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의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 및 그 차원들이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서우정,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2 인지행동치료 Vol.12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심각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 및 그 차원들의 역할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대학생 233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 상위인지, 부정적 정서 및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측정하는 척도들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 둘 모두 일반화된 불안증상 및 부정적 정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정서조절곤란은 부정적 정서와 상위인지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심각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며, 상위인지 또한 부정적 정서와 정서조절곤란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일반화된 불안증상들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는 부정적 정서의 영향을 넘어서서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전체 변량의 9%를 추가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된 불안증상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6가지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검토하기 위해 동시적 중다회귀방정식을 사용한 결과, 다른 나머지 차원들을 통제한 후에도 정서적 명료성 부족과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접근 제한차원은 각각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화된 불안장애 증상에 대한 상위인지의 5가지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동시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한 결과, 걱정에 대한 통제 불가능성/위험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인지적 자신감 부족차원은 각각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가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각각 고유하게 기여하며,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일반화된 불안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 두 변인 모두에 초점을 맞출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ole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in the severity of generalized anxiety(GA) symptoms. Two hundred and thirty three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battery of self-report measures to asses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etacognition, general negative affect, and GA symptom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GA symptoms, when controlling for general negative affect and metacognition. Metacognition was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of GA symptoms, when controlling for negative affect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together explained an additional 9% of the total variance of GA symptoms, above and beyond negative affect. Furthermore,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six dimension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o GA symptoms. Of the dimensions, lack of emotional clarity and limited access to strategies for regulation dimensions each uniquely contributed to GA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dimensions.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xamining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five dimensions of metacognition to GA symptoms revealed that negative beliefs about worry concerning uncontrollability and danger and the lack of cognitive confidence dimensions each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GA symptoms. In conclusion,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clinicians should focus on both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in order to alleviate GA symptoms and prevent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more effectively.

      • KCI등재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일반화의 유형과 일반화의 유형별 정의에 대한 고찰

        이승희 ( Lee Seung He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4

        응용행동분석에서는 행동변화뿐만 아니라 행동변화의 일반화에도 높은 관심을 둔다. 왜냐하면 행동변화가 일반화되지 않는다면 그 행동변화는 의미가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관련문헌을 보면 일반화의 유형과 일반화의 유형별 정의에서 일관성이 다소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련문헌들을 살펴보고 논의한 후 결론으로 일반화의 유형과 일반화의 유형별 정의를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화의 유형은 자극일반화와 반응일반화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자극일반화는 ‘특정 자극(사람, 지시, 자료, 장소)이 있을 때 어떤 반응이 강화를 받았을 경우, 유사하지만 다른 자극들에 의해 그 반응이 촉발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반응일반화는 ‘어떤 자극이 있을 때 특정 반응이 강화를 받았을 경우, 그 자극에 의해 유사하지만 다른 반응들이 촉발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안을 잠정적 결론으로 제시하였는데 그 이유는 합의가 필요한 쟁점들이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일반화의 유형과 일반화의 유형별 정의에 대한 확고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합의가 필요한 쟁점들을 중심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applied behavior analysis, there is a great deal of attention toward not only behavior change but also generalization of behavior change. The reason is that if behavior change is not generalized, the behavior change could be meaningless. However, there is a lack of consistency among the types of generalization and the definition for each type of generalization which have been presented by related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types of generalization and the definition for each type of generalization as conclusions after reviewing and discussing those in the related literature. Following we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proposed types of generalization were stimulus generalization and response generalization. Second, the proposed definition for stimulus generalization was ‘the fact that when a response is reinforced in the presence of a specific stimulus (person, instruction, material, setting), the response may be evoked by other similar but different stimuli’ and the proposed definition for response generalization was ‘the fact that when a specific response is reinforced in the presence of a stimulus, other similar but different responses may be evoked by the stimulus’. However these were presented as tentative conclusions because it appeared that there were many issues which should reach consensus. Therefore, presented were several suggestions focusing on the issues which need to reach consensus in order to draw firm conclusions on the types of generalization and the definition for each type of generalization.

