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유형에 따른 어포던스 적용 차이 연구

        김나영,권예은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4

        Since Donald Norman first applied Gibson's concept of affordance to UI design, affordance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elements for good UI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applying the affordance by types of design through case studies, and second, to find the appropriate method of applying the affordance for each design type. Psychologist Donald A. Norman took Gibson's concept of affordance, developed it into perceived affordance, and applied it to design.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science to design is based on the concept of affordanc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and product design.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concept of affordance is actively studied in the field of UI,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but in the package design field prior studies have not been made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possibility of new ideas by types of design, especially in UI design and package design through the adaptation of affordance. In other words, the study attempts to find the method to apply affordance in design effectively and to expand the diversity of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design by adding cognitive information to design. 도널드 노먼이 깁슨의 어포던스 개념을 처음 UI 디자인에 적용한 이래 어포던스는 좋은 UI 디자인을 위한 필수 요소 중 하나로 간주되었다. 본 연구는 어포던스 개념이 디자인에 적용될 때 텐저블한 미디어와 인텐저블한 미디어인 디자인 유형에 따라 어포던스 적용 방법에 차이가 있는지를 사례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각 디자인 유형에 적합한 어포던스 적용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어포던스를 디자인적 사고로 적용한 심리학자 도널드 노먼(Donald A. Norman)은 깁슨의 어포던스 개념을 받아들여 ‘지각된 어포던스’로 발전시키고,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인지적 측면에 대한 디자인 적용은 심리학을 기본으로 건축·제품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어포던스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조사한 바에 따르면 UI 및 건축과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에서는 어포던스 개념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Package 분야의 선행연구는 아직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UI 디자인 및 Package 디자인에 있어서 미디어별 새로운 발상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행위 가능성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그 가능성이 전달되는 방법적인 측면을 보다 강조하여 어포던스 개념을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인지적 정보를 디자인에 부여함으로써 디자인과 인간의 소통 다양성을 확대하고자 한다. 디자인의 형태 부여에 있어 조형적인 측면 외에 인간의 인지적 측면을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하고자 한다. 인간의 인식과 지각이 어떤 행위를 유발한다는 어포던스 개념을 UI에 적용된 원칙(Principle)을 기준으로 Package 디자인에 적용함으로 제품은 제품을 사용하고 구매하는 사람들과 새로운 관계를 설정하게 된다. 인간의 인지(Cognition)와 경험의 보편성을 바탕으로 특정한 행위를 유발하는 디자인을 창안하고, 이를 디자인 전반적인 분야에 적용하여 그 표현 영역을 확대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기호적 어포던스에 관하여

