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16년 건강영향평가 사업 운영 - 노화 관련 건강결정요인과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및 건강영향평가의 제도적 도입 지원 연구

        김정선,서미경,최은진,오미애,이난희,윤시몬,강아람,정진욱,손애리,김성민,송기민,김민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건강영향평가는 공공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건강 결과를 예측하는 사업으로, 우리 원에서 하는 건강영향평가 사업의 목표는 건강영향 평가를 우리나라에서 제도화하는 것임. 이를 위한 준비 과정으로 다음의 세 가지 방향에 따라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첫째, 건강영향평가 도입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중앙단위 정책에 대한 평가시범사업을 실시하고, 둘째, 건강영향평가 인프라 구축을 위해 건강결정요인별, 지역별 특성에 따라 건강영향평가 시범사업을 선정해 실시하고, 건강결정요인별 건강영향평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며, 셋째, 정책연구 수행을 통한 제도화 방안을 제시하고, 아시아태평양지역 건강영향평가의 중심 역할을 수행함. 특히 공공정책의 현장에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건강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음. 이에 따라 2016년도에는 지자체의 제도화를 위해 서울시 서초구와 긴밀하게 공동연구를 수행하였고, 반딧불센터 운영사업과 양재천 종합정비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수행해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권고사항들을 제시함. 또한 초고령 사회로 치닫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해 고령자와 같은 취약인구집단 또는 잠재적 취약인구집단의 건강결정요인과 관련한 지표를 생산할 수 있는 조사를 실시하여 고령자의 건강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기초자료와 건강의 형평성과 관련한 지표를 생산함. 한편 고령자 관련 보행환경 개선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수행하고 대상사업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 2. 주요 연구 결과 및 시사점 우리나라는 환경보건법에 따라 건강영향평가를 실시하기는 하나, 이는 일부 개발사업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며,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 수행하는 정책, 사업에 포괄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아직 정부 차원에서 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법률 제정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전북 무주군과 서울 서초구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체적으로 포괄적이고 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조례를 만들고, 제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지방자치단체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의 원칙은 첫째, 환경영향평가의 일부가 아??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로, 건강증진에 직접적인 효과를 많이 도출하고자 하는 것임. 두 번째는 포괄적인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로서 포괄적인 건강 요인(건강, 사회, 물리적 요인)을 포함하며, 법, 제도, 계획, 사업을 대상으로 하고,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범위를 포함해야 실질적으로 건강친화적 정책이 수행되고 시민의 건강증진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임. 건강영향평가 지자체 모형 개발의 최종 목표는 지속가능한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 및 수행이 용이하고, 확산이 쉬운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번 연구 결과로 개발된 모형은 2017년 시범사업을 거쳐 수정 보완 후, 지방자치단체에 확산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중앙단위의 법제화를 목표로 함. 건강영향평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연구로써 성공적 노화와 관련한 건강결정 요인의 설문 도구는 싱가포르국립대학과 공동으로 개발하여 2012년 서울시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추진한 바 있음. 중고령자 대상 양적인 조사에서는 연령별 차이, 성별 차이, 교육수준의 차이, 소득수준의 차이 등에서 성공적 노화와 건강 관련 요인, 사회적 자본 등의 요인이 관련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본 조사를 통해서 건강영향평가의 건강결정 요인의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개인의 건강 유지 및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요인을 다양한 차원에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고서에 나타난 유럽의 동향 분석에 의하면 횡단면 연구를 기준으로 볼 때 지역 수준의 사회적 자본과 건강 수준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관련성이 없는 연구보고도 있음. 사회적 참여를 포함한 사회적 자본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개인의 건강관리 행동 또는 건강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된 바 있음. 따라서 정책이나 사업의 계획단계에서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방향으로 개발해야 할 것임. 건강영향평가에서 사회적 건강결정 요인을 고려할 때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역을 검토해야 하며, 인구학적 특성과 같은 고정적 요인이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해야 함.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키는 방향의 정책요인을 개발해야 하고 건강영향평가를 통해 고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노력에는 저소득층의 소득이나 사회활동 지원을 위한 사회적 정책이 해당함. 우리나라는 인구학적 특성으로 인한 건강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민건강 증진 종합계획의 정책 목표에 인구집단별 건강증진 목표와 세부사업이 개발된 바 있으나, 노인 건강과 관련한 사업은 만성질환의 예방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어 사회적인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과제를 더 개발해야 할 것임. 우리나라 정부의 노인복지 측면 정책으로는 노인소득보장, 요양 및 건강보장의 정책이 대표적임. 사회적인 측면의 정책으로는 노인 일자리 정책이 대표적인데, 외국의 정책 사례에서 보면 정부의 사회경제적 지원 정책이 취약계층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한다는 점이 특징임. 모니터링 지표는 건강의 다양한 차원을 고려하여 사회적 취약계층의 건강 불평등과 관련한 지표로 개발되고 있음. 사회적 자본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참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사회적 기회를 마련해야 함. 또한 중년 이후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적 자본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교육 기회도 더 늘려야 함. 건강영향평가를 시행할 때 성공적 노화 및 사회적 자본의 요인을 고려함으로써 이러한 정책요인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고령자 대상 정책사업들 중 건강영향평가 대상사업을 선정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고령자의 인식을 파악한 결과,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중고령자의 인지도는 전체 1000명 중 43%가 인지하고 있고, 이용경험이 있었음. 그러나 향후 이용 의향은 13.8%로 낮게 나타났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높았음. 고령친화산업 분야별 인지도는 요양산업, 주거산업, 의료기기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어 용구용품산업, 금융자산관리산업, 의약품, 식품, 화장품, 여가문화산업 순으로 나타남. 또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반적인 우선순위 평가 결과 전체적으로 의약품, 요양, 주거, 식품이 우선순위 중 상위를 차지함. 이들 고령친화산업 중 우선순위가 높은 주거분야에서 운영위원회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고령자 보행환경 개선사업이 평가 대상으로 선정됨. 