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조부월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with their temperament and their mothers’ verbal control styles. For this purpose, the dependence of the ego-resilience on each factor and the relative influencing strength of each factor to the ego-resilience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317 pairs of a young child and his/her mother in Gyeonggi-Do, Korea. The analysis was performed in terms of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values using SPSS 21.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the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with their effortful control and extrover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of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with their negative emo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der-oriented verbal control styles of the mothers and the ego-resilience of the young childre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However, the personal-oriented verbal control styles of the moth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go-resilienc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astly, if the effectiveness of each variable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was considered, the order-oriented verbal control style of the mothers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one. The degree of extroversion of the young children was the second and the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style of the mothers was the thir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n order to develop the ego-resilience of young children, mothers should avoid an order-oriented verbal control style with their best efforts, respect their extroversion, and control them verbally in personal-oriented styl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6세 317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 하였고, spss 21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기질의 구성 요인인 유아의 외향성과 의도적 통제력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는 자아탄력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명령적 언어통제 유형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인성적 언어통제 유형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위적 언어통제 유형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 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어머니의 명령적 언어통제 유형, 유아의 외향성, 어머니의 인성적 언어통제 유형 순이었으며, 명령적 언어통제 유형은 부정적인 영향, 유아의 외향성과 어머니의 인성적 언어통제 유형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의 자아탄력성 발달을 위해 어머니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명령적 언어통제를 줄이고, 자녀의 외향성을 존중하면서, 인성적 언어통제를 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양상의 차이

        최현희,김경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6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problem behaviors of full-day class children and behaviors of time-extended class children during full-day care and time-extended care to figure out aspects of behavior problems of young children depending on time-length staying at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56 young children attending to full-day classes and 169 young children attending to time-extended classes of child-care centers. Full-day class teachers and time-extended class teachers assessed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using the scale which Lee (2001) translated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 developed by Merrell (1994).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dministering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sample t-test using SPSS PC+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ime-extended class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more extrinsic behavior problems than full-day class children during full-day care, which was prominent to boys. Second, both boys and girls attending to time-extended classes showed significantly more extrinsic behavior problems during time-extended care than full-day care while girls also show more intrinsic behavior problems during time-extended care than full-day care.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es necessity to develop care service based on each child’s needs by establishing collaborative system among personnel of full-day classes and time-extended classes and each child’ s family. 본 연구에서는 시간연장보육을 받는 유아들이 보이는 문제행동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일반 유아와 시간연장반 유아들이 종일보육시간에 보이는 문제행동의 차이와 시간연장반 유아들이 종일보육과 시간연장보육시간에 보이는 문제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의 종일반만 이용하는 유아 156명과 기준보육시간 이후 시간연장 보육까지 받는 유아 169명의 종일반 교사와 시간연장반 교사가 Merrell(1994)이 개발한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를 이진숙(2001)이 번안한 척도로유아들의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SPSS PC+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일반 유아보다 시간연장반 유아들이 종일보육시간에 자기중심성, 행동과다, 공격성의 외현적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였으며 이러한 양상은 남아들에게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 째, 남녀 유아 모두 종일보육보다 시간연장보육 시간에 더 높은 수준의 외현적 문제행동을보였으며 특히, 여아들은 종일보육보다 시간연장보육 시간에 더 많은 내재적 문제행동을보였다. 또한 남아들은 종일보육과 시간연장보육 시간 모두에서 여아들보다 외현적 문제행 동을 더 많이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간연장보육 담당교사와 종일보육 담당교사, 그리고 유아의 가족 간에 밀접한 연계 및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개별 유아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개별화된 보육서비스를 개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정선영(Jung, SunYoung),김영연(Kim, YoungYoun),홍순옥(Hong, Soon Oh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성, 사회성, 감성 영역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인성, 음악, 인성평가도구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관련 내용 및 인성교육의 하위내용을 분석하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은 P시의 유치원에 다니는 4세반 유아 72명(실험집단 유아 36명, 비교집단 유아 3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아인성을 측정하기 위한 유아인성평가 도구 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계수 Cronbach s α 를 산출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도덕성, 사회성, 감성 영역의 모든 인성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도덕성, 사회성, 감성 영역의 인성내용 및 하위내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도덕성, 사회성, 감성 영역의 인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rough thirty one music activities for four-years-old children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program applied to the seventy two preschoolers in P city for fifteen weeks from September 2014 to January 2015.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same number of thirty six childre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9.0. Cronbach a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of the pre- and post character test score for children and ANC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usic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the formation of children s character. This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as a result: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musical activity program was effective in terms of increasing the characters such as respect, public order, being a good son or daughter, caring for others, sharing, cooperation, self-awareness, and self-control.

