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 자녀를 둔 한국과 중국 어머니의 양육태도 비교

        장정 ( Jing Zha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1 아동복지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만 3-5세의 한 자녀를 둔 한국과 중국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비교연구로써 두 나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국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두 나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두 국가의 인구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국적과 연령에 따른 애정적 양육태도와 거부적 양육태도는 국적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국적과 학력에 따른 애정적 양육태도와 거부적 양육태도는 국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정적 양육태도는 국적과 학력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국적과 사회계층에 따른 애정적 양육태도, 거부적 양육태도, 통제적 양육태도는 국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사회계층에서는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인 양육태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직업에 따른 자율적 양육태도를 제외한 다른 하위 양육태도는 국적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자율적 양육태도 역시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지만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직업에 따라 양육태도는 모든 하위 양육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한국 어머니는 중국 어머니보다 애정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를 더 많이 보였으며, 중국 어머니는 거부적인 양육태도를 더 많이 보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ies and related variables (ages, education levels, social status), and (2) to find out differences in child-rearing attitudes of Korean and Chinese mothers with one child.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opulation background, affective attitudes were the only differ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mothers.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ing nationality and age, affective attitudes and rejective attitud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nationality. In terms of the nationality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analysis of child-rearing attitudes revealed that affective attitude and rejective attitudes have differences, and affective attitud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has interactive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autonomic attitud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is interactive effectiveness between nationality and educational background. Last, looking at the child-rearing attitude based on the nationality and social stratum,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ffective attitudes, rejective attitudes, and controlled attitude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ffective attitudes and autonomic attitudes. At a result of the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opulation background variable and child-rearing attitude area, in the case of Chinese mothers, affective attitudes and autonomic attitudes have a direct ratio, and the rejective attitude and controlled attitude has a direct ratio. Second, the only differ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mothers is in terms of their child-rearing attitudes. Korean mothers are more affective and controlled than Chinese mothers, and Chinese mothers are more rejective.

      • KCI등재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감각처리 비교연구

        김진경,박소연,최종덕 대한작업치료학회 200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6 No.1

        목적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태도 및 감각처리 정도를 비교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각각 20명)를 대상으로 감각처리 질문지(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SP)와 어머니 양육태도에 관한 설문지(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를 실시하였다. 질문지의 작성 시간은 ASP 15분, MBRI 10분, 총 25분이 소요되었고, 2007년 9월, 10월 두 달간 설문이 실시되었다. 양육태도와 감각처리 점수는 평균을, 양육태도와 감각처리 점수와의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비교해 본 결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5). 감각처리 비교에서도 장애아동 어머니가 일반아동 어머니에 비해 평균적으로 점수가 낮았으며, 특히 자신에 맞게 환경적 자극이나 감각을 찾는 능동적인 행동이 많이 부족하였다.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와의 관련성 비교에서는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 모두 감각처리의 4가지 영역과 상관성 있게 나타났다(p<.05). 결론 : 환경적 자극의 인식과 민감성, 자극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부모일수록 아동에게 더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와의 관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부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by a comparison of child-rearing attitudes and sensory processing between general mothers and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to study the problems faced by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nd relativities in terms of child-rearing attitudes and sensory processing. Methods :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SP) for general mothers(20) and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20) and a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were used. It took 25 minutes to complete the two research forms, and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07, over two month. Child-rearing attitudes and sensory processing mean scores were analyzed and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conduct the statistical calculations. Results : As a comparison of child-rearing attitudes, general mothers were, on average, more positive than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p<.05). Most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were found to have less affectionate, self-regulating, and rejecting attitudes.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found to have low grades of sensory processing, especially in terms of active behavior of the 'Sensation Seeking' area. Both affectionate and self-regulating qualities were correlated with the four area of sensory processing: 'Low Registration', 'Sensation Seeking', 'Sensory Sensitivity', and 'Sensation Avoiding' (p<.05). Conclusion : Many problems relating to attitude in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examined in this study. In addition, mothers with registration, sensitiveness, and active responses to stimulation expressed more affectionate and self-regulating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In the following study, numerous factors affecting child-rearing attitudes are outlined in detail.

