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EFL 학생들의 자음군 축약: 삽입 대 탈락 전략

        초미희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1

        Motivated by the fact that cluster reduction strategies such as inserting a vowel or deleting a consonant in resolving English complex clusters differ depending on stud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pair strategies employed by Korean EFL students. A total of 6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nd the participants' production of English voiceless word-initial and word-final clusters was measured using the materials designed for this study. It has been shown that prosodic positions such as onset and coda and the number of cluster sequences influenced cluster reduction strategies. The error rates of both insertion and deletion were noticeably higher in the coda position than in the onset position and both insertion and deletion error rates were higher in triconsonatal cluster than in biconsonantal cluster sequences. Overall, the insertion rate was higher than the deletion rate. However, the dele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sertion rate in triconsonantal coda cluster sequences. Because of this, the deletion rate was higher than the insertion rate for triconsonantal cluster sequences across onset and coda. Also, the high deletion rate of triconsonantal coda clusters contributed to the high deletion rate for the coda clusters in general. 모음을 삽입시키거나 자음을 탈락시킴으로써 한 음절 내의 영어 연속음을 없애는 자음군 축약 전략이 기존의 연구들마다 다르다는 점에 동기를 부여받아서 한국 학생들의 영어 자음군 축약 전략을 탐구하게 되었다. 대학생 60명의 어두와 어말 자음군 발음을 조사한 결과, 초성이냐 종성이냐 하는 운율적 위치와 자음군이 몇 개로 구성되어 있느냐는 자음군 숫자에 따라 모음 삽입이냐 자음 탈락이냐 하는 자음군 축약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삽입과 탈락의 오류 비율은 초성보다는 종성에서 높았고 두 개의 자음군보다는 세 개의 자음군에서 높았다. 전반적으로 삽입 오류 비율이 탈락 오류 비율보다 높았으나, 종성 위치의 세 개의 자음군에서는 탈락 비율이 삽입 비율보다 중요하게 높았다. 종성 위치 세 개의 자음군에서 탈락 비율이 높은 것 때문에 운율 위치에 상관없이 세 개의 자음군에서 삽입보다 탈락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종성에서 탈락 비율이 높이 나타났다.

      • KCI등재

        Simplification Strategies Adopted by Chinese Adult and Child EFL Learners

        Li, Jian-hua(이건화),Kang, Seok-keun(강석근)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3

        중국인 외국어 학습자는 영어의 자음군과 어말 자음을 습득할 때 모국어의 음소배열 제약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성인과 어린이들의 영어 어두와 어말 자음(군) 발화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그들의 음운 패턴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주로 세 자음으로 구성된 자음군(CCC), 두 자음으로 구성된 자음군(CC)과 어말 자음(C)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 자음군들이 포함된 30개 영어 단어를 각각 16명의 중국 성인 외국어 학습자와 16명의 중국 어린이 외국어 학습자들이 읽게 하고 비교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인과 어린이의 자음군 난이도순은 “CCC > CC > C”로 나타나고 있는데 음절초 자음군과 음절말 자음군에서 성인은 어린이보다 단순화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성인과 어린이들은 모두 생략보다 삽입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어린이들은 음절초 자음군에서 삽입을 더 많이 선호한 반면, 성인은 음절말 자음 및 음절말 자음군에서 삽입을 더 많이 선호하였다. 성인과 어린이들은 음절말 자음 및 음절말 자음군보다 음절초 자음군에서 생략을 더 많이 선호하였다. 위의 결론은 모두 L1전이와 계발적 인자 그리고 유표성 이론으로 설명가능하다. Due to the phonotactic constraints, Chinese EFL learners may be expected to have difficulty in producing English consonant clusters and word-final single consonants. This paper attempt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f the English word-initial and word-final consonant clusters/consonants produced by Chinese children and adult learners and derive their phonological patterns. This study focused on the three-consonant clusters (CCC), two-consonant clusters (CC) and word-final consonants (C) in 30 words produced by 16 children and 16 adults. The results showed that difficulty rank in adults’ and children’s acquisition of consonant clusters was CCC > CC > C. Adults adopted more simplification strategies than children in onset and coda consonants. Both adults and children favored insertion more than deletion. Children tended to apply epenthesis in the onset consonant clusters, while adults were inclined to adopt epenthesis in coda consonant clusters. Adults and children adopted more deletion in onset than in coda. We claim that th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L1 transfer, developmental factors and Markedness theories.

