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뇌 과학과 철학의 접점에서

        송석랑(Suck rang S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뇌의 연구에 대한 현대과학의 성과는 자유의지에 대한 종래의 형이상학적인 믿음을 깨는 '물리주의 유물론'의 다양한 논리와 우선은 어울린다. 예컨대 일찍이 그 성취의 한 전형이 되었던 리벳의 실험은 이 양상의 가능한 다음 세 경우를 가리킨다. 즉, (1) 소극적인 자유의지와 양립하는 '물리주의 유물론', (2) 자유의지가 환상임을 주장하는 '물리주의 유물론', (3) 적극적인 자유의지를 구제하며 기존의 것과 변별되는 물리주의 유물론으로서의 체험주의 [혹은, 몸의 현상학]. 이것들 가운데 (3)은 독단적 신념에 의거한 자유의지론의 형이상학적 가설을 폐기하는 한편, 맹신적 감정이 아닌 자연과학의 성과에 근거한 보다 합리적인 설득의 논증을 통해 '적극적인 자유의지'를 현대의 자리에서 재건할 방도를 함축한다. (3)에 천착, '물리주의 유물론'에 들어있는 것과 같은 '환원성의 한계'를 해소하며 '기계론적 신경생리학의 접근'을 넘어서려 했던 체험주의의 시각과 현상학[메를로-퐁티와 들뢰즈]의 '몸 이론'을 나란히 놓고 '지양/종합'의 논리를 모색할 경우, 우리는 보다 견고해진 일원론의 비(非)환원적 입장 위에 구축된 '결정론적 자유의지'의 양립적 개념을 '리벳의 실험'과 같은 '뇌 과학'의 탐구와 모순 없이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utcomes of contemporary neuro-science suitable for various logics of materialism as physicalism which crushes out the tradition's metaphysical belief in free will. For example the experiment of Bejamin Libet that is taken frequently as a illustration of contemporary neuro-science's outcomes indicates the fellowing three possible cases that reflect this aspect: (1) materialism as physicalism that is compatible with passive free will, (2) materialism as physicalism that denies free will itself, (3) experientialism or phenomenology of body that relieves free will by becoming another materialism as physicalism. In my opinion the most important case of those is the third case, because of the fact that it can abolish a dogmatical hypothesis on free will and implicate a way of reconstructing free will through more valid logic than previous one. This paper is a phenomenological sketch for that way, which call a study excavating the compatible conception of deterministic theory on free will.

      • 현상학의 글로컬리티와 파토스

        송석랑(Suck-rang S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철학은 다른 언어적 표현 역시 그러할 것이지만, 진리의 이론으로서 변주된 정치학이다. 지금 이 시대의 철학에게 필요한 것이 글로컬리티라면, 철학은 주의력을 공간에 집중, 전통의 공간을 극복해야한다. 철학의 더 나은 정치성으로 이어질 (진리와 도덕과 미의)글로컬리티를 가져다 줄 이러한 시도 어떤 권력이야기하는 우리사회의 억압구조를 계급대립이 해소된 자리 혹은 어떤 문화구조 내에서 극복해 나갈 수 있는 강력한, 그리고 현 단계애서 추구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사화공학 담론을 부를 수 있다. Philosophy, like wise whole linguistical expression, a politics that is undergone a variation. If what is needed for philosophy to overcome the modernity is a glocality, the philosophy concentrate it's attention on the problem of space to get over the former theory of space or discourse on space. This attempt brings the philosophy to has a better political nature than old one of being our's old philosophy. As a result of this attempt philosophy causes, at least for the present stage, itself to take a great possibility of defeating a structure of oppression result from a power, and causes our to take a social engineering for our freedom which we can gain caused by attempt in a culture structure place where the complications of class is dissolved.