      • KCI등재후보

        인성관련 동화책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협동적그룹게임 연결프로그램이 유아인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노희태,김미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인성관련 동화책을 이용한 이야기 나누기-협동적 그룹게임 연결프로그램이 유아인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인성과 자기조절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인성관련 동화책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협동적 그룹게임 연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K시에 위치한 M어린이집 만5세반 14명(실험집단)과 M어린이집 만5세반 14명(비교집단) 총28명이다. 유아인성을 측정하기 위해 나은숙과 김경희(2014)가 개발한 ⌜3~5세 유아용인성척도⌟검사 도구를 사용했으며, 자기조절력 측정을 위해 Kendall과 Wilcox(1979)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유혜정(1998)이 번안하고 이지현(2001)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주2회 총 18회의 실험 처치를 실시하였으며, 유아인성과 자기조절력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의 자료 분석은 SPSS 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성관련 동화책에 관한 이야기나누기-협동적 그룹게임 연결프로그램이 유아인성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유아인성과 자기조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의 요인들을 중심으로 연구결과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a coupled program of discussion on personality related storybooks with cooperative group games on young children’s personality and self-regulation.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literature and experimental studies on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self-regulation. In order to verify its effects, the program was applied to twenty eight 5 year old children, fourteen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fourteen for an comparative group. They participated in eighteen session activities for three months. After the eighteen session program was completed the pre-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testing young children’s personality, a personality measurement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Na and Kim(2014) was used. For testing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self-regulation measurement was used which was invented by Kendall & Wilcox(1979), translated by Yoo(1998), and applied by Lee(2001) for her study. This study proved that the coupled program of discussions on personality related picture books with cooperative group games had a good effect on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their self-regulation. Factors and detailed elements of the designed program that influenced young children’s personality and their self-regul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용 모바일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기독교 세계관적 분석