고령자 보행환경 개선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사업에 대한 권고사항이 도출됨. 긍정적인 건강영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첫째, 교통안전활동 강화를 위해 농촌지역의 국도 통과 도로변 마을입구에 표지판, 가로등을 추가 설치해 운전자의 속도 조절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둘째, 횡단보도의 길이에 대한 인식은 연령이 많을수록 짧다고 느끼고 있어 장애인용 횡단보도의 점자보도와 알람 등과 같이 횡단보도 시간 연장 욕구가 있을 시에 조절할 수 있는 시설 설치가 유용할 것임. 셋째, 고령자들의 교통안전교육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91.3%가 필요하다고 응답함. 이에 비춰 볼 때 고령자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따라서 경찰 내에 노인교통안전교육 전문가를 육성하고 체계적이고 통일된 고령자용 교통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노인교통안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넷째, 교통안전교육의 콘텐츠로는 횡단보도의 녹색 점멸등에서도 건넌다는 응답률이 높아 점멸등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줘야 할 것임. 야간 외출 시 밝은 색상의 옷을 입을 것을 포함하여야 할 것이며, 야광 띠 사용도 적극 권장하며, 건강 형평성 차원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부담이 되는 시설 개보수와 같은 사업보다는 자원봉사자 또는 고령자의 자발적인 협조가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임. 결론적으로 교통 환경은 고령자들의 건강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현재의 보행환경은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고령자들에게는 불편한 면이 있음. 따라서 보행환경 조성사업과 교통안전교육을 통해 고령자들 스스로 교통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 1. Background and purposes Health impact assessment (HIA) provides information to establish a health orientated policy and predict the health impacts of different policy alternatives. This study aims to institutionalize HIA in Korea.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3 different research projects were carried out as a ground work. First, introduction of HIA was prepared by conducting a pilot project against local and central governmental policies. The second research was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HIA. Pilot project was also executed and HIA guideline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determinants of health and regional factors. Third, the policy research was performed to suggest strategies for institutionalization of HIA. This is intended to play a central role of HIA in Asia-Pacific region. Local governments are especially in need for implementation of HIA system, as they are first at the scene of public policy. Therefore, a collaborative research was conducted closely with Seocho-gu in Seoul for institutionalization in local government in 2016. HIA was implemented for Firefly center operation and Yangjae-stream integrated improvement project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maximize the positive impacts while minimizing negative effects. As Korea is becoming a super-aged societ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create an index related to the health determinants of vulnerable populations such as senior citizens or the potentially vulnerable population. Required basic information for analysis of the health determinants of the aged group and the equity-focused health index were created. Further, HIA was executed on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old age population and recommendations were drawn. 2. Results and Implications Based on Environmental Health Act, HIA should be conducted in Korea. However, its application is limited to certain development projects, and is not applied comprehensively to local and central governmental projects. There is no independent enactment of an Act regarding HIA at a governmental level. However, some local governments such as Muju-gun in Jeonbuk and Seocho-gu in Seoul implemented a comprehensive and independent HIA regulations and attempted its institutionalization. The first fundamental for development of a local governmental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is to develop an independent model, which is not a par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objective is to induce more direct impacts on health improvement through this model. Second,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that encompasses all-inclusive determinants of health(health, social, physical factors), subjected to laws, systems, plans and projects. All direct and indirect health impact factors should be included to execute a realistic health promoting policy, consequently the citizens can experience health improvement effects. The final goal of local governmental HIA model development is to create a sustainable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that transfer and implementation are easy. The model that has been developed as an outcome of this research, would be improved after pilot studies in 2017. This model will be distributed to local governments with a long-term goal of institutionaliza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In 2012, the first survey on determinants of health that are related to successful aging was conducted against senior citizens in Seoul as a part of the infrastructure building research for HIA. A quantitative analysis subjected to senior citizens showed that a successful aging was associated with health and social related factors such as age, gender, and income level differences. An index for determinants of health was created for HIA. This index is expected to enable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ersonal maintenance and health. A trend analysis of Europe in OECD report showed that local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health when transversal data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studies showing no relationship between them. Social capital including social participation revealed to influence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or health life, directly or indirectly. Thus, policies and projects should be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it impacts positively on social capital during the planning stage. Whe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re considered during HIA, areas where it can influence the social capital should be examined.