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들의 외국어 읽기능력에 관한 구조모형 탐색

        이금숙(Lee Gumsug),한기순(Han Ki-So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3 영재와 영재교육 Vol.12 No.1

        읽기능력의 중요성은 정보화•지식기반 사회에서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다. 더욱이 전 세계에 유통되고 있는 정보의 대부분이 영어로 작성되어 있는 상황에서 영어 읽기능력의 중요성은 더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미래를 짊어져야 할 영재들의 영어읽기능력과 영재의 특성인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상위인지, 국어읽기능력 그리고 환경과의 관계성을 탐색하고 영어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수도권 영어영재원과 과학영재원에 재학 중인 중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구조모형은 수용기준을 충족하였다. 영재의 영어읽기능력에 관한 구조모형을 이루고 있는 변인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면 읽기환경 → 읽기동기, 읽기동기 → 상위인지, 읽기동기 → 자기주도적학습, 국어 읽기능력 → 영어 읽기능력 경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읽기동기 → 국어 읽기능력, 상위인지 → 국어 읽기능력, 그리고 자기주도적학습 → 국어 읽기능력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영재의 외국어 읽기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 및 상위사고력 배양이라는 맥락에서 심도 깊게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build an English reading model for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validate it. English reading ability should be emphasized in information and knowledge based society because English is not a language of one country but a world language. The participants are 207 middle school students who attend in a gifted center for scientifically or verbally gifted students in A city. The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about reading environment, reading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metacognition. They also took Korean and English reading test. The model's goodness of fit meets acceptance threshold. Path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reading environment to reading motivation, reading motivation to metacognition, reading motivation to self-regulated learning and Korean reading ability to English reading abilit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ree paths to Korean reading ability from reading motivation,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suring method might cause these results because Likert scales were used for reading motivation, metacognition, self-regulated learning but standardized test was used for reading ability. The former questionnaires are domain-general and the latter is domain-specific and knowledge-based.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Korean educational reality; excessive competition, lack of time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programs for metacognition. These study results suggest that building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elf-regulated learning capacity, developing and introducing programs for metacognition and emphasis on Korean reading ability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초등학교 2-4학년 아동의 읽기 자동성 및 운율성과 읽기이해 관계

        이지연,김영태,강진경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2-4학년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읽기 자동성과 읽기 운율성 평가를 실시하여 학년에 따라 읽기 자동성과 운율성이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25명, 3학년 24 명, 4학년 27명으로 총 76명의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읽기이해,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독립변인으로 읽기 자동성, 읽기 운율성(구두점 주의, 부적절 휴지, 평서문 끝에서의 음도변화, 의문문 끝에서의 음도변화), 어휘를 검사하고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2학년과 3학년의 읽기이해 예측 변인은 읽기 자동성으로 나타났고, 4학년은 2, 3학년과 달리 어휘와 읽기 운율성요소인부적절 휴지가읽기이해를 예측할 수있는것으로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학년에 따라읽기이해를 예측할 수있는읽기유창성요소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령기 아동의 읽기 유창성 평가 시 자동성 평가뿐 아니라 운율성 평가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며학년에따라주의깊게봐야할읽기유창성요소가다름을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읽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변천 연구

        장미라(Jang, mi-ra)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8 No.-

        This study examines contents and methods of reading teaching shown on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s in the aspect of diachrony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of reading teaching so as to enhance proficiency of the Korean language for learners. For this, for beginners level of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s published by domestic relevant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investigated that differences i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ading teaching between now and the past, what it does mean and what improvements are needed. The elementary reading teaching, mainly based on literal reading, covers inferential reading and creative reading and treats reading materials such as email, announcement, business card and receipt, centered on daily-use writings. And in addition to while-reading, it strengthens learning activity of pre-reading and post-reading and also helps develop knowledge for reading teaching. Based on this, learning activity relevant to inferential and critical reading will be increased for learners’ proficiency of the Korean language, and diversity and model of reading text should be acquired as well. And learning activity of pre-reading and post-reading will be diversified and strengthened. Besides, making the list of reading function for the Korean language reading education and its arrangement and development or selection of reading text for extensive reading also should be done. The Korean language reading education will not be realized only through its text books. Teachers could provide various reading activities, which could change contents of reading. Workshops or guides also could help teachers to get their desirable role and visions for reading class. However, text books are primarily the guide for basic directions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education, therefore investigation of the change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ading teaching and improvement directions, centered on text books, will be useful when seeking how to supplement and improve reading teaching.