      • KCI등재

        자음군단순화와 관련된 몇 문제

        최은영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5 No.-

        한국어의 어말자음군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두 자음이 모두 실현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종성에 하나의 자음만 실현되는 음절구조제약에 따른 것으로 이를 자음군단순화라 한다. 이러한 자음군단순화의 실현 양상을 체계적이고 간결하게 규칙화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본고는 자음군단순화의 규칙을 찾기에 앞서 방언에서 실현되는 자음군단순화의 현상의 특징을 먼저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어말자음군은 크게 ㄹ이 선행하는 자음군과 ㄹ이 아닌 다른 자음이 선행하는 자음군으로 나눌 수 있다. 본고는 ㄹ외의 자음이 선행하는 비ㄹ계 자음군을 자료로 하여 방언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방언의 자료는 제주도를 제외한 8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되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한국방언자료집Ⅰ~Ⅷ』(1987~1995)에 준하여 논의하였다. 본고는 비ㄹ계자음군단순화와 관련하여 자음군의 방언별 실현 양상을 검토하고 그에 관련하여 특이하게 실현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방언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실현되는 양상들이 있다. 크게 후행음절과 관련된 것과 자음군단순화가 두 자음이 아닌 제3의 자음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었다. 후행음절과 관련된 것으로는 두 가지 특이한 실현 양상을 검토하였다. 첫째, ‘ㄳ, ㅄ’ 자음군은 자음이 후행하든 모음이 후행하든지 간에 경음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그러나 경음이 아닌 평음으로 실현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둘째, ‘ㄶ’ 자음군은 자음이 후행하면 격음으로 실현된다. 그러나 평음으로 실현되는 양상이 있었다. 그리고 어말자음군 다음에 후행하는 음절의 자질을 검토하여 어떠한 양상을 포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모음이 후행하는 경우 연음이 되어 자음군이 모두 실현되어야 하지만 하나의 자음이 탈락하여 재구조화가 실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재구조화가 방언별로 어느 정도 실현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와 같이 자음군단순화와 관련된 몇 가지의 문제점들을 통하여 자음군단순화의 실현에 대한 특질을 규명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has the feature that both of the two consonants in the coda,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shouldn't be pronounced in front of the coda or the consonants in in the initial position. This is why a restriction of only one consonant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having sound by the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This rule is called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It is very hard to make the aspect of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 rule systematically and simply. Therefore I intend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which can be seen in dialects in this paper before I try to find the rule for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The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is largely divided into the two groups. One is the consonant cluster starting with ‘ㄹ’. The other is the consonant cluster not starting with ‘ㄹ’. I have examined how the aspects of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especially not starting with ‘ㄹ’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appear in dialects, Most of the date dealt with in this paper are from『The Collection of Korean Dialects』(1987~1995),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hich are collections of dialect data from 9 districts, namely the whole country. But the date of Je-ju were not studied in this paper. I have found two aspects in those dialects, which the former studies had passed by. One is related with the following syllable, and the other is the case which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ppears not with one of the final consonants but with a third consonant. Especially, I've examined the two extraordinary aspects related with the following syllable. First, the consonant cluster ‘ㄳ, ㅄ’ should be sounded into a tense sounds whether they are in front of the consonants or the vowels. But I have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s that they are sounded into lax consonants not tense sounds. Second, the consonant cluster ‘ㄶ’ should be sounded into aspirated sounds in front of the consonants. But I have also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s that they are sounded with lax consonants. Through Examining the features of the syllables behind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I have able to catch how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are sounded. Finally, in front of the vowels, the latter one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should be linked, and then both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should be pronounced. But I have also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 that one of the consonant in the word final consonants is dropped out by the reconstruction. So I have tried to examine how the reconstruction appears in each district except Je-ju. I hope that my research help look into the features of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minutely.

