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맹자 수양론과 장자 양생론에서 본 인격 함양의 접점

        정영희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4

        맹자는 성 ․ 심 ․ 기를 통한 수양론을 제시하고 있고, 장자는 정 ․ 기 ․ 신을 통한 양생론을 제시한다.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기’에 있으며 ‘양기(養氣)’를 통한 인격 함양을 제시하고 있다. 맹자는 양호연지기(養浩然之氣), 존야기(存夜氣), 존평단지기(存平旦之氣)를 의(義)와 결합시키고 있다. 이들을 잘 기르고 보존하면 기가 천지간에 가득하게 되고 부동심을 확장 확충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기는 마음의 뜻(志)을 통해 움직일 수 있고, 기가 마음에 가득 차게 되면 마음의 뜻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존재가 된다. 인간의 내부와 외부의 교류와 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인격 수준을 높일 수 있게 된다고 보고 있다. 한편, 장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는 그 자체로 만물을 생성시키지는 않는다. 그 도에서 나온 하나의 기가 만물을 이룬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만물은 기를 통해 생성되고 인간 역시 이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인간은 양기(養氣)를 통해 양생을 이룩할 수 있으며 그 핵심은 ‘비움’이다. 심재와 좌망은 비움을 통해 기가 들어오고 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방편들이다. 기는 내부적 외부적 소통과 교류의 매개이자 핵심이 되며, 성인, 진인, 지인이 될 수 있는 방법적 수단이기도 하다. 기는 맹자와 장자에서 공통적으로 내부와 외부의 상호 소통과 교류를 할 수 있게 하며 그것을 통해 서로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상적 인격 함양의 기제가 된다. 맹자와 장자의 비교를 통한 수양론과 양생론은 제한된 지면에서 한꺼번에 논의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향후 인격 함양 기제와 인격교육적 의의 등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point of intersection between Mengzi's Self-Cultivation and Zhuangzi's Nurturing-Life. Mengzi presents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through Human Nature (性), Mind (心), Qi (氣), and Zhuangzi emphasizes the theory of nurturing-life through Vital Force (精), Qi (氣), Sprit (神). What they have in common is Qi, to put it further, it can be said nurturing-qi. Mengzi says if you combine the virtues of Developing Great Spirit (養浩然之氣), Preserving the Night Air (存夜氣), Preserving the Daybreak Air (存平旦之氣) with moral Righteousness (義) and nurture them well, Qi will be filled with heaven and earth and expand the imperturbable mind (不動心). In Mengzi, the Qi can move through the will of the mind, when Qi fills the mind, it becomes a being that can move the will of the mind. This can be a factor that can promote internal and external exchanges and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through this, the level of personality can be raise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Zhuangzi is the Tao itself, not to create all things, he proposes the theory of Qi, which assumes that the one Qi from the Tao creates all things. Therefore, humans can obtain nurturing-life through nurturing-qi, and the key is emptying. He believed that qi could come in and out by emptying and approach the Tao. Qi is the medium and core ele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s and exchange, and it is also a methodical means to become the sage or the true person. It can be seen that Qi is the point of character-cultivation in Mengzi and Zhuangzi.