      • KCI등재

        읽기 밈과 읽기 교육

        김도남 ( Kim Donam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6

        이 논의는 밈(meme)의 관점에서 읽기와 읽기 교육의 방향을 살폈다. 밈은 문화의 변화를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말이다. 밈은 진화생물학자인 도킨스가 유전자(gene)와 대비되는 말로 만든 것이다. 명시적으로는 세포처럼 다음 세대나 다른 사람에게로 전달되는 문화의 단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밈은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문화 전달을 설명하는 인식 체계로 확대 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밈을 읽기와 관련지어 볼 수 있다. 읽기도 문화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변화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읽기의 특성을 가리키는 말이 ‘읽기 밈’이다. 세포가 생물학의 단위이면서 생물의 진화를 설명하는 인식 체계이듯 읽기 밈은 읽기의 진화를 설명할 수 있는 인식 체계인 것이다. 학교의 읽기 교육은 학생들이 읽기 밈을 복제하고 운반하게 하는 대표적인 곳이다.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읽기 밈을 복제하게 된다. 그리고 읽기 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읽기를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읽기 교육을 읽기 밈의 복제와 운반으로 보면, 읽기 교육은 기존의 관점과는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이는 읽기 교육의 변화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읽기 밈을 교육하기 위한 접근의 방향을 ‘읽기를 내부에서 보기, 다양한 읽기 밈을 교육 내용으로 선택하기, 읽기를 진화의 관점에서 교육하기’ 등으로 검토하여 보았다. 읽기 밈은 읽기와 읽기 교육을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게 하는 속성을 지녔다.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This discussion looked at the direction of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meme. Meme explains cultural change in terms of evolutionary biology. Meme is an evolutionary biologist, Richard Dawkins, who makes a contrast to a gene. This meme is a unit of culture that is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or another person like a cell. This meme has been expanded and used as a recognition system that explains cultural transmission in terms of evolutionary biology. This meme can be associated with reading. Reading has cultural attributes and changes. It is the 'reading meme' that indicates the characteristic of this reading. As a cell is a unit of biology and a recognition system that explains the evolution of living things, read meme is a cognitive system that can explain the evolution of reading. The school is a typical place where students are allowed to copy and ship reading meme. Students will copy the reading meme from the teacher. And in the course of carrying the reading meme, the students read. Therefore, reading education as a copy and transporter of reading memes requires a different approach from that of existing methods. This means that a change in reading education is needed. This means that a change in reading education is needed. I looked at the direction of approach to educating reading meme as 'looking at reading from within, choosing quality reading meme as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 Reading Meme makes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look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re should be various discussions on this.