      • 영동방언의 자음군단순화와 음운규칙 간의 관계

        박환옥 ( Park Hwanoak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0 지역문화연구 Vol.19 No.1

        이 글에서는 현대국어에 존재하는 어간말 자음군에 비추어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실현되는 자음군단순화의 실현양상과 자음군단순화와 음운규칙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동지역의 경우, 체언 2개, 용언 12개의 어칸말 자음군이 확인된다. 이 방언의 체언 어간말 자음군은 ‘ㄱㅆ’, ‘ㅂㅆ’만 존재한다. 용언에 나타나는 어간말 자음군은 ‘ㄵ, ㄶ, ㄺ, ㄻ, ㄼ, ㄿ, ㅀ, ㄹㅡㅇ, ㅂㅆ’이다. 영동방언의 자음군단순화와 음운규칙 긴의 관계를 살펴보면, 경음화는 대부분의 자음군에서 발생한다. 유음화를 보이는 어형들은 ‘ㅀ, ㄹㅡㅇ’을 말음으로 가지는 자음군이고, 연구개음화를 보이는 어형들은 ‘ㄵ, ㄻ, ㅂㅆ’을 말음으로 가지는 자음군들로, 자음군단순화가 먼저 일어난 후에 연구개음화가 일어날 수 있다. 유기음화는 ‘ㄶ, ㅀ’을 말음으로 가진 어형들의 경우 ‘뚫-’을 제외하고 유기음화에 의해 ‘ㅎ’와 자음이 축약을 일으켜 단순화할 수 있는 자음이 소멸되어 자음군단순화가 적용되지 않는다. 비음화는 어간말에 개재자음이 삭제된 이후에 비음화가 일어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realization patterns and the relations of phonological rules on stem-final consonant clusters in Yeongdong dialect. In Yeongdong dialect, there are 2 nouns and 12 predicates(verbs and adjectives) which have the stem-final consonant clusters. This paper shows that this dialect has two noun stem-final consonant clusters, which are ‘ㄱㅆ’, ‘ㅂㅆ’ and the stem-final consonant clustersof verbs and adjectives are ‘ㄵ, ㄶ, ㄺ, ㄻ, ㄼ, ㄿ, ㅀ, ㄹㅡㅇ, ㅂㅆ’. In case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nd phonological rules, tensification are realized in most of the consonant clusters. Liquidization are shown in the consonant clusters which have ‘ㅀ, ㄹㅡㅇ’ as the stem-final consonant clusters. The consonant clusters which have ‘ㄵ, ㄻ, ㅂㅆ’ as the stem-final consonant clusters show velarization, and it is realized after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s for Aspration, stems except ‘뚫-’ that have stem-final cluster such as ‘ㄶ, ㅀ’ don’t show any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due to the phonological reduction of ‘ㅎ’ with the following consonant. Nasalization are shown after deletion of the Intervenient Consonant.

