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범죄피해자 권리 및 지원제도 안내서’의 이해도 평가

        박송희,김민지 한국경찰연구학회 2019 한국경찰연구 Vol.18 No.3

        2015년 4월부터 경찰 수사관은 모든 범죄피해자 조사 시 ‘범죄피해자 권리 및 지원제도 안내서’를 피해자에게 의무적으로 교부하여 범죄피해자의 실질적인 권리 보호 및 복지증진에 힘쓰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범죄피해자의 권리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안내문 형식으로 제시되는 범죄피해자 권리의 세부 내용 중에서 일반인들이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전문적인 법률용어를 실제로 얼마나 이해하고,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여대생 73명을 대상으로 안내서에 기재된 어려운 법률용어의 의미를 주관식으로 측정하였으며, 안내서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범죄피해자에게 안내서를 제공하는 제도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안내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내서에 기재된 법률용어 중 공판조서와 확정판결의 경우, 용어의 실제 의미보다는 용어를 풀어서 해석하는 경향을 보였고, 항고와 재정신청의 경우, 용어가 의미하는 시기를 잘못 인지하였다. 이를 통해 안내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법률용어의 경우는 사용을 최소화하고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게 수정해 제시하거나 용어에 부가적인 설명을 추가해야 할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며, ‘범죄피해자 권리 및 지원제도 안내서’의 수정 및 개선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Since April 2015, police investigators have been mandating the Victims' Rights and Assistance Guide for all crime victim investigations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victims and promote welfare. This study evaluates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crime victims rights and examines how the legal terms used in the guide, which are deemed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are interpreted and understood. Specifically, 73 adult participants were asked to provide meanings of specific legal terms used in the guide and examined the general perceptions of the guide as well.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system for providing a guide to crime victims was highly necessary, but the contents of the guide were not understood properly. Among the legal terms used in the guide, ‘report of trials’ and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s’ as well as ‘appeal’ and ‘an application for a ruling’ were poorly understood and misinterpreted. This suggests the need to minimize the use of certain legal terms in the guide and present them in easier for the general public to comprehend or to provide additional explanations to terminologies. Finally, poli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뮐러의 예술 고고학 안내서와 19세기 그리스 학계의 수용