      • KCI등재

        장애유아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박선혜,김건희,오명섭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1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involvement of the father inparenting on th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raising young children withdisabilitie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finding ways to improve the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95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ublic kindergarten in the areaof 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raising childrenwith disabilities had high scores in affective attitude and positive scores inevaluation on mother’s parental attitude and control attitude. Second, the father’s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was perceived by the mothers of young childrenwith disabilities, but routine daily-life guida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y . Third,as the father’s perceived participation in parenting increases, the mother’saffective attitude increases, while her control attitude decreases. Therefore, it isimportant to find ways to get fathers involved in raising their children withdisabilities by providing parenting information, so that the parenting attitude ofthe mother will improve. Also, it is important to find ways to improve the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nd mothers, in order to help mothers develop apositive perception of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본 연구는 장애유아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태도 향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A지역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장애유아의 어머니 95 명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태도와 양육태도의 긍정적 평가 부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규칙준수 등 통제적인 태도도 높았다. 둘째, 장애유아 어머니는아버지가 장애유아들과 시간을 함께 자주 보낸다고 지각하고 있었지만 유아의 생활지도부분에서는 참여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증가하고 통제적 양육태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어머니들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를 높게 인식할수록애정적 양육태도는 높게 나타났고, 통제적 양육태도는 낮았다. 애정적 양육태도는 자녀양육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통제적 양육태도는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자녀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향상을 위해서는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직접적인 양육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어머니들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스마트폰 과의존과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허경선,이희영,최태진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ren's self control and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 To this end,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measuring the early children's self control,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 and mothers' parenting attitudes were completed by 430 mothers of three, four, and five-year-olds in Metropolitan city A and B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ver. 24) program and Haye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early children's self control and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 is r=-.37. It had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based on early children's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 the mother's rejective parenting attitudes with a static correlation of r=.32,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with a negative correlation of r=.-25,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with a negative correlation of r=.-22. On the other han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controlled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r=.11). Third, early children's self control tended to be high whe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was affectionate (r=.39), or autonomous(r=.41). However, whe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is particularly rejected, early children's self control may be greatly degraded (r=-.45).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the early children's self control(X)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early children's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Y)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M) as a parameter.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the mother's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children's self control and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 A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indirect effect is significant for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ren's self control, early children's over dependence on smartphone. In addit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not only personal variables of early children, but also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integrally considered in identifying the path through which early children's become overdependent on smartphones.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스마트폰 과의존과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광역시 A와 B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5세 430명의 유아와 이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및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다음과 같다. 유아의 자기조절력, 스마트폰 과의존, 어머니 양육태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로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어머니 양육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무엇이냐에 따라 상관의 크기와 방향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양육태도가 애정적이거나, 자율적일수록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적 성향은 낮았으며, 양육태도가 거부적일수록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적 성향 또한 높았다. 한편, 통제적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과의존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어머니 양육태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무엇이냐에 따라 상관의 크기와 방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스마트폰 과의존과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로 , 거부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스마트폰 과의존과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을 과하게 사용하는 유아들의 행동을 자기조절력을 통해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별다른 효과를 얻지 못할 경우 어머니의 양육태도 개선을 시도해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조절력, 스마트폰 과의존, 어머니 양육태도 간의 상관관계 및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스마트폰 과의존과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태도, 아버지 양육참여 및 유아의 공격성과 관계 연구