      • KCI등재후보

        노자 『도덕경』에 나타난 성인(聖人)의 인격교화론

        이유정,신창호 한국인격교육학회 2012 인격교육 Vol.6 No.1

        This research explores issues of personality edification of the saint appearing in Tao Te Ching of Lao Tzu. In Tao Te Ching, the saint is himself realizing that the movement of the world is depending on constancy of Tao, and having flexibility without sticking a certain special state. In addition, he achieves mental stage similar to attribution of Tao, sustains activity of life, removes the value of human work, and takes a role of a leader with pure personality who makes people return to the state of simplicity. Moreover, he indicates the movement rule of Tao, and then suggests the direction of Tao. Furthermore, he shows an example and an aim for value of himself and makes people go back to nature through practice of the perfection without effort. It is a manner not positively managing human personality but the natural manner or a mode leading through passive manner. In this point, the saint appearing in Tao Te Ching of Lao Tzu is a person who naturally have reached cultivation for personality and the stage of practicing the perfection without effort. Accordingly, it shows a standard of Taoistic education which directly applies a manner that have become the saint himself, even in making edification of personality for others. 본 연구는 노자의 『도덕경』에 나타나는 성인(聖人)의 인격교화의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도덕경』에서 성인은 세계의 운행이 도(道)의 항상성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존재이고, 특정한 상태에 고착되지 않고 유연성을 지닌 사람이다. 성인은 수양(修養)을 통해 도의 속성과 유사한 정신적 경지에 도달하여 생명 활동을 지속하며, 인위적 가치를 소거하고 사람들을 순박한 상태로 돌아오게 하는 순수 인격에로의 인도자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도의 운행 법칙을 제시하여 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나아가 스스로의 가치지향을 직접 드러내어 모범을 보이고 무위(無爲)의 실천을 통해 사람들을 자연스러움으로 돌아가게 한다. 그것은 인간의 인격을 적극적으로 조작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또는 소극적으로 행위를 인도하는 양식이다. 이런 점에서 노자 『도덕경』에 드러나는 성인은 인격 수양은 물론 무위를 실천하는 경지에 자연스럽게 도달한 인물이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인격을 교화하는 작업에서도 자신이 성인으로 자리매김 되는 방식을 적용하는 도가적 교육의 전범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 근대불교잡지에 나타난 사회인식의 근대적 전환 - 수양론(修養論)을 중심으로 -

        이기운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4 No.-

        근대불교잡지는 근대불교의 대중들의 동향을 알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자료이다. 근대불교가 추구한 가장 중요한 목표가 불교의 대중화였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실현하는 수단이 이른바 불교잡지의 간행이었다. 게다가 근대불교운동의 중요한 주장과 행사들이 대부분 불교잡지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근대불교에서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던 사회개혁운동들은 대부분 불교잡지를 통해서 발표되어 대중들에게 알려졌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불교잡지는 대중의 교화와 불교계 여론을 형성하는 데에도 적지않은 역할을 하였다. 근대기 우리나라 불교잡지들의 경우, 초기에는 불교교단의 기관지 성격이 대부분을 차지 하였다. 그래서 교단에서는 대중교화 뿐만 아니라 교계의 소식을 알리고 지지와 협조를 이끌어내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가운데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고 이 때를 전후로 불교계의 혁신과 개혁운동을 지향하는 대중운동이 활성화 되면서 불교교화를 위한 대중의 수양론이 등장하였다. 이 시기 지식인들은 불교정신으로 대중을 교화하고 사회를 개혁해 가기위해서 개인과 사회 대중들의 수양이 매우 중요한 관건이 된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이 당시 수양론은 조선불교월보 , 유심 , 취산보림 , 불교 , 조음 , 홍법우 _등에 실려 있으며, 권상로 박한영 한용운 이능화 등의 수양론이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들의 수양론은 불교가 본래 추구하는 인간의 완성을 위한 “自覺 ․ 見性”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인간은 평등한 불성을 가지고 있고 일체의 문물과 문명은 오직 마음의 자각에 달려있으므로, 정신적 수양이 개인의 인격개조와 신문명 사회를 건설하는데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수양론은 당시 사회개혁론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던 불교계의 사회진화론이 그 토대가 되었으며, 수양론의 대상으로는 미래 사회의 주인이 될 청년들이 주로 거론되었다. Modern Buddhist journals are one of the most authentic media that demonstrate the trends of modern Buddhism. The most critical objective of modern Buddhism has been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and publication of the Buddhist journals was a means to realize the purpose positively. Moreover, most important assertions and events of modern Buddhist movements have been issued through the Buddhist journals. Especially, social reform movements tha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ciety were introduced to people through the Buddhist journals. In this regard, modern Buddhist journals had a considerable role in educating people and forming public opinion of Buddhist circles. Most early Korean modern Buddhist journals functioned as organs of the Buddhist order. So, the Buddhist order was focused on educating people as well as informing people about events in Buddhist circles and drawing collaboration and support from people. Amid such efforts,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ccurred in 1919. Popular movements that pursued reforming Buddhist circles were promoted around that time, and the self-development theory to instruct people about Buddhism was introduced. Intellectuals in this period recognized self-development as a significant issue to reform individuals and society through the Buddhist spirit. The self-development theory was published in several Buddhist journals such as the Joseon Buddhist Monthly, the Yousim, the Chisanborim, the Buddhism, the Takma and the Hongbubwoo. The self-development theories of Kwon Sang-ro, Park Han-young, Han Yong-woon and Baek Yong-sung had a great impact on society at that time. The self-development theory was based on a theory of social evolution in Buddhist circles that was the theoretical groundwork of a theory of social reform. The younger generation who would lead society in the future was mainly mentioned as an object of the self-development theory.

