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상사의 방법론과 해석학적 현상학

        송석랑(Suck-Rang Song)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9 No.-

        이 논문은 해석학적 현상학과 일상사(日常史)의 ‘역사인식이론’적 관계를 통해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를 모색하기 위한 연구의 예비논의로 쓰여졌다. 따라서 이 논문의 논지는 해석학적 현상학과 일상사의 연계성[이론↔실천]을 ‘생활세계’와 ‘일상’이라는 고리를 통해 역사주의적 관점에서 규명한 후, 일상사의 방법론에 떨어진 주요 현안들, 즉 ‘반(反)이론’성, ‘파편성’, 그리고 ‘비(非)정치’성 등에 걸려 있는 문제들을 지적하며 그 문제들을 해소할 방도를 제시하는데에서 그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해석학적 현상학의 존재론적 역사이해를 대안의 역사주의적 역사인식의 요체로 제시하는 가운데 다음의 두 사항을 논증하는 성취를 갖게 될 것이다. 즉, (1) 해석학적 현상학은 일상사에게 전통 역사주의의 역사이해를 지양하는 새로운 역사이해의 존재론적 토대를 명확히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리고 (2) 일상사는 기존의 유력한, 그러나 “역사개념의 퇴락”을 초래했던, ‘역사적 사회과학’의 역사인식을 능가하며 해석학적 현상학의 역사주의적 역사인식이론을 예증하는 역사일 수 있다. Being a preliminary discussion for the study on philosophical (hermeneutic-phenomenological) approach to historical cognition of “the history of everyday life”[die Alltagsgeschichte], this paper contents itself with making a sketch of overcoming and reconstructing the traditional historicism. Hence the drift of this paper’s argument in which the ontologically friendly relationships between hermeneutic phenomenology 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re examined from a renewed historicism’s point of view through the mediation, so to speak “life-world”[die Lebenswelt] and “everyday life”, is restricted within a limitation. And because of this limitation the outstanding problems (for instance the anti-theoretical attribute, the splintered or non-total point of view, and the nonpolitical nature) that have been bound to the microscopic methodology of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re indicated only with an outlet of those without being solved. However despite of that limitation the above mentioned facts this paper will be a thesis that gets an achievement of demonstrating the following facts: (1) Hermeneutic phenomenology can supply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with a ontological foundation of up-to-date historical cognition that sublimates[das aufheben]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historicism’s historical cognition. (2) Overcoming the “the historical sociology”[die historische Sozialwissenschaft] that impaired the vivid conception of history,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can be the history that illustrates a renewed historicism’s historical cognition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 KCI등재

        생활세계의 위상학과 일상사: 역사주의의 극복과 재건을 위한 현상학적 연구(1); "장소"의 존재론적 매개성에서

        송석랑 ( Suck Rang Song ) 한국해석학회 2015 해석학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라 할 수 있는 ‘위상학적 역사주의’의 수준에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최선의 혹은 더 나은 ‘역사인식의 토대’(역사철학)가 어떤 것인지를 ‘일상사’(Alltagsgeschichte)와 현상학의 위상학적 상관성을 통해 비판적으로 구명하려 시도한 일련의 세 연구주제들 (즉, ①역사주의와 일상사의 연계성을 현상학의 양상들에 수반하는 “생활세계”의 ‘위상학’(topology)을 매개로 삼아 정리한 후, ②일상사의 난제들을 극복할 현상학의 위상학적 인식의 논리를 제시함으로써,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로서의 ‘위상학적 역사주의’를 해명한다. ③일상사의 양상을 ‘두 경향으로 분류 가능한 현상학의 관점들’에 입각해 분석함으로써, 일상사와 ‘위상학적 역사주의’의 현상학적 연계성을 구체화 하며 일상사의 주요 현안들인 체계성, 보편성의 문제를 정치성의 문제로 수렴, 보다 더 정당하게 해소할 하나의 길을 제시한다.) 중 ①과 ②에 관한 것이다. 요컨대, 역사인식이“여기”(Hier)를 초월하지 않는 시간성을 갖되 위상학적 공간의 공간성과 짝하는 시간성을 갖는 ‘생활세계’를 ‘역사’(res gestae)의 리얼리티로서 취한다면, 생활세계의 위상학은 역사주의와 일상사의 현상학적 매개가 된다. 그리고 이 매개로써 현상학은 역사주의적 역사인식이론을 비인간주의 수준에서 재건하는 ‘위상학적 역사주의’의 역사철학이, 일상사는 그것을 예증하는 역사연구가 될 수 있다. There may be some probably ways to study for overcoming and reconstructing of historicism. However the way I take is phenomenological one in which I examine and analysis in the first place the objectivity of historical cognition of the view of traditional historicism, then try to investigate the best one of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historical cognition we can get at a topological thought of phenomenology level. For reaching to that study``s purpose, I take the fellowing three themes. (First: searching examination into the relation between phenomenology``s or topology of the life world``s various aspects 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which correspond mutually to the various aspects. Second: presenting a topological logic of overcoming the knotty subject of history of everyday life, from which elucidates a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as a topological historicism. Third: reading some noted history of everyday life in the analytical point of topological views of phenomenology to embody the relation between a topological historicism and history of everyday life, and presenting the best one of phenomenological logics that can answer to the difficult outstanding questions, for example the nature of micro point of view, anti theory, non political standpoint, which argues for the possibility of a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This paper deals with the first and second of the three themes, which can be summarized as fellows. If historical cognition regards the ‘life world’(Lebenswelt) that takes a temporality, which does not transcend ‘here’(Hier) and simultaneously partners with spatiality of topological space, as a reality of history(res gestae), then the topology of life world can be a phenomenological mediation that connects the ‘history of everyday life’(Alltagsgeschichte) and historicism. Through this mediation phenomenology can be a philosophy of historical cognition that reconstructs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as a topological historicism at a de-humanism level, 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can be read as a history(rerum gestarum memoria) that exemplifies the phenomenological philosophy of historical cognition.

