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기능적 신념과 발표상황의 불안반응간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조용래 한국임상심리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5 No.1

        A linear mediation model of social anxiety, in which dysfunctional beliefs predict social anxiety symptoms through full mediation of maladaptive automatic thoughts, was shown to fit both cross-sectional and short-term longitudinal data from general undergraduates.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linear mediation model and two alternative models to examine whether dysfunctional beliefs predict anxious responding to a public speaking task through full mediation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131 speech-anxious undergradua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inear mediation model fitted the data well, whereas the simple effect model didn't and the direct path from dysfunctional beliefs to speech-anxious responding was not significant in the full model. Furthermore, a revised linear mediation model by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baseline anxiety still demonstrat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theoretical application of the linear mediation model of social anxiety to speech-anxious undergraduates' anxious responding to a public speaking task.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판 발표불안 사고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조용래 한국임상심리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3 No.4

        This article describes three studies examining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a Korean version of the Speech Anxiety Thoughts Inventory (K-SATI) - an instrument recently developed to measure maladaptive cognitions associated with speech anxiety. In Study 1, factor analyses of the K-SATI revealed a two-factor solution -“prediction of poor performanc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y audience”, respectively. In Study 2, the two-factor structure was replicated.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ed high internal consistency, satisfactory test-retest reliability over both two- and eight-week periods, and goo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Study 3, the scale demonstrated its predictive value for anxious responding to a public speaking task.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SATI is a highly reliable, valid measure to assess negative cognitive features of speech anxiety. Lastly, the utilization of the K-SATI in the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of speech anxiety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 자비 대 주의분산 처치와 특질 자기 자비가 불쾌한 자기관련 사건에 대한 정서반응에 미치는 효과

        조용래,노상선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3

        The current study employed an experimental design,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versus distraction treatments on emotional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and the moderating role of trait self-compassion in these effects. 84 university students completi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Self-Compassion Scale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prior to experiment were asked to think and write about a negative event that they had experienced in school and that had made them feel badly about themselves. After writing about the ev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conditions: self-compassion treatment(n = 42) or distraction treatment(n = 42). Their emotions(sadness, anger, anxiety, and happines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recall, immediately after treatment, and at the end of the relaxation period.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elf-compassion treatment showed a greater decrease in anger mood and tended to show a greater increase in happiness mood immediately after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distraction treatment. These immediate effects tended to be generally maintained at the relaxation period. The superior effects of the self-compassion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distraction treatment on change in anxious mood at the relaxation period tended to be more prominent in the lower trait self-compassion group.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mpassion treatment may be a useful intervention for improving emotional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in non-clinical samples and that their trait self-compassion may emerge as a moderator of the relative efficacy of self-compassion treatment. 본 연구는 실험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불쾌한 자기관련 사건에 대한 정서반응을 변화시키는 데 있어 자기 자비 처치가 주의분산 처치와 비슷하게 혹은 그보다 더 효과적인지, 그리고 이러한 효과가 특질 자기 자비의 수준에 의해 중재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84명이 실험 전에 한국판 자기 자비 척도와 Beck 우울척도를 작성하였으며, 실험자의 지시에 의해 본인들이 학교를 다니는 동안 자기 자신에 대해 기분이 나빴던 부정적 사건을 회상하였다. 그 후 자기 자비 처치조건과 주의분산 처치조건에 각 42명씩 무선할당 되었으며, 각 처치조건별로 불쾌한 자기관련 사건에 대한 정서반응들(슬픔, 분노감, 불안감, 행복감)이 회상 전후, 처치 직후와 이완기 후에 각각 측정되었다. 부정적 사건 회상 직후보다 처치 직후에 측정된 여러 정서반응들 모두 유의하게 변화되었으며, 자기 자비조건은 주의분산조건에 비해 처치 직후에 분노감이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을 뿐 아니라 행복감은 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즉각적인 효과들은 이완기 후에도 대체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나아가, 참가자들의 특질 자기 자비수준이 낮을수록 자기 자비 처치가 주의분산 처치에 비해 이완기 후 불안감수준을 낮추는데 더 효과적인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자기 자비의 세 가지 요소에 초점을 맞춘 자기 자비 처치는 불쾌한 자기관련 사건에 대한 정서반응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그 일부 효과(이완기 후 불안감)는 특질 자기 자비 수준에 의해 중재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 KCI등재

        정서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의 효과

        조용래,남수아,서우정,김형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3 인지행동치료 Vol.23 No.1

        본 연구는 Barlow 등(2011)에 의해 개발된 정서장애에 대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UP)의 5가지 핵심모듈과 3가지 추가 모듈에 기반한 총 8회기의 심리학적 치료가 여러 종류의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로 진단된 국내참가자들에게 효과적인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DSM-5의 사회불안장애, 주요우울장애, 지속성우울장애, 범불안장애 및 기타 불안 관련 장애 중에서 적어도 1가지 이상 충족시킨 대학생들이며, UP 개인치료를 제공받은 참가자 18명과 대기통제조건에 속한 참가자 15명이 8주 간격의 사전 및 사후 평가와 3개월 추후 평가를 모두 완성하였다. UP조건에서 사회불안증상, 범불안증상, 우울증상, 임상적 불안증상, 부적 정서 및 주 진단의 임상적 심각도 평정 등의 측정치들이 사전과 사후 간에, 사전과 추후 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조건에서공황장애 심각도와 일상적 기능의 손상 수준은 사전에 비해 추후에 큰 수준 및 중간에서 큰 수준 사이의 효과크기를 각각 보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대기통제조건은 대부분의 측정치들에서 그러한 변화를 거의 보이지 않거나 작은 변화를 보였다. 임상적 유의성 검증 결과, UP조건은 대기통제조건에 비해 주 진단의 기준을 더 이상 충족시키지 않은 참가자의 비율, 치료 반응자 비율, 그리고 높은 최종 상태 기능자 비율 등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총 8회기의 UP가 여러 종류의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로 진단된 국내 대학생 내담자들에게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국내에서 정서장애에 대한 범진단적 치료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지지한다.