        노양진 범한철학회 2019 汎韓哲學 Vol.95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offer an experientialist account of the way Gibson’s notion of “affordances” works in symbolic level of experience, whereby suggesting a new conception of “symbolic affordances.” Gibson argued that the physical conditions of environment afford animals in it certain types of behavior or action, and coined a term “affordances” for such forces or functions. Gibson tends to lean toward a form of realism, by largely focusing on the influences that physical conditions exert to animals’ actions. Drawing on the experientialist distinction between physical experience and symbolic experience, I will show that affordances in symbolic experience work as a strong constraint both in creating and interpreting signs/symbols, if not as strong as Gibson supposed. Symbolic experience comprises sign/symbol making and sign/symbol interpretation, and both processes involve the cognitive mechanism called “symbolic mapping.” In symbolic experience, we map part of some given experience-content onto a certain signifier, and thereby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the signifier in a new way. In this picture, in principle, symbolic mapping is in nature a private cognitive process open to unlimited variations. However, I would argue that symbolic mapping is, in practice, strongly constrained by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signifier. I would name such constraining power “symbolic affordances.” Here “constraint’ does not mean a one-to-one match. It means that it limits the range of interpretations within the range of our understanding. It seems apparent that affordances in symbolic experience are far weaker than Gibson generally assumed. Nevertheless, the workings of symbolic affordances in symbolic experience seems evident enough to assure and explicate the experientialist thesis that symbolic experience is highly constrained by physical experience.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깁슨(J. Gibson)이 제안했던 어포던스(affordances) 개념이 기호적 경험 층위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체험주의적 시각에서 해명하려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해명을 통해 기호적 경험에서 작동하는 어포던스를 ‘기호적 어포던스’로 개념화하려고 한다. 깁슨은 특정한 물리적 조건이 우리에게 특정한 행동을 유발한다는 사실에 주목했으며, 물리적 조건이 갖는 이러한 힘을 ‘어포던스’라는 말로 개념화했다. 깁슨이 제안하는 어포던스는 대체로 물리적 조건이 우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것을 근거로 강한 실재론적 입장으로 나아간다. 필자는 체험주의적 시각을 따라 우리 경험을 물리적 층위와 기호적 층위로 구분하며, 기호적 층위에서 작용하는 어포던스가 깁슨이 가정하는 것처럼 적극적인 결정력을 갖지 않지만 여전히 강력한 제약으로서 작동한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기호적 경험은 ‘기호적 사상’이라는 우리의 인지적 기제를 통해 구성된다. 즉 우리는 우리에게 이미 주어진 경험내용의 일부를 특정한 기표에 사상하며, 그 사상된 경험내용의 관점에서 그 기표를 새롭게 이해하고 경험한다. 이러한 구도 안에서 기호적 사상은 원리적으로 개개인에게 열려 있는 사적 인지과정이다. 그러나 필자는 이러한 기호적 사상이 ‘기표’의 물리적 조건에 의해서 여전히 강하게 제약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그 작용을 ‘기호적 어포던스’라고 부르려고 한다. 여기에서 제약이란 물리적 조건이 기호적 해석을 일대일로 결정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우리의 해석이 이해 가능한 폭으로 제약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호적 어포던스 개념은 최근 무제약적 해석 가능성을 주장하는 ‘과도한 해석주의’의 급진적 주장이 왜 부적절한지를 보여 줄 것이다. ‘기호적 어포던스’ 개념은 깁슨의 어포던스 개념을 기호적 경험 층위에서 구체화하려는 것이며, 그것은 다시 기호적 경험이 물리적 경험에 의해 강력하게 제약된다는 체험주의적 주장에 대한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확장적 해명의 한 시도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심미적 어포던스를 기반으로 한 공공사인 선호도 해석

        조현주(Hyun Joo C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거리의 정보매체인 공공사인은 정보유용성을 핵심가치로 하는 가로시설물이다. `통합디자인`을 추구하는 공공사인 사업들은 디자인 일관성과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했으나 거리의 경관요소로서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치는 간과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경관요소로서 공공사인의 정보특성을 재조명하며, 경관과 지각자의 상호관계에서 발생하는 심미적 평가가 개입되는 `어포던스` 개념을 도입하여 공공사인에 내재된 역동적 특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연구자는 공공사인의 인지를 생태지각적 어포던스에서 더욱 확장된 개념인 `심미적 어포던스`로 파악한다. 심미적 어포던스는 경관으로서 공공사인을 대면하는데 있어 보행자의 `선택적 능동성`이 발휘된다는 입장을 취한다. 경관으로서 공공사인은 심미적평가의 대상이 되며 선호도를 형성한다. 평가는 `참여`로 이어지며 `관여`,`협력`의 행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심미적 어포던스에서는 보행자의 참여수준이 비교적 다는 것이 연구의 가설로서, 심미적 어포던스를 적용할 수 있는 공공사인 사례를 해석하였다. 또한 어포던스 외적인 요인인 거리의 장소성, 역사적 맥락은 공공사인을 구성하는 외적 정보로서 심미적 어포던스를 지원한다. 공공사인에서 `심미적 어포던스`는 이러한 총체적인 인지를 통해 드러난다. 본 연구는 공공사인의 심미적 어포던스를 해석함에 있어 정보명료성의 적절한 고려, 가독성의 조절, 주변 경관과 시각적 연속성 확보를 위한 구조물의 크기 축소, 역사적 맥락과 장소적 특성 개입으로 인한 다양성의 특성을 수렴한다. 심미적 어포던스는 보행자와 관여의 정도, 참여의 정도, 협력의 정도에 따른 관계를 형성하며 `참여`와 `협력`의 정도가 높은 사인일수록 보행자의 능동성을 높이며, 경관의 미적평가 및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심미적 어포던스로 인하여 공공사인을 통한 보행자의 능동적 탐색이 이루어진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Public Signage that has importance about information usability is also, act the Street Scape. I the researcher, propose the public signage as `Scape` and, revealed the dynamic character of information into public signage as `Affordance` between scape and perceiver. So, `Aesthetic Affordance` is needed for introducing cognitive ecological information in public signage. In street, `Aesthetic Affordance` is laded as `Collective ctivity` when the pedestrian gain the information through the public signage. For the conclusion, I collected three case of public signage systme and analysis the Affordance of these. Optimal conditioning of information clarity, optimal legibility, keep the environmental harmony for visual continuity, interference of historic context and site-specificity are the characters of `Aesthetic Affordance` in signage. Public signage is concerned with cognitive influence. That is degree of Involvement, degree of Collaboration, degree of Participation about relationship with pedestrian. High degree of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is increase pedestrian`s activity and, optimistic influence about aesthetic valuation. Therefore the conclusion is that public signage has active exploration through Aesthetic Affordance.