      • KCI등재

        생활세계의 위상학과 일상사-역사주의의 극복과 재건을 위한 현상학적 연구(2): "장소"의 구체성을 위해

        송석랑 ( Suck Rang Song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5 No.-

        이 논문은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라 할 수있는 ‘위상학적 역사주의’의 수준에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최선의’ 혹은 ‘더 나은’ 역사인식의 토대’(역사철학)가 어떤 것인지를 ‘일상사’(Alltagsgeschichte)와 현상학의 위상학적 상관성을 통해 비판적으로 구명하려 시도한 일련의 세 연구주제들 (즉, ① 역사주의와 일상사의 연계성을 현상학의 양상들에 수반하는 “생활세계”의 ‘위상학’(topology)을 매개로 삼아 정리한 후, ② 일상사의 난제들을 극복할 현상학의 위상학적 논리를 제시함으로써,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로서의 ‘위상학적 역사주의’를 해명한다. 그리고 ③일상사의 양상을 ‘두 경향으로 분류 가능한 현상학의 관점들’에 입각해 분석함으로써, 일상사와 ‘위상학적 역사주의’의 현상학적 연계성을 구체화 하며, 일상사의 주요 현안들인 체계성, 보편성, 정치성 중 특히 정치성에 연관된 문제들을 보다 더 정당하게 해소할 하나의 길을 제시한다.) 중 ③에 관한 연구다. 요컨대, 이 연구는 이론(현상학적 역사 ‘존재/인식’론)과 이에 입각한 실천(일상사의 역사서술)의 유기적 측면에서 일상사의 체계성과 보편성의 문제를 정치성의 문제로 수렴해 현상학의 위상학적 논리로 해소하면서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 즉 ‘위상학적 역사주의’의 한 윤곽을 제시했다 Although the historicism becomes an object that have to be overcome by positivism and presentism for it`s factor of the metaphysical abstract, contrary to the positivism and presentism`s view of giving a tacit consent to a agnosticism the historicism doesn`t give up an ardent wish for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inquire into history. The problem have to be solved first of all to present a type of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is an establishment of good subjectivity that can cognize historical fact as itself. Of course in this case ``fact as itself`` is inseparable from our subject. So the establishment will be possible through not the positivism`s view of Lanke or presentism`s logic but new subject that does not allow all kind of relativity even beyond human`s subjective. However to solve exactly this problem needs to take not only new method going over former attempts including historicism`s but also new method considering phenomenology in all its various aspects. For getting that establishment, I take the fellowing three themes (First: searching examination into the relation between phenomenology`s or topological thought of the life world`s various aspects 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which correspond mutually to the various aspects. Second: presenting a topological logic of overcoming the knotty subject of history of everyday life, from which elucidates a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as a topological historicism. Third: reading some noted history of everyday life in the analytical point of topological views of phenomenology to embody the relation between a topological historicism and history of everyday life, and presenting the best one of topological logics that can answer to the difficult outstanding questions, for example the nature of micro point of view, anti theory, non political standpoint, which argues for the possibility of a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This paper treats the third of the three themes. In short; gathering the problems of systemicity and universality of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s a rerum gestarum memoria> into the problem of political nature of it on the side of organic relation between a phenomenology and historical cognition, this paper analyses the problems through the topological logic of phenomenology, and presents an outline of a sound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or topological historicism.