      • KCI등재

        깨침 읽기의 교육적 접근 방향 탐색 -여래장 사상을 바탕으로-

        김도남 ( Donam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4 No.-

        이 논의의 목표는 여래장 사상을 바탕으로 깨침 읽기의 접근 방향 탐색하는 데 있다. 여래장 사상은 대승 불교 사상의 한 갈래로, 모든 사람은 깨달음의 씨앗인 불성을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는데 이 불성을 실현시키면 깨침을 얻어 부처가 된다는 논리를 지니고 있다. 이 여래장 사상의 논리를 읽기에 적용하면, 모든 독자는 책을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음속에 지니고 있는데 이 가능성을 실현시키면 깨침을 이룰 수 있다가 된다. 이 논리에 의한 읽기를 깨침 읽기라 할 수 있다. 읽기 교육에서는 이 깨침 읽기 관점을 수용하여 독자가 깨칠 수 있도록 학생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여래장 사상의 논리를 이용하여 깨침 읽기의 방법을 정리하면네 가지 절차가 필요하다. 알기, 걷어내기, 깨치기, 키우기이다. 알기는 독자가 자신이 책을 읽고 깨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걷어내기는 마음속에 있는 깨침의 씨앗을 덮고 있는 무지의 때를 책의 이해로 버리는 것이다. 깨치기는 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관심 대상에 대한 통찰을 얻어 깨침의 씨앗이 싹을 틔우는 것이다. 키우기는 대상에 대한 깨침의싹을 관련된 책을 더 읽어 튼실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읽기 교육에서는 독자가 자신의 이해 가능성을 알게 하고, 마음에 집중한 읽기를하고, 책과의 도움 관계를 확립하고, 독자 간에 읽기 활동을 공유를 강조해야 한다. 깨침 읽기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fter the instruction mothed for realization reading depend on the tathagatagarbha thought. this thought is a sort of the mahayanist buddhism. That thought give emphasize the realization of the nature of Buddha in mind of all the people. From a reading point of view in this idea, reading makes the reader realize the potentialities understanding of books. So, the reader achieves the insight for the subject of reader’s a matter of concern. This reading mothed is named ‘realization reading(깨침 읽기)’. This realization reading is passed through four phases; knowing, removing, realizing, developing. The knowing is to find out himself for to entertain about understanding potentialities of books. The removing is take off ignorance in reader’s mind through understand the meaning of books. The realizing is to get the insight of the object of reader’s concern. The developing is to full awareness of the object by reading another books. In the reading education should teach this realization reading. For this reading, in instruction should make student know that he has the potentialities understanding of books, concentrate in his mind, recreate relationship of books, and own realizing reading activity jointly another readers.

      • KCI등재

        읽기 저성취 중학생의 읽기 과정상의 특징 연구 - 읽기에 소요된 시간과 읽기 점검 활동을 중심으로

        김경환 ( Kim Kyoung-hwa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저성취 중학생의 읽기 과정에 나타난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표준화된 읽기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읽기 저성취 중학생 6명과 읽기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학생들에게 어휘와 내용 오류가 포함된 자료 3개를 제공하고, 읽기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저성취 중학생의 읽기 과정에 소요된 시간은 자신이 생각하는 글 분량, 누적된 읽기 분량 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읽기 저성취 중학생은 읽기 이해 점검 과정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회귀적인 과정을 통해 내용 파악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동시에 핵심 내용을 효과적으로 찾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읽기 유창성 측면에서 정확성보다 속도가 부각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읽기 저성취 중학생의 읽기 과정에 나타난 특징을 ‘낮은 지속성’으로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process of low-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six low-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one high-achieving student, using a standardized reading test tool. Three materials including vocabulary and content errors were provided to the students selected for the study, and their reading process was observ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process of low-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differ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writing, and the accumulated amount of reading. Second, low-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reading did not appear to pay attention to the reading comprehension check process. Third, it was found that even when they were making efforts to grasp the contents through a recursive process, they could not find the core contents effectively. Fourth, in terms of reading fluency, speed, rather than accuracy, was highlighted. By combining the research results, ‘Low persistence’ was summariz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reading process of low-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reading.

      • KCI등재

        읽기 유창성 기반 원격 부모코칭 프로그램이 부모의 읽기지도전략 사용과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효과

        전지혜,김영태,이영미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읽기 유창성 기반 부모코칭 프로그램이 부모의 읽기지도전략 및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유창성, 아동의 읽기 학습에 관한 부모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2학년이며 인공와우이식 아동 및 부모 5쌍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는 사전에 KOLRA 검사를 통해 해독은 검사 결과 25%ile 이상이지만 읽기 유창성 수행력이 낮은 아동 5명을 선별하여 본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부모의 읽기지도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BASA를 활용하여 자녀-부모의 읽기상황에서 부모의 읽기지도전략 사용 빈도 및 자녀의 읽기 유창성 향상도, 아동의 읽기 학습에 관한 부모 태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코칭 프로그램 사전과 비교하여 후, 유지 모두 부모 읽기지도전략 및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유창성 향상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비모수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한 결과, 부모코칭 프로그램 사전과 비교했을 때 사후, 유지 모두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짧은 기간으로 인해 아동의 학습에 관한 부모의 태도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부모코칭 프로그램이 부모 및 아동의 읽기 유창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임상분야에서 전문가들은 부모코칭을 활용하여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와 함께 읽기와 관련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호흡과 감응: 읽기에 관한 신체론적 이해

