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용적 디자인 관점의 신체생활기능 분류‧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신체기능 분류‧평가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김태선,조재경,Kim. Taesun,Cho. Jaekyung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2

        고령사회, 위험사회 등 사회변화를 볼 때, 종래의 산업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디자인 개발풍토에서 벗어나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 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포용적 디자인의 적용을 위한 도구개발의 차원에서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에 문헌연구와 내용분석법을 통해 포용적 디자인의 의미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용적 디자인의 관점에서 핵심적 신체 기능인 신체생활기능을 정의했다. 그리고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의 개발방향 도출을 위해 대표적 신체기능 분류 및 평가체계를 조사, 분석했다. 대표적 분류 평가체계로는 한국장애분류 평가,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 평가 맥브라이드 신체장해 분류 평가, 사이먼 키츠와 존 클락슨의 분류 평가, (도구적)일상생활수행능력 평가체계를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분류체계에 대해서는 ‘감각기능, 정신 언어기능, 운동기능’ 중심의 구성, 다 른 신체기능 분류체계와의 연계성 확보, 디자인을 넘어 다른 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범용성의 확보를 개발의 방향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 도출결과를 종합하면, 국제표준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범분야적 활용 가능성이 확보된 ‘국제기능 장애 건강분류’를 바탕으로 기능을 선별하는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평가체계의 경우, 상황 동작 묘사적 표현에 의한 직관적 척도, 비장애 기능제약 손상 수준의 신체능력 정도를 포함하는 평가범위, 척도항목 간 위계와 함께 (숫자 등에 의한)능력 총합점수의 제시가 필요함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용적 디자인의 도구로써의 신체생활기능분류 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 이에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이것은 향후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의 개발에 활용될 때 실제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신체 생활기능 분류 평가체계의 개발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Such as aging society, risk society and so on, societal changes asks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industrial design approach concerning industrial benefits more into new approaches as alternatives. In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boost and create a tool for inclusive design, this study aims to suggest guidelines to develop a comprehens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ainly through adopting literature review and analytical method, understood meaning and ethos of inclusive design. Then, comprehensive body function, playing core roles in using products, was defined and representat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s were analyzed. Finally, having this knowledge and information, guidelines for the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of comprehensive body function were drawn. As representative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s, Korea disability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Mcbride evaluation system of permanent impairment, Simeon Keats and John Clarkson system, (Instrumental)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chosen and analyzed. As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system, it would be needed that consisting of ‘sensory-mind and language communication-motor functions’, acquiring consistency with other disability/body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generality used in other areas beyond industrial design. It demonstrates that effective could be an approach selecting the core functions from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which was developed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system, it would be necessary that promoting intuitive understanding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scales, comprehensive evaluation range including minor impairments, numeric total scores(grades) of body functioning besides hierarchy between scales. As fundamental resour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helpful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Thus, this study could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creating inclusive design tools. However, this menas all of the finding in this study could be valuable when they are used for the comprehensive system. Hence, executed should be a follow up study developing the comprehensive bod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system.

      • KCI등재

        자율주행과 데이터보호

        김태선(Kim, Taesun)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4

        다양한 데이터의 수집·이용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 및 기술개발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들 데이터 중 많은 것들이 사람의 영상이나 위치 정보 등 개인정보에 해당 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여러 법률상 적법한 수집·이용을 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하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차량 위치정보는 다른 정보와 결합하여 차량 운행자를 식별할 수있다면 개인위치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위치정보의 수집은 현행 법률에 따르면 정보주체의 동의에 의해서만 수집할 수 있다. 보행자의 개인위치정보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동적 정보라는 개인위치정보의 특성상, 그 정보가 축적된 기간과 양에 비례하여 정보의 민감도도 달라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모든 개인위치정보를 일률적으로 취급할 것은 아니고, 정보의 양태에 따라 그 법적 보호에서도 차이를 둘 수있는 여지가 있을 것이다. 또한 정보주체와 정보관리자의 여러 이익을 형량하여 사전 동의 없이 개인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합리적이다. 더불어 개인정보보호법, 위치정보법, 정보통신망법 등 여러 중복된 내용을 둔 법률들을 정리하여 수범자들이 규제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을 위한 필수 정보의 수집은 보통 그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이용자의 동의에 기반하여 수집되므로, 이용자의 형식적 동의가 있었는지가 문제의 핵심이 될 수 없다. 해외 동향을 살펴볼 때, 위와 같은 사안에서는 사이버 보안 등 이용 자의 정보를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기술적 설계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있음을 알 수있다. 나아가 이러한 규범들은 가이드라인, 지침 등 연성법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고 그러한 규범을 형성하는 과정에 다양한 주체와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술의 발전 속도와 과거에는 예상치 못한 새로운 문제들이 출현함을 감안할 때, 우리 역시 바람직한 기술 설계의 방향과 여러 법익간의 적절한 균형점을 찾는 과정에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고, 이를 기존 법률의 열린 공간에 담아낼 필요가 있다.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data is inseparable from the oper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s. Many of these data ar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person s video or location information, and need a basis for legitimat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nder various laws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of autonomous vehicles, combined with other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if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be identified. The collection of such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can only be obtained with the consent of current law. The same is true of pedestrians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as dynamic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treat it differently in proportion to the accumulated period and amount.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leave open the possibility of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or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prior consent by sentencing the various interests of the information subject and the information manager Furthermore, it would be desirable to reorganize laws with overlapping contents, so that people can get a clear picture of the regulations. When looking at overseas trends, technical design will be important to safely handle users information, such as cybersecurity. Given the pace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the emergence of new and unexpected problems in the past, we need to involve various actors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proper balance between the direction of desirable technology design and the various legal benefits, and to incorporate it into the open space of existing law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고령자집단과 청장년 집단 간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기능사용의 지각된 용이성 차이

