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硏究論文) : 전통문화체험요소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하정화 ( Jung Hwa Ha ),김진강 ( Jin Kang Kim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5 Tourism Research Vol.40 No.1

        본 연구는 전통문화체험에 대한 체험요소를 Pine & Gilmore(1999)가 개발한 고객의 참여의 정도와 형태에 따라 구별되는 4가지 영역의 체험인 오락, 교육, 일탈, 미적의 4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전통문화체험을 실시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체험요소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이들 관계에서 만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체험요소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한 결과 체험요소 중 오락, 교육, 미적체험만이 재방문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험요소별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미적 체험요소, 교육적 체험요소, 오락적 체험요소의 순으로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탈적 요소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체험요소가 재방문의도의 관계에 있어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는데 검증결과 만족은 체험요소 중 오락적 체험요소, 교육적 체험요소, 일탈적 체험요소와 재방문의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오락적, 교육적, 일탈적 체험요소와 재방문의도 간의 관계에서 만족이 높으면 재방문의도도 높아진다 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만족은 매우 중요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변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미적 체험요소와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만족은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만족을 하지 않더라도 미적 체험요소에 만족하면 재방문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전통문화체험프로그램을 개발 시에는 미적 체험을 중심으로 한 다른 지역 및 문화와 차별된 프로그램 및 시설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tourists who have experienced traditional culture activiti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elements and revisit inten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satisfaction in this relationship. Experiential elements consist of four dimensions of Pine and Gilmore(1999), including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t, and esthetic.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ee among four experiential elements, namely entertainment, education, and esthetic positively affected revisit intention. Specifically, esthetic had the biggest impact on revisit intention, followed by education and entertainment, while escapis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visit intention. Second, satisfac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ree of four elements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t) and revisit intention. This implies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revisit the site when they are more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associated with entertainment, education, and escapist. But satisfaction onl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sthetic and revisit intention. This means that esthetic could directly influence revisit intention although they do not satisfied with the activity. The current results indicate that to develop distinguished programs of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developers should focus on how tourists experience esthetic.

      • KCI등재

        서비스 공정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품질인식과 관계품질의 다중매개효과

        이상석(Lee, Sang-Suk),이지은(Lee, Jee-Eun)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1

        본 연구는 서비스공정성과 재방문의도 간의 품질인식과 관계품질의 매개효과 및 인과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직접적인 효과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서비스공정성과 품질인식의 관계에서 공정한 절차와 분배가 품질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공정성과 관계품질에서 서비스공정성의 모든 요인(상호작용, 절차, 분배)이 관계품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질인식이 관계품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공정성 중에서 절차만이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품질인식은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관계품질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적인 효과 분석의 경우 첫째, 상호작용 및 분배 공정성이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품질인식과 관계품질의 매개역할에 의해서 재방문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절차공정성이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품질인식에 의한 재방문의도 효과가 관계품질에 의한 재방문의도 효과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품질인식이 관계품질에 연속적으로 작용하여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고객들이 인식하고 있는 품질(제품, 서비스, 경험품질)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총 효과 및 다중매개효과 분석 결과를 보면, 서비스공정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합한 총 효과는 절차>분배>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차공정성과 재방문의도 간의 품질인식과 관계품질은 매개효과가 있으며 품질인식→매개효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qua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service fairness and revisit intention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erms of direct effects, the factor of distribution and procedure of service fairness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to the perceived quality. Second, service fairness(interaction, procedure, distribution) and perceived quality positively affect relationship quality. Third, among the service fairness, only the procedural fairness has direct impact to the revisit intention. Fourth, perceived quality positively affects revisit intention but does not have direct impact on relationship quality. And in terms of indirect effects, interaction and distribution factors indirectly affect revisit intention by mediation of perceived qua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Second, even though the overall procedural fairness factors have direct impact on revisit intention, the effect of perceived quality on revisit intention is stronger than that of a relationship quality on revisit intention. Finally, we found that the relationship quality and perceived quality mediate the impact of the procedure factor of service fairness on revisit intention. And the total effect size (sum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service fairness on revisit intention by descending order are as follows: procedure, distribution, interaction.