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 way that the influence of fixed factors on health inequality,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minimized. To obtain this, the elements of the policies that increase social capital should be generated, and this should be reviewed during HIA. As an effort to minimize the impacts on health inequality, social policies should support income and social activities for the low-income population. In Korea, to minimize health inequalities caus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promotion goal by population group and a sub project were created as a par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However, Korea`s senior wellness program focuses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illnesses. Thus, further project development is needed for social health improvement policies. Korea`s major senior wellness program includes guaranteed income supplement, illness recuperation, and health insurance. Whereas the main social wellness program is an employment policy for seniors. Reviewing overseas`cases, their main characteristics are continuous governmental monitoring that ensures the penetration of their socio-economical support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s. Monitoring index is also developed considering multi-dimensional aspects of health inequalities of socially vulnerable population. To expand social capital, social opportunities should be created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middle age and older populations to increase their social capital with diverse methods, their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also be boosted. When HIA is conducted, successful aging and social capital factors should be reflected to the elements of the policies. To select the policies for seniors to apply HIA, awareness of senior friendly program amongst old age population was investigated. Amongst 1000 middle/old age group, 43% were aware of the senior friendly programs and have used the service. However, only 13.8% were willing to use the service again in the future, where females were more eager than males. Illness recuperation, housing, and medical equipment projects were the most recognized services, which are followed by supplies or an article, financial asset management,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food, toiletries, and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projects. Priority analysis revealed that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illness recuperation, housing and food were at the top of the priority list. As part of the housing project, which has a high priority,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seniors was selected for an evaluation through the expert advice from operating committee. Based on the results of HIA of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seniors, recommendations were drawn. First recommendation to produce positive health impact is enforcing road traffic safety. This is achieved by means of regulation of traffic speed through implementing traffic signs and street lights at the entrance of the rural villages where a national highway passes. Second, as people get older, their perception of the length of the pedestrian crossing becomes shorter. Therefore, installation of a facility that can control the crossing time would be useful such as tactile paving and an alarm system implemented for the disabled. Third, 91.3% responded that a road safety education is required for elderly people, confirming that the majority agrees that the road safety education is necessary.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police department to train professional elderly road safety educators to operate a systematic and unified roa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to promote the road safety for elderly people. Forth, precaution for green flickering light must be added to the road safety program, since high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cross at the flickering light. Further, wearing bright color cloths should also be added to the program1) and wearing reflective safety gear should also be encouraged. For health equity, it is more suited to create and develop projects that are based on volunteers and voluntary corporation of elderly people, in contrast to high cost projects such as facilities renovation and maintenance. In conclusion, the road and traffic environment influences the health of senior citizens directly and indirectly. The survey showed that the current pedestrian environment is inconvenient for elderly people. Therefore, self-protection should be encouraged for the senior citizens from the road hazard via implement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and road safety education projects.