      • KCI등재

        일상사(日常史) 의 관점에서 본 『만인보』

        박성현(Park, Sung-hy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9 No.-

        문학과 역사의 접점에 서 있는 고은의 연작시 『만인보』는 ‘만인’의 이야기(story)들과 그들이 ‘살았던’ 시간을 이야기함(으narrate) 로써 ‘역사적 시간’을 건설한다. 『만인보』를 지배적인 주제에 따라 몇 권씩 그룹으로 묶을 때, 각 그룹의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이 가능한데, 일상사, 지식인사, 종교사, 증언문학 등이 그것이다. 특히, 일제강점기 시인의 고향마을 사람들을 주로 그린 1-9권의 경우 ‘아래로부터의 역사’인 일상사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이는 이야기시로서의 『만인보』가 보통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묘사를 통해 현실과 역사적 환경 혹은 시대의 징후들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고향마을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일상문화는 식민지 상황 속에서의 사회적 현실을 반영한다. 일상 풍경의 이면에는 조선어말살과 창씨개명, 산미증식계획과 같은 정책들을 드러내는 당시의 사회구조와 사회적 관계들이 존재한다. 그밖에, 이 시들은 마을에 여전히 유지되던 풍속과 전통, 공동체 문화 속에 내재된 성차별의 문제도 보여주고 있다. 개개인의 초상을 통해 한국사를 모자이크해 낸 『만인보』는 역사와 허구의 상호침투 혹은 융합으로서의 ‘시적 역사서’이자, 일상사적 관점에서 볼 때 ‘시로 그린 풍속화’이기도 하다. Ko Un’s serial poem Maninbo (Ten Thousand Lives), situ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constructs historical time by narrating the stories of many people and their lived time. If we arrange its volumes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dominant themes, we can approach each group by various pertinent methods, such as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lltagsgeschichte), the history of intellectuals, religious history and witness literature. In particular, we can examine volumes 1-9, which mainly depict villagers of the poet’s hometow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This is because Maninbo as narrative poetry manifests the realities, historical environments and signs of the times. The everyday life and culture of these villagers reflect the social reality of the colonial situation. Beneath the surface lie social structures and relations that reveal policies like the suppress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imposition of Japanese names, and enforcement of the Rice Production Increase Plan. Beyond that, the poems illuminate the customs, traditions, and communal culture of the village, including such problematic aspects as sexism. Maninbo, which (re)constructs Korean history as a mosaic of individual portraits, is a poetic historiography in which history and fiction fuse or interpenetra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it is a genre painting sketched with poetry.

      • KCI등재

        16세기 夫婦間의 일상사 해결의 양상 - 柳希春과 宋德奉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연순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6

        본고는 미암 유희춘의 『미암일기』에 나타난 16세기 부부간 일상사 해결의 양상을 유희춘과 송덕봉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들은 당시 부부간에 생길 수 있는 일상의 문제를 시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나누었고, 미암이 그와 관련한 사정을 일기에 기록해놓아 당대 실정을 세밀히 보여 주었다. 여기서 본고는 이들 부부가 일상사에 대해 각자의 입장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도 하고 공유하기도 하는 등 다양하게 보인 해결 양상을 발견하고, 이를 세분화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들 부부가 서로를 이해하며 주체로서 인정해간 점을 밝힐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그 결과 미암과 덕봉이 부부사이에서 가지고 있던 일상사를 해결한 양상은 부부로서 생기는 문제에서, 또 부모로서 자식을 대하는 문제에서, 그리고 조부모로서 손자의 교육을 담당하는 문제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부분 간의 문제에서는 다시 정욕의 갈등을 치유하고 가택 공간의 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였고, 부모로서 자식에 대한 태도는 딸와 아들에 대해 아버지와 어머니로서 가지는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방향으로 해결하였으며, 조부모로서 손자들의 교육을 위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방식으로 해결하는 방식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부의 문제는 미암이 서울 벼슬살이로 담양에 사는 덕봉과는 떨어져 지내야 했기에 정욕이나 집짓기, 벼슬 등에 대해 갈등을 겪었지만, 시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치유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또 아들과 딸을 대하는 아버지와 어머니로서는 각기 입장을 밝히며 서로의 태도 차이를 인정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자식들과 달리 손주들에게는 조부모로서 공통의 관심을 가지고 학습 공간의 변화와 교재 선정 등 최선의 환경 조성을 통해 모색하는 방향으로 해결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look over the appearance of the marital problem-solving in 16C. As a man and wife, Mi- Am and Duk-Bong exchanged letters and poetries, and Mi-Am recorded the background of that. In hence, I found that they find a way to take in the situation or change in environment about the marital problem-solving. And I classified the appearance of the marital problem-solving, concretely between that couple, as parents of son and daughter, and as grandparents of grandchild. Resultly, in the case of first, they had conflict with sexual desires at the start, but healed througth letters. And They showed the different concern and expectation of son and daughter, but conceded that different recognition. In the case of the latter, they changed the place of house. And They counted on grandchildren, and make an educational environment of descendants for themselves.