        조은정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9 美術史學 Vol.- No.37

        Karl Otfried Müller’s Handbuch der Archäologie der Kunst (first edition 1830) established the basis for archaeology to become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in the 19th century, separated from philology which had been the main medium of pursuing ancient Greek art. Müller’s pioneering work was extensively accepted as a main textbook of the archaeological classes in various universities all over Europe. Greece, which achieved its independence as a nation state in 1830, was one of the earliest countries where it was accepted and used. It had been a core medium with which the disciplinary identity and research method of new-born classical archaeology became spread to the next generation of classical studies, until that archaeological discoveries of the la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ade the whole picture of ancient Greek art amended. Müller declared that a systematic treatment of the corroborative informations on antiquities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the study of ancient art, revealing critical attitude toward earlier ‘archaeological pursuers’ who tried to reconstruct the features of ancient Greek art according to the contemporary philological framework.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of Müller is the formative features of Greek art in relation with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ancient Greeks, which was already asserted in his earlier work Die Dorier (1824). Müller believed in the aboriginality and autogenousness of Greek civilization. He expanded these ideas in Handbuch , analyzing the developing stages of periodical styles and the mythical and historical subjects. Such a viewpoint of Müller to declare that the spirit of Greek nation is the foundation of ideal style featuring Greek art, as well as his pioneering concept on the archaeological methodology, made his Handbuch highly receptive in contemporary Greek academic world. Leading scholars teaching archaeology and ancient Greek art in the recently founded Athens University and School of Fine Arts like Ludwig Ross, Alexandros Rangavis, and Grigorios Papadopoulos actively adapted Handbuch into their own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Yet their interpretations and usage of Müller’s theory were differentiated, especially in the origin of Greek civilization and its interrelation with other civilizations. Also they faced urgent tasks of translating and delivering unfamiliar concepts of European aesthetics related to the core ideas of Müller to the modern Greek society. In result, these scholars of the first generation of Greek archaeology had to pursue their own solutions of historiography and terminology. 칼 오트프리트 뮐러의 예술 고고학 안내서(초판 1830)는 19세기 동안 그리스 미술 연구의 주 토대였던 문헌학으로부터 고고학이 분리되어 나와서 독립된 학제로 성장하는데 기틀이 된 책이다. 이 안내서는 출판 직후부터 유럽 각국 대학의 고전 고고학 강 좌에서 널리 활용되었는데, 현대 독립국가로서 갓 출범한 그리스는 이 안내서가 가장 빨리 전파된 나라 중 하나였다. 19세기 후반의 고고학적 발굴 성과들 덕분에 고대 그리 스 미술사의 판도 자체가 급격히 수정되기 전까지, 뮐러의 안내서는 유럽 각국의 고전학 연구 후속세대들에게 고고학이라는 신흥 학문 분야의 정체성과 탐구 방법을 전파 한 매개체였다. 뮐러는 고대 유물의 실증적 정보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가 미술사의 가치 판단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선행적 활동이라고 주장했으며, 동시대 문헌학적 구조 안에서 고대 그리스 미술을 재구성하려 했던 선대 ‘고고학적 탐구자들’에 대해서 비판 적인 입장을 보였다. 특히 그는 1824년 저서 도리스인들에서 이미 그리스 문명의 토착성과 자생성을 주장하고 고대 그리스 미술의 조형적 특징을 민족/국가적 정체성과 결부시켜서 해석한 바 있는데, 이는 뮐러의 이론 가운데 핵심적인 쟁점이 되었다. 그는 안내서에서 이를 한층 더 발전시켜서 시대 양식의 발전 단계와 신화, 역사적 주제를 세밀하게 분석했다. 그리스 미술의 이상적인 양식을 구현하는 토대로서 그리스 민족/국가의 정신을 중요하게 부각했던 뮐러의 예술관은 고고학 방법론에 대한 그의 선도적 개념과 더불어서 그리스 학계에 안내서가 널리 수용되도록 한 주 요인이었다. 루드비히 로스와 알렉 산드로스 랑가비스, 그리고리오스 파파도풀로스 등 당시 갓 개교한 아테네 대학교와 고등 예술학교에서 고고학과 고대 그리스 미술사 교육을 담당했던 학자들은 뮐러의 안내서와 도판집을 토대로 자신들의 교재를 저술하거나 강의 자료로 활용했다. 그러나 이들은 뮐러의 저서에 대한 해석과 활용 방식에서 각자 독자적인 주장을 전개했다. 고대 그리스 문명의 기원과 타 문명권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견해 차이 뿐 아니라 근세 서유럽 학계의 미학 개념들을 현대 그리스사회에 전달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 앞에서 이들 그리스 고고학의 첫 세대는 각자 나름대로 대응책을 모색해서 미술사 저술과 번역 활동을 추진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안내서로 보는 명승고적의 재편과 명소의 창출 - 남원 지역을 사례로 -

