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급지휘관의 안전리더십이 예하 부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보병사단을 대상으로

        홍기표(Hong Gi Pyo),최종근(Choi Jong Ggeun)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중장비와 화기를 다루는 군에서의 안전사고는 사회에서의 안전사고에 비해 더 큰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군에서도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안전교육과 위험성평가 등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안전사고는 줄지 않고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내 외 연구 중 지도자의 안전 리더십이 안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기반 하여 육군이 갖고 있는 특수성 속에서도 지휘관의 변혁적 안전리더십이 안전행동에 동일하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사단의 변혁적 안전리더십이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그 과정에서 안전풍토가 부분매개변수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안전리더십과 안전행동에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한 선행연구들은 안전리더십과 안전행동 간에 안전 분위기, 안전 동기 등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안전 동기가 안전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심리학적 개념을 사용했다. 하지만 안전풍토가 변혁적 안전리더십과 안전행동의 부분매개변수라는 점을 밝힌 선행연구가 없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군의 안전풍토의 서로 다른 하위요인이 각각 안전행동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상호유기적인 관계로 안전풍토의 서로 다른 하위요인들이 하나의 안전풍토라는 통합적 개념으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를 시작하기 전 ‘안전풍토의 서로 다른 하위요인이 각각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른 결과였다. 요인분석을 실시하는 과정 속에서 군 사단의 변혁적 안전리더십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안전풍토의 하위요인이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전체 하위요인이 하나의 요인으로 간주되어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다. 셋째, 군 안전풍토가 안전참여행동과 안전순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이다. 안전풍토가 안전참여행동 및 안전순응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선행연구들과 동일하게 판명되었다. 하지만 변혁적 안전리더십의 영향을 받은 안전 분위기, 안전 동기가 안전참여행동과 안전순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르다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변혁적 안전리더십이 안전풍토를 부분매개변수로 하여 안전참여행동과 안전순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유의미하게 차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나온 이유는 군의 상명하복 문화와 크게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군은 지휘관의 명령 및 지시사항을 반드시 수명해야 한다는 상명하복 문화가 뿌리 깊게 있기 때문에 지휘관의 안전리더십으로 인한 규정과 지침을 즉각 수용하는 과정에서 안전리더십이 안전참여행동과 안전순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 하지만 안전풍토는 즉각적인 수용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풍토로 인해 안전참여행동과 안전순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유의미하게 차이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군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닌 육군의 특정 지역에 있는 부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군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차후 타 지역에 있는 부대 혹은 타군까지 연구 범위를 넓혀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더욱 폭넓게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설문지에 측정 내용은 군 장병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일부 수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민간인까지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민간인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은 기존 Mohamed의 설문을 바탕으로 재구성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설문을 실시한 시기가 전례 없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강타한 시기이기 때문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설문 결과와는 다른 결과 값이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 코로나가 종식된 이후에 동일한 설문을 같은 집단에 다시 실시해 비교 분석하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Safety accidents in the military, which deal with heavy equipment and firearms, pose a greater risk than safety accidents in society. 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in the county, continuous safety education and risk assessment are being conducted, but the reality is that safety accidents are occurring steadily without decreasing. Based on the fact that leaders safety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afety behavior during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hether transformative safety leadership of commanders has the same significant impact on safety behavior. The following is what I learned from this study. First, we found that transformative safety leadership of the military division has a static effect on safety behavior and that safety climate plays a role as a partial parameter in the process. Prior studies that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revealed the mediating effects of safety atmosphere and safety motivation between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and used psychological concepts that safety motivation leads to safety behavior.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there is no prior study that reveals that the safety climate is a partial parameter of transformative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Second, we find that different sub-factors of the military s safety climate do not have different effects on safety behavior, but because they are mutually organic, different sub-factors of the safety climate affect safety behavior under the integrated concept of a single safety climate. Before starting the study, it was a different result from the expectation that different sub-factors of the safety climate will have different effects on safety behavior. In the course of factor analysis, the military s transformational safety leadership has found that it is reasonable to apply the entire sub-factor as a factor, rather than each having a different effect on safety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the impact of the military safety climate on safety cham travel and safety conformity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It has proved the same as previous studies that safety climate has a static effect on safety cham travel and safety conformity behaviour. However,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show that safety atmosphere influenced by transformative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motivation have different effects on safety travel and safety conformity behavior, transformative safety leadership does not significantly vary. The reason for this study was determined to be largely related to the culture of the county s top-down and bottom-down. Since the military has a deep underlying culture that commands and instructions from commanders must live, the impact of safety leadership on safety travel and safety conformity behavior will be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immediately accepting regulations and guidelines. However, because safety climate does not require immediate acceptance, it was determined that the degree of impact on safety cham travel and safety conformity behavi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study contains several limitation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nreasonable to generalize to the military as a whole, as this study surveyed units in a specific area of the Army, not the entire military. If the same results are obtained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research to units or other groups in other regions in the future, the research results can be generalized more widely. Second, the measurem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artially modified because they targeted military personnel.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findings to civilians. It is desirable to reconstruct surveys targeting civilians based on existing Mohammed surveys. Therefore, it is…

