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러닝 시스템품질과 협동학습이 이러닝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종기 한국전산회계학회 2016 電算會計硏究 Vol.14 No.2

        이러닝 기반 협동학습의 학습자간 상호작용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지금까지 진행된 이러닝 협동학습 관련연구는,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수업설계, 학습모형 등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SNS 학습환경, 모바일 이러닝 시스템에서의 협동학습 연구가 약하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는 SNS의 일반화로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협동학습 연구 필요성 증대에 따라, PC 및 모바일의 학습경험과, 팀 프로젝트를 통한 협동학습 경험을 통한 이러닝 만족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변수는 시스템품질, 협동학습, 이러닝 만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이러닝 학습자들의 협동학습 참여정도 및 팀 프로젝트의 팀 응집도가 이러닝 만족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닝 시스템 품질이 이러닝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명 되었다. 한편 시스템품질은 협동학습에 부의 영향을 미침으로서, 협동학습을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학습설계가 요구된다고 판단한다. 결과적으로 이러닝에서 시스템품질과 협동학습이 강조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모바일 학습 환경을 포함한 시스템 품질과 이러닝 협동학습 증진을 위해, 교수자가 보다 정교한 교수설계와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강조한다.

      • KCI등재후보

        장애학생의 학습을 위한 화상과 이러닝 시스템의 융합 개발

        손엽명,정병수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4

        현재 정상적인 학생의 교육 규칙으로만 되어있는 학교체제에 대한 장애 학생에 대한 교육적인 환경의 대안을 제시한다. 신체장애가 있는 학생들을 위한 연구로, 특히 손사용이 어려운 신체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장애자학습 화상 e-러닝 시스템의 개발 목적은 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닝 시스템의 구성은 웹 기반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 화상회의시스템과 음성을 글자로 바꾸어주는 시스템을 이용해 청각장애 학생이 채팅 시스템을 통해서 1:1통신함으로써 교사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장애자학습 이러닝 시스템은 교사와 장애학생 사이의 1:1양방향 통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육이 진행된다. Currently, we are presenting an altern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normal student of education rules failure of the only that has been the school system student. The stud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designed especially to be able to use difficult disabilities the use of hand. Development objectives of the learning video e- learning system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that to be able to capable of self-directed learning of disabled students. Configuration of e-running system, Web-based multimedia system, utilizing the system that will change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voice to a character hearing impaired students through the chat system is 1:1 by communication, and teachers it is possible to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A learning disability e- learning system developed in this paper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1:1 training is conducted using a two-way communication algorithms.

      • KCI등재

        정보시스템성공모델(ISSM)에 기초한 이러닝 품질, 학습자 만족, 전자구전행동 연구: 직장인과 비직장인 학습자 비교

        이미숙,최재훈,석재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2

        [Purpose] As on-going demand of e-learning service has been increasing day by day, this study aims to analyze e-learning service literatures based on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ISSM), and test the difference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learners in terms of the learners satisfaction.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prior literatures were enough reviewed and a nation wide questionnaire-base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researchers in two university research institutions aimed at e-learning learner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assessed and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Findings] The result shows that the mean of three e-learning quality variables is ranked in the order of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quality and the mean of the system quality in working group is greater than that in non-working group. In the result of SEM analysis for full sample, it was found that the order of system, service, and information quality have significantly influence on learner satisfaction. In the path comparison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the influence of system quality on learner satisfaction. [Implications] This study implies that e-learning businesses should take more care of service management besides system and information quality and develop more advanced education contents for working learners. [연구목적] 이러닝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성공모델에 기초한 국내․외 이러닝 연구들을 정리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연구변수들의 관계에서 직장인과 비직장인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러닝과 관련하여 기존에 수행되었던 연구들을 충분히 검토하여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에 기초한 조사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설문조사를 위해 두 곳의 대학기관 연구소에서 전국단위의 이러닝 학습자를 대상으로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 후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이러닝 품질 변수에 대한 평균이 정보 품질(Information Quality), 시스템 품질(System Quality), 서비스 품질(Service Quality) 순으로 나타났으며, 변수에 대한 평균비교 분석에서, 직장인 집단에서의 시스템 품질 평균이 비직장인 집단에서의 평균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전체 표본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에서, 시스템 품질, 서비스 품질, 정보 품질의 순으로 학습자 만족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과 비직장인집단 간 경로값 차이분석에서, 시스템 품질과 학습자 만족 간 관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연구의 시사점] 이러한 분석 결과는 이러닝 서비스 제공자가 시스템 품질 및 정보 품질뿐만 아니라 학습자 지원 및 서비스운영관리에도 좀 더 신경을 써야 되고, 직장인들을 위한 좀 더 고급스러운 교육 내용 개발에 매진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Q방법을 활용한 구글클래스룸 학습자의 인식 유형화와 정보시스템 요인에 관한 연구