      • KCI등재

        지역 축제를 통한 관광객의 호의적 재방문의도 형성에 관한 연구 : 제천국제음악영화제 방문객 특성을 중심으로

        원미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o form tourists’ favorable revisiting intention regarding local festivals held in minor cities equipped with plenty of tourism resources. To address the goal, centering around Jecheon International Music & Movie Festival held in Jecheon, Chungcheongbuk-do, this author has drawn strategies and programs to improve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region of tourists who have viewed the local festival. The results of analysi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Women indicate high revisiting intention. Regarding visitors’ age, those under the 30’s show high revisiting intention. About their occupations, students, office workers, professionals, and the self-employed indicate high revisiting intention. Concerning the types of accompaniment, those accompanied with friends or families indicate high revisiting intention. Next, those who visit the region where the festival is held more often show higher revisiting intention. Regarding their marital status, the unmarried indicate high revisiting intention, and about their educational level, university graduates show the highest revisiting intention. About staying days, guests for a day or two nights and one day indicate high revisiting intention. 이 연구는 관광자원이 풍부한 지방중소도시의 지역축제와 관련하여 관광객의 호의적 재방문의도를 형성하기 위한 요소가 무엇인지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제천에서 개최되고 있는 제천국제음악영화제를 관람한 관광객의 지역에 대한 재방문의도를 향상하기 위한 전략과 프로그램 등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의 경우 재방문의도가 높았다. 방문객의 나이와 관련하여 30대 미만의 경우 재방문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 경우 학생과, 회사원, 전문직과 자유업의 경우 재방문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반형태는 친구와 가족이 함께한 경우 재방문의도가 높았다. 다음으로 축제가 개최되는 지역의 방문경험이 많을수록 재방문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와 관련해서는 미혼의 경우 재방문의도가 높았으며, 교육수준의 경우 대학졸업자의 경우가 가장 재방문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류일수의 경우 당일과 1박 2일의 경우 재방문의도가 높았다.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마을 방문동기가 만족,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성(Kim, Mee-Su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문화예술마을 방문동기가 방문만족,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변수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즉, 방문동기를 유형화하였으며, 각 유형에 대한 방문동기는 방문만족,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부터 가설을 도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며, 연구의 시사점과 미래연구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마을 방문동기는 대인적 동기, 휴식적 동기, 문화적 동기로 구분되었다. 둘째, 방문동기 중 대인적 동기와 문화적 동기가 방문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방문만족이 재방문의도에, 재방문의도가 추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문적으로는 문화예술마을 방문객들의 방문동기를 유형화 하고, 방문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방문동기가 문화예술마을에 대한 방문 만족과 재방문의도, 추천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실무적으로는 문화예술마을에 대한 수익창출을 위한 전략 수립과 함께, 문화예술마을 활성화를 위해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and satisfaction with a visit, intention for a revisit, and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That is, the study classified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and proposed that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w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results of visit. The specific goal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ould examine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based on previous studies; second, it would look into the positive effects of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if any, on satisfaction with a visit; third, it would look into the positiv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a visit, if any, on intention for a revisit and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nd finally, it would examine the positive impacts of intention for a revisit, if any, o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extracted assumptions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ducted a survey to test them, tested the validity of a researchmodel empirically, and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idea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were categorized into personal, resting, and cultural ones. Secondly, of the motivations, personal and cultural motivations had positive influences on satisfaction with a visit, which had positive effects on intention for a revisit, which in turn had positive effects o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Tho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lassified the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and examined their relations with the results of visit in an academic sense. They will offer practical assistance, as well, including strategies to create profit with an art village and activate an art village. 본 연구는 문화예술마을 방문동기가 방문만족,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변수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즉, 방문동기를 유형화하였으며, 각 유형에 대한 방문동기는 방문만족,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부터 가설을 도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며, 연구의 시사점과 미래연구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마을 방문동기는 대인적 동기, 휴식적 동기, 문화적 동기로 구분되었다. 둘째, 방문동기 중 대인적 동기와 문화적 동기가 방문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방문만족이 재방문의도에, 재방문의도가 추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문적으로는 문화예술마을 방문객들의 방문동기를 유형화 하고, 방문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방문동기가 문화예술마을에 대한 방문 만족과 재방문의도, 추천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실무적으로는 문화예술마을에 대한 수익창출을 위한 전략 수립과 함께, 문화예술마을 활성화를 위해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and satisfaction with a visit, intention for a revisit, and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That is, the study classified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and proposed that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w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results of visit. The specific goal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ould examine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based on previous studies; second, it would look into the positive effects of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if any, on satisfaction with a visit; third, it would look into the positiv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a visit, if any, on intention for a revisit and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nd finally, it would examine the positive impacts of intention for a revisit, if any, o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extracted assumptions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ducted a survey to test them, tested the validity of a researchmodel empirically, and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idea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were categorized into personal, resting, and cultural ones. Secondly, of the motivations, personal and cultural motivations had positive influences on satisfaction with a visit, which had positive effects on intention for a revisit, which in turn had positive effects o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Tho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lassified the motivations to visit an art village and examined their relations with the results of visit in an academic sense. They will offer practical assistance, as well, including strategies to create profit with an art village and activate an art village.