      • KCI등재

        국가 출연연구소의 협업적 융합연구 성과 분석

        조용래,우청원,최종화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Technological convergence’ is the recent innovation trend which facilitates to solve social crux as well as to generate new industries. Kore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GRIs) have taken a pivotal role for economic growth which capitalized on technology-oriented strategies. Recently, the policy interests on the transition of their role and mission towards multidisciplinary research organization is increasingly shed lights. This study regards the collaborative activities as one of the key success factors in the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this sense, this study sets research purposes as follows: First, we intend to define a concept and to confine a scope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from the view point of R&D purposes and problem-solving process. Second, we categorize the collaboration and the relevant performances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disciplinary research. Third,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 effects of strength on the research performanc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4 research project directors, which have experienced at least one of two types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through National R&D project or NST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 convergence research project. Then, we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by utilizing the survey results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 performances. As results of analyses, first, the diversification of collaboration partners was a salient factor in the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Second, collective works among the researchers in similar area and domain enhanced mission-oriente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patent creation or technology transfer. Third, we verified that the diversity of created knowledge and the degree of relation continuity between researchers increased in the condition of guaranteeing individual researcher's independence and autonomy as well as sharing various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ese results provide the future policy directions related to the methods to measure the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multidisciplinary research. ‘기술융합’은 기존기술 간 결합 또는 전혀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한 신산업 창출과 사회적 난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의 최근 트렌드이다. 과학기술을 통한 한국 경제성장 전략의 첨병이었던 국가 출연연구소(이하 출연(연))에 대해서도 융합연구 조직으로의 역할 변화를 둘러싼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출연(연) 융합연구의 성공 핵심요소를 ‘협업’으로 보고 다음의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술개발 목적과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서 융합연구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고, 그 특성을 반영하는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둘째, 융합연구에서의 협업활동과 그 성과를 유형화하고 새로운 분석지표를 제안한다. 셋째, 융합연구에서의 협업활동 특성과 그 정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NST 융합연구사업을 통한 융합연구 과제 수행 경험이 있는 각 출연(연) 104명의 연구책임자들에게 협업의 방식 및 정성적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협업활동 특성과 성과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 창출활동에서는 협업 파트너 다변화가 중요한 변수였다. 둘째, 유사분야 연구자들 간 집체형 협업활동은 특허・기술이전과 같이 목적이 명확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들에게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고, 지식・노하우 등 기술역량의 상호공유가 이루어질수록 창출지식의 다양성 및 관계의 지속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융합연구를 위한 협업과 성과 분석방법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역기능적 신념의 변화가 인지행동치료 후의 사회불안증상의 개선을 예측하는가?

        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 Vol.20 No.2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changes in dysfunctional beliefs dur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on both short- and long-term reductions in social anxiety symptoms as a preliminary stage of shedding light on the mechanism of change in CB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In addition,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three dimensions of dysfunctional beliefs were explored. Forty-six college students diagnosed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were provided with 10 weekly sessions of group CBT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to assess social anxiety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 anxiety) symptoms and dysfunctional beliefs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3-month follow-up.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from pretreatment to posttreatment in social anxiety symptoms, as well as dysfunctional beliefs. All of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until three months after treatment completion. Change in dysfunctional belief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cial anxiety symptoms at posttreatment, an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prediction of social anxiety symptoms at 3-month follow-up, even when controlling for pretreatment social anxiety symptoms. In particular,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dysfunctional beliefs, only change in excessive demand for others’ approval emerged as a significant unique correlate with short-term effects, and only change in negative social self-concepts emerged as a significant unique predictor of long-term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ysfunctional beliefs are an important contributor to both short- and long-term reductions in social anxiety symptoms following CBT.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변화기제를 규명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인지행동치료 동안의 역기능적 신념의 변화가 사회불안증상의 단기 및 장기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아울러, 역기능적 신념의 세 가지 차원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탐색하였다.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받은 대학생 46명이 총 10회기의 집단인지행동치료를 제공받았으며, 치료 전과 후, 그리고 종결 3개월 후에 사회불안증상들(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사회적 수행불안)과 역기능적 신념을 각각 측정하는 검사들을 작성하였다. 분석 결과, 치료 전에 비해 치료 종결 후에 참가자들의 사회불안증상 및 역기능적 신념들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들은 모두 치료 종결 3개월 후까지 유지되었다. 다음으로, 치료 전후의 역기능적 신념의 변화가 치료 전의 사회불안증상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치료 후의 사회불안증상과 유의미하게 관련되었으며, 치료 종결 3개월 후의 사회불안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미하게 기여하였다. 특히, 세 가지 역기능적 신념 차원들 중에서 치료 후에는 유일하게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 신념의 변화가, 그리고 치료 종결 3개월 후에는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기여하였다. 이 결과들은 역기능적 신념이 인지행동치료 후의 사회불안증상의 단기적 및 장기적인 완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