportional compensation. However, the issue of introducing additional compensation claims for authors of audio-visual works, which was sparked by the "Squid Game" (although authors of audio-visual works have been voicing their rights even before that), has now been intensified by claims to amend the copyright law to adopt the additional compensation right, and several public hearings have been held on the issue. The debate has been fiercely contested by scholars who support the idea and those who deny it. However, the argument that the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should be stipulated in Copyright Act has a weak legitimate reasoning because the person who has transferred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annot demand additional compensation from the transferee (or the final provider of the audio-visual works) and because the Copyright Acts of foreign countries recognizing the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for authors for audio-visual works has different legal culture and different legal system. Introducing foreign systems indiscriminately is not only unhelpful to our legal system, but also has the potential to conflict with our existing legal system, so in-depth research should be done before introducing them. There are revenue sharing rules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compensation right claimed by the copyright holder in the 'Standard Film Rights License Agreement' and 'Standard Film Rights Transfer Agreement' promulgated by the government in 2015. It will be said that the revenue sharing provision by the Agreements between the parties is legally valid rather than the additional compensation right in court, which has a poor legal basis. The first consideration should be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al mechanism for the standard contract to be utilized in practice. IPRs are similar to property rights in nature. Nevertheless, additional compensation right which the supporters argue i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IPR is stronger right than property rights in intellectual property law area, and they seem to believe that it may be right that can be more easily acquired and more easily disposed of than property rights. The argument to recognize the right to additional compensation after the transfer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law of transfer of property rights, raises the issue of whether the act of dispos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ould be defined as a super-property right act, not a quasi-physical right act.
马志冰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1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5 No.2
중국전통감옥의 의미는 광의의 감옥을 뜻한다. 감옥이란 법에 따라 형벌을 집행하여 인신자유를 구속, 제한하는 모든 감금노역장소를 가리키며 현대의 감옥, 노동교화관리소, 구치소, 유치장 등 여러 유형의 감금구금기관을 포함한다. 다만 중국고대의 법은 기결수와 미결수에 대하여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다. 중국 고대의 전통감옥의 출현은 적어도 先秦시기 夏정권의 설립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기원전 1세기 西漢의 史遊가 편찬한 “急就篇”에는 “睾陶가 옥을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중국전통감옥관리체제는 고대의 형사사법실무에서 최초로 발생하였고, 최초의 형사사법실무는 조기의 군사사법실무로부터 생겨난 것이다. 중국고대에는 이른바 “刑은 兵으로부터 시작하였다.”, “兵과 獄은 同制이다.”라는 주장이 있었다. 전술한 “睾陶作士” 중의 “士”는 실제로는 최초의 사법관 겸 옥관이었다. 이는 중국고대조기의 형사사법과 형벌집행은 군사와 행정기능을 구분하지 아니하는 특징이 있음을 보여준다. 魏, 晉, 南北朝시기의 400년에 가까운 발전, 과도와 변천을 거쳐 隋唐시기 이후에 들어서서 중앙 감옥관리체제에는 하나의 중요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3省6部制를 주체로 하는 중앙행정관리기관 중 尙書省이 관할하는 6部에 전문적인 중앙사법행정기관인 刑部를 설치하였다. 刑部는 통일적으로 전국 감옥사무를 관리하는 최고직능부서이고 “천하의 형법 및 徒隸, 勾復, 關禁의 정령을 관장한다.” 지방은 州, 縣 兩級制의 행정관리체제를 실행하여 각각 州, 縣 兩級의 지방감옥을 설립하였다. 이러한 부분등을 포함하여 감옥체계에 대한 본논문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저작물의 대한민국 내 보호기간 문제 - 서울서부지방법원 2023. 1. 16. 선고 2021노1369 판결에 관한 평석 -
이일호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3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7 No.2
Calculating the duration of copyright protection may initially seem simpler compared to other copyright-related issues, as it appears to be primarily determined by adding a specified period to the author's life (e.g., 70 years post mortem auctoris).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aspects of copyright protection, including diverse approaches to copyright terms and the presence of special duration-related rules in foreign copyright laws, determining the copyright term for foreign works in Korea becomes less straightforward. Additionally, it can be challenging to ascertain details such as the date of publication (or making available) of the foreign work in question, the identity of the authors, their date of death, and other relevant incidental information. This article addresses a criminal case related to the duration of copyright protection for certain musical works originating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ir recognition in Korea. Korean courts have infrequently dealt with the protection of foreign works, but the case adjudicated by the Seoul Western District Court in 2023 is noteworthy for its comprehensive treatment of the intricate questions surrounding the copyright term of U.S. works. In this context, we will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judgment. Most importantly, this article seeks to derive implications for how to approach the issue of the copyright term for foreign works, particularly those from the United States, in potential future cases. We aim to provide guidance on interpreting relevant laws and making informed, reasoned judgments. 저작권 보호기간은 여타의 저작권 관련 문제보다 다루기 쉽다고 여겨진다. 그 이유는 보호기간이 단지 저작자의 생존기간에 일정 기간을 더해 결정되면 족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작권 보호기간의 국제적 측면을 본다면, 더욱이 외국 저작권법에 존재하는 저작권 관련 특이제도를 고려한다면, 외국 저작물의 대한민국 내 보호기간을 결정하는 문제는 결코 단순하지 않다. 더 나아가 외국 저작물이 언제 발행(공표)되었는지, 또 그 저작자는 누구이며, 언제 사망했는지 조사하기 어려울 수 있고, 그 외에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들도 확인되어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을 본국으로 하는 저작물이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보호되는지를 둘러싸고 제기된 형사사건을 다룬다. 우리 법원은 외국의 저작권 보호기간 문제를 이따금 다루지만, 미국 저작권법상 복잡한 보호기간 문제를 광범위하게 다루었다는 점에서 이 사례가 가지는 의미는 크다고 생각된다. 여기서는 판결에서의 분석순서에 따라 판결의 의미와 한계에 대해 짚어보기로 한다. 이 글은 무엇보다 향후 제기될 수 있는 유사 사건에서 외국, 특히 미국 저작물의 보호기간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또 관련 법규정을 어떻게 해석하고, 법정책적인 판단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와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