        이승은 한국인격교육학회 2018 인격교육 Vol.12 No.2

        In this study, we looked into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participation in father care based on the character and character formation of infants and how it affects their aggress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infants and children aged 0 to 5 who attend three national and public children's homes in Gyeonggi Province and five private daycare centers. The survey method involves collecting data through questionnaires that were answered by mothers of 233 children, 113 of which were boys while 120 were girl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differences were seen in accordance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variables such as child’s sex and age. Physical aggression was more evident in boys than girls, and it was also more evident as the age was younger. Verbal aggression had shown no difference with sex and age. Second, mother’s parenting attitud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differed in variables such as mot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child aggressiveness as well as mother’s occupation and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That is, the younger the age of mothers, the more evident is the child’s level of physical and verbal aggressiveness, and more evident in rejecting/restricting parenting attitude as the mother’s age gets younger. If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as above bachelor graduates level, rejecting/restricting parenting attitude was less obvious, and in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 spouse’s level of participation in housework was higher when the mother had a full-time job than those working part-time job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father’s level of participation in housework and child’s aggressiveness were examined and each were related to another. As mother showed more compassionate/accepting parenting behavior, child’s level of aggressiveness in both physical and verbal were lower, and as the mother displayed more rejecting/restricting and permissive/neglecting parenting behavior, the child’s level of physical and verbal aggressiveness were higher. Fourth,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obviously affected the child’s level of aggressiveness. Mother’s attitude affected it the most, followed by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It also showed that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affected lowering the child’s aggressiveness.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 mother's attitude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the formation of the correct character in the infant.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인성과 인격 형성에 바탕이 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버지양육참여도를 알아보고 유아의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국·공립 어린이지 3곳과 민간어린이집 5곳에 다니는 0세부터 5세까지의 유아와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남아113명, 여아 120명으로 총 233명 유아의 어머니가 질문지에 응답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신체공격성은 여아보다 남아에게 많이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신체공격성은 연령이 낮을수록 많이 나타났다. 언어공격성은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둘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어머니 연령, 학력과 유아 공격성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직업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아버지 양육참여도 및 공격성과 관계를 보면 공격성과의 관계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온정·정수용적 양육태도를 보일수록 신체공격성과 언어공격성이 낮았으며, 거부·제재, 허용·방임적 양육태도를 보일수록 신체공격성과 언어공격성 모두 높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유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공격성을 높이는데 가장 많은 영향을 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유아공격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유아의 올바른 인성형성에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영향을 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에 대한 유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이희연(Lee Hee Yeon),장경은(Kyung Eun Jah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89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정?합리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어머니의 강압적인 양육태도와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 있어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매개 역할은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애정?합리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정서조절능력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어머니의 강압적인 양육태도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고, 정서조절능력을 통해서만 영향을 미친다. 즉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강압적일 때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진다. 반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과보호적인 경우에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도 없는 동시에 정서조절능력을 통한 영향력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개선시키고 동시에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89 children aged 5 and their mother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ffectionate and reasonable parenting attitud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others’ coercive and controlling parenting attitude and overprotective attitud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cond, mothers’ affectionate and reasonable parent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Mothers’ coercive and controlling parenting attitude had only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rough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In other words, when mothers’ parenting attitudes were coerciv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However, when mothers were overprotective,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had neither direct effect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nor indirect effect through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develop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s intended to enhanc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improve mothers’ parenting attitude in positive way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KCI등재

        유아의 언어발달과 위축 및 공격성 간의 관계: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의 조절효과

        서미정,고영아 육아정책연구소 2023 육아정책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언어발달과 위축 및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5세 시기에 해당하는 한국아동패널 6차년 도 자료 중 415가구를 대상으로 상관관계분석 및 PROCESS macro(model 1)을 이용한 조 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부족한 경우에만 유아의 수용 및 표현언어의 부족이 위축을 가중시켰다. 하지만 유아의 언어발달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의 위축을 감소 시키는데 있어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중요하며, 유아의 언어발달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 서 다양한 조절변인에 대한 탐색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d how mother's warm parenting moderates the relationship of preschooler's language development to withdrawal and aggression. For this purpose, 415 households with children aged 5 years old from the 6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se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Model 1 in PROCESS macro. As a result, the lack of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of preschooler increased withdrawal only when the mother's warm parenting was insufficient. Bu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warm paren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language development and aggression. Based on this result, it was discussed that the mother's warm parenting is important in reducing preschooler's withdrawal, and that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moderate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language development and aggression.