        이종기,이병원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21 로고스경영연구 Vol.19 No.4

        In this study, under the coronavirus pandemic, students' perceptions of elearning operations regarding the experience of using the Google Classroom system operated as part of elearning were identified. For the analysis,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for 29 private university students in the 4th industry and future desig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efined as three types. In <Type I>, the factor of 'easy to use' showed a high score, so it was named easy of use. In <Type II>, factors such as I trust in the operation of the lecture room showed a high score, so it was named Quality of Service. <Type Ⅲ> was named useful system because it emphasized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s in places, PCs, and mobile environments. Based on thi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Google Classroom elearning system differs depending on the respond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ypifying the use of the Google Classroom system, the existing researches,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hypothesis, were confirmed. In other words, the type of perception experience of learners of the Google Classroom system in this study is the perceived easy of use proposed i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Davis (1986) as <Type I>, and perceived usefulness is generally consistent with <Type III>. In addition, by confirming that the information quality proposed in the revised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of DeLone and McLean (2003) is generally consistent with <Type II>, the Google Classroom elearning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regarded as a high quality e-learning system that reflects the main variables of the revised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This study aims to reinforce learner centered elearning education by confirming the usefulness of the Google Classroom elearning system, one of many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nd to contribute to finding practical and effective educational outcomes.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상황에서, 이러닝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구글클래스룸 시스템 사용 경험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러닝 운영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사립대학교 학생 29명의 4차산업과미래설계 등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유형으로 정의하였다. <유형 Ⅰ>은 ‘사용하기가 쉽다’는 요인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어 ‘사용 용이성’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Ⅱ>는 ‘강의실 운영을 신뢰한다’ 등의 요인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어, ‘서비스 품질’로 명명하였다. <유형 Ⅲ>은 ‘장소 및 PC와 모바일 환경에 제약 없이 활용할 수 있다’ 등이 강조되고 있어 ‘유용한 시스템’으로 명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글클래스룸 이러닝 시스템 운영 인식은 응답자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구글클래스룸 시스템 사용 인식 유형화 결과로서, 기존 연구인 기술수용모형과 정보시스템성공모형 가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연구에서의 구글클래스룸 시스템 학습자 인식 경험의 유형이, Davis(1986)의 기술수용모형에서 제안된, 지각된 사용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은 <유형 Ⅰ>로,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은 <유형 Ⅲ>에 대체적으로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DeLone과 McLean(2003)의 수정된 정보시스템성공모형에서 제안된, 정보품질(information quality)은 <유형 Ⅱ>와 대체적으로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구글클래스룸 이러닝 시스템이 기술수용모형과, 수정된 정보시스템성공모형의 주요 변수를 반영한, 양질의 이러닝시스템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많은 학습관리시스템 가운데 하나인 구글클래스룸 이러닝 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이러닝 교육을 강화하며, 실재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성과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이러닝 종사자의 직무별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발 연구