      • 공간데이터 일반화의 파급을 처리하기 위한 규칙

        강혜경,이기준,Kang, He-Gyoung,Li, Ki-Joune 한국공간정보학회 2002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4 No.1

        공간데이터의 일반화는 기존에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새로운 소축척 데이터베이스를 유도할 수 있는 중요한 GIS 기법이다. 공간데이터의 일반화는 공간데이터의 기하 및 속성데이터를 변형[3, 15] 시킬 뿐만 아니라, 데이터 모델의 관계를 따라서 연결되어 있는 다른 공간데이터도 변형[8-10, 14]시킨다. 이것을 공간데이터 일반화의 파급이라고 한다. 이 파급을 처리하지 않은 채 일반화를 계속 진행하면, 일관성 혹은 원시데이터베이스 정보 중의 일부가 손실된 채 새로운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화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공간데이터의 상호관계를 무시한 채 독립된 하나의 공간데이터에 대한 유도를 위해서 방법들을 제시해 왔다. 그리고 그 결과 공간데이터의 기하 및 속성을 변형시키는 많은 일반화 연산자들이 제시되어졌다. 본 연구는 이 일반화 연산자들이 어떤 공간데이터에 적용되었을 때 그와 관련된 다른 공간데이터에도 파급 적용될 수 있도록, 일반화 연산자를 확장을 시킬 것이다. 이 일반화 파급을 처리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일반화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될 필요가 있는 규칙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일반화 연산자들이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규칙들을 기술한다. 이 규칙들은 관계대수로서 표현될 수 있으므로, SQL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이 확장된 일반화 연산자들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간단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The generalization of geospatial data is an important way in deriving a new database from an original one. The generalization of a geospatial object changes not only its geometric and aspatial attributes but also results in propagation to other objects along their relationship. We call it generalization propagation of geospatial databases. Without proper handling of the propagation, it brings about an inconsistent database or loss of semantics. Nevertheless, previous studies in the generalization have focused on the derivation of an object by isolating it from others. And they have proposed a set of generalization operators, which were intended to change the geometric and aspatial attributes of an object. In this paper we extend the definition of generalization operators to cover the propagation from an object to others. In order to capture the propagation, we discover a set of rules or constraints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during generalization procedure. Each generalization operator with constraints is expressed in relational algebra and it can be converted to SQL statements with ease. A prototype system was developed to verify the correctness of extended operators.

      • KCI등재

        우리나라 디지털 행정구역 경계 파일의 일반화에 관한 연구: 주제도 제작용 기본도를 중심으로

        김현미,이상일 한국지도학회 2021 한국지도학회지 Vol.21 No.2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목적은 우리나라 디지털 행정구역 경계 파일의 일반화를 위한 실행 원칙을 수립하고, 그것에 기반해 적절한 일반화가 적용된 주제도 제작용 기본도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론적인 수준에서 맥매스터와 셰이의 디지털 일반화 모형을 검토하였고, 알고리즘 수준에서는 더글라스-포이커 알고리즘과 비스발링엄-화이엇 알고리즘을 비교하였다. 일반화를 위한 알고리즘으로 원 데이터의 피처간 연접성이 보존되고, 단순화뿐만 아니라 완곡화도 일부 수행하는 수정 비스발링엄-화이엇 알고리즘이 채택되었다. 우리나라 2020년 6월 30일 기준의 읍면동 경계 파일을 대상으로 목표 축척을 1:4,000,000과 1:8,000,000으로 설정한 일반화를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버텍스 보존율로 일반화한 여덟 장의 지도를 비교한 결과, 1:4,000,000 축척을 위해서는 버텍스 보존율이 0.2%인 지도, 1:8,000,000 축척을 위해서는 버텍스 보존율이 0.05%인 지도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상세성이 너무 높은 원본 행정구역 경계 파일이나, 원칙과 근거가 부족한 일반화가 적용된 경계 파일을 무비판적으로 사용하는 관행에서 벗어날 수 있는 최소한의 근거를 제시했고, 축척별 표준 행정구역 경계 파일의 세트를 구축하기 위한 보다 광범위한 기획의 시발점 역할을 했다는 의미에서 학술적・실질적 가치가 있다고 평가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properly generalized digital files of Korea administrative boundaries for thematic mapping. In a theoretical concern, the digital generalization model proposed by McMaster and Shea is intensively reviewed, and two major simplification algorithms, the Douglas-Peuker algorithm and the Visvalingam-Whyatt algorithm, are thoroughly compared. As a result, a modified version of the Visvalingam-Whyatt algorithm is selected mainly because it is better in preserving the contiguity property among the original areal units and in performing the smoothing operation while simplifying map features. The generalization framework is applied to the 2020 boundary file of the most detailed administrative areal units in South Korea targeting for 1:4,000,000 and 1:8,000,000 map scales. By comparing the generalized maps created at the 8 different vertex retention rates, it is concluded that the 0.2% retention rate map is suitable for the 1:4,000,000 scale and the 0.05% retention rate map is for the 1:8,000,000 scal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people avoid the use of the far too detailed raw boundary files and/or the far too scant generalized files, and can be seen as a cornerstone of a broader project to construct a standardized set of administrative boundary files which are designed in compliance with different map scales that people freely use for their needs.