      • KCI등재

        현상학과 인지과학의 문화주의적 교점 -딜타이(W. Dilthey)와 연관해서

        송석랑 ( Suck Rang S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2

        이 논문은 마음연구에 대한 현상학과 인지과학의 교점 내지 양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형이상학적 인식론 내지 심리학의 한계를 초과하는 과학의 논리로써 마음을 탐구하며 인지과학의 한 요소가 된 ‘분석적 심리철학’은 심신이원성 혹은 자연주의적 환원성의 난제에 처한다. 계산주의의한계와 통하는 이 난제는 당대의 과학적 인지이론이 또 다른 철학, 즉 현상학을 찾는 계기가 된다. 최근의 논자들에 따르면, 거기에는 무엇보다도다음의 세 이유가 있다. (1)현상학은 인지과학의 외성주의적 접근이 처한 난국을 돌파하되, 내성주의에 기대지 않고 과학적 태도를 견지할 방법론을 제공한다. (2)현상학은 경험의 지향성으로써 “인지에 대한 신체화된 접근방법”을 제시, 인지과학자들을 괴롭혀온 심신이원성 혹은 환원성의 문제를 해소하며 인지과학의 지평을 확장한다. (3)뇌과학이나 신경과학의 실험에서, 현상학은 피실험자의 경험을 인지과학이 신뢰할 수 있는 수준에서 파악하게 해준다. 이 논문은 그러한 사안들을 딜타이의 해석학에서 유래한 ‘존재론적’ 문화주의를 매개로 살펴보는 가운데, 현상학과인지과학이 빚는 교점 또는 양립의 양상과 의의 및 한계를 고찰했다. This paper is an essay on the intersection or compatibility of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in researching for our mind. In the mid-twentieth century analytic philosophy of mind had researched our mind by means of scientific logic that exceeds the limits of traditional theories of mind which are based on the metaphysical and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n it become a part of cognitive science. However this analytic philosophy of mind has been in the difficult position of mind-body dualism or naturalistic reduction which such physicalistic materialism as functionalism and connectionism tend to show. This difficult position that opens into the limits of computational theory caused cognitive scientists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phenomenology in their studies, for it provides their studies with an effective way of getting away from the difficult. According to a recent study, for example, the work of Gallagher and Zahavi [《The Phenomenological Mind, 2008》], the reasons why cognitive scientists feel need of phenomenology to overcome the difficult are as fellows : (1) phenomenology provide a new methodology for cognitive scientists to take a way of studying on mind in the “experiential scientifically dimension” without resorting to old style introspectionist’s view of mind, (2) by giving the embodied approaches to cognition via “an explication of the intentionality of experience that stresses the co-emergence of mind and world and suggests an alternative to the standard choice between internalism and externalism”, phenomenology can be a new effective means of overcoming the Cartesian mind-body dualism that continued to torture the cognitive scientists like behaviorist or functionalist, (3) phenomenology offers dependable ways of figuring out conscious experience, and of designing the experiments to cognitive science, in study on mind relevant experimental science like neuroscience or science of brain. Elucidating these matters by through of ontological culturism which is derives from Dilthey’s hermeneutics, and implies an intersection or compatibility of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this paper considers the signification and limitation as well as aspect of the intersection or compatibility which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make.