      • KCI등재후보

        재가노인의 인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은주 ( Kim Eun Ju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2

        본 연구 대상자 노인 중 43,5%가 인지기능장애가 있었다. 이는 인지장애 의심군과 확정적 인지장애군을 포함하는 수치로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같은 도구와 같은 절단점을 기준으로 한 Chun 등(2001)의 45.2%, Jung과 Kim (2004)의 39.3%의 연구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는 다르게 Won과 Kim (2008)의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지기능 장애율이 86.4%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방문간호대상 중 노인을 대상으로 한 결과 일반적인 재가노인과는 다른 건강, 교육 및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요인들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성, 연령 및 교육 수준은 본 연구에서 노인의 인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이었다. 노인의 인지기능 장애율은 본 연구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높았으며, 위험도도 남성에 비해 여성이 2.3배 높았다. 이는 Suh 등(2000), Won 과 Kim (2003), Ha (2010)의 연구와 같은 결과로 Choi, Lee와 Kim (2002)도 흔히 여성에게 2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발병률이 높은 이유는 여성은 평균수명이 길어 노화의 기간이 길고, 또한 교육수준이 낮은 점과 여성호르몬의 영향 때문으로 추정하여 설명되고 있으나 아직 명확히 구명된 바는 없다. 실제 Jorm 등(1987)이 1945년에서 1985년의 치매 유병률 조사 자료를 모아 재분석한 결과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병률의 차이가 없다고 하여 차후 인지장애와 성별과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규명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 연령에 따른 인지기능장애의 위험도는 65-69세를 기준으로 5세가 증가함에 따라 2.2배, 3.2배로 증가하다 80세 이상은 6.8배로 급증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Suh 등(2000), Chun 등(2OO1), Won과 Kim (2003), Choi (2006), Won과 Kim 2008), Ha (2010)의 연구에서도 제시되었으며, 연령 증가에 따른 인지기능의 저하는 주로 노화의 과정으로 설명되고 있다. Won과 Kim (2003)도 인지기능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 다음으로 두 번째로 중요한 요인을 연령이 라 한 바 있다. 교육 연한은 Chun 등(2001), Won과 Kim (2003), Choi(2006), Won과 Kim (2008), Ha (2010)의 연구에서 인지기능 장애의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제시되었고, Won Kim (2003)은 교육수준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설문지 조사를 통한 치매의 일차선별검사가 정규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에게 불리할 수 있다는 반론도 있었지만, Bickel과 Cooper (1994), Stem 등 (1994) 의 연구 결과 일차선별검사 없이 모든 대상을 임상전문가가 직접 평가하는 모델에서도 무학은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경우 위험인자로 밝혀져 검사오차 가 아닌 것으로 검중되었다. 즉 Katzman (1993) 은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인지적 자극이 부족하여 인지기능 저하가 빨리 진행 되며, 교육을 받은 사랑의 뇌는 거의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에 비해 인지적 여분(cognitive reserve) 또는 여분의 신경전달 섬유가 훨씬 많기 때문에 인지기능장애가 적다는 가설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교육 연한에 따른 인지장애의 위험도는 7년 이상인 군에 비해 4-6년은 4.2배, 1-3년은 8.4배, 문맹자인 경우 15.5배로 급증하여 교육수준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동거유형이 인지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Won과 Kim (2003), Jung과 Kim (2004)의 연구에서 독거 노인군이 가족동거 노인군에 비해 인지기능 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독거노인이 가족 및 사회와의 유대관계가 적은 고립생활을 함에 따라 정서적이며 인지적인 자극과 감각이 결여됨에 따라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독거생활이 인지기능장애의 위험인자는 아니었으며, 이는 Choi (2006), Ha (2010)의 연구결과에서도 제시된바 있어 가족과의 동기유형과 인지기능과의 관계는 지속적이며 반복적인 연구를 통해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노년기에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만성퇴행성 질환의 발생 및 감각의 변화 등 신체적 변화와 기억력 감퇴 등 인지기능의 쇠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노화인 정서적 침체 및 우울 등을 경험하게 된다. Gatz, Tyas, John과 Montgomery (2005)는 우울이 치매의 위험인자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우울증상이 치매로의 진행을 예측할 수 있고, 인지기능장애가 진행되면서 우울이 초래될 수 있다고 하였으며, Kim (2004)은 여러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약 50%에서 우울중상을 겪는다고 보는 것이 대체적인 추세라고 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인지기능과 우울과는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많은 결과가 제시되었지만(Jung & Kim, 2004; Won & Kim, 2003; Won & Kim, 2008), 이와는 일치되지 않는 결과들도 제시되고 있다(Brands et al, 2007; Choi, 2006; Kim, 2008). 본 연구에서도 우울은 인지기능 장애의 영향요인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 대상 노인들의 인지기능 저하로 인해 설문지를 사용한 우울 상태 측정의 어려움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주관적 건강측정은 건강의 모든 영역을 포함한 포괄적인 측정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질병보다 안녕(wellbeing)을 강조하는 긍정적 측정방식이기 때문에 건강증진 측면에서 볼때 오히려 장점이 있다고 주장한다(Fehir, 1989). Won과 Kim (2008)의 연구 결과에서 노인들이 자신의 건강을 주관적으로 나쁘다고 인식한 경우는 좋다고 인식한 경우에 비해 인지기능이 낮았다. 본 연구에서도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서 나쁘다고 인식한 경우는 좋다고 인식한 경우에 비해 인지기능장애 위험 도가 2.8배 높아 주관적인 건강인식 수준은 노인의 인지기능장애의 영향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음주 여부는 영향요인으로 제시되지 않았으나 알코올 남용은 영향요인으로 나타나 알코올 남용군은 비남 용군에 비해 인지기능장애 위험도가 4.7배 높았다. Fratiglioni, Ahobom, Viitanen과 Winblad (1993)의 연구에서도 알코올 남용은 위험도가 4.4배로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위험인자로 제시되었고, Suh 등(2000)도 알코올 남용을 위험도가 2.98배인 위험 인자로 제시하였다. 알코올로 인한 치매의 진단이 따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알코올 남용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위험인자로 제시되는데, 이는 인지기능 저하는 두뇌손상과 연관이 있어 장기간에 걸친 과도한 음주는 인지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대표적인 위험인자로 치매의 가족력을 들 수 있다. 비록 유전성 치매는 전체 치매의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지만, 부모나 형제 중 한 사람이 알츠하이머 치매일 경우 자신이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릴 확률은 15-19% 정도로 일반 인구에 비해 높았다(Seoul Nationa1 University Hosp1tal, 2008). 또한 뇌의 인지기능에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뇌졸중도 인지기능장애가 발생되는 하나의 원인질환으로 제시되고 있으나(Kim & Kim, 2009; O`Brien, 2006), 본 연구에서는 치매의 가족력과 뇌졸중 병력은 영향요인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이는 연구대상자가 지역사회의 대단위 표집이 아니고 그중 일부에 지나지 않아 해당 가족력이나 병력자의 숫자가 적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향후에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대단위 표집을 하여 연구를 시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병으로 진행된 후의 관리보다도 치매의 예방 차원에서 인지기능장애의 조기발견이나 예방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노인인구가 초고속으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이를 위한 다양한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치매나 인지 요인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노인의 인지기능장애의 영향요인은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주관적인 건강인식 및 알코올 남용 여부이었다. 따라서 인지기증장애를 경감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이러한 영향요인을 중재한 치매예방 프로그램과 인지재활 인지 훈련프로그램 등의 개발, 시도 및 지속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which is one of the typical symptoms among the demented elderly. Methods: The number of subjects was 417 elderly residents aged over 65 yr in a community. A cognitive function and a depression level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and th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Alcohol abuse was measured using the CAGE instrument.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The prevalence rates of cognitive impairment of the sample was 43.5%. Sex, age, educational level, perceived health and alcohol abuse were strong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However, the effects of smoking, living alone, depression, family history in dementia and stroke were not strong. Conclusion: Risk for cognitive impairment were increased by being female and older than 70 yr, having low education, perceiving health as poor, and drinking alcohol abusively. Therefore, a reinforcement system, continuous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proper programs should be preformed in order to prevent cognitive impairment.