      • KCI등재
      • KCI등재

        주민 일상사 분석을 통한 마을 아카이브 연구 내용과 의미 - 서울 북촌 계동, 재동, 원서동 일대를 중심으로

        서준원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3

        The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 is now in its beginning stage in Korea, with the purpose the research is to collect ordinary stories of everyday life of Bukchon residences, to organize and to categorize them, and to create unique contents and meanings of everyday life history as “village archive” within multi-perspectives. In order to collect research materials from 1910s to 2010s in Bukchon; focused on Gyedong, Jaedong and Wonseodong, in-depth interviews and reviews of urban history are required. The eighteen sites based on the functional, historical, and spiritual characteristics were complied into following five contents. First, everyday places of education, health and administration; second, ordinary places for everyday life; third, historical sites of the Joseon Dynasty; forth, cultural, commercial, and religious places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in Korea; the last, place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urthermore, the research proposed a method of application for sustainable purpose. The study is significant as it shows the first progressive research analyzing contents; 『A Hundred Year Map of Bukchon, the Time Traveller’s Map』, and meanings for the “village archive” as a cornerstone for further researches. 국내 도시 및 조경학 분야는 ‘도시조경 아카이브’가 시작되는 단계로서, 본 연구는 일상사를‘마을 아카이브’를 통해 입체적으로 정리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191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를 기준으로 북촌 계동, 재동, 원서동 일대 주민들의 일상사적 장소를 아카이브 하기 위해 주민 심층 인터뷰 및 문헌 고찰을 진행했다. 자료는 기능적, 역사적, 정신적 특성을 기준으로 18 개의 일상사적 장소를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교육, 행정 및 보건 관련 일상 장소, 둘째, 평범한 일상 장소, 셋째, 조선 시대의 역사적 장소, 넷째, 근ㆍ현대 시대 문화, 상업및 종교적 장소, 마지막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관련 장소다. 이에 더해, 『북촌 100년, 시간을 품은 지도』와 같은 ‘마을 아카이브’ 콘텐츠 활용 방법을 제안하여 그 의미를 더했다. 이 연구는일상공간 속 서사를 담은 ‘마을 아카이브’를 정리한 첫 작업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초석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일상사물을 활용한 현대장신구 연구

        공새롬,임경수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0 조형디자인연구 Vol.23 No.3

        Since the 20th century, rapid industrialization has enabled the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ountless objects, which surround people's daily lives. The surrounding objects are nearly unperceivable as they are naturally assimilated in people's everyday lives, regardless of space, location, or time. We always look at things by coding them. It is easy to guess or predict its form, touch, and usage. But, if we once look at the objects in the different context from the conventional one, we can feel them as the familiar and the unfamiliar at the same time. In this regard, many contemporary artists have tried to pick things from their ordinary context, give them the new meanings. It became their primary concern. This is also the case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jewelry. By using daily objects, artists tried to break free from the limitations that high-priced jewelry materials had and explore the new areas of expanded expression and material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xamples of the work of an art which are transferred from the daily routine and the ordinary space to the new regions, that is,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human body space. In doing so,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help to expand the formative and material ranges of jewelry in the future. 20세기 이후 급속한 산업화로 셀 수도 없는 대량의 사물이 생산되고 소비되어 우리 주변에 넘쳐나기 시작했으며 공간, 장소, 시간에 상관없이 늘 어디에서나 쉽게 발견되기에 당연한 존재로 인식된다. 우리는 늘 같은 시각으로 사물을 코드화하여 바라보며 그것의 형태나 촉감 그리고 쓰임을 쉽게 추측하거나 예상할 수 있다. 반대로 관습적인 기존의 기능과 문맥에서 벗어나 사물을 바라보면 익숙하지만 생소한 물체로 느껴지게 된다. 그로 인해 많은 현대미술 작가들은 일상사물이 가지고 있는 현실성을 탈피하여 새로운 의미와 형태 변화를 주고자 하였으며 작가들의 주된 관심사가 되었다. 이는 현대장신구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많은 현대장신구 작가들은 기존의 값비싼 장신구가 가지고 있는 재료의 한계점에서 벗어나 일상사물을 사용함으로써 확장된 표현 영역과 재료 영역에 새로운 시도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상성이 있는 평범한 사물을 본래의 형태, 기능, 의미 등 현실적인 문맥에서 탈피하여 일상 공간에서 전시 공간이나 신체 공간으로 옮겨져 가지고 있던 일상성과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예술 작품으로 표현되는 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앞으로 장신구의 조형적, 재료적 영역을 다양하게 넓히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스탈린 체제 일상사 연구의 현황과 쟁점