      • KCI등재

        명예의 정치성과 현상학적 대안 -"삶의 도덕적 권력"을 위한 고찰-

        송석랑 ( Suck Rang Song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0 No.-

        ``정치적 삶의 텔로스``인 명예는 ``좋은 삶``을 지향하는 정치의 동력이다. 사회적 본성과 함께 언어적 본질을 소유한 우리인간은 ``정치적 주체``일 수밖에 없고, 명예는 이 ``정치적 주체의 실천``을 고양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좋은 삶``을 위한 ``정의의 도덕적 원칙``의 이념에 따라 그 주체가 정치적 행위를 했다하여도 명예를 얻지 못하고 오히려 비난받을 수도 있다. 만일 그것이 단순한 오해 때문이라면 그의 명예는 자신이 속한 사회의 정치권력 내부에서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치적 주체가 몸담은 사회의 정치권력이 말과는 달리 정의롭지 못하거나 ``또 다른, 특히 대립적인`` 정의관을 갖고 있을 경우에는 사정이 달라진다. 이럴 경우 정의의 도덕적 원칙에 따랐던 정치적 주체의 처지는, ``자신에게 사실은 수치가 될 명예``를 그가 이미 거부했을 것이므로, 자신이 속한 사회의 정치적 권력이 내릴 크거나 혹은 작은 핍박의 수모를 감수하는 희생의 시간을 겪거나 아니면 그 시간의 ``당대 혹은 후대``에 존재할 사회의 또 다른 정치권력을 통해 명예``를 수여받을 수 있거나 중 하나일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특히 전복의 정치를 추구하는 ``혁명적 정치권력``의 정의와 내통하며 그 잠재적 정치권력으로부터 명예를 얻을 수 있는 ``정치적 주체``의 처지는 ``명예의 혁명적 정치성을 함축한다. 그러나 들여다보면 여기엔 각자의 자리에서 서로 맞서며 ``정의의 도덕적 원칙``의 우위를 고집할 상황이 초래하게 될 이데올로기적 대립과 갈등이라는 난감한 문제가 내재해있다. 명예가 우리의 ``좋은 삶``에 기여할 기재로 작동되기 위해선 그러므로 명예를 수여할 정치공동체의 권력이 ``정의의 도덕적 원칙``의 이념을 갖되 이데올로기적 폐쇄성이 아니라 우리의 삶으로 열려있는 실존론적 정당성을 갖는 이념의 권력, 즉 ``삶의 도덕적 권력``으로 존재해야 한다. The honor as telos of political life is a dynamometer of politics aims at our good life. Possessing the essence of language, our human being as a social animal becomes necessary the subject of politics. And the honor enhance a practice of the subject of politics. However though the political subject engages in political activities on the basis of a belief in moral principle of justice acknowledged for our good life, he can be a target of blame instead of being the honors. If the reason why he becomes the target of blame comes from a slight misunderstanding, it is possible for him to recover the honor he lost because of the blame. But if the political authority of community in which he lives is unjustice or opposes his view of justice that is incompatible with the political authority`s one for the nature of upset, then the thing originates in the blame shall be different. In that case the political subject which fellows his own moral principle of justice undergoes a time of sacrifice putting up with dishonor by the political authority. If he does not undergo the time, he will takes an honor from another political authority which exists in his lifetime or may possibly be existed in the future. And this condition of the political subject that communicates with an subversive political authority`s justice implies the ``revolutionary-political`` nature of honor, and from which we are faced with a difficult question, so to speak the aspect of ideological conflict and antagonism comes from divergence of a world view. Hence, for the being of good telos of our political life, the political authority that confers an honor to political subject has to take an new moral principle of justice equipped with a logic of overcoming the conflict and antagonism. And the power of that political authority could be called the moral power of lif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두 개의 정물화, 두 개의 현상학

        송석랑(Suck-Rang Song) 한국현상학회 200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7 No.-