      • KCI우수등재

        이머시브 연극(Immersive theatre) 공간의 어포던스(Affordance) 연구

        전순열 인문콘텐츠학회 2024 인문콘텐츠 Vol.- No.72

        이머시브 연극은 20세기 이후 일명 포스트드라마 연극으로 소급되는 다양한 탈(脫)극장과 탈(脫)텍스트의 적극적인 실천 중의 하나로, 무대와 객석의 중첩된 환경의 구성과 관객이 직접 참여하며 내러티브와 가치를 생산해 가는 연극의 형 태 전반을 포괄한다. 나아가 이는 더 이상 소수의 아방가르드적 실천이 아닌 대 중성과 상업성까지 확보되고 있으며, 지금 이 순간에도 관객의 몰입을 위시한 다 양한 이머시브 형태의 공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환경심리학자 제임스 깁슨의 ‘어포던스’개념은 공간이 인간의 특정 행위 를 유도하고 지원하는 일종의 ‘환경의 성질’로서 인간은 이를 통해 비로소 공간 을 깊게 지각하게 된다. 그리고 관객의 완전한 몰입을 추구하는 이머시브 연극에 접근함에 있어 공간이 관객에게 제공하는 어포던스와 이로부터 발생하는 수행적 상호작용은 또 하나의 의미 있는 관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이머시브 연극의 공간에서 발견되는 어포던스의 유형은 총 세 가지로, 첫 번째 관객의 능동적인 참여의 토대가 되는 ‘구조적 어포던스’, 두 번째 관객의 다 감각적 체험을 통해 높은 수준의 현전감을 유도하는 ‘감각적 어포던스’, 마지막 세 번째, 관객의 수행과 실제 서사의 진행이 연결되는 ‘대응적 어포던스’이다. 이머시브 연극이 무엇보다 ‘공간적인 몰입’을 추구하는바, 공간이 관객에게 제 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행동 유도성 즉, 어포던스는 해당 연극의 공간을 바라봄에 있어 관객의 깊은 몰입을 강화하고 이끌어내는 효과적인 장치로 기능하며, 이를 통해 끊임없이 진화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머시브 연극에 또 하나의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 Immersive theatre, also known as Post-dramatic theatre since the 20th century, is one of the active practices of various forms of deconstructive theater and deconstructive text, where the environment of overlapping between stage and auditorium is constructed, and the audience directly participates in generating narratives and values t​h​roughout the form of theater. Furthermore, it is not only an avant-garde practice of a minority anymore but has also secured popularity and commerciality. Even at this moment, various immersive forms of performances aimed at audience immersion are actively taking place. Meanwhile, the concept of "Affordance" by environmental psychologist James Gibson refers to the properties of the environment that induce and support specific human actions, with humans perceiving space more deeply through them. In the pursuit of complete audience immersion in immersive theatre, the affordances offered by the space to the audience and the resulting performative interactions can also serve as another meaningful perspective. In immersive theatre, three types of affordances are identified in the space: firstly, "Structural affordance," which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audience's active participation; secondly, "Sensory affordance," which induce a high level of presence through the audience's multisensory experiences; and finally, "Mapping affordance," where the audience's actions are linked to the progression of the actual narrative. As immersive theatre primarily pursues "spatial immersion," the various types of affordances offered by the space to prompt different types of behaviors in the audience enhance and lead to deeper immersion in the theatrical experience. These affordances serve as effective mechanisms in shaping and evolving various forms of immersive theater, providing another perspective on how they continually evolve.