        박원용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6

        Through the overview on the historiography of everyday life in Stalin's regime, this paper attempts to find some clues to the development of new methodology for researching the Soviet society and other ones as well. The study on various aspects of everyday life in Stalin's Russia has contributed to deepening our understanding about the mechanism of Stalin's Russia. But it has also revealed some issues that we have to consider. The first issue that we can detect in the historiography on people's way of life in the Stalin's Russia is about the problem of resistance vs accommodation of people to the regime. It is very difficult to ascertain the clear demarcation between accommodation and resistance in the everyday life of people. If we accept the idea that people in Stalin's Russia had managed to cooperate or oppose to the policy of the state, the assumption that the Stalin's regime was a totalitarian state should be discarded. The second issue is on the problem of continuity vs discontinuity. Though the socialist government had tried to transform rapidly the mode of everyday life by indoctrinating the socialist value, people in their everyday lives still maintained the old habits and customs which did not comply with doctrine of the socialist system. But this did not mean that people in the Stalin's Russia did not change internally at all, which raises the third issue in the historiography. We can find the existence of people with the deep conviction that the Stalinist value system had already established in the Russian society. These people had also tried hard to internalize voluntarily those values. In sum, the study on the everyday lives in the Stalin's regime has revealed the dynamics of the socialist Russia in the 1930s. Furthermore, there is a new attempt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n the Stalin's Russia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oral history. If we sincerely have tried to apply these achievements to the study of North Korea, the portrait of North Korea with a monolithic society still dominant in our society might be greatly renewed.

      • KCI등재

        북한 도시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 도시민 일상사의 콘텐츠 분석 틀을 중심으로 -

        서문기(Suh, Moon-Gi)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4 문화콘텐츠연구 Vol.- No.30

        1990년 이후 시장이 형성되고 도시 공간과 도시민 삶의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국가 중심의 북한 체제는 도시 자본주의 발전의 맹아 단계에 진입하면서 새로운 사회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듯이 북한 도시연구도 거시적 차원에서 북한 사회를 정태적으로 기술하는 접근에서 벗어나 도시 공간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동태적 변화의 미시적 요인에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방법론도 지리정보체계, 디지털 문화기술지, 인공지능 및 딥러닝 등 첨단기술의 적용을 통해 일상사의 콘텐츠에 대한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는 새로운 시각에서 북한 도시연구의 지형에 접근함으로써 연구 내용의 확장성을 추구하고 다양한 연구 방법의 활용으로 자료 부족과 편중성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북한의 도시공간에 배태된 도시민의 심리구조를 규명할 수 있는 분석 틀을 마련하여 숨겨진 사회적 동인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은 향후 사회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한반도 통일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시장화의 도입에 따른 북한 사회구성체의 변화와 국가 및 시장의 함수관계에 따른 사회발전의 가능성을 현실적인 맥락에서 진단하고, 학제 간 또는 산학연 네트워크에 의한 혁신적인 연구 체계를 통해 지속적이고 누적적인 방식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As markets have formed and some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lives of urban residents as well as urban space since 1990s, North Korea, governed by the state-centered regime, has signaled in the sprouts of urban capitalism, a new social transformation. Given this conditions, a research trend on North Korean cities is gradually moving away from the static approach at the macro level toward the dynamic perspective at the micro level. Following this change, the methodological tradition also attempts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application of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digital ethnograph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ep learning. This suggest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broadens the scope of research in the field by formatting the topography of North Korean urban studies from a new perspective, and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data and partiality by utilizing various research methods. An in-depth analysis of North Korea’s hidden social forces identifies the psychological residue of the residents embedded in urban space, which can be useful for predicting a future track. For the era of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social formation and its potential via the functions of the state and market need to diagnose. Furthermore, continuous research efforts meet to promote a cumulative manner by an innovative research system based on interdisciplinary or industry-academia-research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