        최지현 ( Ji Hyun Choi ) 한국독서학회 2016 독서연구 Vol.0 No.38

        이 논의의 목적은 읽기 행위가 갖는 본래적 의미를 되살리기 위한 일환으로 읽기의 신체성 개념을 검토하려는 데 있다. 읽기 행위란, 의미를 구성하는 기호적 실천으로서, 그 행위가 행위 주체로서 독자의 실재성을 드러내며, 행위로서 읽기의 실천성을 포착하고, 행위의 지향처로서 필자의 현전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이를 위해 필요한 개념적 요구를 충족해야한다. 곧, 읽기 행위는 물리적이며, 주도적이고, 감각적인 과정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논의의 배경에는 근본적으로는 읽기의 소통 불가능성이라는 문제상황이 자리 잡고 있다. 언어에 대한 객관주의적 설명이 야기한 이 문제상황은 이후 구성주의와 의사소통이론에 의해 해소되는 듯 보였지만, 독서교육의 장에서이 입장들이 읽기 과정에 대한 합리주의적 설명을 시도하면서 다시금 근본문제에 부닥치게 되었다. 의미 구성 과정으로서의 읽기에 주목하면서 독자의 읽기 행위가 갖는 능동성을 부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구성주의적 읽기교육 이론은 이 행위를 정신적 과정으로 제한해 둠으로써 의미의 구성이갖는 실천적, 주체 구성적 의미를 놓치고 다시금 선험적이고 객관주의적인읽기로 후퇴하고 있다. 또한 읽기의 대화적 속성에 주목함으로써 읽기행위가 갖는 실천적 의의를 부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적 읽기 교육이론은 이 과정을 정보 처리적 과정처럼 묘사함으로써 의미의 기원이 다시필자에게로 회귀되는 문제를 안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읽기 행위의 신체성 개념을 통해 읽기의 소통 불가능한 문제상황을 해소할 단서를 얻고자 하였다. 음독이든, 혹은 묵독이든 간에 읽기과정에서 호흡이 갖는 의미 실현의 중요한 작용들을 살피고, 읽기 과정에서 ‘감응’이 갖는 상호 이해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concept of corporality of reading to rehabilitate the primary significance of reading acts. As the semiotic practices the reading acts should reveal the spontaneousness of a reader as an initiative actor, the practicability of reading as physical acting, and the presence of a writer as an perceptible object. That is, reading acts should be defined as initiative, physical, and perceptible process. The background of this discussion basically is holding a problematic situation of incommunicability in reading. We have assessed that this problematic situation was resolved by the constructivism and communication theory, although it had caused by objectivistic explaining for the language. However, while these approaches have attempted to rationalistic explanation of the reading process in reading education, the issue of incommunicability is emerging and going back to the original problem. I tried to find a clue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the concept of ‘corporality’ in reading acts. To this end, I reviewed the important roles of realizing significance of ‘respiration’ in reading process and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inspiration’ for mutual understanding.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빠른 이름대기 및 실행기능과 읽기능력 간의 관계

        안제원,방희정,박현정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 among rapid automatized naming (RAN), executive functions (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shifting), and reading abilitie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present study, reading ability was assessed in terms of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was compared with predictive factors for each reading skill. The subjects were 59 fourth-grade students (24 boys and 35 girls)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in Kyongki province. Digit rapid automatized naming, inhibition, verbal working memory were variables with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reading fluency. Second, inhibition, shifting, and socioeconomic status predicted reading comprehension. In sum,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predi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reading ability (reading fluency or reading comprehens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factors that could affect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reading strategy interven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읽기능력을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력으로 나누어 측정하고,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력 각각에 대한 빠른 이름대기, 실행기능 하위유형(작업기억, 억제능력, 전환능력)의 설명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 59명(남: 24명, 여:35명)으로, 통계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유창성에 대해서는 숫자 이름대기, 억제능력, 언어 작업기억이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이해력을 설명하는 요인으로는 전환능력, 억제능력, 사회경제적 수준이 산출됐다. 종합하면, 고학년 아동의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력을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빠른 이름대기와 실행기능의 하위유형을 검증한 결과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력 간의 설명변인과 설명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