      • 금융기관의 대체투자 중 부동산 Equity 투자 결정요인 분석

        심의섭(Eui Sup Shim),임동혁(Dong Hyeock Lim) 한국공공정책학회 2022 공공정책연구 Vol.28 No.1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금리가 최근 한국은행 기준금리 0.5%까지 하락하며 초저금리 시대에 접어들었다. 이처럼 전통투자 자산인 채권과 주식으로는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금융기관 투자가들은 투자 수익성 약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체투자 자산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부동산 투자는 꾸준히 기관 투자가들의 포트폴리오에 필수적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데, 부동산 투자는 위치와 수급 여건 등에 따라 높은 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으면서도 금융시장 흐름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기 때문이다. 특히 경기 악화에 따른 운용수익율 하락으로 대체투자 확대를 적극 확대하고 있는 금융기관들은 수익성 높은 부동산 Equity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금융기관의 부동산 Equity 투자 수요가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투자 영향 요인에 의해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지에 대해 명확한 투자기준이 확립된 것이 없으며, 국내 부동산 투자의사 결정요인의 경우 구체적으로 Equity 투자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나 금융기관 투자가에 집중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동산 Equity 투자 시장에서 금융기관 투자가의 투자 만족도와 재투자의사에 미치는 투자 영향 요인을 실증 분석하여 규명하며, 구체적으로 금융기관의 유형에 따라 고려하는 투자영향 요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먼저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부동산 Equity 투자 영향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금융기관 투자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투자자 특성은 기술통계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설문 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진행하여 가설을 검정하였고, 추가적으로 기술통계분석을 이용하여 금융기관 유형에 따라 투자영향요인의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기관 투자가에 대하여 투자영향요인과 투자만족도에 관하여 가설 검정한 결과, 입지특성과 수익성, 안정성이 채택되었으며, 투자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입지특성이었다. 금융기관 투자가에 대하여 투자영향요인과 재투자의사에 대하여 가설검정 한 결과 수익성과 안정성은 재투자의사와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나 채택되었다. 둘째, 금융기관 유형에 따른 투자영향요인의 중요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은행 투자가는 투자영향요인 중 안정성을, 캐피탈 투자가는 적시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사 투자가는 수익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부동산 Equity 투자에 참여하는 금융기관 투자가는 투자영향요인과 투자만족도, 재투자의사 사이 유사한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금융기관 유형에 따라 중요하게 고려하는 투자영향요인 역시 차이가 존재함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금융기관 투자 시장에서 금융기관 투자가들은 부동산 Equity 투자에 있어서 수익성과 안정성, 입지특성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내리지만 구체적으로 금융기관의 유형에 따라 더 선호하는 특성에는 차이가 존재하므로 각 금융기관의 투자 성향 차이를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Interest rates, which have continued to fall since the 2008 financial crisis, have recently fallen to 0.5% of the Bank of Korea's benchmark interest rate, entering an ultra-low interest rate era. Investors in financial institutions are paying attention to alternative investment assets to cope with the weakening profitability of their investments, as it is difficult to expect profitability from bonds and stocks, which are traditional investment assets. Among them, real estate investment has steadily become an essential factor in institutional investors' portfolios, as real estate investments can be guaranteed high returns depending on location and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but are relatively less affected by financial market trends. In particular,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are actively expanding alternative investments due to falling operating returns due to the worsening economy, are focusing on profitable real estate equity investments. However, despite the growing demand for real estate Equity investment by financial institutions, there are few specific investment criteria for which investment impact factors are determined, in the case of domestic real estate investment decision-makers, few have focused on invest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and identify the investment impact factors on the investment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of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real estate equity investment market, and to specif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investment impact factor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preceding research to derive the influences of real estate equity investment, and conducted a survey on investors from financial institutions. In addition, investor characteristics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urvey variables. Based on thi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and additionally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investment impact factors depending on the type of financial institu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s on investment impact factors and investment satisfaction for investors in financial institutions, location characteristics, profitability, and stability were adopted,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were the factors that affected investment satisfaction the most. A hypothesis test of investment impact factors and willingness to reinvest in financial institutions showed that profitability and stabi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reinvest. Second,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of investment impact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financial institution, bank investors value stability and capital investors value timeliness the most among the investment impact factors. Investor in insurance companies put the most importance on profitability. Overall, investors in financial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real estate equity investments demonstrate similar relationships between investment impact factors, investment satisfaction, and reinvestment intentions, and empirically analyzed that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investment impact 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financial institutional investment markets, financial institutional investors make decisions based on profitability, stability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but consider differences in investment propensity for financial institutions.