        회화에는 하나의 ‘철학적 관념’을 허용하고 이탈하며, 심지어 우리가 미처 예기하지 못한 경지로 까지 이끌어 갈 힘의 여백, 달리 말하자면 ‘말하여진 채 말하여지지 않은’ 혹은 ‘말하여지지 않은 채 말하여진’ 시적 의미가 있다. “최초의 언어”가 (넓은 의미에서의)시라면, 시의 말은 철학적 언어의 본질이며 ‘시적 감각’은 철학적 지성의 본질이다. 이 글은 ‘시적 감각’ 속에서 복원한 ‘본질의 지성’으로써 탈(脫)근대의 ‘철학적 관념’을 달리 제출했던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가 각각 ‘부재의 현상학’과 ‘현존의 현상학’의 논리로써 ‘고흐의 정물화’와 ‘세잔의 정물화’에 내렸던 의미해명을 경유, 탈근대의 더 나은 ‘철학적 관념’이 모색될 하나의 유력한 길을 ‘시적 감각’을 통해 제시하는 성취에 닿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에게 먼저 있고 나서야 비로소 그들의 ‘철학적 관념’이 가능했을 ‘시적 감각’>의 전형에 다름 아니었던 〈고흐와 세잔의 정물화?여기서는 ≪끈 달린 구두≫와 ≪푸른색 꽃병≫?의 감각〉을 논의의 양축으로 삼아 〈이전의 회화론을 제치며 ‘철학적 관념’을 새로이 생산하는 하나의 회화론이 또 다른 회화론 위에서 사용되는 가운데 ‘철학적 관념’이 재생산되는 과정〉의 한 경우를 짚은 뒤, 회화의 ‘시적 감각’의 의미로서 함축된 근대극복의 성취와 한계 및 과제를 논급할 것이다. Painting that thinks mutely the proper essence of the world can be regarded as a “silent science.” And because of the painter's vision of continued birth there is the force of a margin in that painting, in which the force permits and flees a philosophical idea and moreover leads us to a stage that hands over an unexpected one. In other words the force is a rupture ; it is exactly the rapture of the poetic meaning as ‘what is said in the unsaid’ or ‘what is unsaid in the said.’ If language that speaks foremost is in a broad sense poetry, then the word of poetry is the essence of the philosophical language, and then ‘the poetic sensation’ is the essence of the philosophical intelligence in which a ‘philosophical idea’ originates. This paper lays its own purpose under clarifying the one of the gropes that are based on the ‘poetic sensation’ for the philosophy of post modern age, from which we can take a better way to the ‘real concrete-philosophy our contemporaries need.’ For such a purpose this paper first will be to go by way of ‘the essay on painting’ of M. Heidegger and of M. Merleau-Ponty who present differently post modernistic ‘philosophical idea’ through ‘the intelligences of the essences’ they restored uniquely in the poetic sensation of art. Looking for the former's phenomenological explication for the still life of Gogh and for the latter's that of Cezanne in order to practice that work, this paper ?in using both the sensation of Gogh's the still life(≪Old shoes with laces≫) and that of Cezanne's the still life(≪Blue vase≫) as two axes, and in laying bare the process in which painting reproduces constantly a ‘philosophical idea’ that aries only after a poetic sensation of painting has been previously experienced?elucidates not only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 but also the task of the philosophy to overcome its own modernity.