      • KCI등재

        『명심보감(明心寶鑑)』의 교육적(敎育的) 가치(價値)

        김유리 ( Yu Ri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7 No.-

        이 글은 오백 년이 넘는 시간 동안 널리 읽혀왔으나 정작 현대에 들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明心寶鑑』의 敎育的 價値를 살펴본 것이다. 그간 교육현장의 심각한 문제들은 ``敎育改革``이란 이름으로 꾸준히 해법을 찾아왔으나 뜻하지 않은 결과에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결국 우리에게 제대로 맞는 옷을 찾지 못했다. 지난 한 세기 급속한 근대화를 거치며 물질적?경제적 풍요는 이루었으나 우리의 傳統的 精神文化의 가치는 간과된 면이 없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선인들의 삶에 대한 지혜와 방법을 이어받아 마음과 몸이 조화롭게 성장하는 교육을 해야 할 때다. 원래 東洋의 교육전통에서 말하는 人性敎育은 마음과 몸이 통합된 人格敎育을 말하는 것이다. 지식과 실천 즉 마음과 몸이 조화를 이룬 사람다운 사람을 향한다. 이것이 진정한 우리의 人格敎育이다. 『明心寶鑑』은 바로 이러한 현대의 人格敎育에 의미 있는 메시지를 줄 수 있다. 『明心寶鑑』은 오랫동안 儒學敎育의 初學敎材로 사용되며 다양한 格言과 金言을 통해 인간의 品位인 人格을 유지?성장 시키고 眼目을 키우게 했다. 이것은 서구의 근대성을 정답으로 여기고 교육의 기능적이며 도구적인 측면만을 강조하여 人格敎育 본래의 주어진 성격을 왜곡해버렸던 지난 시간을 回復하게 할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educational value of ``MyungSimBoGam(明心寶鑑)`` which has been widely read over the past five hundred years but it has less influence in the present. Although continuous efforts had been put in seeking for the solutions on the serious problems in the education field as the name of ``educational reform``, they were not as effective as expected. It is the time to learn from our ancestors`` wisdom on life in order to focus on the education which emphasizes the balance between mental and physical growth. Education of humanism in the traditional education in the East referred to the Saramdaum Education(人格敎育) where mental and physical aspects were combined. We believe that ``MyungSimBoGam`` can provide a meaningful message on the Saramdaum Education(人格敎育) in the present time. It had been used as an elementary textbook in Confucianism for many years that it helped students maintain human decency and develop insight. It will restore the Saramdaum Education(人格敎育) which has been distorted in the past by emphasizing on the functional and instrumental aspects of education in westernized modernity.

      • KCI등재

        서예의 인성교육적 가치에 대한 고찰

        한승훈(Han Seung H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2

        본 연구는 우리의 서예교육이 지난 한 세기 동안 근대적 교육제도 속에서 주로 ‘조형미’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교육되어왔다는 반성에서부터 출발한다. 서예는 ’실용’,‘ 예술’ ,‘인격수양’의 을 포괄하는 독특한 특정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근대적 미술개념인 ’조형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교육이 이루어지다보니‘ 서예에 내재해 있는 ’인격미’ 가 간과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또한 현재 우리 사회와 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이 미흡한 실정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수양론을 대표하는 서여기인론(書如其人論)’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서예가 지니는 인성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일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서여기인’ 은 서예작품의 창작과 감상에 있어 창작주체의 인품을 함께 논하는 인식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즉 ‘조형미’와 함께 ‘인격미’를 강조한다. 또한 이러한 서예의 가치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서예학습 자체에 내재해 있는 정의적 요소를 살펴본다면, 중화미(中和美)의 체득을 통한 감정의 절제, 몰입을 통한 자기정화의 효과, 서제(書題)의 교훈을 통한 자아성찰 건전한 여가문화의 활용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of our calligraphy education will begin with the reflection of our experiences with 'formative beauty' which is the center of our modern educational system for the past century. The structure of calligraphy is essentially established upon 'practical use', 'Art', and 'Personality Cultivation'. Despite having applied 'formativeness', a concept of modern art, into our education system, 'Personality Beauty', which is an inherent part of calligraphy has been allowed to be overlooked. In addition, by considering the insufficient consideration given upon the education of character in our society and educational system. and examining Seo-Yeo-Gi-In theory, which is a cultivation theory representing the basis of our awareness of these issues, it will be meaningful to refocus the values of education of character. which is through calligraphy. 'Seo-Yeo-Gi-In', this mean is consideried creator's personality when someone appreciate his or her work. Through 'Formative beauty', 'Character Beauty' will be emphasized, Also, by examining for affective elements in the learning of calligraphy itself. based upon calligraphy's values, we will be able to find the applications of emotional discipline through 'Harmony of beauty', self-purification through being immersed, self-reflection through calligraphy's titles. and healthy recreational cultures.