      • KCI등재

        한국어 음절말 자음군 발음 오류 양상과 특성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안성민 이중언어학회 2023 이중언어학 Vol.91 No.-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by examining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pronunciation errors in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s. The error rate by consonant-cluster was ‘ㄾ’ (65.9%), ‘ㄿ’ (65.5%), ‘ㄼ’ (64.9%), ‘ㄺ’ (54.0%), ‘ㄻ’ (47.7%), ‘ㄳ’ (42.2%), ‘ㄵ’ (24.6%), ‘ㅄ’ (5.6%); there were many pronunciation errors in the consonant cluster including ‘ㄹ’. More errors occurred when a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 preceded a consonant than a vowel,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rror patterns. Pronunciation error rates when the trailing element was a consonant did not differ between levels 2 and 3,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only in level 4. By grammatical category, the pronunciation error rates of nominal was lower than that of verbal, and in terms of vocabulary difficulty, beginner-level vocabulary was lower than intermediate-level vocabulary. Vocabularies for selecting the first consonant were lower than the vocabularies for selecting the second consonant by location of the selected consonant. In level 2, there were many error types in the pronunciation of the second consonant, but in level 3, there was more attempt to pronounce the first consonant even with a pronunciation error. Pronunciation error rates involving trailing vowe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levels, regardless of grammatical category or vocabulary difficult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consonant, the pronunciation error rate was high for the vocabulary that selected the second consonant. Level 2 showed an error of omitting a consonant even when accompanied by a trailing vowel, while level 3 showed failed attempts to pronounce both consonants. In level 4, as the success rate for articulation of the preceding consonant increased, the pronunciation error rate decreased. 본 연구는 베트남어 한국어 학습자의 음절말 자음군 발음 오류의 양상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발음 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자음군별 오류율은 'ㄾ'(65.9%), 'ㄿ'(65.5%), 'ㄼ'(64.9%), 'ㄺ'(54.0%), 'ㄺ'(54.0%), 'ㄻ ' (47.7%), 'ㄳ' (42.2%), 'ㄵ' (24.6%), 'ㅄ' (5.6%); 'ㄹ'자음을 포함한 자음군에서 발음 오류가 많았다. 음절말 자음군에 후행하는 요소가 모음일 때보다 자음일 때 더 많은 오류가 발생하였고, 오류 양상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후행 요소가 자음일 때의 발음 오류율은 2급과 3급에서 차이가 없었고, 4급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휘 난이도는 초급 어휘의 발음 오류율이 중급 어휘의 발음 오류율보다 낮았다. 선택된 자음의 위치에 따른 발음 오류율은 첫 번째 자음 선택 어휘가 두 번째 자음 선택 어휘보다 낮았다. 2급에서는 두 번째 자음의 발음 오류 유형이 많았으나, 3급에서는 발음 오류가 있어더라도 첫 번째 자음을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후행하는 요소가 모음일 때의 발음 오류율은 문법 범주나 어휘 난이도와 상관없이 모든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선택한 자음의 위치에 따라 두 번째 자음을 선택한 어휘의 발음 오류율이 높았다. 2급의 경우 모음이 후행할 때도 자음을 생략하는 오류를 보였고, 3급에서는 두 자음을 모두 발음하지 못하는 오류를 보였다. 4급에서는 선행 자음의 조음 성공률이 높아지면서 발음 오류율도 낮아졌다.

      • SCOPUSSCIEKCI등재

        소구치 발거를 통한 교정치료가 한국어 자음의 발음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윤영주,김광원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1