      • KCI등재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 모델

        이승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In the first issue of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Baer, Wolf, and Risley (1968) presented generality as one of the 7 dimension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According to them, a behavior change may be said to have generality if it proves durable over time (that is, maintenance), if it appears in a wide variety of possible environments (that is, stimulus generalization), or if it spreads to a wide variety of related behaviors (that is, response generalization). Since th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has been a main concern in the field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in applied behavior analysis. To do this, first, generaliz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stimulus generalization and response generalization), which were used interchangeably with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and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ectively in this study. Next, maintena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based on the review performed in this study. Lastly, the two types of generalization and the three kinds of maintenance were set up as five aspects of generality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and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was propos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의 창간호에서 Baer, Wolf와 Risley(1968)는 응용행동분석의 7개 차원 중 하나로 일반성(generality)을 제시하면서 행동변화가 시간이 지나도 지속되거나(즉, 유지),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거나(즉, 자극일반화), 또는 다양한 관련행동으로 확산된다면(즉, 반응일반화) 그 행동변화는 일반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후 유지와 일반화는 응용행동분석 분야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이승희(2021)의 연구를 근거로 일반화를 자극일반화와 반응일반화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극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를 그리고 반응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를 각각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의 고찰을 근거로 유지를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라는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일반화의 두 가지 유형과 유지의 세 가지 종류를 일반성의 5개 측면(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으로 설정하고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 모델을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Analysis of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 of Korean Mathematics Textbook

        Lee, Chong Hee,Lee, Soo Youn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the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 posed in the current school curricula of Korea. Twelve of most recently published elementary school (1st to 6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and twelve Middle school (7th to 9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a total of 24 mathematic textbook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First, the differen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re categorized. Within these categories, we analyzed which pattern problems were emphasized in the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 that ‘relating problems’ were mainly introduc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earching for the same relationship’ and ‘procedure problems’ increased across the grades. ‘Pattern searching problems’ decreased across the grades, while ‘result searching’ and ‘pattern extension problems’were rarely introduced. ‘Justification problems’ were inconsistently emphasized across the grades. With respect to the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 ‘factual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 were consistently introduced across the grades, while ‘contextual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and ‘symbolic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 were introduced only to a limited extent. Regarding the various types of pattern problems, only limited types of problems were proposed in both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 textbooks. From this study, we hope to address how the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 in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lack pattern exercises in the curriculum core. We also hope to provide data which c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 in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중학 교수학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패턴일반화 문제의 특성과 유형을 살펴보는데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공통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수학 및 수학 익힘책 살펴보았으며, 중학교 교과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 4종을 학년별로 선택하여 조사하였다. 패턴일반화 문제의 특성은 Ellis(2007)와 Radford(2006)의 연구를 바탕으로 크게 경험적 특성과 상황적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패턴 문제의 유형은 기존 패턴 연구들에 제시되어 있는 다양한 패턴 문제들을 종합하여 그 유형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초·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패턴일반화 문제들의 경험적 특성은 그 연계성이 부족하였으며 패턴일반화 과정에 있어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정당화할 수 있는 문제들이 강조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패턴일반화 문제의 상황적 특성 또한 그 연계성이 부족했다. 구체적 단계의 패턴으로부터 상징적 단계의 패턴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있어 패턴간의 관계와 일반화되어 나가는 상황을 해석하는 맥락적 패턴일반화 문제가 사실적 패턴일반화 문제에 비하여 극히 적게 제시되고 있었으며, 상징적 패턴일반화 문제는 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단원을 통해 갑자기 강조되는 성격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패턴일반화 문제의 유형은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는데 특히 모호한 패턴 문제와 같은 창의적이고 대안적인지가 가능한 패턴 문제들은 찾아볼 수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좀 더 다양한 특성과 유형의 패턴일반화 문제를 개발하여 수학 교과과정에 있어 패턴 학습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단순히 규칙을 찾는 활동을 넘어서 패턴 학습을 수학적 사고 활동과 일반화학습의 핵심 주제로 자리잡기 위한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친환경 소비행동의 일반화 수준에 대한 기초 연구 -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박진채,정순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1