      • KCI등재

        동서양 고대 신화와 철학의 ‘天' 개념의 기원과 특징

        장영란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6

        In the West, the concept of Heaven(天) and the concept of God(神) differentiated relatively quickly and were used independently. But in East Asia, the concept of Heaven(天) was initially used closely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God(上帝), and in the later generations God is also interpreted as replaceable. So we can see how the concept of Heaven(天) wa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God. First of all, with regard to the phenomena and laws of 'Heaven', humans repeatedly look at the sky and form concepts such as the laws of the universe and the order of nature. The sky gods of the ancient Greek religion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Heaven”, “Personal Heaven”, “Ruling Heaven”, and “Ethical Heaven”, respectively, and the function of the “Fate”(運命) Heaven is independent. In East Asia, the sky is a natural obj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Heaven first appear, followed by the ‘Natural Heaven’ that explains the operation and order of the celestial body, but overlaps with the ‘Ruling Heaven’. Next, with regard to the origin and essence of the “Heaven,” Heaven is a concrete and physical object, and a transcendental and metaphysical object. In East Asia “Heaven” also have personality and subjectivity. However, compared with ancient Greek religion and Jewish-Christianism,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 of personality is very weak. Finally, in relation to the function and role of ‘Heaven’, the Heavenly God is the God who governs the natural ‘order’ and ‘law’ of the universe, and functions as the rulers of ‘law’ and ‘moral.’ In ancient Greek religion, the Heavenly god as an ethical subject seems to be weakened, but to be strengthened by Plato. In East Asia, it appears as a moral subject in relation to the unity of virtue-moral good(德福一致) in the Eun and the Zhou Dynasty, but seems to be weakened in the later generations. As a moral entity, the concept of "Heaven" has weakened, recognizing the phenomenon that virtue-moral good do not coincide in the East and West. However, both East and West have developed the training of the soul and self-cultivation(修養) for a good life. 서양에서는 천(天)의 개념과 신(神) 개념이 비교적 빨리 분화가 되어 독립되어 사용되었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초기에 천 개념이 신(上帝)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후대에도 천과 신은 교체 가능한 개념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래서 천 개념이 어떻게 신 개념과 연관되어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우선 ‘천’의 현상과 법칙과 관련하여 인간은 현상적으로 하늘을 반복적으로 바라보면서 우주의 법과 자연의 질서 등의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고대 그리스 종교의 하늘 신들은 각기 ‘자연천’을 비롯해 ‘인격천’ ‘주재천’, ‘도덕천’의 특징을 드러내며 ‘운명천’의 기능은 독립적이다. 동아시아에서도 하늘은 자연적 대상으로서 물질천의 특징이 먼저 등장하고 천체의 운행과 질서를 설명하는 ‘자연천’이 등장하지만 ‘주재천’의 특징과 중첩되어 나타난다. 다음으로 ‘천’의 근원과 본질과 관련하여 하늘은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대상이면서 초월적이고 형이상학적 대상이기도 하다. 하늘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하여 하늘에 대한 인격화 및 신격화를 통해 형성하여 하늘 신 개념이 형성된다. 동아시아의 ‘천’도 인격성과 주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서구의 그리스 종교와 유대-그리스도교와 비교하여 인격천으로서의 특징이 매우 약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천’의 기능과 역할과 관련하여 하늘 신은 우주의 자연 ‘질서’와 ‘법칙’을 관장하는 신으로서 ‘법’과 ‘도덕’의 지배자의 기능을 한다. 고대 그리스종교에서 하늘 신은 윤리적 주체로서 성격이 약화되어 보이지만 그리스 철학에서 특히 플라톤에 의해 강화된다. 동아시아의 중국 도덕천의 개념에서 은과 주 왕조에는 덕복일치와 길흉화복과 관련된 도덕적 주체로서 등장하지만 후대에는 약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도덕적 주체로서 ‘천’ 개념이 약화된 것은 동서양에 공통적으로 덕복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현상을 인식하면서이다. 그렇지만 동서양 모두 좋은 삶을 위한 영혼의 훈련과 수양의 개념이 발달되어 있다.