      • KCI등재

        소아암 아동·청소년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신정희,심혜원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8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청소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서울 소재 대학병원에 입원 및 외래 진료를 받는 소아암 아동·청소년 어머니 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양육스트레스 평가도구'를, 어머니 양육태도는 '양육태도 척도'를, 자녀의 사회적 능력 측정은 '사회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능력과 부적상관을 보였고,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가 양육스트레스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한편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는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태도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면, 자율적 양육태도와 애정적 양육태도는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caring stress,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adolescent cancer patients including a mediating parenting attitude between maternal stress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56 mothers of child cancer patients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o measure maternal caring stress, 'maternal stress assessment measurement' was used. For measuring parenting attitude, 'parenting attitude measurement' was used. For social competence, 'social ability measurement' was us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ternal caring stress correlated negatively with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adolescent cancer patients. The maternal caring stress correlated negatively with love, autonomy parenting attitude. The parenting attitude correlated positively with love, autonomy parenting attitude. The love, autonomy parenting attitude mediator between maternal caring stress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adolescent cancer patient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은주(Eun-joo Kim)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 유아 정서지능 간의 관계가 어떠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K시에 거주하는 3~7세 자녀를 둔 어머니 487명을 대상으로 자 기보고식 설문조사 실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연구모형에서 각각의 변수들 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제 자료와 적 합한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 수준을 파악하고 문제행동을 해결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교 육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 정서지능, 유아 문제행동 간의 관 계는 우선,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문제행동과는 부적상관을 보였 다. 또한 유아 정서지능은 문제행동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 정서지능 중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 고,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을 매개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정서지능 발달을 위해 유아의 발달특성에 맞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중요하며, 유아의 문제행동 예방에 있어서 어머니의 양육태도 뿐만 아니라 매개효 과로서 유아 정서지능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 및 환경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on their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87 children ages of 3~7 years who were registered in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 Do Y city and we conducted surveys with their mothers. Each of the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based on a previous study the path was set to affect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ethod by AMOS 18.0 program.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as appropriat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aring attitude have direct effect on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Second, mother’s rearing attitude have direct effec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ird, mother’s rearing attitude mediated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have indirect effect on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In conclusion, parent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mother's rearing attitudes should be urgently developed since such attitudes have much effect 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behavioral problems such as aggressiveness, attention deficit, anxiety and immature behaviors.

      • 어머니의 자아개념 및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중심으로

        김경혜,공경혜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4 아동중심실천연구 Vol.1 No.1

        개인이 갖는 긍정적인 자아상은 성격 및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전 생애를 통한 성공과 행복의 중요한 열쇠가 된다. 특히 아동의 자아개념은 일상적 사회관계 속에서 한 개인이 대인간의 사회적 행동이나 그 역할을 결정하는데 중심요소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자아개념의 형성과 발달이 중요하게 이루어지는 아동기 자녀와 의미 있는 타인으로서 자녀양육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를 선정하여 어머니 스스로 지각하는 양육태도와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녀의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6학년 아동과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어머니의 자아개념과 양육태도, 자녀의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육태도는 민주형, 과보호형, 권위형, 방임형으로 분류하여 사용하였는데, 이는 측정이 가능한 주요 양육 요인들(애정, 거부, 자율, 통제)의 점수를 이용해서 보다 실질적인 양육태도 유형을 설명할 수 있었고 유용성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아개념이 높은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자녀를 대할 때 민주적인 양육태도를 보였으며, 특히 어머니의 긍정적인 가족적 자아개념은 자녀의 총 자아개념 및 하위영역별 자아개념과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과보호적인 양육태도는 권위적 양육태도가 많았던 과거와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 애정적 측면에서는 진일보하였다고 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자녀의 자율성과 독립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녀가 긍정적이며 건전한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어머니 자신부터 건전한 자아개념과 바람직한 양육태도 정립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