      • KCI등재

        안전문화가 안전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원종(Won Jong Lee),이슬기(Seul Ki Lee)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3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증가는 안전사고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국내의 신규 인력의 유입이 매우 저조하여 무조건 배척하기 쉽지 않다. 이에 최근 고령 근로자 및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많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참여행동을 향상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안전문화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안전문화와 안전참여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에 따른 안전문화요소가 안전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모형을 검증은 IBM SPSS Statistics 28 통계분석 패키지를 활용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전문화와 안전참여행동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안전문화가 안전참여 행동을 약 7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문화를 구성하는 경영진 리더십, 작업반장 리더십, 교육 및 제도, 작업환경, 의사소통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고령 근로자의 근무비율은 안전문화요인들과 안전참여 행동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은 조절효과뿐만 아니라 안전참여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작업반장 리더십’과 ‘작업환경‘ 가 유의미했는데, 작업반장 리더십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이 높을수록 안전참여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상승되는 정도가 크며, ‘작업환경’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이 높을수록 안전참여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상승되는 정도가 작았다. 본 연구를 통해 안전문화가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관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n increase in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is likely to lead to an increase in safety accidents, but it is not easy to exclude them unconditionally as the inflow of new domestic workers is very low. Accordingly, interest in the safety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has recently increase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efforts to reduce safety accidents customized for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are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safety cultur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afety participation movement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the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s was analyzed through an adjustment regression analysis.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safety culture factors on safety participation action according to the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was investigat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uty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8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afety culture explained about 72% of safety participation action. All of the sub-factors (leadership of top management, Leadership of Lead Framer, Education and System, Work Environment, Communication) that constitute safety cultur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2)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working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it was found that the working ratio of elderly workers had no effect of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factors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foreign worker duty ratio had a direct effect on safety participation action as well as a moderating effect. In particular, ‘Leadership of Lead Framer’ and ‘Work Environment’ were meaningful. As for 'Leadership of Lead Framer', the higher the ratio of foreign workers, the higher the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participation movement. In ‘Work Environment’, the higher the ratio of foreign workers, the lower the degree to which the positive effect on safety participation action increas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impact of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participation action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and to propose a new approach to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 KCI등재

        참여적 리더십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

        한진환(Han, Jin Hwan) 한국산업경제학회 2022 산업경제연구 Vol.35 No.5

        최근에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지속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변화를 주도하는 방식으로 환경변화를 유연하게 수용하며 끊임없이 반응하여 조직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발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 간에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그리고 참여적 리더십을 통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발언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300인 이상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2차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총 405부를 회수하여 응답이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8부를 제외한 39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적 리더십은 발언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의 창의력과 혁신의 기반이 되는 발언행동을 유발하고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는 참여적 리더십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둘째, 참여적 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이고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 구성원의 발언행동을 유발시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발언행동 간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참여적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안전감의 수준에 의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이 참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 간에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조절된 매개효과는 참여적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간접효과와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를 통합하여 조건부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따라서 참여적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해서 발언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안전감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empirically verified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mediation effect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voice behaviors through the participative leadership. This study targeted workers in the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nd collected data in two time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verified hypotheses. A total of 405 response copies were collected and 397 copies of them except eight copies, whose responses were inadequate, were used for a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ve leadership has a direct effect on voice behavior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ve leadership is essentially necessary to induce voice behaviors that become the basis of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ity and innovation and to continuously consolidate the voice behavio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ve leadership enhances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induces organizational members’voice behaviors. Third, the psychological safety moderating effect was ascertained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voice behavi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participative leadership on voice behaviors through psychological empowerment depends on psychological safety level. Namely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the controlled mediation effect controlling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s in terms of organizational members’ psychological safety. That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by integrating the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control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effect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on voice behaviors through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erms of the controlled mediation effect has differentiation from the existing studies. For participative leadership to induce voice behaviors through psychological empowerment, a method to promote psychological safety level should be sought.