        교정치료가 발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구강용적의 감소를 초래하는 4개의 소구치를 발거하고 교정치료를 끝낸 환자와 대조군을 대상으로 한국어 자음에 대하여 자음의 지속시간과 파형의 형태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음의 지속시간에 있어서 CV형의 "ㅅ"과 "ㅌ"을 제외한 모든 어음에서 치료군의 자음 지속시간이 길었고, 특히 CV형에서의 "ㅈ"과 "ㅆ"르리고 VCV형에서 "ㄷ"에서는 현저한 자음지속시간의 차이를 보였다. 2. VCV형에 있어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것은 "ㅉ"과 "ㅆ", "ㅊ"이였는데 "ㅉ"에 있어서는 파형의 형태가 치료군에 서 더 강하게 특히 후속모음으로 이행구간에는 더 두드러졌으며, "ㅆ"에서는 선행모음에서 자음으로 이행시 치료군에서는 자음의 성분이 뚜렷하게 연속해서 나타나나, 대조군에서는 자음의 시작점이 불분명하고, 자음의 지속시간 또한 치료군에서 더길었으며, 파형 자체의 영교차점도 치료군에서 더 빈번하였다. "ㅊ"에 있어서는 파형의 형태에 있어 유기음의 성분은 치료군에서 더 두드러졌으며, 파형의 형태 또한 강하게 나타났다. 3. 파형의 형태비교에서는 CV형에서 "ㄷ", "ㅈ"의 발음시 치료군에서는 "ㅌ", "ㅈ" 같은 유기음에서 볼수 있는 기류의 흐름이 나타났다. 4. 유기음의 "ㅌ"와 "ㅊ"에서는 대조군보다 치료군에서 기류의 흐름이 많았으며 파형의 형태 또한 강하게 나타났다. This paper aimed to study what 송 influences of orthodontic of pronunciation are. We compared the duration and the acoustic wave patterns of Korean consonants pronounced by a control group with those of a patient who had his four premolars extracted and had been given orthodontic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 group had a longer duration time of consonant for all consonants but "ㅅ(s)" and "ㅌth in CV(consonant-vowel) pairs. Especially in the case of "ㅈ(dz)", "ㅆφh" for CV-pairs, and "ㄷ(d)" in VCV(vowel-consonant-vowel) clusters, the duration of consonant sound showed a sharp contras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 2.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the acoustic wave patterns of "ㅉ(ts)", "ㅆφh" and "ch", all of which were in VCV-clusters. The phenomenon was pattern of "ㅉ(ts)", when pronounced by the treatment group, was stronger than the control group's. This phenomenon was most remarkable in the transitive section where the "ㅉ(ts)" sound flowed into the following vowel. When a preceding vowel shifted to the consonant "ㅆφh", the attack property of the appeared clearly in the acoustic waves of the treatment group, while in the control group the starting point of consonant was indistinctive. Consonant duration for the treatment group was longer, and the appearance of a zero crossing point in the acoustic wave was more frequent. In the case of "ㅊch", the treatment group produced a strong acoustic wave, and the property of aspiration was obvious in it. 3. When the treatment group pronounced "ㅊ(d)" and "ㅈ(dz)" in CV-pairs, the acoustic wave was similar that of aspirated "ㅌth" and "ㅊch". 4. The aspirated "ㅌth" and "ㅊch" pronounced by the treatment group showed the stronger airstream and acoustic wave form.

      • KCI등재

        러시아어 페쇄 치음 /t/의 음운적 특성 연구

        김신효(Shin Hyo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4

        Russian voiceless dental stop consonant / t / have a feature value [+cons, -son, -nas, +ant, +cor, -high, -low, -back, -cont, -del,rel, -strid, +voic] In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it is a fact that the Russian consonant /t / behaves differently from the other consonants in each phonological phenomenon due to their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In underspecified matrix of Russian underlying consonants / t / does not have specified feature value and / t / is an unmarked coronal consonant. And it is ranked the lowest in the sonority hierarchy. The coronal consonant / t / participates in a palatalization with the following palatal actively and palatalize preceding plain consonants passively because of markedness hierarchy such as ‘Velar > Labial > Coronal’. Unmarkedness of consonant / t / make it possible to allow the active participation in a process of insertion and deletion not only in a modern Russian but also in a diachronic perspective. 러시아어 설정음(Coronal)의 무표성에 대한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찾을 수 있지만 개별 자음의 무표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러시아어 기저자음 중 연구개음(Velar) 3개, 순음(Labial) 5개를 제외한 나머지 절반 이상이 설정음에 해당하는 것을 고려하면 무표적 자음에 대한 설득력 있는 연구는 부족하다. 무성 폐쇄 치음 /t/는 미명시도표에서 자질 값 명시 수가 0으로 가장 적고, 조음자 기준 유표성 서열에서도 무표적 설정음에 속하며, 공명도 기준 유표성서열에서도 다른 무성 폐쇄음(voiceless stop), 파찰음(affricates)과 함께 최하위에 속한다. 그리고 연자음성 동화 과정에서 /t/가 설정음에 속하기 때문에 연구개음이나 순음에 비해 연자음성 동화 적용 서열이 낮아 후행하는 연자음에 가장 활발하게 연자음화되고, 선행하는 자음들을 연자음화시키는데는 가장 소극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자음, 4자음 자음군의 단순화 과정에서 가장 탈락 빈도가 높아 무표적 자음임을 확인할 수 있고, 자음 결합에서 동일 형태소 내의 자음 군에서 단일조음장소만 허용하게 된다는 제약이 /t/의 설정음 미명시로 극복되어 무표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시적으로 /t/는 조음 장소가 다른 경우는 물론이고 동일한 경우에도 가장 적극적으로 탈락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러시아어에서 극히 드문 현상인 자음 삽입 현상에도 /t/가 참여하고 있어 무표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t/는 무성(-voice)자음, 조음자가 설정음인 자음, 공명도가 가장 낮은 자음, 미명시도표에서 자질 표기가 모두 미명시되어지는 자음, 통시적으로 탈락과 삽입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자음이라는 사실에 근거하여 다른 자음들에 비해 무표성이 강한 음운적 특성을 가진다.