        정희영,이정규,방승미,유희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and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game applications that are rapidly emerging as a children's play in modern society by analyzing in a Christian perspective. Under this purpose, through previous research, extracting eight fun factors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that consists of the concept of creation, the fall, and redemption and three types of each item, 24 evaluation criteria in total,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15 games in total were analyzed. Above all, through analysis training and preliminary analysis of 24 evaluation criteria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e fun factors were performed by a group of experts consisting of one expert in childhood education and three experts under the doctoral course. An agreement among the analysts(.88)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items(.78) were obtained. Then the 3 researchers processed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the actual analysis by the average and percentage analyzed from 15 game application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hristian evaluative analysis of the factors, a creative element was the highest. Second, an depraving element was rated higher than a redemptive fun factor in the game application for children. However, it showed a great difference from the creative element which was evaulated the highest. Third, a redemptive element ranked the low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suggested are as follows: first, novelty and diversity of the creative fun factors should be strengthened in developing the children's game applications. Second, game applications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in direction of ruling out the elements of corruption which bring addiction, violence and aggression which have negative impact on children. Third, interesting and high-quality christian game application for children which includes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fun ele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 or structure so that the redemptive elements can be strengthened. Fourth, the education for christian teachers and paren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have the discrete christian perspective on media contents children enjoy.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에서 유아의 놀이로 급부상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기독교세계관적으로 분석하여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유아 놀이의 나아갈 방향성을 찾고 향후 유아용 게임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하여 창조, 타락, 구속의 기독교세계관적 요소 8개를 추출하고 24개의 분석 평가 항목을 선정하여 총 15개의 유아용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먼저 기독교세계관적 분석을 위해 선정된 24개의 평가항목을 유아교육전문가 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집단이 분석훈련과 예비분석을 통하여 분석자 간의 일치도(.88)와 평가항목의 신뢰도(.78)를 확보하였다. 그런 다음 본 분석은 연구자 3인이 15개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평균 및 백분율을 통해 자료를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용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기독교적인 평가 분석에서 창조적 요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용 게임 어플리케이션에서 타락적 요소는 구속적 요소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나 가장 높게 측정된 창조적 요소와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아용 게임 어플리케이션에서 구속적 요소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방향제시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용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있어 창조적 재미요소 중 새로움과 다양성은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용 게임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유아에게 부정적 영향을 주는 폭력성과 공격성, 그리고 중독을 가져오게 하는 타락적 요소는 최소한 배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구속적 요소가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게임의 내용이나 구성에 협동적이고 참여적인 재미요소를 담아 흥미롭고 질 높은 유아용 기독교 게임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유아들이 즐기는 미디어 콘텐츠를 기독교적 안목으로 바르게 분별할 수 있도록 기독 부모나 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 및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술통합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송민서,홍순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cognize the need for integra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develop art integrated early childhood science program that can promote creativity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rt, and to verify legitimacy of the program by implementing on 5-year-old young children. For this, this study reviewed related researches and literature, such as art education for infants,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rts integrated education, creativity thinking technique, and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and The integration of arts for the promotion of creativity of infants Establishment of a system composed of goals and objectives, teaching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study drafted 21 art integrated early childhood scientific program activities by combining music, art, body expression, literature, and creativity thinking techniques including brainstorming, forced binding, cinematic, scamper, attribute enumeration, lotus technique, PMI technique, and CPS technique. Based on thi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designed to verify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program on the field, and verify the 21 programs developed through the expert consultation, followed by mod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towards developing a final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며 예술과 과학에 긍정적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예술통합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예술교육, 유아과학교육, 예술통합교육, 창의성 사고기법, 창의성 프로그램 등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였고,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술통합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수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로 이루어진 구성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각 교과 영역 중 음악, 미술, 신체표현, 문학의 구성요소와 창의성 사고기법인 브레인스토밍, 강제결합법, 시네틱스기법, 스캠퍼기법, 속성 열거법, 연꽃기법, PMI기법, CPS기법을 포함한 교육내용을 통합하여 21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술통합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활동시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내용을 구안하여 프로그램 적합성 검증 및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가능성에 대한 검증 및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개발된 21개의 프로그램을 적용 가능성 검증을 통하여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자기조절능력,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임은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자기조절능력,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3곳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총 238명이었으며, 유아의 특성은 담임교사에의해 질문지로 평정되었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자기조절능력,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자기조절능력의 매개를 통해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에 간접적인 효과를 주었다. 즉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유아교육에서 유아와 함께 하는 인공지능교육을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유아⋅놀이중심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유아의사회적 유능감의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자기조절능력을 통한 간접효과가 있다는 것을 기반으로 유아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놀이몰입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 형상의 비판적 해석