        This study analyzed how consumers perceive EFCB or non-EFCB, and tri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eco-friendly, normalized, and practical levels of EFCB.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s that consumers recognized EFCB and non-EFCB differently between the level of eco-friendliness and normalization. Most of results matched to the expert opinion, except for ‘consuming meat or sea food’. In terms of ‘usage and disposal’ EFCB indicated high level of eco-friendliness, normalization. But in practice, ‘citizenship’ factor revealed the opposite. All factors of eco-friendline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ization and practice level. And the practice level of most factors were higher than the normalization level. However, ‘purchase’ factor demonstrated lower level of practice than normalization level, and ‘citizen’ factor displayed no difference between them. Indee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eco-friendly and normalized degree of EFCB that consumers perceive in order to promote EFCB, and to make more common notion in government policy formulation and corporate marketing activities. Sustainability-based government resources are highly required to promote the choosing and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Above all, physical, soci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should be made in order to reduce consumers' inconvenience and to induce the practice of EFCB. Also to enhance consumer-citizenship,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EFCB, there is need for policy attention and support. This study is the first trial to understand EFCB and meaningful because it is the ground work for activating EFCB in Korea.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친환경․비친환경 소비행동을 친환경 및 일반화의 측면에서 어떻게 인식하는지 분석하고, 친환경 소비행동의 친환경, 일반화, 실천 수준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친환경․비친환경 소비행동을 친환경 및 일반화 수준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인식하였고, ‘고기 또는 생선먹기’를 제외한 대부분이 전문가들의 의견과 일치했다. 친환경 소비행동의 ‘사용 및 처분’ 요인은 친환경, 일반화, 실천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시민성’ 요인은 모두 낮게 나타났다. 모든 요인의 친환경 수준이 일반화 및 실천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고, 대부분의 요인이 일반화 수준보다 실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구매’ 요인은 일반화 수준보다 실천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시민성’ 요인은 둘 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친환경 소비행동의 확산을 위해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친환경 소비행동의 친환경 및 일반화 수준에 대한 정확한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정부의 정책 수립이나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서 일반화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개인의 노력으로 실천 가능한 친환경 소비행동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친환경 제품의 구매를 촉진하기 위해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친환경 소비행동의 실천을 유도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물리적, 사회적, 제도적 기반 마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친환경 소비행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비자시민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일반화 차원에서 친환경 소비행동을 이해하고자 했으며, 이를 토대로 친환경 소비행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데이터 일반화가 딥러닝 성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성봉,고영웅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0