      • KCI등재

        영어 자음군 단순화 : 어휘음운론과 최적성이론의 비교

        강민순 한국언어과학회 2012 언어과학 Vol.19 No.2

        Simplification of consonant clusters i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opacities in English phonological changes. The past LP analyzed this opacity with the derivations of the rules. But this paper analyzes this opacity with Lee’s(2009) markedness oriented candidate chains(M-CC) and precedence constraint. It is the revision of McCarthy’s(2006a, 2007) OT-CC(faithfulness oriented candidate chains and precedence constraint). In this paper I will show the derivational effect without derivational processes in the simplification of consonant clusters.

      • KCI등재

        중국, 일본,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음절 말자음군 발음 연구

        이화진,하호빈 중앙어문학회 2023 語文論集 Vol.96 No.-

        본고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음절 말 자음군 발화 양상과 거기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종합적으로 비교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국, 일본, 베트남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음절 말 자음군 발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음절 말 자음군의 유형별 발화 오류율은 언어권에 상관없이 ‘유음계 > 비음계 > ㅎ계 > 폐쇄음계’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체언의 어말에서는 모음이 결합할 때, 용언의 어간 말에서는 자음이 결합할 때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용언 어간의 ‘ㄺ’와 ‘ㄿ’에 장애음이 연쇄하는 경우 [말다], [을다]와 같은 오류가 많이 나타났고, 용언 어간의 ‘ㄼ’에 비음이 연쇄하는 경우 [넘네]와 같은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음계 음절 말 자음군의 경우, 용언 어간 ‘앉-’에서는 오류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체언 ‘삶’에서만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언어권별로 보면, 세부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비슷한 오류 양상이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orean syllable final consonant cluster which is spoken by advanced learners from China, Japan and Vietnam. Most learners tend to be confused about Korean syllable final consonant cluster - LC cluster> NC cluster > GC cluster > OC cluster - due to the complexity of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In terms of substantives, a member of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tends to be deleted in a wrong way for the followed vowel. The deletionof cluster member in this case is based on the convention of native Korean speakers reconstructs the word final syllable with a morphological boundary. In terms of predicates, a member of stem final consonant cluster tends to be deletedin a wrong way for the followed consonant especially in the occlusive sequences with LC cluster. The difference between both patterns correlates with the intuition about the morphological transition of an inflectional language such as Korean or Japanese.