      • KCI등재

        UI 디자인 어포던스 속성이 사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메타분석 연구

        정경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2 No.3

        본 연구는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되는 UI 디자인 어포던스가 사용자의 긍정적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선행 연구들이 연구 대상과개입방법의 차이로 인해 결과에 이질성이 존재하는문제를 해결하고, 어포던스의 구성 요소가 각기 다른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지적 어포던스는r=0.575(p=.000), 물리적 어포던스는 r=0.485(p=.000), 감각적 어포던스는 r=0.604(p=.000), 기능적 어포던스는 r=0.549(p=.000)로서 유의미한 양(+)의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UI 디자인 어포던스가 사용자 태도에미치는 영향은 감각적 어포던스 > 인지적 어포던스> 기능적 어포던스 > 물리적 어포던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존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의 차별화를 보였으며, 특히 감각적 어포던스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색채, 음성, 타이포그래피 등 감각적 요소에 집중함으로써 UI 디자인의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UI 디자인 어포던스가 사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통해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향후 UI 디자인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UI design affordances applied to various products and services on forming positive user attitud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issue of heterogeneity in results due to differences in research subjects and intervention methods in existing studies, an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varying influences of affordance components. To achieve thi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cognitive affordances had an effect size of r=0.575 (p=.000), physical affordances r=0.485 (p=.000), sensory affordances r=0.604 (p=.000), and functional affordances r=0.549 (p=.000), all showing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Thus, the influence of UI design affordances on user attitudes was found to be in the order of sensory affordances > cognitive affordances > functional affordances > physical affordan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tands out from previous research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existing results and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sensory affordances. This suggests the necessity to focus on sensory elements such as color, sound, or typograph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UI desig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ly useful insights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impact of UI design affordances on user attitude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future UI design strategies.