        최미나 ( Mi Na Choi ),장은정 ( Eun Jung J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이러닝 전문 인력의 수요 급증과 교육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이러닝 종사자 전체 직무에 따른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역량기반 교육체계를 개발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이러닝 기업의 임원진과 종사자를 대상으로 FGI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러닝 컨설턴트, 이러닝 교수설계자, 이러닝 콘텐츠 개발자, 이러닝 시스템 개발자, 이러닝 서비스 운영자의 정의 및 직무를 분석하고 직무별 역량을 도출하였다. FGI는 15명, 설문조사는 174명이 참여하였고, 각 직무에 대한 역량모델을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역량기반 교육체계를 개발하였다. 역량기반 교육체계는 역량의 유형에 따라 기본역량, 이러닝 소양역량, 일반역량, 핵심역량으로 구분하고, 숙련도에 따라 신입과 경력으로 구분하여 전체 교육체계도와 5개 직무에 대한 교육체계도를 제시 하였다. 이러닝에 대한 개념, 교수학습설계,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창의적 사고력 등 이러닝 종사자가 갖추어야할 기본공통 교과 4개가 도출되었고, 이러닝 최신기술 및 동향, 세계진출 전략 등에 대한 이해, SCORM, 품질인증, 고용보험 환급규정, 표준화 등에 대한 지식, 프로젝트 관리, 프레젠테이션, 커뮤니케이션 등에 대한 기술 등 15개의 이러닝 소양역량 관련 교과가 도출되었다. 각 직무별로는 이러닝 컨설턴트, 이러닝 교수설계자, 이러닝 콘텐츠 개발자가 각 10개 교과, 이러닝 시스템 개발자 11개교과, 이러닝 서비스 운영자 7개 교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닝 종사자 전체를 위해 체계적인 교육체계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마련하고, 국내 이러닝 산업 현장을 반영한 역량 중심의 교육체계를 개발하여 이러닝 전문 인력 양성의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sugges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e-learning. We analyzed job competency of e-learning workers to meet demand and educational need of e-learning professional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FGI and questionnaires targeting executives and workers in e-learning related companies, analyzed definition and job of e-learning consultant,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e-learning contents developer, e-learning system engineer, and e-learning service manager, and derived competency according to jobs. Also, we develop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deriving competency model according to each group of job. We divid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to basic competency, e-learning literacy, general competency, core competency according to types of competency and into the novice and the master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 and then, suggested a holistic curriculum of 5 groups of job.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drew a systematic curriculum in the holistic viewpoint of entire workers in e-learning, developed a curriculum focusing on a competency that reflected a domestic field of e-learning industries, and suggested a practical way of fostering e-learning professionals.

      • KCI등재후보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오동규 대한공업교육학회 201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7 No.1

        This study was to analysis perception about Teaching & Learning Support System of the school of Rural Areas in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research through Web Survey method and examined their recognitio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Student was satisfied with TLSS of the school of Rural Areas in Korea. Students would like to ‘using e-learning with Electronic board and Tablet PC’ among program contents. But the system’ utilization was low. However, 90% of the students wanted that teacher usually using the FASTEL. Second, Teacher satisfaction was lower compared to the students is relatively. Teachers prefer ‘various after school program’ to ‘using e-learning with Electronic board and Tablet PC’. However, learning effective of using FASTEL system was a 73.8% of teachers are effective is aware and had. Third, 35% Students recognized that are using the pastel system, frequently,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are 60% and to recognize that there was. The reason doesn't the system to good use is slow wireless. Still, e-learning classroom infrastructure for satisfaction was high. Fourth, Teachers recognized students and the pastel system interaction than other e-learning system high. FASTEL System used in the most uncomfortable things on e-learning classroom Wireless Internet phenomena and lost content lacking, in order, I was told.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o include Wireless Internet speed improvements and various content added support, easy-to-use instructional tools Add support order selected. 이 연구는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원학교 110개교의 교사와 학생들로 학교별로 5명의 교사와 2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2월 2일부터 2011년 12월 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초, 중학생 1280명과 교사 188명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았다. 전원학교의 프로그램 중에서 ‘전자칠판과 태블릿PC를 사용하는 이러닝’을 가장 선호하였다. 그러나 학교에서 태블릿PC와 FASTEL 시스템의 활용이 ‘매일’이나 ‘주3-4회’가 40%이하로 활용도가 매우 낮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생님들이 자주 FASTEL을 활용하는 것을 90%이상의 학생들이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은 FASTEL시스템을 선생님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바라고 있으며 무선으로 사용하는 전원학교 이러닝 교실 수업에 흥미 있고 효과적이며 편리하다고 보고 있었다. 둘째, 전원학교 이러닝 교실과 FASTEL 시스템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학생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원학교 프로그램 선호도에서 교사들은 ‘다양한 방과후 학교’를 ‘태블릿PC를 사용하는 첨단 이러닝’보다 더 선호하고 있었다. 그러나 FASTEL 시스템이 학생들의 학습에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73.8%의 교사들이 효과적인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FASTEL 시스템의 활용도에 있어서 학생들은 ‘매일’이나 ‘주3-4회’가 35%내외 인 반면에서 교사들은 60%내외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들의 적극적인 활용을 높여 학생들의 인식과의 격차를 줄여야 할 것이다. 태블릿PC를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무선 인터넷 속도가 느리고 태블릿PC 사용이 불편함을 선택하였다. 그럼에도 이러닝교실의 인프라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넷째, 교사들은 FASTEL 시스템이 타 이러닝시스템보다 학생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특징에 대하여 인식(41.7%)하고 있으나 무선인터넷 기반(23%)과 편리한 수업도구(16%)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FASTEL 시스템 사용에 가장 불편한 것으로 이러닝 교실의 무선 인터넷 끊김 현상과 콘텐츠 부족 순으로 들었다. 따라서 시급히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무선인터넷 속도의 개선과 다양한 콘텐츠 추가 지원, 편리한 수업도구 추가지원 순으로 선택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이버대학 e-러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곽우영(Kwark, WooYoung),김혁진(Kim, HyeockJin)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3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8 No.2