        k-익명화는 해커들의 개인 정보 탈취를 예방하기 위해, 원래의 데이터를 변경하여 제삼자에게 배포하는 기술이다. 데이터 일반화는 원래의 데이터 값을 고수준의 값으로 대체하는 방법으로 k-익명화 기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기법은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증명되고 있지만, 일반화된 데이터를 딥러닝에 사용할 경우, 학습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일반화에 의한 값 왜곡이 딥러닝 성능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서는 텐서플로우를 사용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축하고 일반화되지 않은 데이터셋과 일반화된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구축된 모델을 학습시킨후, 각각에 대한 학습 성능을 측정하였다. 학습 데이터로는 2010년 1월 1일부터 2022년 6월까지 수집한 한국의 온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데이터 일반화 기법을 적용하여 원래의 값을 고수준 값으로 변경하고 이를 실험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학습 성능 지표값으로는 평균제곱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일반화 정도가 적을 경우, 0.90%의 성능 저하가, 일반화 정도가 중간일 경우, 3.15%의 성능 저하가, 일반화 정도가 심할 경우, 6.57%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였다. k-anonymization is a technology that changes original data and distributes it to third parties to prevent hackers from stealing personal information. Data generalization is widely used in k-anonymization where the data values are replaced by high-level ones. Although this method has been proven to be very effective in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generalized data is used as machine learning data such as deep lear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arning performance is degraded.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much the value distortion caused by data generalization affects deep learning performance. In the experiment, a deep learning model was built using TensorFlow, the same model was trained using a non-generalized dataset and a generalized dataset, and the learning performance of each was measured. The Korea’s temperature collected from January 1, 2010 to June 2022 was used as training dataset. In addition, in order to generate distorted data, the values were changed into high-level generalized ones by forc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as used as the performance metric value.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when the degree of generalization was small, there was a performance degradation of 0.90%, when the degree of generalization was medium, a performance degradation of 3.15%, and when the degree of generalization was severe, a performance degradation of 6.57% occurred.

      • KCI등재

        강제결합-스포츠모의중계수업에서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동료평가의 신뢰도와 오차요인 분석

        이태구 ( Tae-koo Lee ),양희원 ( Hee Won Ya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목적은 Lee & Kim(2015b)의 후속연구로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강제결합-스포츠모의 중계수업에서 적용된 동료평가의 신뢰도와 오차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일반화가능도이론은 연구자가 설정한 특정 상황에서 측정한 자료의 오차요인들을 원인별로 정량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험자 점수에서 각 오차요인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며(G연구),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적용 가능한 효율적인 측정조건을 제시(D연구)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경기도 행복고등학교 1학년 216명(남:115,여:101)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동료평가 한 자료가 분석대상이 되었으며, 이를 단변량과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평가 결과에 기여하는 오차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대체로 동료평가의 평가대상인 영상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을 구분해서 분석한 결과 여학생은 영상과 평가자의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에 사용된 동료평가는 높은 일반화가능도계수를 나타냈으며 평가대상인 영상의 수 또는 평가자의 수를 감소시키는 경우, 적정수준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별을 구분해서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일반화가능도계수가 여학생에 비해 높았고, 적정수준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측정 조건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측정구조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신뢰도 계수는 신뢰도를 과대 추정함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체육교과 동료평가 선행연구들은 동료평가를 소개하고, 교사평가와의 일치성 및 성별 동료평가 차이 경향 등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측정학적인 측면에서 학교 현장의 실제자료를 기반으로 강제결합-스포츠모의중계 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동료평가에 영향을 주는 오차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적용 가능한 측정조건을 규명하였다. 논의에서는 강제결합-스포츠모의중계수업에 적용된 동료평가에서 단변량과 다변량 일반화가능도이론 분석을 통한 오차요인들과 상대적인 영향력, 일정수준의 일반화가능도계수를 유지할 수 있는 측정조건과 전통적인 신뢰도 추정방법과의 비교가 논의되었다. 본연구는 체육교과에서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체육 수업 및 스포츠 상황에서 평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채점자 효과를 포함한 오차요인들을 규명하고,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하며 효율적인 측정조건을 밝히는 초기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follow up study of Lee and Kim(2015b)``s was to analyse error sources and estimation of reliability in peer review of forced connection method-sportscasting by applying generalizability theory. Generalizability theory quantify error sources of the data measured under certain specific situation set by the researchers. It is an analysis method that the relative influences of each error sources taking from score is determined(G-study), and the effective measurement condition future applicable is provided(D-study). Participants were 10th high school students(N=216).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peer review results and analyzed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Results showed that error source for video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than other error sources. But the result by analyzing the gender difference was that error source for the interaction of video and participants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than other error source in the case of girls. Peer review used in this study showed high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and even when reducing the number of video or participants it can maintain the adequate reliability. But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of boys was higher than girls and specific measurement conditions leading to enhanced reliability were different when analyzing by gender difference. Also, method of analysis which cannot reflect measurement conditions properly estimates the reliability excessive. Discussions were provided in term of the relative influences of each error sources, the effective measurement condition maintaining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of a certain level, and the comparison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with the way of estimation traditional reliability apply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taking from score in peer review of forced connection method-sportscasting.