      • KCI등재

        스페이스 마케팅(Space Marketing)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김지현(Ji Hyu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스페이스 마케팅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탐색된 영향요인들이 경영성과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식음산업에서의 식음공간을 중심으로 통계적 조사방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스페이스 마케팅의 영향요인과 재무적 성과와의 관련성 분석에서`공간적 요인`, `감각적 요인`, `감성적 요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상호작용`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친환경적 요인` 과 `차별화된 외적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스페이스 마케팅의 영향요인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스페이스 마케팅의 영향요인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호작용` 요인이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 `감각적 요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감성적 요인`, `공간적 요인`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스페이스 마케팅의 영향요인과 비재무적 성과와의 관련성 분석에서`공간적 요인`, `감각적 요인`, `감성적 요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상호작용`, `차별화된 외적요인` 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친환경적 요인` 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스페이스 마케팅의 영향요인이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의 경우도 가설 1과 같이 부분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한편, 스페이스 마케팅의 영향요인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인이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 `상호작용`, `감성적 요인`, `공간적 요인`, `감각적 요인`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의 두 가지 결론에 따르면 `공간적 요인`, `감각적 요인`, `감성적 요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상호작용` 요인은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친환경적 요인`은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페이스 마케팅의 영향요인들 중에서 재무적 성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호작용`이며, 비재무적 성과의 경우에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tial factors of space marketing and then to empirically analyze how the factors were related to management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such purposes, food and beverage space in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was empirically analyzed through a statistical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wo part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tial factors of space marketing and financial performance, `spatial factor`, `sensuous factor`, `emotional factor`, `brand identity`, and `interaction factor`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Eco-friendly factor` and `differentiated external factor`, however, tuned out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hypothesis 1-"The influential factors of space marketing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was partly supported. In addition, as for the degree of impact of influential factors of space marketing on financial performance, `interaction factor` exerted the largest impact, followed by `sensuous factor`, `brand identity`, `emotional factor,` and `spatial factor`.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tial factors of space marketing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patial factor`, `sensuous factor`, `emotional factor`, `brand identity`, `interaction`, and `differentiated external factor`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Eco-friendly factor`, howev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hypothesis 2-"The influential factors of space marketing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was also partly supported as with hypothesis 1. In the meantime, as for the degree of impact of influential factors of space marketing on non-financial performance, `brand identity` had the most impact, followed by `interaction`, `sensuous factor`, `spatial factor`, and `emotional factor`. In conclusion, `spatial factor`, `sensuous factor`, `emotional factor`, `brand identity`, and `interaction factor` had effects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Eco-friendly factor`, however, had an effect neither on financial performance nor 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among the influential factors of space marketing, `interaction factor` exerted the most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while `brand identity` had the largest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 KCI등재