      • KCI등재

        하이데거와 메를로-퐁티의 타자성

        송석랑(Suck-Rang Song) 한국현상학회 200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0 No.-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인식론적 초월'에 매달렸던 우리시대의 시인(혹은 작가)들은 '존재론적 초월'을 통해 '시적 폭력'의 '극복'과 '재건'을 실현하려 했다. 이 경우, 극복과 재건은 '인식론적 초월의 단절'과 '존재론적 초월의 복구'에 각각 상응한다. 문학과 사회의 관계를 헤아리고 보면, 시는 '일상이 품고있는 현실'의 진리를 드러냄으로써 현실의 가상인 소외된 일상의 친숙성을 깨며 억압의 기재들을 부단히 치우는 '해방의 무기'일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시가 우선은 일상에 대한 폭력이되,〈'일상이 품고 있는 현실의 진리'에 대한 폭로와 '일상의 어떤 야만'에 대한 공격이 아닌 '일상 저편의 진리'에 대한 누설과 '일상의 존재자체'에 대한 파괴로 추락했던 인식론적 초월〉의 '부정적인 폭력'을 극복해야 한다. 시가 일상에 내려진 야만의 폭력에 대한 '정당한 폭력', 즉 “반(Anti)폭력”으로서의 '시적 폭력'을 '자신 내부에 은폐된 존재론적 초월'의 복구로써 재건하며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을 능가하는 '비판' 혹은 '혁명'의 미학을 취할 수 있는 것은 그 극복 이후의 일이다. 이 글은 하이데거와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에 함축된〈'시의 초월'을 통한 '시적 폭력'의 '극복'과 '재건'의 방향〉을 '타자'성의 척도로써 '비교/평가'하며, 모더니즘과 리얼리즘 이후의 가능한 시(혹은 문학)의 '정치성'을 메를로-퐁티의 입장에서 고찰했다. Many poets of our time who conform to an epistemological transcendence of modernism and of realism attempt to realize the overcoming and reconstructing of the poetical violence through an ontological transcendence. In this case the overcoming and the reconstructing correspond separately to the severing of an epistemological transcendence from the poetical violence and to the restoring of an ontological transcendence to the poetical violence. For the relations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a poem have to be as an weapon which by means of revealing the truth of reality included in everyday attacks the familiarity of the alienated everyday, that is to say the phenomenon of reality, and then draws the time of freedom. In order to be so, a poem first of all must do violence to everyday and at the same time have to overcome the negative violence of an epistemological transcendence which because of doing not violence to a everyday's barbarous and of doing not discloses the truth included in everyday falls into leaking a truth of the life beyond and therefore into destroying everyday itself. After the negative violence was overcome, it can be actualized that a poem reconstructs the legitimate violence to everyday's barbarous, that is to say the poetical violence as anti-violence,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ontological transcendence which has been forgotten in poetry itself as a possibility and that a poem obtains critical or revolutionary aesthetics surpass that of modernism and realism. Comparing in setting up the 'other'ness[die Anderheit / l'alterite] as a measure the direction of the overcoming and of the constructing in M. Merleau?Ponty's phenomenology with those of M. Heidegger's one, this paper points out by side of the former poetry's[or literature's, and further more art's] possible political function that should be come after that of modernism and of realism on that compare.

      • KCI등재

        일상사의 방법론과 해석학적 현상학

        송석랑(Suck-Rang Song)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9 No.-

        이 논문은 해석학적 현상학과 일상사(日常史)의 ‘역사인식이론’적 관계를 통해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를 모색하기 위한 연구의 예비논의로 쓰여졌다. 따라서 이 논문의 논지는 해석학적 현상학과 일상사의 연계성[이론↔실천]을 ‘생활세계’와 ‘일상’이라는 고리를 통해 역사주의적 관점에서 규명한 후, 일상사의 방법론에 떨어진 주요 현안들, 즉 ‘반(反)이론’성, ‘파편성’, 그리고 ‘비(非)정치’성 등에 걸려 있는 문제들을 지적하며 그 문제들을 해소할 방도를 제시하는데에서 그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해석학적 현상학의 존재론적 역사이해를 대안의 역사주의적 역사인식의 요체로 제시하는 가운데 다음의 두 사항을 논증하는 성취를 갖게 될 것이다. 즉, (1) 해석학적 현상학은 일상사에게 전통 역사주의의 역사이해를 지양하는 새로운 역사이해의 존재론적 토대를 명확히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리고 (2) 일상사는 기존의 유력한, 그러나 “역사개념의 퇴락”을 초래했던, ‘역사적 사회과학’의 역사인식을 능가하며 해석학적 현상학의 역사주의적 역사인식이론을 예증하는 역사일 수 있다. Being a preliminary discussion for the study on philosophical (hermeneutic-phenomenological) approach to historical cognition of “the history of everyday life”[die Alltagsgeschichte], this paper contents itself with making a sketch of overcoming and reconstructing the traditional historicism. Hence the drift of this paper’s argument in which the ontologically friendly relationships between hermeneutic phenomenology 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re examined from a renewed historicism’s point of view through the mediation, so to speak “life-world”[die Lebenswelt] and “everyday life”, is restricted within a limitation. And because of this limitation the outstanding problems (for instance the anti-theoretical attribute, the splintered or non-total point of view, and the nonpolitical nature) that have been bound to the microscopic methodology of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re indicated only with an outlet of those without being solved. However despite of that limitation the above mentioned facts this paper will be a thesis that gets an achievement of demonstrating the following facts: (1) Hermeneutic phenomenology can supply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with a ontological foundation of up-to-date historical cognition that sublimates[das aufheben]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historicism’s historical cognition. (2) Overcoming the “the historical sociology”[die historische Sozialwissenschaft] that impaired the vivid conception of history,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can be the history that illustrates a renewed historicism’s historical cognition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 KCI등재