      • KCI우수등재

        언어적 존재론과 기호적 어포던스

        김혜영(HyeYoung Kim)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7

        이 글의 목적은 언어적 존재론의 시각에서 예술의 해방을 주장하는 해석이론들의 과도성을 체험주의의 ‘기호적 어포던스’ 개념으로 완화하려는 데 있다. 근대 이후 예술의 해방을 주장하는 의미론적 미학이론들은 철저하게 ‘탈신체화된 언어/기호’의 관점에서 ‘해석’을 통한 개념적 사고의 영역만을 강조함으로써 과도한 해석이론이라는 귀결을 낳는다. 특히 가다머의 해석학적 예술철학은 ‘언어의 사변성’에 의존하고 있는 해석이론을, 단토의 ‘철학하는 예술’ 개념은 ‘예술계의 비평’으로 이루어지는 해석이론을 주장하는데, 그 시각은 여전히 예술의 언어가 아니라 철학의 언어로 예술을 규정하려는 탈신체화된 언어를 가정하고 있다. 필자는 예술에서의 인지적 경험은 옹호하지만, 그 경험은 몸의 불투명성을 긍정하는 신체화된 기호이론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본다. 지난 철학사에서 예술이 비인지적인 영역으로 타자화되었던 근원적인 이유는 순수한 마음 중심의 철학으로부터 정서와 느낌을 비롯한 신체화된 경험이 지적 영역에서 철저하게 배제되었다는데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체험주의의 기호적 어포던스 개념을 중심으로 예술작품의 해석이 기표, 즉 그 예술작품의 물리적인 조건에 강력하게 제약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예술기표에 함축되어 있는 기호적 어포던스가 작가와 독자 사이에 소통이 가능할 수 있는 ‘해석의 폭’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해명은 언어적 실재론이 보여 주는 이론의 과도성을 완화하고, ‘신체화된 언어로서의 예술’ 개념을 회복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examine the radicality of hyper-interpretationalism, which declares the liberation of art, and to suggest how its radicality can be relieved by the experientialist conception of “symbolic affordances.” In the age of postmodern philosophy, the radicality of interpretation theories, while concerting aesthetics into a theory of meaning, gave rise to another worry about the nihilism in interpretation. It is because they depend throughly on the concept of disembodied languages/signs, while solely focusing on making different interpretations at the level of conceptual thinking. However, such claims invite the charges of linguistic ontology which adheres to the disembodied languages/sings, thereby defining art in terms of intellectual language, rather than by the language of art itself. Consequently, their languages/signs shall disregard the size of interpretation, and thus, the domain of art has been regarded as the non-cognitive, i.e. “the othering.” That is largely because intellectual philosophy has ignored the bodily aspects of emotion or feeling, thereby expelling the role of art from the domain of knowledge. Drawing on the experientialist conception of “symbolic affordances,” I argue that the interpretation of a work of art as a signifier is significantly constrained by its physical makeup of the work. Although symbolic experience is affected by natural, social, cultural environments, it is always grounded in our bodily/physical level of experience, and thus significantly constrained by it. In this picture, I stand up for the cognitive nature of art, but at the same time suggest that our experience should be elaborated in terms of embodied languages/signs. Accordingly, I argue that the radicality of disembodied linguistic ontology can be relieved by returning to a “size of interpretation,” drawing on the experientialist account of “symbolic affordances.” Furthermore, this paper will show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recovering the concept of “art as the embodied languages.”

      • KCI등재

        ‘미시권력의 어포던스’에 따른 움직임과 감정의 수행적 변환

        최정근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 No.42

        연구자는 ‘미시권력의 어포던스(affordances of micropower)’를 제안함으로써 관객의 움직임과 감정의 수행적 변환을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미시권력의 어포던스가 관객의 ‘움직임-감정 피드백 고리(movement-emotion feedback loop)’를 형성한다고 주장하였고, 아울러 수행성의 미학에서의 감정 논의의 한계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주장을 펼치기 위해 미셸 푸코(Michell Foucault)와 제임스 깁슨(James Gibson)의 개념 그리고 행화주의적 감정론(enactive approach to emotions)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를 진행하였다. In this study, I discussed the performative transformation of an audience’s movements and emotions by proposing “affordances of micro power.” Specifically, I argued that the affordances of micro power form a movement-emotion feedback loop. In addition, I also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performative aesthetics regarding emotions. To make this relevant argument, I examined concepts of Michel Foucault, James Gibson, and the enactive approach to emotions.

      • KCI등재
      • KCI등재

        디자인 요소·속성 항목에 따른 어포던스 유형과 중요도

        김태선(Taesun Kim),조규락(Kyoo-Lak Cho)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2