      • KCI등재
      • KCI등재

        입지특성과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고객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연수(Park, Yeonsu),이범웅(Lee, Bumung)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조사를 통하여 소상공인의 매출증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분석함으로서 소상공인의 매출증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입지특성과 서비스품질의 핵심 요인을 도출하고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입지특성 요인인 적합성, 접근성, 가시성 모두가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품질의 요인인 전문성과 편리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입지특성의 요인인 적합성, 접근성, 가시성 모두는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품질 요인인 전문성과 편리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입지특성과 재방문의도의 영향관계에서 고객만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입지특성의 적합성 및 접근성과 재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고객만족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며, 가시성과 재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고객만족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품질과 재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고객만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서비스품질의 전문성 및 편리성과 재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고객만족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present suggestions to increase sales of small business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 the sales increase of small business through empirical researches. For the purpose,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by deriving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service quality as key factor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all of the factor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uitability, accessibility, and visi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expertise and convenience, which are factors of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out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visit intention. Fourth, it was found out that all of the factor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uitability, accessibility, and visi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visit intention. In addition, professionalism and convenience, which are factors of service quality, were found out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visit intention. Fifth, it was found out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visit intention. Specifically,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itability and accessibility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visit inten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bility and revisit inten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out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revisit intention. Specifically, customer satisfaction was foun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and convenience of service quality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 KCI등재후보

        장소이미지, 체험가치, 방문만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주호,이제원,오태현 한국기업경영학회 2009 기업경영연구 Vol.16 No.4

        This study through empirical investigation is to review the attributes of constructs of latent variables(place image, experiential value(functional, affectional experiential value), visi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in the existing literatures. This study described the research model of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ose constructs by previous conceptual and empirical research on this topic.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test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main theoretical concept: customer-based brand equity, place marketing, experiential marketing. Respondents were asked to indicate their levels of agreement with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where 1=extremely disagree and 5=extremely agree. In total,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inhabitants of the capital region(Seoul, Gyeonggi Do) have a visit experience on Chuncheon, in the Kangwon, 244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s in this study; the questions were modifications or complements of the ones in the previous studie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for each variables was conducted prior to the tests of hypotheses, using SPSSWIN 10.0. Both SPSSWIN 10.0 and Amos 4.0 were used to verify of hypotheses about the intermediate effects of place image(functional, affectional image), experiential value to intention to (re)visit). Statistical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ad good evaluation results in over all model fit because the results of indices were beyond the recommendation level. However the chi-square value is strongly affected by a sample size, If a sample size is large, the chi-square value is often significant. Instead of chi-square value, ratio and other fit indices may be more representative. And all of 7 hypotheses of the model set in this study was supported.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showed that the experiential value can importantly contribute to the relationship among place image and visit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And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place image, experiential value, visi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is significantly related. Second, The place image affects experiential value, and the place image is significantly related through mediate effect of experiential value. Third, In the relationship of experiential value(functional, affectional experiential value), visi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it is showed that functional experiential value is stronger effects than affectional experiential to visit satisfaction. It is showed that Affectional experiential value directly affects visi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but functional experiential value affects intention to revisit through mediate effect of visit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ossibility of creating, improving, enhancing experiential value and place image(functional, affectional image) for visit satisfaction can be positively used as a successful means of regional development. In the regard, a study connecting place marketing further discussing the relationship among experiential value, and visit satisfaction by developing a model, would be beneficial to place marketing practitioners. Afterw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ect to be continually applications regarding to the related fields. 본 연구는 선행의 연구문헌에 근거하여 5개의 잠재변인{장소이미지, 방문 체험가치(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방문만족, 재방문의도}에 대한 구성개념의 속성을 재검토하였고 연구의 논제와 관련하여 기존의 개념적, 실증적 연구에 의해 연구된 이들 구성개념 간 인과관계의 연구모델과 가설을 제시하였다. 검증결과 측정모델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기준지수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분산구조분석 결과 방문 체험가치는 장소이미지, 방문만족 요인과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소이미지, 방문 체험가치(기능적, 감정적 체험가치), 방문만족, 재방문의도 간의 인과관계에 있어서는 기능적 체험가치와 재방문의도 간의 직접적 관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소이미지는 방문 체험가치에 영향을 주고 장소이미지는 방문 체험가치를 매개로 하여 방문만족과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 체험가치와 방문만족, 재방문의도에 있어서는 감정적 체험가치보다는 기능적 체험가치 요인이 방문만족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감정적 가치는 재방문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능적 체험가치의 경우, 반드시 방문만족을 통해서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골프장 서비스스케이프 품질이 골프장이미지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허세응,강민규,김차용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장 서비스스케이프 품질이 골프장이미지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국내 골프장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골프장 고객 45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하였다. 데이터 처리방법으로는 SPSS(ver.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골프장 이미지 및 재 방문의도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ANOVA를 사용하였고, 서비스스케이프 품질이 골프장이미지 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관계와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살펴본 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 출하였다. 따라서 연구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서비스스케이프 품질의 차이비교에서는 주변과 심미의 경우 연령과 라운딩 횟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편의의 경우에는 연령, 라운딩 횟수, 월 소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서비스스케이프 품질이 골프장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주변요소, 심미, 편의 세 개 요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스케이프 품질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에서는 주변, 심미 두 요인만 재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조사 되었다. 넷째, 골프장이미지 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사회적이미지 요인과 공헌적이미지 요인 모두 재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operation of golf courses by examining the effect of golf club servicescape quality on golf club image and re-visit inten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54 golf course customers. As a data processing metho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golf club imag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ter examining the correlation analysi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and effect of servicescape quality on golf club image and re-visit inten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PSS(ver. 21.0) were performed. Therefore,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e and the number of rounds in the surrounding elements and aesthetic comparisons. For conveni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number of rounds, and monthly income. Second, the effect of servicescape quality on the image of the golf club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rrounding elements, aesthetic, convenience all three factors. Third, the effect of servicescape quality on the re-visit inten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rrounding elements, aesthetic two factors. Fourth, the effect of the golf club image on the re-visit inten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visit intention both in social image factor and contribution image factor.