      •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

        이문수(Lee, Mun-Suh)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1

        루마니아어는 언어계보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인도․유럽어족의 한 가지인 이탤릭어군 중에서도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로망스어의 일종으로서 언어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자면 그 중에서도 이탈리아어와 함께 동 로망스어권에 속해 있는 언어이다. 한편 루마니아어는 사용되고 있는 지리적인 면을 고려하자면 소위 발칸 로망스어의 한 부류로 볼 수 있다.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기본적으로 라틴어의 자음체계를 계승하고 있지만 지역적인 특성 상 여타 로망스어들과는 다소 상이한 면을 보이고 있다. 한 예로서 이미 고전 라틴어 시대부터 사용이 위축되기 시작하여 민중들의 언어였던 속 라틴어에 서는 완전히 사라졌으므로 현대 로망스어들에선 그 모습이 사라졌거나 문자로는 표기되더라도 묵음이 되어서 음가의 기능을 잃어버린 고전 라틴어의 성문 마찰음 h/ɦ/ 이 오늘날 루마니아어에만 유독존재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루마니아어에서 이 성문 마찰음이 대부분 슬라브어를 비롯한 발칸지역 주변의 외래어들로부터 차용된 어휘들(예: duh, hrană 등)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 음이 발칸 라틴어에서도 사라졌다가 고대 루마니아인들이 슬라브 민족을 비롯하여 주변의 타 민족들의 언어로부터 차용한 것이라는 의견이 중론이다. 또한 라틴어에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타 로망스어들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유독 루마니아어에서만 나타나고 있는 자음들 ş/ʃ/ 및 ţ/ʦ/ 는 각기 라틴어의 치찰음 s 와 치․파열음 t 가 전설 모음 앞에서 구개음화 된 것이다(예: 라틴어 sīc> 루어 şi; 라틴어 tĕnere > 루어 ţine 등). 그밖에도 라틴어에선 존재하지 않았던 치경 파찰음/ʧ/ 와 /ʤ/ 또한 각기 라틴어의 유․무성 연구개 파열음들(g/ɡ/, c/k/)이 전설 모음들 앞에서 구개음화 된것들로서 루마니아어와 함께 속해 있는 소위 동 로망스어권의 이탈 리아어와 공유하고 있는 특성 중의 하나로 간주된다(예: 라틴어 gĕlu/gelu/ > 루어 ger/ʤer/, 이어 gelo/ʤelo/; 라틴어 caelum/kælum/ > 루어 cer/ʧer/, 이어 cielo/ʧielo/ 등).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라틴어에 근간을 두고 있으나 지역적인 여건상 기층어 및 상층어적인 요인 등으로 인하여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면서 소위 발칸 로망스어로서의 면모를 지니게 되었다. This article aims at a diachronic study on the consonant system of the Romanian language, one of the Romance languages, which are developed by a gradual transformation from the spoken Vugar Latin. As we can see from this research on the evolutuion of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Romanian more or less maintains the basic consonant system of Latin,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Balkan Latin, which had a different evolution from the normal Westernstream. As far as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Latin concerned, it had a rather small number of consonants in comparison with the vowel system. Besides the glottal fricative h/ɦ/, which was originally aspirate in Clasic Latin began to disappear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ex.: ne homo > nehemo > nemo) and then lost completely in the initial position in Vulgar Latin(ex.: habeo > abeo). The finals -m, -s, -t of Classical Latin were eliminated in Vulgar Latin(ex.: murum > muro; formosus > formoso; cantat > canta et.). As far as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is concerned, the symbol k is a comparative rarity, which is not a regular letter in Romanian as in Latin. It is used only for international terms such as kilogram, kilometru etc.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c(ex.: casă/kasǝ/). However this phoneme is changed to the alveolar affricate /ʧ/ before the front vowels(ex.: cer/ʧer/).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the diagraph ch before the front vowels(ex.: ochi/oki/). The voiced velar plosive g/ɡ/ shows similar distributions as the voiceless. Among the consonant symbols, ş/ʃ/ and ţ/ʦ/ exist only in Romanian, which are in general derived from the Latin s and t before the front vowels(ex.: Lat. sīc > Rom. şi; Lat. tĕnere > Rom. ţine etc.). As already stated above, the glottal fricative h/ɦ/ of Classical Latin was lost completely in the initial position in Vulgar Latin. Therefore, the symbol h either disappeared in the Romance languages or is used alphabetically for the loan words but has no more sound, that is mute. Among the Romance languages, Romanian is only the language which uses the glottal fricative as phoneme. We can consider that the aspirate of Classical Latin was also lost in Romanian and then reintroduced by the influence of the neighboring languages, especially the Slavonic languages. Notice that this symbol appears generally in Slavonic based words(ex.: duh, hrană etc.). In addition, the Latin consonant cluster -ct/kt/-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was changed into -pt- in Romanian, that is, the velar plosive /k/ became bilabial /p/(ex.: Lat. coxa/koksa/ > Rom. coapsă/koapsǝ/). Another example for the labialisation is the changing of Latin făctŭm to Romanian fapt. Thus in Romanian is popular the labialisation which is regarded as the influence of the substratum. In conclusion,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evolution from Latin to the Romance laguages,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ue to the geographical circumstance of Balkan Ro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