        김태선(Kim, Taesun)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5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사회적 부담으로 부정적 인식이 강하지만, 고령이 된다는 것은 현대 의료기술 발전에 따른 인류의 성취이다. 또한 고령자의 경험은 사회적 차원에서 볼 때, 활성화 환경을 통한 사회환원의 가치가 있는 자원이다. 한편 디지털 기술 기반 환경의 확장은 고령자의 디지털 제품·서비스 사용에 대한 논의 필요성을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사용에 있어서 고령자집단과 청장년집단 간의 지각된 용이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고령자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비배제적 개선방향의 도출을 목적으로 했다. 이에 고령자 집단 33명과 청장년집단 42명에게 2종의 스마트폰의 커뮤니케이션 기능관련 과제를 수행하고 자기보고식으로 설문에 응답하도록 했다. 응답 분석결과, 고령자 집단의 지각된 용이성은 대부분의 정신·신체기능에서 더 낮게 평가되었고, 특히 인지기능이 필요한 기능에서 차이가 가장 컸으며, 사용경험이 있는 경우, 순간자극이라 할 수 있는 청각 피드백 기능에 있어서만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두 집단 간 지각된 용이성의 불일치는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기능의 사용에서 고령자를 포용할 수 있는 비배제적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말해준다. 사용경험이 있을 경우, 그 지각된 용이성의 유형을 줄일 수 있지만, 순간 정보인 청각피드백의 보완필요성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디지털 기반 환경이 우리 삶의 중요한 부분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고령사용자들이 마주하는 문제에 집중했다는 점에서, 장애인과 또 다른 기술 취약 계층을 위한 연구로써의 가치를 가진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고령자 등 기술 소외 계층을 위한 시스템 구상에 참조할 수 있다. Because unprecedented fast pace of population aging does not allow set-up time to the change, population aging is considered burden but living longer as victory of medical technology is worthy celebrating. To take benefits of longevity, we need to make enabling environment for older people to allow their active social participation. Mean while, as digital technology has aggressively diffused into our everyday environment and thus is popular, it needs to discuss prudently the matter of increasing use of digital devices and service by older people.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differences of perceived ease-of-use between young adults and the elderly when they use communication functions of smart phones in aspects of level of mental and body functions and then drawing non-exclusion measure to improve ease-of-use of older people. To figure out the degrees of mental and body functions required to text message and call, 75 participants(42 young people and 33 older people) were asked to answer to survey questions right after completing communication-related task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group of older people generally have greater difficulties than the group of young people. interesting points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re greatest when they use functions needing cognitive capacities and when both have use experience of smart phones, the differences are observed at only auditory functions as instant stimuli. The disparity of perceived ease-of-use between the groups tells us that non-exclusion development is necessary to include older citizens and because use experience is helpful to reduce overall task difficulties except sound related function, auditory feed back should be reinforced. The findings can be applicable to develop technologies and devices for some minorities like the elderly excluded from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포용적 디자인 관점의 적정인구 산출을 위한 신체생활기능 평가 항목 및 평가 단계 개발