        다중회귀모형을 활용한 ‘영향요인 연구’의 인과적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용남(Yongnam Kim),이상윤(Sangyun Lee),곽나람(Naram Gwak)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1

        대학입학, 학업중단과 같은 교육적으로 중요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탐색하는 이른바 ‘영향요인 연구’는 국내 교육학 문헌에서 빈번하게 발견된다. 연구자들은 다양한 원인변수들 중에서 실제 영향력을 발휘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교육적 개입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널리 적용되고 있는 다중회귀모형 중심의 영향요인 연구 접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그 인과적 논리와 타당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여러 영향요인 후보군들이 동시에 독립변수로 포함된 다중회귀모형에서 각 독립변수에 대한 회귀계수의 인과적 의미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독립변수들은 상호 간에 영향을 주거나 받을 수 있고, 제3의 공통원인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공통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관찰되지 못한 누락변수가 있는 경우, 이러한 구조적 복잡성은 영향요인 후보를 인과적으로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영향요인 연구들에서 보고되고 후속연구들에서 반복 인용되고 있는 ‘영향요인’ 또는 ‘결정요인’의 인과적 해석에 제한이 있는 이유를 인과그래프를 활용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논의는 통계분석 방법과 최신 인과추론 이론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가 있으며, 현행 교육학 연구방법론의 타당성과 결과 해석에 관한 논의라는 점에서 실제적인 의미도 갖는다. One of the popular approaches to educational research is to investigate multiple influencing factors on an outcome of interest. Researchers ask, “Why do students drop out of school?” or “Why did the math score decrease?,” and try to find potential factors that lead to such consequences. The findings are then used to develop an appropriate policy to intervene to facilitate a desirable outcome or to inhibit an undesirable one. This approach belongs to a type of question referred to as “causes of effects,” which is contrasted to “effects of causes.” Interestingly, many causal inference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former is much more difficult to answer than the latter. However, the theoretical basis for such a belief has not been well discussed in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 field despite the popularity of the approach. Using causal graphs, this article explains why the causal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from many studies on influencing factors cannot be established with certainty. In fact, multiple regression coefficients from a single equation could have different interpretations, such as one as a direct effect and the other as a confounded noncausal association. It is emphasized that with the lack of knowledge of true data-generating process,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rrectly interpret statistical findings in terms of causal validity.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ortance of causal inference for educational research.