      • KCI등재

        변혁적 안전리더십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전분위기, 안전동기의 매개효과와리더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

        정하진,이수란,손영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2

        본 연구는 상관의 안전리더십 유형(변혁적, 수동적)이 부하들의 안전동기와 안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변혁적 안전리더십이 집단수준 안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고, 부하들의 자율적 안전동기(내재적, 동일시 조절)를 유발하여 안전 참여행동과 순응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안전리더십과 집단수준 안전분위기와의 관계에서 상관에 대한 신뢰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해군장병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시행한 결과, 변혁적 안전리더십은 집단수준 안전분위기와 내재적 안전동기를 매개로 안전 참여행동과 순응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동일시 조절 안전동기가 매개된 경우에는 안전 순응행동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동적 안전리더십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분위기와 안전동기의 관계에서는 집단수준 안전분위기가 내재적 안전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시 조절 안전동기에 미치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안전동기와 안전행동의 관계에서는 내재적 안전동기가 안전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순응행동에 미치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는 변혁적 안전리더십과 집단수준 안전분위기와의 관계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수동적 안전리더십과 안전분위기와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의식과 참여지속에 대한 안전실천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권헌수,신종섭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2

        Pu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afety practice behavior within the relationship of safety awareness and participation persistence for adventure sports participant. Methods : The number of the surveyed for this study was 313 who participated in the adventure sport club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the questionnaire itself was conducted by using SPSS & AMOS Window 18.0 program;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as follows. Conclusion : The results were as being follows. First, the safety awareness is partially influences on the safety practice behavior in adventure sports participant. Second, the safety awareness is partially influences on the participation persistence in adventure sports participant. Third, the safety practice behavior is partially influences on the participation persistence in adventure sports participant. Lastly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awareness, safety practice behavior and participation persistence in adventure sports participant. 연구목적: 이 연구는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의식과 참여지속에 대한 안전실천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모험스포츠 동호회의 회원들 313명을 편의표집법으로 표집하였다. 그리고 자료는 컴퓨터에 개별 입력(coding)시키고, Window용 SPSS & AMOS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의식이 안전실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의식이 참여지속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실천행동이 참여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안전의식과 참여지속 사이에서 안전실천행동은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안전실천행동은 안전의식과 참여지속 사이에서 중요한 변인으로서 역할을 한다.

      • 참여적 리더십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탁재운(Je Woon Tak),신제구(Je Goo Shi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이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로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형 설문방식의 측정으로 나타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속변수는 시차를 두고 별도로 측정하였고, 직무상황에서 정서 상태를 표현해주는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직급과 함께 통제변수로 채택하였다. 국내 300인 이상 규모의 다양한 업종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획득된 33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참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전감과 발언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심리적 안전감은 발언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심리적 안전감은 참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 간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고, 성장욕구강도는 참여적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 간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는 심리적 안전감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건부 간접효과(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을 발휘할수록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전감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발언행동이 향상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참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 간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또한 성장욕구강도의 단순조절효과와 더불어 조절된 매개효과를 정량적이고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조절변수로서의 성장욕구강도에 관한 의미를 재해석하고 보다 심층적인 연구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ffecting voice behavior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separately with time lag as a method to alleviate the common method bias that might appear in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ement, and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expressing emotional states in job situations were employed as the control variables together with the rank. A total of 33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who work for companies in various industries with more than 300 domestic employee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s of the members, and psychological safety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voice behavior. Psychological safety played a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and growth need strength played a positive role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safety. Particularly, moderating effect of growth need strength was mediated by psychological safety, and conditional indirect effect(mediated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This study examined the mechanism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which were relatively lacking in research, by empirically verifying that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as the participant leadership demonstrat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reinterpret the significance of growth need strength as a moderating variable by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research in depth, by quantitatively and concretely describing mediated moderating effect in addition to simpl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need strengt.