      • KCI등재

        인지왜곡으로서 과잉 일반화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 방안

        노철우 ( Chul Woo Roh ),전요섭 ( Jo Seph Jeon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1

        본 연구는 인지왜곡으로서 과잉 일반화가 인간의 사고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어 인간의 삶속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인지적 오류 중 하나임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자는 연구의 필요성 및 문제에 대해 논하고, 과잉 일반화의 정의와 개념 및 과잉 일반화로 인해 현대인의 삷 속에 어떤 문제와 폐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며, 성경에 나타난 과잉 일반화 사례와 상담자의 성경 해석 과정에서의 과잉 일반화로 흔히 오류를 범할 수 있는 사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기독교상담 방안으로는 탐색, 논박, 성경적 사고전환, 그리고 인지적 재구성의 4단계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1단계에서는 탐색의 과정으로 과잉 일반화의 요인이 되는 비합리적 신념 및 인지왜곡의 핵심신념과 자동적 사고를 탐색하고, 2단계에서 탐색된 비합리적 핵심신념이나 자동적 사고를 실증적, 경험적 근거로 타당하게 도전할 수 있는 질문을 통해 논박하여 사고의 균형을 갖게 하고, 3단계에서는 균형된 사고에 말씀묵상과 기도를 통해 성경적 사고로 전환시켜 주며, 4단계에서 인지적 재구성을 통해 사고의 인지적 틀을 변화시켜 긍정적 사고를 활성화 시켜준다. 결론적으로 과잉 일반화가 인간의 정서 및 상담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떤 문제점을 발생시키는지 살펴보고, 이에 대한 기독교상담 방안을 제시하여 과잉 일반화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을 돕고자 한다. 또한 기독교상담자 및 목회자, 부모에게는 일상생활에서 과잉 일반화로 근거 없는 부정적 자기 대화가 얼마나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자각의 계기를 제공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This paper highlights that overgeneralization by cognitive distortion is one of the cognitive errors that can typically occur among people as it is deeply rooted in a person`s thoughts. The researcher discusses the needs and issues in this area of research, and investigates the definition and conception of overgeneralization in addition to the problems that occur because of overgeneralization in a contemporary context. Further, the researcher examines cases of overgeneralization in the Bible and errors due to overgeneralizations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Bible by a counsel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Christian counseling comprises a four-step process: exploration, disputing, shift to biblical thought, and cognitive reframing; this reflects a concrete Christian counseling model. Step 1 involves exploring irrational beliefs, the core belief of cognitive distortion, and automatic thoughts as factors of overgeneralization. In step 2, balanced thoughts are encouraged by disputing the explored irrational core beliefs or automatic thoughts with the help of empirical evidence obtained through a questioning approach. In step 3, a transition to biblical thinking is made through meditation on the Word and prayer in addition to the balanced thoughts. Step 4 involves a change in the cognitive framework of thought through cognitive reframing and the activation of positive thinking. To conclude,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s of overgeneralization on human emotions and the performance of counseling. Further, it discusses the problems that occur with regard to overgeneralization, and presents Christian counseling as a method of assistance for people suffering from overgeneralization. This paper also aims to increase awareness among Christian counselors, ministers, and parents regarding the problems that occur as a result of regular negative self-tal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