      • KCI등재

        스크린골프 이용고객의 프레즌스(Presence)가 몰입, 이용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학,임선영,이은정,탁광우 한국골프학회 2020 골프연구 Vol.14 No.4

        [목적]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은 글로벌 산업의 메커니즘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언택트(비대면)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가상스포츠 분야에 대한 연구로 스크린골프 이용고객의 프레즌스가 몰입, 이용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서울·경기지역 소재 스크린 골프장 이용고객 400명의 설문지를 기반으로 SPSS 24.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 시하였다. [결과]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스크린골프장 이용고객의 프레즌스는 몰입, 이용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크린골프장 이용고객의 몰입과 이용만족은 재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현재 시장경쟁의 심화로 레드오션 상태에 있는 스크린골프 기업들에게 이용고객의 프레즌스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이 경쟁우위 점유를 위한 중요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무엇보다 스크린골프장의 재방문의도는 이성적인 판단보다는 감정적인 만족이 선택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요소들을 보완하여 이용고객의 실재감과 몰입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creen golf user's presence on immersion,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n the field of virtual sports required in the 'Uncontact(non-face-to-face) era'. [Method]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used for this study include Factori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tatistic PASW/WIN version 24.0. [Result] The results acquired from study methods and procedure above are as followings: First, the study shows that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nce of screen golf user's about immersion,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Second, the study shows that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immersion of screen golf user's and revisit intention about user satisfaction. [Conclusion] Therefore, various content development and system construction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presence of screen golf user's should be made.

      • KCI우수등재

        문화유산관광지 방문객의 관광동기, 관광제약과 관광만족도, 재방문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중국 진시황병마용박물관을 중심으로

        원민,노정희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1

        Cultural heritage tourism differs from other types of tourism in that it focuses on the resources of relics and the value of historical sites. Despite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mong visitors, the intention to return to cultural heritage sites is 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that negatively contribute to the intention to revisit cultural heritage tourism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ultural heritage tourists who had a higher motive to learn knowledge, as well as higher income and education, when compared to other types of tourism. From November 15 to December 10, 2019, the convenience sampling technique was used to target tourists who visited the Qin Terra-cotta Warriors Museum.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ourism motivation influences tourism satisfac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revisit intention. However, service satisfaction had no effect on revisit intention. Furthermore, while overall travel constraint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ourism satisfaction, intrapersonal constraints had a negative impact on service satisfaction and commentary/knowledge satisfaction. Academically, this research helps to clarify constraints in improving tourism satisfaction and revisiting cultural heritage sites. In other words, the stronger the tourism constraints, the less likely people are to return to cultural heritage sites. This study's findings were also practically useful for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that included tourism constraints to increase revisit intention. 문화유산 관광은 일반 대중관광과 달리 역사적 가치가 있는 유물이나 유물을 관광의 대상으로 하여 대중관광과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문화유산관광지는 방문객의 방문만족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재방문 의사가 낮다. 이 연구는 일반관광지 관광객에 비해 교육수준, 소득수준이 높고 학습동기가 높아 지식 습득욕구가 높은 문화유산관광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문화유산관광지 관광동기, 관광제약과 관광만족도, 재방문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문화유산관광지의 재방문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파악함으로써 재방문의도가 낮은 원인을 규명하였다. 이 연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중국진시황 병마용박물관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15일부터 12월 10일까지 편의추출방법에 의해서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43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관광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관광만족도 요인 중 서비스 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관광제약이 관광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관광제약 중 내재적 제약은 서비스 만족도, 해설/지식 만족도에 각각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관광제약이 재방문의도를 억제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즉 관광제약이 강할수록 재방문의도가 낮아진다. 연구결과 학술적으로 관광제약이 관광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고, 실무적으로 마케팅 전략 수립 시 관광제약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재방문의도를 높이는 전략수립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