      • KCI등재

        스키 참여자들의 각성추구성향과 안전행동, 여가만족의 관계

        이양주,문선호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5

        이 연구는 스키 참여자들의 각성추구성향과 안전행동, 여가만족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사용하여 277명의 스키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의 일부가 빠지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27개의 자료를 제외한 250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달성하기 위한 가설검증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키 참여자들의 각성추구성향은 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스키 참여자들의 각성추구성향은 여가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키 참여자들의 안전행동은 여가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안전행동은 각성추구성향과 여가만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이상의 결과는 스키 참여자들의 각성추구성향은 안전행동과 여가만족에 긍정적으로 관여되고 있으며 안전행동이 높을수록 여가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f ski participants arousal seeking tendency, safety behavior,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purposive sampling from 277 of ski participants. After excluding 27 data because partial part of the survey was missing or insincere responses were included, this study analyzed 250 data with SPSSWIN 18.0, through descriptive, factor,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on hypothesis testing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the arousal seeking tendency had positive influences on safety behavior` of ski participants. Second, the arousal seeking tendency had positive influences on leisure satisfaction of ski participants. Third, the safety behavior had positive influences on leisure satisfaction of ski participants. Fourth, the safety behavior partial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arousal seeking tendency and leisure satisfaction of ski particip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rousal seeking tendency was involved in safety behavior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higher safety behavior the higher leisure satisfaction of ski participants.

      • KCI등재

        참여적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장욕구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탁제운,신제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018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rect effect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on voice behavior and the indirect effect that participative leadership affects voice behavior via psychological safety, and to verify that the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is moderated by growth need strength. Then this study proposes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practice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 total of 337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from subordinates who work for companies in various industries with more than 300 domestic employe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of participative leadership on voice behavior and the indirect effect of participative leadership(X) on voice behavior(Y) via psychological safety(M) were positive(+). Also, this indirect effect was moderated by growth need strength, therefore moderated mediation was confirmed.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in which the indirect effect(X→M→Y) depends on the value of the moderating variable, at the five percentile values(10%, 25%, 50%, 75%, 90%) were all significan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members increased as the participative leadership increased, and that the voice behavior improved through this, especially, the higher growth need strength, the stronger this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mechanism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which was relatively lacking in research, was identified. And the meaning of growth need strength as a moderating variable was reinterpreted by specifically quantifying the mediating effect moderated by growth need strength. This implies that the possibility of further research is expanded.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이 발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심리적 안전감을 경유하여 발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규명하고, 심리적 안전감의 간접효과가 성장욕구강도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참여적 리더십의 효과적 실천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형 설문방식의 측정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속변수는 시차를 두고 별도로 측정하였고, 직무상황에서 정서 상태를 표현해주는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직급과 함께 통제변수로 채택하였다. 국내 300인 이상 규모의 다양한 업종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획득된 33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적 리더십은 발언행동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 참여적 리더십(X)이 심리적 안전감(M)을 경유하여 발언행동(Y)에 미치는 간접효과 역시 정(+)의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의 간접효과는 성장욕구강도에 의해 정(+)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ediation)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간접효과(X→M→Y)가 조절변수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건부간접효과(conditional indirect effect)를 탐색한 결과 성장욕구강도의 5개 백분위값(10%, 25%, 50%, 75%, 90%)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을 발휘할수록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전감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발언행동이 향상되며, 특히 성장욕구강도가 높은 구성원일수록 이러한 관계가 더욱 강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참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 간 메커니즘을 규명하였고, 성장욕구강도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구체적이고 정량적으로 밝힘으로써 조절변수로서의 성장욕구강도에 관한 의미를 재해석하였으며, 보다 심층적인 연구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특성에 따른 심의