        김태선(Kim, Taesun)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5

        신체적 기능손상 또는 장애 경험의 가능성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기능약자를 배려하는 포용적 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한 기반조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에 포용적 디자인의 적정인구 산출에 필요한 도구개발에 있어 하체운동기능에 초점을 둔 신체생활기능의 평가도구개발을 목적으로 했다. 대표적 하체운동기능 평가도구에 대한 고찰과 분석 등을 통해 예비 평가항목과 문항을 도출했다. 도출결과의 내용타당성 검증을 위한 재활의학과 전문의 5인 대상의 서면 면담조사 결과, 내용적 타당성은 확인되었으나, 점수화 등 문항 간 위계 이상의 결과를 도출하기엔 기존 참고자료, 연구 등의 부족으로 평가의 어려움 등이 지적되었다. 이에 평가문항의 간소화 등의 수정 보완을 통해 최종 평가항목과 문항을 도출하고 재활의학과 전문의, 정형외과 전문의 총 58명 대상의 서면 설문조사를 통해 문항별 능력도를 산출했다. 능력도 산출을 위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 응답자의 전문성에 따른 높은 의견 일치로 각 문항별로 특정 값에 의견이 집중되면서 자료의 편향성에 따른 비정규분포를 나타냈다. 자료 분포의 비정규성과 보수적해석을 선호하는 의학분야의 특성을 반영해, 각 문항별 능력도를 위한 대푯값으로 중앙값을 선택하고 이에 대한 신뢰성확보를 위해 비모수통계의 켄달의 일치도 검정을 실시하고 응답자간 의견의 일치정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신체기능약자를 위한 디자인적 접근이 필요하지만 비장애 기능손상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의학적 전문지식이 없는 디자이너들이 상품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의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기능손상 제약에 따른 심적 어려움 등의 반영을 위해 의학전문가 대상의 설문을 통해 결과를 도출함에 따라 전문성에 근거한 판단이나 주관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시간과 비용의 한계로 신체생활운동기능 중, 하체운동기능에 초점을 두고 있어, 다른 기능들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신체기능의 특성을 반영하기에 제한적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결과물로써, 실증적 연구와의 비교 등을 통해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향후, 근력측정 등 기계적 측정 등을 통한 도출결과의 비교연구 등, 본 연구결과와 함께 종합적 접근과 개발된 평가도구의 실제적 적용을 통해 비장애 기능제약 손상자의 구분 가능성 등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손조작, 상체운동기능 및 감각기능영역, 정신 언어기능영역에 대한 연구로 그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신체생활기능 평가의 전체적 틀을 완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참조자료 부족 등을 고려할 때, 산업적 활성화 이전에, 활성화를 위한 기반구축 등의 차원에서 관련 연구에 대한 학계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용적 디자인 및 관련 도구개발 등을 촉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increase people suffering functional impairment with the advent of Risk Society and aged society, this study try to create foundation to invigorate inclusive design considering them.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to calculate appropriate population, focusing on the lower body affecting locomotion in terms of inclusive design. Through analyzing representative assessment tools of lower body function, preliminary assessment items were derived. To confirm content validation, paper interview with 5 physiatrists and orthopedic surgeons was executed. From the interview, while confirming the validation, some problems were found in scoring the hierarchical items since the lack of reference information concerning the non-disabled, functionally impaired. By reducing the number of the items meaning the functional capacity levels and mitigating the defects in terms of expressions, finalized assessment items were drawn. To obtain representative scores for each assessment item, functional capacity leve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8 physiatrists or orthopedic surgeon. Collected from the survey, the data were not normally distributed. Reflecting the non-normality of data and conservative tendency of themedical domain dealingwith human health issues, as the representative scores of the items, decidedweremedians located between means and modes, avoiding the extremities. Because Kendall's coefficient values, W‘s, were higher than .9(p<.000) from Kendall coefficient concordance test to confirmreliability of the representative scores, therewere greatly high agreement of respondents in the hierarchy. The results will be useful in estimating appropriate population as a part of building supportive environment for inclusive design. In addition, when new product designs related with locomotion are planed, as a referential standard, the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design requiring capacity of the motor functions. However, this results could have limits from a theatrical research.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o execute empirical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ssessment system.