      • KCI등재

        기본적 요인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이윤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기본적 요인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간접적 영향과 총영향의 구조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의 기간에 대해 경제요인으로 6개 변수, 산업요인으로 2개 변수, 및 기업요인으로 6개 변수를 사용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변수 중 전산업생산지수, 기준금리, 경상수지, 원/미달러환율, 및 원자재가격지수, 그리고 기업변수 중 기업규모는 주식수익률에 대한 직접영향과 총영향 모두 유의적인 음(-)의 값을 나타내 간접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변수 중 종합주가지수, 산업요인 중 산업별업종지수, 그리고 기업변수 중 장부가/시장가비율, 순이익/주가비율, 및 수익성은 주식수익률에 대한 직접영향과 총영향 모두 유의적인 양(+)의 값을 나타내 간접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변수 중 레버리지비율과 성장성은 각각 주식수익률에 대한 영향이 비유의적인 음(-)과 양(+)의 값을 나타냈다. 넷째, 산업변수 중 산업별생산지수는 주식수익률에 대한 비유의적 음(-)의 직접영향이 유의적 음(-)의 총영향으로 바뀌어 간접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 따라 경제요인, 산업요인, 및 기업요인을 이용해 주식투자 하는 경우, 각 요인변수들 중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고 그 영향방향과 유의성을 고려해 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각 요인변수들의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총영향의 방향과 유의성도 고려해 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변수들의 구조적 영향의 예측과 분석을 통해 투자를 한다면 더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염동기,문상규,박성수 한국취업진로학회 2017 취업진로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대학의 행정시스템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학졸업자들의 취업현황과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취업의 질적·양적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수도권 소재 종합사립대학인 A 대학교의 최근 3년간(2014년~2016년) 대학졸업자 9,631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취업현황을 분석하고,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졸업자들의 취업성과를 취업과 미취업으로 구분하고,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사회경제적 요인과 학교생활요인, 그리고 취업준비요인으로 분류한 후 총 15개의 변수를 선정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취업현황 분석 결과 전공계열 취업자비율은 공학계열, 사회계열, 인문계열, 교육계열, 예체능계열, 자연계열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 신입학자, 정원 내 학생, 교내성적장학금 수혜자, 교환학생 경험자, 경상계열 복수전공자, 의무학기만을 등록한 경우, 인턴십 경험자, 취업지원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취업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집유형, 출신고교지역, 출신고교유형, 복수전공여부의 경우 취업자 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가설검증 결과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하여 전공계열별로 취업성과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성별(남성)과 입학구분(신입학)은 취업성과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생활요인과 관련하여 졸업평점평균은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환학생을 다녀온 경우, 경상계열을 복수전공한 경우가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무학기를 등록한 경우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요인 중 인턴십 경험과 취업지원프로그램 참가 경험은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의 영향력과 중요도 분석결과 인턴십 여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가여부, 전공계열, 경상계열 복수전공 여부, 성별, 입학구분 등의 순으로 영향력과 중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턴십 여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가여부, 경상계열 복수전공 여부 등 개인의 노력으로 변경할 수 있는 변수들이 전공계열, 성별, 입학구분 등 개인의 노력으로 변경이 어려운 변수에 비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나 중요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A 대학교 행정시스템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직관적으로만 파악하였던 변수들의 영향력과 중요도를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개인의 노력으로 변경할 수 있는 변수들의 영향력과 중요도가 취업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대학 차원에서 다양하고 유용한 학생 맞춤형 취업정책과 전략을 수립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the employment status and employment outcomes of university graduates using the data of University A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in employment outcomes. We analyze the employment status of 9,631 university graduates of each year in a three-year-period(2014∼2016). The employment outcomes of university graduate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employed and unemployed, and selected 15 determinants are classified into socioeconomic factors, school life factors, and employment preparation fact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use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method for the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employment, we find that the employment rates by major are the highest in engineering department, social department, humanities department, education department, arts and physical department, natural department in order. Employment rates are high if a graduate belongs to categories of Male, New entrance, Within-entrance, School record scholarship recipients, Exchange student, Economics & business double major, Not exceeded registration, Internship, Participation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 Employment rate differentials are not significant if a graduate belongs to categories of Recruitment classification, High school area, High school classification, Total double major. Second,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we fi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employment outcomes by major. Gender(male students), admission classification(new entrance student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ment outcomes in relation to socioeconomic factors. In terms of school life factors, the higher the graduation average score,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we find that the case of students who went to exchange students and the case of economics and business double major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ment outcomes, but the registration of the excess semester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outcomes. The experiences of internship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job support program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ment outcomes. Third, influences of Internship status, Participation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 Major, Economic & business double major, Gender and Admission classification in employment decis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that can be controlled by individual efforts, such as Internship status, Participation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nd whether they are engaged in Economic & business double major, are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than those that are difficult to be improved at the individual level such as Major, Gender, and Admission classifi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ajor determinants of employment which have been merely understood with intuitional grounds, by providing empirical analysis on official data in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University A. Based on its results, we suggest that various and useful student-tailored employment guidelines be set up at the university level in order to improve university outcomes in employment of its graduates.

      • KCI등재

        스포츠강사의 교직생활 영향요인과 교수관심사 및 전략적 행위의 관계

        문제민,조홍식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1

        이 연구는 스포츠강사의 교직생활 영향요인과 교수관심사 및 전략적 행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스포츠강사를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총 190부의 자료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을 통하여 정규분포성을 검증하였고, 교직생활 영향요인과 교수관심사 및 전략적 행위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각 변인들의 관계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매개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직생활 영향요인과 교수관심사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모델1에서 모델2로 갈수록 교직생활 영향요인이 교수관심사에 대한 영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관심사와 전략적 행위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모델1에서 모델3으로 갈수록 교수관심사가 전략적 행위에 대한 영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직생활 영향요인과 전략적 행위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모델1에서 모델2로 갈수록 교직생활 영향요인이 전략적 행위에 대한 영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직생활 영향요인과 전략적 행위에 대한 교수관심사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매개효과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즉, 교직생활 영향요인과 전략적 행위에 대한 교수관심사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복지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순자,최봉기,서상국 대한지방자치학회 2010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기존의 정책집행 이론으로부터 복지정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집행요인을 도출하는데 있으며, 다양한 정책집행 요인 중 복지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함으로써 정책과정의 참여자들에게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있다. 복지정책의 집행성과를 종속변수로 정책환경요인, 정책자체요인, 정책집행체제요인, 대상집단요인 각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영향력의 우선순위를 검증한 결과 ⅰ) 관련 기관과의 협조체계, ⅱ) 정책내용의 명확성?적실성, ⅲ) NGO(관련 사회단체)의 지원, ⅳ) 통치기관의 지원, ⅴ) 국민?매스컴의 지지 및 관심, ⅵ) 정책집행자의 태도 및 리더십, ⅶ) 정책내용의 일관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책환경요인이 정책자체요인·정책집행체제요인·대상집단요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검증결과는 정책환경요인이 세 요인 모두에게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정책환경요인은 정책집행체제요인, 대상집단요인, 정책자체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