        생활세계의 위상학과 일상사-역사주의의 극복과 재건을 위한 현상학적 연구(2): "장소"의 구체성을 위해

        송석랑 ( Suck Rang Song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5 No.-

        이 논문은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라 할 수있는 ‘위상학적 역사주의’의 수준에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최선의’ 혹은 ‘더 나은’ 역사인식의 토대’(역사철학)가 어떤 것인지를 ‘일상사’(Alltagsgeschichte)와 현상학의 위상학적 상관성을 통해 비판적으로 구명하려 시도한 일련의 세 연구주제들 (즉, ① 역사주의와 일상사의 연계성을 현상학의 양상들에 수반하는 “생활세계”의 ‘위상학’(topology)을 매개로 삼아 정리한 후, ② 일상사의 난제들을 극복할 현상학의 위상학적 논리를 제시함으로써,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로서의 ‘위상학적 역사주의’를 해명한다. 그리고 ③일상사의 양상을 ‘두 경향으로 분류 가능한 현상학의 관점들’에 입각해 분석함으로써, 일상사와 ‘위상학적 역사주의’의 현상학적 연계성을 구체화 하며, 일상사의 주요 현안들인 체계성, 보편성, 정치성 중 특히 정치성에 연관된 문제들을 보다 더 정당하게 해소할 하나의 길을 제시한다.) 중 ③에 관한 연구다. 요컨대, 이 연구는 이론(현상학적 역사 ‘존재/인식’론)과 이에 입각한 실천(일상사의 역사서술)의 유기적 측면에서 일상사의 체계성과 보편성의 문제를 정치성의 문제로 수렴해 현상학의 위상학적 논리로 해소하면서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 즉 ‘위상학적 역사주의’의 한 윤곽을 제시했다 Although the historicism becomes an object that have to be overcome by positivism and presentism for it`s factor of the metaphysical abstract, contrary to the positivism and presentism`s view of giving a tacit consent to a agnosticism the historicism doesn`t give up an ardent wish for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inquire into history. The problem have to be solved first of all to present a type of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is an establishment of good subjectivity that can cognize historical fact as itself. Of course in this case ``fact as itself`` is inseparable from our subject. So the establishment will be possible through not the positivism`s view of Lanke or presentism`s logic but new subject that does not allow all kind of relativity even beyond human`s subjective. However to solve exactly this problem needs to take not only new method going over former attempts including historicism`s but also new method considering phenomenology in all its various aspects. For getting that establishment, I take the fellowing three themes (First: searching examination into the relation between phenomenology`s or topological thought of the life world`s various aspects 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which correspond mutually to the various aspects. Second: presenting a topological logic of overcoming the knotty subject of history of everyday life, from which elucidates a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as a topological historicism. Third: reading some noted history of everyday life in the analytical point of topological views of phenomenology to embody the relation between a topological historicism and history of everyday life, and presenting the best one of topological logics that can answer to the difficult outstanding questions, for example the nature of micro point of view, anti theory, non political standpoint, which argues for the possibility of a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This paper treats the third of the three themes. In short; gathering the problems of systemicity and universality of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s a rerum gestarum memoria> into the problem of political nature of it on the side of organic relation between a phenomenology and historical cognition, this paper analyses the problems through the topological logic of phenomenology, and presents an outline of a sound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or topological histor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