        이경화(Kyeonghwa Lee)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4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고시문은 법률적 구속성을 가진 문서로서 유아교육 실제에 강력한 영향을 형성할 수 있는 공적 담론으로서 작동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시문에서 유아교육의 기본 전제이자 출발이라 할 수 있는 유아 존재를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1차 이후 현행 교육과정의 고시문에서 ‘유아’가 포함된 문장을 추출한 후,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TEXTOM을 이용하여 키워드 빈도 및 ‘유아’와 동시 출현하는 키워드의 빈도를 확인하고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 ‘생활’, ‘발달’ 등의 키워드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유아-발달’, ‘유아-생활’, ‘교사-유아’ 순으로 동시출현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에서 형상화 하는 ‘발달하는 유아’의 담론적 의미를 도출하는 한편,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발달주의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논의하면서 ‘포스트휴먼 어린이(~어린이~)’로의 ‘유아’의 재형상화를 제안하였다.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s a legal document which is publicly available, strongly influences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critically interpret the terminology used in reference to young children, which is the premi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sentences containing “young child(ren)” were extracted from the current curriculum. Using TEXTOM, a big data analysis solution, the frequency of keywords was checked, as well as the frequency of keywords that appeared simultaneously with “young child(ren)” were checked, as well as the frequency of keywords that appeared simultaneously with “young child(ren)”. The information was visualized through a word tree, word cloud, and ego network. Based on this, the keyword frequency was found to be high for “education”, “life”, and “development”. Furthermore, “young child-development”, “young child-life”, and “teacher-young child” showed the highest co-occurrence frequency, in that order. Subsequently, the researcher critically discussed the developmentalist perspective on the term “young child” i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refiguring it into a “post-human child(~child~).”

      • KCI등재

        어린이집 재원 만 3, 4, 5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비교

        유세영,조윤경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n the child's challenging behavior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s first solution to challenging behaviors. The child's behavioral checklist for parents(K-CBCL, 1.5-5), the child's behavior evaluation scale for the teachers(C-TRF) were used to rate the behavior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60 teachers and 160 parents of children of 3, 4, 5 years old at the public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rated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at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the children except the physical symptom subcategory. Second,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t withdrawal subcategory only in the in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rated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too. Third,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t attention problem and aggressive behavior subcategory in the ex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also rated higher than the par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acknowledg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recognizing the challenging behaviors, for intervening appropriately on preschoolers' challenging behaviors. And needs of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lesse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사와 부모의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보고,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연계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부모와 교사의 협력적 접근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32개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부모와 담당교사 각 160명, 총 320명을 대상으로, 유아행동평가척도 부모용(K-CBCL. 1.5-5)과 한국판 유아행동 평가척도 교사용(C-TRF) 도구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전체 문제행동 인식에서 부모와 교사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내재화의 신체증상을 제외하고 전 하위 영역에서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둘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내재화된 문제행동 인식에서는 위축에서 부모와 교사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셋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외현화 문제행동 인식 차이에서 주의 집중 문제와 공격행동에서 부모와 교사 집단은 차이를 보였으며,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적합한 조기 중재를 위해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부모와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행동의 차이를 줄여나가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되었다.

      • KCI등재

        유아영재 통합교실에서의 차별화 수업적용이 유아들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위성효,태진미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2

        In the early childhood where the developmental individual differences are larger than those at any time, the environment of facilitating learning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individual infants is important. Especially in the classroom where gifted young children are born with excellent potential, teachers are afraid that they will damage the extra curiosity and talents of the infant gifted, or they are often embarrassed because they do not know how to appropriately guide young children's gifted children, which interfere with the learning of ordinary children.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the integrated classroom on the improvement of the creativity and self-confidence of high-potential gifted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by allowing the gifted children to fully demonstrate their competency and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growth of the general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eativity for both general and gifted children, but self-confidence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a case for apply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the integrated classroom with gifted children, and verified its effect 그 어느 시기보다 발달의 개인차가 큰 유아기는 개별유아의 특성과 요구에 부응하는 배움의 촉진환경이 중요하다. 특히 우수한 잠재력을 타고난 유아영재가 포함된 일반교실에서 교사들은 자칫 유아영재의 남다른 호기심과 재능을 손상시킬까 두려워하거나 때때로 일반유아들의 학습을 방해하는 유아영재를 적절히 지도할 방법을 알지 못해 난감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영재 통합교실에서 차별화 수업을 통해 유아영재가 가진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일반유아의 성장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차별화 수업이 잠재적 영재와 일반유아들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유아와 유아영재에게 모든 창의성에 유의미한 향상효과가 나타났으나 자아개념은 유의한 향상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아영재 통합교실에서의 차별화 교수 적용 사례 및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