        정보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발전으로 E-러닝 시스템은 누군가의 도움 없이 혼자 공부하는 법을 가르친다.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하는 교육을 E-러닝 시스템을 통하여 어디에서나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교육을 받는 사람들은 능력이 증대되며, 자신감은 기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변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E-러닝 시스템을 모듈별 설계원칙을 제시하고 구현 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E-러닝 시스템을 이용할시 시스템의 안정성과 프로그램의 보안성이 중요시 된다. 따라서 클러스터링에 의한 교육의 안정적 운영을 제시하였다. 또한 EJB3.0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강화 시켰다. 모바일 프로그램의 개발 방법인 앱웹 방식과 비즈니스 로직 부분을 EJB3.0을 활용하여 클러스터링 환경 구축으로 모바일 시스템 서비스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강화 하였다. 따라서 E-러닝 시스템의 설계방법과 구현은 타 시스템의 설계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rnet, E-learning system teaches itself without any support. To improve their abilities, people can educate themselves whenever they want to, through any E-learning system of their choice. Trainees will Increase their abilities and the confidence will make the company more efficient. In this paper an e-learning system and implementation of modular design principles are presented and proposed. When there will be many E-learning users, the stability of the system and the security of the program will attach great importance. Therefore the stable operation of education by Clustering is proposed. Also, the security is strengthened by EJB3.0. Strengthened stability and security of Mobile system service by construction clustering environment using EJB3.0 in the field of App&Web method and business logic part, which is a way of mobile program development. Therefore Design method and implementation of E-learning system may be applied to reference data in design other system.