        사물인터넷으로 대변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앰비언트 환경의 구축은 사용자의 온오프라인 통합경험의 중요성의 증가를 예고하고 이 같은 변화는 사용자에게 일상의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정확한 지원을 위한 설득기술 개입을 의미한다. 이에 자연스러운 사용자 행동유도를 위한 방법모색의 차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요소와 속성에 내재된 관련성이 높은 어포던스 유형과 해당 요소·속성 항목의 중요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어포던스 관련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어포던스 전문가 6명에 대한 초점집단 인터뷰를 통해 어포던스 분류, 스마트 폰의 UI 디자인 요소·속성에 등을 논의하고 델파이조사에 사용할 설문지를 개발했다. 이후 다학제적 관점에서 29명의 어포던스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어포던스 유형과 디자인요소·속성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했다. 디자인요소와 속성에 의한 항목별 대표 어포던스 유형과 중요도 평가결과에서 흥미로운 점은 다음과 같다. 대다수의 디자인요소·속성 항목들은 인지적 어포던스, 감각적 어포던스, 물리적 어포던스 중 2-3개의 대표 어포던스 유형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일한 어포던스 유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 디자인요소·속성 항목의 경우, 해당 모든 항목의 어포던스 중요도가 평균 중요도 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것은 디자인요소·속성 항목과 어포던스 유형은 일 대 일 대응관계 보다는 일 대 다수의 관계일 때, 어포던스의 상대성과 상보적 특성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행동기회 제공의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서로 다른 특성의 어포던스 양립이 일반사용자집단에서도 동일하게 유효한지의 여부, 그러한 양립을 통해 증가되는 상보성의 정도, 상보성의 패턴 등을 실험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Ubiquitous computing and ambient environment based on IOT technology predict growing importance of integrated user experience by connecting online and offline experience. This environmental change requires persuasive intervention to provide users necessary, exact supports wherever and whenever they are during their day-to-day lives. Thus, to seek to find a way of guide users’ actions intended, which is affordance, this study aims at specifying a certain affordance type associated with design elements and properties and investigating its importance.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employ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6 affordance professional working in different domains such as industrial · visual design, education, and computer science and the Delphi method with a panel of 29 affodance experts in those areas. The interesting finding from the research was as follows; most items of combining design elements and properties had 2-3 affordance types among cognitive, sensory, and physical affordances and rest of them having a affordance type had relatively lower importance points than average points. It can be interpreted that one to many relationship, rather than one to one, between the combination items and the affordance type, may have higher action possibilities, which is better affordance, based on its’ relationality and complementarity. This paper only focused on investigating which affordance type a design element and property is associated with affordance experts. As future work, it could be interesting to study the problems from heavy or light users’ perspectives. Another set of features would be interesting to analyse like those that are amount of importance of relationality, and, if any, pattern of complementarity.

      • KCI등재

        지능공간의 어포던스 속성 분석과 체계화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양영훈,고성룡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지능공간에 대한 인간 중심적 디자인 방법론을 찾기 위한 바탕으로서 지능공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어포던스 속성들을 도출하고 체계화 하는 것이다. 어포던스는 이용자에 대한 행위 지원성을 의미하며, 공간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지능공간을 디자인하려면 어포던스의 구체적인 속성들을 먼저 규명할 필요가 있다. 지능공간의 어포던스 속성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지능공간, 이용자, 지능공간과 이용자 간 상호작용의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근거이론 연구 방법론을 원용한 분석 과정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18개 범주에서 총 49개의 어포던스 속성을 도출하고 체계화 하였다. 이 어포던스 속성들은 이용자의 행위 절차를 지원하는 내용과 체계를 가진다. 그리고 지능공간의 디자인, 사후 디자인 평가(PDE), 재설계(Redesign) 등을 위한 하나의 개념적 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nd systematize attributes of "affordance" which can be in smart space as the ground for finding human-centered design methodology on smart space. "Affordance" means supportiveness for a user's behaviors, and affects the user's satisfaction with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specific attributes of affordance in order to design smart space which users are satisfied with. Smart space, user, and interaction between them were drawn as elements which affect on forming the attributes of affordance in smart space. On the basis of these elemen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ology. As a result, total 49 attributes of affordance in 18 categories are drawn and classified. These attributes have contents and systems which support users' behavior processes in smart space. These attributes can be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sign, PDE(Post-Design Evaluation), and redesign of smart space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