      • KCI등재

        사용자 경험 조사를 통한 포터블 덴탈 엑스레이기기 디자인 개선방향

        김태선(Kim, Taesun)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4

        인간의 기대 수명 증가와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관심 고조를 배경으로 의료행위의 패러다임은 치료를 넘어 질병 예방 및 건강관리로 확대되고, 환자안전 및 의료사고 문제와 기기의 사용오류와의 관련을 인식하면서 의료기 개발에서 사용성 검증이 의무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용 이동형 방사선 촬영기기 개발에 있어 사용자 관점의 반영과 사용편의성 제고를 위해 사용성 평가 및 분석을 통해 제품개선방향을 도출했다. 사용자 만족도 수준의 측정을 위한 설문지는 예측된 사용성과 경험된 사용성 측정을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해당 설문지를 활용해 UX 디자이너 1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는 비모수 통계검증에 의한 정량적 방법과 관찰·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한 정성적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예측된 사용성 평가에서 카메라 타입 제품 2종과 건타입 제품 2종에 대한 사용전 만족도 비교를 위해 크루스칼-왈리스 검증, 사후분석 차원에서 본페로니 보정법 적용 후, 만-휘트니검정을 실시한 결과, 카메라 타입과 건타입 제품 간에 순위차이가 확인되었다. 경험된 사용성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스피어만 순위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갖는 요소는 거치대와 방향조준으로 확인되었고, 이 두요소와 상관성을 갖는 요소로는 기기무게, 효과음, 촬영버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성적 평가에서 수집된 이들 요소에 대한 사용자 의견을 바탕으로 개발, 개선방향을 도출, 제안했다. With increasing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and growing interest in the healthcare industry, the paradigm of medical practice extends, rather than staying at treatment, to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management. As aware that patient safety and medical incidents are possibly from poor device design,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have been asked to implement usability examination in their medical device development process. Hence, this study aims at drawing development direction of portable dental radiography equipment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usability tests to reflect users’ point of view. User experience of the device was measured with a working prototype and a questionnaire developed through reviewing and refining questions with four UX designers. Using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of expected usability to figure out preference of gun type products to camera type products, and experienced usability to find out users’ level of satisfaction in using the prototype, ten UX designers gather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were surveyed. During the survey, they were asked to answer to the questions right after performing given tasks by specific use flow of the product, were observed by our research team and interviewed about why they did certain behaviors or gestures. In the expected usability part, the results of a Kruskal-Wallis test and a Mann-Whitney test with the Bonferroni correction method for the verification of post-analysis confirmed difference in ranking between two camera type and two gun type products. In the experiencef usability part, the results of a Spearman Rank Correlation test identified two factors of collimation and the cradle both of which have the same influential factors of device weight, effect sound, and the shooting button. Accordingly, focusing on the five factors, more specific directions of development and improvement were derived and suggested based on user opinions from interview and observation.

      • KCI등재

        음식 주문·배달 앱 정보탐색의 청장년 집단과 노년집단 간 비교

        김태선(Kim, Taesun),고윤서(Ko, Yunseo)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6

        COVID-19의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 사회 환경 속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는 심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식주문 배달앱의 사용에 있어서 고령자의 어려움을 확인함으로써 고령자의 접근성을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시장에 서비스 중인 음식주문·배달 앱의 주요 플로우에 대해 고령자 집단과 청장년 집단 간의 정보 지각 차이를 주시실험과 인터뷰를 통해 탐색, 분석했다. 이에 해당 배달앱의 음식주문 과업수행 단계별 화면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실험물에 대해 시선 추적기로 피험자들의 과제 수행소요시간과 시선움직임을 분석하고 배달앱 사용 유무와 사용의 어려움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했다. 실험 및 조사는 편의표집 방법으로 모집된 서울·수도권에 거주하는 총 32명(고령자 12명, 청장년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시선최초고정시간 자료는 만-휘트니검정과 시선 움직임은 히트맵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고령집단이 청장년집단에 비해 각 과제별로 더 현저히 많은 시간을 소요함을 확인했으며, 고령자의 시선이 목표 정보·영역 이외의 여러 영역으로 분산되는 경향을 확인했다. 또한, 고령자의 정보지각에 있어서, 문자정보와 그림정보가 동시에 제공될 때, 정보탐색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고 디지털 콘텐츠의 반복 노출에 의한 학습을 통해 소요시간 단축 가능성도 발견했다. 본 연구에서 반복노출 등에 의한 학습효과를 확인한 만큼, 향후, 고령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노출정도에 따른 디지털 활용역량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이를 통해 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디지털 포용환경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accelerating digital transformation with contact-less society from the extended COVID-19, the older adults’ digital divided is widening.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a solution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digital content for the elderly by confirming their difficulties in using food order delivery app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main flow of a food order and delivery app servicing in the domestic market and analyzed information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th groups based on collected information from an eye tracker and interview. The experiment and survey were conducted on 32 people liv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12 older adults and 20 younger adults) recruited by convenience sampling.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older adult group took significantly more time for each task than the younger adult group, and that the elderly s gaze tended to be distributed. Nevertheless, when the system provided simultaneously text information and picture information, and when the older adults were repeatedly exposed to digital content with a similar layout, they were able to reduce time to complete the tasks. As this study confirmed the learning effect of repetitive exposure, research on changes in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osure of digital content is requested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developing a curriculum for the digitally vulnerable, such as the elderly, and the establishment of a digitally inclusiv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