      • KCI등재

        이러닝 훈련의 현황과 과제: 원격훈련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권혁일,이지은,이현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As internet use is prevalent, demands for e-learning increase as well. E-learning is considered as a substitute or supplement of face-to-face training in the field of vocational training and many organizations and companies use e-training for their employee training. Korean government has been running the e-training support system which supports employees' training tuition when they complete certified e-training programs. Korean e-training support system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n e-training facilitator. However, concerns and demands for quality improvement of e-training have been growing as the trends of e-learning have changed recently.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current issues regarding Korean e-training focusing on the e-training support system. e-training support system is legally based on employment insurance law, employee job skill development law, and employer job skill development training support law. It is necessary for any accredited e-training organization who wants to get training subsidy from government to run e-learning training courses which are certified in advance. Therefore, the quality of e-training course is controlled by the e-training course certification system. Considering the assessment criteria of e-training program accreditation, however, it is hard to expect quality e-training because it mostly requires minimum standards which do not fully reflect such recent trends of e-learning as micro-learning, gamification, just-in-time training and trainees' needs of e-training. Based on these analyses,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e-training accreditation system by reflecting training needs of industry and enriching multi-dimensionality, flexibility, and objectivity of the assessment. 인터넷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이러닝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닝은 직업훈련 분야에서도 면대면 훈련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 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체에서는 근로자 훈련에 이러닝을 도입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이러닝 훈련(e-training) 활성화를 위하여 인정요건을 갖춘 이러닝 훈련과정을 수료한 훈련생의 훈련비를 지원해주는 원격훈련 지원제도를 운영해왔다. 정부의 원격훈련 지원제도는 이러닝 훈련을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 이러닝 트렌드의 변화로 인하여 이러닝 훈련의 질적 제고에 대한 우려와 요구도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이러닝 훈련의 현황을 원격훈련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원격훈련 지원제도는 고용보험법, 근로자 직업능력개발법, 그리고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규정 등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 훈련생이 훈련비 지원을 받기 위해 훈련기관은 사전 심사를 거쳐 적합한 이러닝 훈련과정으로 판정을 받은 과정을 운영해야한다. 훈련과정 심사 제도는 이러닝 훈련과정이 적정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한 제도이지만 주로 최소기준을 제시하는데 그쳐 고품질의 이러닝 훈련과정 운영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마이크로러닝이나 게이미피케이션, 적시(just-in-time)훈련과 같은 이러닝 훈련의 최신 트렌드와 훈련생의 원격훈련에 대한 요구가 심사의 내용과 기준에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는 않다고 분석되었다. 이러닝 훈련 심사의 개선을 위해서는 심사의 내용과 기준에 기업현장의 훈련요구를 보다 충실히 수용하고, 심사의 다면성, 유연성,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학습자의 특성과 이러닝 시스템이 강의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강의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무관,최항석,이해영,김민지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이러닝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기존의 연구들의 문제점 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즉, 기존 연구들은 특정 요인만을 독립변수로 고려하여 이러닝 학습효과에 대한 종합적인 시각을 제공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특정 요인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이러닝 학습효과 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셀프리더십, 학습자 특성, 그리고 이러닝 시스템 환경 및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매개변수인 강의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고, 종속변수인 강의만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 다. 국내 서울소재 여자대학교의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실증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 자의 특성 중 학습능력, 자기유능감과 이러닝 시스템의 컨텐츠가 매개변수인 강의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강의만족에 있어서는 학습자의 특성 중 학습능력과 이러닝 시 스템의 컨텐츠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칠 중요 요인으로 고려한 학습자의 셀프리더십은 강의몰입과 강의만족에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components related to e-learning affect learning effects, synthetically. We focus on the effect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e-learning system in the e-learning effectiveness. We collected the subjects who were 200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nd had taken an e-learning course. The results of an analysis show the following: First,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considered as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e-learning system contents considered as e-learning system affect lecture commitment of learners. And then, learning ability and e-learning system contents affect lecture satisfaction of learners. In cases of mediating effects of lecture commitment, learner's characteristics have effect on lecture satisfaction through lecture commitment. However, this study does not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cture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이러닝 환경에서 콘텐츠 저작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손경아 ( Kyung A Son ),한안나 ( Ahn Na Ha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이러닝 환경에서 교수자 스스로 강의를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이러닝 콘텐츠 유형에 따른 설계원리, 지침, 전략이 포함된 콘텐츠 저작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저작도구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이러닝에 적합한 교수-학습 유형 4가지, 튜토리얼형, 토론학습형, 프로젝트형, 실습활동형을 도출하였고, 각 유형에 따른 학습서식을 제공하여 교과별 특성에 적합한 학습요소 및 디자인 서식을 적용한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은 교수설계자 및 개발자 20명을 대상으로 과제수행을 통한 사용성 평가와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사용성은 매우 효율적이며 편리하다고 하였고, 만족도의 경우 사용의 편리함에 있어서 만족하였으나 인터페이스와 레이아웃 측면에서 다소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본 시스템은 이러닝 콘텐츠의 유형에 따른 수업설계를 통해 콘텐츠 개발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was derived from the demand of the system development which can help professors create easily their own e-learning contents. For this purpose, exist contents development system was investigated and related research was reviewed.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s design principles, strategies and design elements were drawn. The system consists of 4 types of typical instruction-learning model, tutorial, discussion, project, and experiment type. The system provides learning events according to the each instruction-learning model to allow user select appropriate learning events and develop e-learning contents.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20 mainly including instructional designers and developers. The result of the usability shows that the system was highly efficient and convenient. The participant satisfied the convenience of the system. But they pointed out the interface and the layout of the system was a bit inefficient. The system allows an increase in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through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contents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