      • KCI등재

        『명심보감明心寶鑑』의 현대 교육적 메시지

        김유리(Kim, Yu-ri)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3

        이 글은 『명심보감』의 현대 교육적 메시지를 통해 그것이 인성교육에 주는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최근 학교 현장에선 이성 중심의 근대교육 영향으로 지식과 실천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효율 강조교육으로 인해 진정한 인격교육인 사람됨이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것이다. 그래서 현대 인성교육의 설계에 『명심보감』을 제시한다. 『명심보감』은 과거의 텍스트지만 오랫동안 유학교육의 교재로 사용되며 인간의 품위인 인격을 유지?성장시키고 안목을 키우게 했다. 시공간을 거슬러 오늘날 교육에서도 사람다운 사람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명심보감』의 이러한 메시지는 인성교육에 있어 여전히 유효한 보편적 진리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meaning ‘Myung Sim Bo Gam’ conveys to the modern character education through its message of modern education. knowledge and practice have not been in balance in the recent education places because of an influence of the modern education emphasizing on rationality. Since the education stresses on efficiency too much, the true Saram-doem has been placed. Therefore, we would like to propose ‘Myung Sim Bo Gam’ in design of the modern character education. Although ‘Myung Sim Bo Gam’ was a text in the past, it has been used as the textbook in Confucianism Education for many years to help human decency being maintained and grown, and an insight being developed. Throughout space and time the message ‘Myung Sim Bo Gam’ carries will be the universal truth still effective in the present education as being a decent human is emphasiz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丁酉倫理会와 새로운 국민도덕의 육성

        박승주 일본어문학회 2014 일본어문학 Vol.66 No.-

        本稿は、日清戦争を前後にした日本近代社会に於ける「国民道徳論」の動きを「丁酉倫理会」の創立過程とその設立趣旨を中心に考察したものである。その考察の結果、「丁酉倫理会」という団体は東京帝国大学哲学科出身を中心とした若手哲学者や思想家たちが新しい時代にふさわしい「国民道徳」を育成していくために、個人主義的な「人格修養」運動に力をいれたことや、日本主義のような国家至上主義に対抗する目的で設立されたことがわかった。しかし、丁酉倫理会はその会が成長していくにつれて、のちには高山樗牛や井上哲次郎のような代表的な「日本主義」イデオログまでも加わっていたことや、このような人物たちの参加が意味するのは日本主義に対抗しようとした彼等の初期の設立趣旨が日露戦争を前後にして次第に変質していたことではないかと判断された。

      • KCI등재

        丁酉倫理会와 새로운 국민도덕의 육성

        박승주 일본어문학회 2014 일본어문학 Vol.66 No.-

        本稿は、日清戦争を前後にした日本近代社会に於ける「国民道徳論」の動きを「丁酉倫理会」の創立過程とその設立趣旨を中心に考察したものである。その考察の結果、「丁酉倫理会」という団体は東京帝国大学哲学科出身を中心とした若手哲学者や思想家たちが新しい時代にふさわしい「国民道徳」を育成していくために、個人主義的な「人格修養」運動に力をいれたことや、日本主義のような国家至上主義に対抗する目的で設立されたことがわかった。しかし、丁酉倫理会はその会が成長していくにつれて、のちには高山樗牛や井上哲次郎のような代表的な「日本主義」イデオログまでも加わっていたことや、このような人物たちの参加が意味するのは日本主義に対抗しようとした彼等の初期の設立趣旨が日露戦争を前後にして次第に変質していたことではないかと判断され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