        김시형(Kim Si-hyeong),추정완(Choo Jung-wan),우제창(Au Chung-kyoon),오정균(Woo Je-chang),안영하(An Young-ha) 한국생명윤리학회 2016 생명윤리 Vol.17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전부 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대학에 설치된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안정된 정착을 위한 사회행동과학연구의 심의에 필요한 윤리적 쟁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기존의 침습적 연구를 중심으로 형성된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기준과 달리 사회행동과학연구는 ‘연구참여자의 이해관심’,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상호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의 사회적 가치’ 등 세 가지 측면에서보다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사회행동과학연구의 위험·이익 평가 분석을 위해서는 ‘프라이버시와 기밀성’과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와 속임의 문제’ 역시 중요한 검토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특징, 그리고 연구수행에 필요한 중요 사항들에 내재된 윤리적 쟁점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행동과학연구에서 ‘프라이버시와 기밀성’ 보장의 과제와 관련해서는 ‘연구참여자의 대중 노출’, ‘연구참여자의 자기표현에 대한 통제’, ‘연구참여자의 사적 공간의 축소’의 윤리적 문제를 , 또한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와 속임의 문제’에 대해서는 ‘의사결정능력의 훼손’, ‘인간존중의 훼손’, ‘신뢰의 훼손’의 윤리적 문제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은 사회행동과학연구에서 전형적인 사례로 알려진 “험프리스 연구” 사례를 통해 이러한 윤리적 쟁점들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검토하고, 이러한 윤리적 문제에 대한 대안적인 방안에 대해서 논구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inquiring ethical issues required for reviewing Social Behavioral Research(SBR) to establish stably Institutional Review Boards(IRB) instituted within universities based on the entirely revised Bioethics and Safety Act. Unlike the existing review criteria of IRB focusing invasive researches, SBR necessitates more careful approach in three aspects: ‘interests of participa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s’, and ‘social values of SBR’. In addition, ‘privacy and confidentiality’ and ‘informed consent and deception’ can be critically considered for assessing risk and benefit analysis on SBR. Accordingly, this article seeks reviewing such characteristics of SBR and ethical issues within important components required for conducting a research. In particular, the article addresses ethical issues including ‘public exposure of participant’, ‘reduced control over self-presentation of participant’, and ‘reduction of participant’s private space’ with regard to task to ensure ‘privacy and confidentiality’ and examines those of ‘impaired capacity for decision-making’, ‘deprivation of respect’, and ‘erosion of trust’. Besides, the article examines how these ethical issues have revealed through the case of Laud Humphreys’ Study, a typical example of SBR, and makes suggestions for alternatives to those issues.

      • KCI등재

        안전동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관계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안관영 한국중소기업학회 2003 中小企業硏究 Vol.25 No.4

        본 연구Zohar(1980)의 논물을 효시로 산업안전에 대하여 조직적 내지 관리론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산업안전에 대한 접근을 바탕으로 경기도 및 강원 영서 지역 제조업체에 종사하는 643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은 안전분위기의 5개 구성요소(안전지식, 안전태도, 업무부담, 경영층몰입, 예방활동)와 안전동기의 관계와, 안전동기와 안전참여간의 관계를 고찰하며, 그리고 이러한 관계가 연령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가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안전지식, 안전태도, 경영층몰입, 예방활동은 안전동기와 안전참여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업무부담은 안전동기와 안전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동기는 안전분위기의 모든 구성요소(안전지식, 안전태도, 업무부담, 경영층몰입, 예방활동)와 안전참여간이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완전매개보다는 부분매개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안전분위기와 안전동기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업무부담이 클수록 안전동기가 약화되며, 이러한 경향은 고연령층에 비하여 저연령층에서는 현저하게 나타났다. 안전동기와 안전참여간의 관계에서는 연령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With Zohar(1980)'s research on safety climate and industrial safet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iteratures begin to emphasiz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ntext. Based on this research trend, this paper trie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organizational factors and occupational accidents. Based on the responses from 643 manufacturing workers,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s among antecedents(safety knowledge, safety attitudes, job load, management commitment and safety precaution activity),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job load made a negative effect on safety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behavior, and other climate factors have affirmative effects o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