        문순희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1 No.-

        본고에서는 전통도시로 인식되는 남원에서 일제강점기에 어떠한 방식으로 명승 고적과 명소들이 선택되고 창출되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일제강점기 남원에서 간행된 일본어 안내서를 대상으로 구체적으로 어떤 장소가 명소로 제시되고 설명되었고, 그 장소들이 조선시대와 비교했을 때 어떻게 재구성 되고 지역을 상징하는 장소를 만들어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찾아낼 수 있었다. 첫째, 식민지 근대 관광 여행을 전제로 제작된 일본어 안내서에 소개된 명승고 적은 철도 부설을 통해 남원이 근대적 도시로 당대에 전국적으로 시행된 고적 조 사 및 보존 사업, 일본 제국의 식민지 근대 관광 등 다양한 시대적ㆍ사회적 요인이 어우러져 근대적 명소로 새롭게 재편되었다. 이 과정에서의 주요 키워드는 ‘고적’ 과 ‘전설’이었다. 고적은 임진왜란ㆍ정유재란을 중심으로 일본과 역사적으로 관련 된 장소가 주요 기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자국의 역사와 연관시킴 으로써, 일본인들로 하여금 해당 장소에 의미를 부여하고 친근감과 특별함을 느끼 게 하기 위함이었다. 둘째, 일제강점기 조선인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었던 <춘향전>을 남원이 낳은 명물로 만들기 위해 실질적인 공간으로 춘향묘를 건립하고 춘향제를 시행하였다. <춘향전>이라는 전설의 명소화는 1930년대 <춘향전>의 문학적 위상과도 관련되 는데 당시 고전문학으로서의 위상을 획득하고 있었던 춘향전은 통속 문학에서 남원의 전설로 승격되고 주인공인 춘향은 신격화될 수 있었다. 지역의 입장에서는 <춘향전>이라는 문학적 소재와 기생이라는 문화적 소재를 잘 이용하여 춘향묘와 춘향제라는 관광 자원을 창출하였는데 이는 고적 보존과 동시에 지역 활성화 정책 의 일환이기도 하였다. 이때 춘향은 아름다움, 품위, 순수, 성심, 정렬, 실의, 존 귀 등을 상징하는 여성으로 상징되었다. 일제강점기 일본어 안내서를 통한 남원의 고적명승과 명소가 어떠한 방법으로 선택되어 재편 및 창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우리가 전통적인 것, 고전이라고 하는 것들이 일제강점기에 어떠한 변용을 거쳐 지역의 상징성을 담은 공간으로 변모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In trying to form an exact picture of how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ical Yinterest were altered and new tourist attractions were created in the provincial town of Namwon, which is known as a historical town, this study focuses on the details and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Japanese-language travel guidebooks that were published in Namw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o see which places were in fact highlighted and described as tourist attractions and through which changes and reconstruction that set the period apart from the previous Joseon period did those places come to establish themselves as symbols of the region. Thus,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scenic spots and places of historical interest, which were featured in Japanese-language travel guidebooks produced for Japanese tourists, were recreated as modern travel destinations against diverse contemporary backgrounds such as Namwon’s development into a modern town along with the laying of the railroad, the nationwide survey of places of historical interest, and the campaign for their conservation, as well as the heightened interest among Japanese people in visiting their colonies. “Place of historical interest” and “legends” were the keywords when the alteration of Namwon’s historical sites was underway. As the places of historical interest concentrated in the sites related to the Japanese invasions during the 1592 and 1597 wars, the major requirement to be considered was their historical relevance to Japan. This was intended to make Japanese people feel familiar with and harbor some special feelings about the places by linking them to their own history. Second, the tomb of Chunhyang was erected as a physical venue, and the Chunhyang Festival was held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with the aim of rendering Chunhyangjeon (“Tale of Chunhyang”), then popular among the Korean people, into a tourist attraction in Namwon. The creation of a tourist attraction out of a fictitious story was related to the literary fame that Chunhyangjeon enjoyed in the 1930s. By acquiring its status as a classic, Chunhyangjeon was upgraded to a legend in the contemporary popular literature, leading to the main character attaining status as a historical character. The Tomb of Chunhyang and the Chunhyang Festival were created as tourist resources for the town that tapped into the literary work of Chunhyangjeon and the cultural subject of the courtesan, which was part of the focused project to reinvigorate the town’s economy. Thus, Chunhyang was fashioned into a virtuous woman who symbolized beauty, class, purity, sincerity, passion and nobility.

      • KCI등재

        조선통신사 행렬 안내서 연구- 기쿠야판 안내서를 중심으로 -

        박려옥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硏究 Vol.- No.94

        본고에서는 조선통신사절의 행렬을 감상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던 안내서에 주목하여 특히, 교토의 기쿠야 시치로베판(菊屋七郎兵衛板)을 대상으로 그 성격을 명확히 하고, 전개 양상을 통해 매체로서의 역할 및 조선인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현존하는 자료 가운데 다수를 차지하는 기쿠야판은 대표적인 통신사 행렬 안내서로서 통신사는 물론 조선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망라하고 있다. 즉, 행렬의 순서와 그 설명뿐만 아니라 조선의 역사, 조선어, 헌상품, 의례용 무구, 악기 그리고 타 지역에서 출판된 안내서와 구분되는, 배 행렬에 관한 정보도 수록하고 있다. 이러한 기쿠야판 안내서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면, 통신사가 방 일할 때마다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가이드북으로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는 데 주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주목할 점은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판을 거듭하면서도 통신사절 및 조선에 대한 인식을 담은 내용들은 변함없이 그대로 수록되고 전승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조공사절로 통신사를 바라보는 시선에 기반한 역사인식, 조선인식이다. 이는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이자, 통신사 방일의 의미와 조선이라는 나라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전파하는 매체 역할도 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향후에는 에도와 쓰시마 등 일본 각지에서 간행된 행렬 안내서 에 대한 연구 및 이들 자료에 나타난 조선인식, 그리고 기쿠야판과의 비교 고찰 연구를 계속하고자 한다. The Kikuya Shichirobei version occupies majority of the currently existing data and as the leading guide for Tongsinsa’s processions, it includes not only the information regarding Tongsinsa but also various matters related to Joseon. In short, in addition to the order and explanation of processions, it holds information regarding the history of Joseon, language of Joseon, offerings and unlike the guides published in other regions, it even includes information on ship processions. When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this Kikuya version guide, it can be found that it is a guidebook that help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Tongsinsa’s procession by updating the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Tongsinsa visits Japan, to focus on providing information in advance. However, the point that must be considered is that although it goes through several editions in order to deliver new information, it still includes and passes on the contents capturing the Tongsinsa and Joseon’s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se are the historical perceptions and Joseon perceptions based on viewing the Tongsinsa as tributary envoyes. This shows that it played the role of media in spreading biased perception regarding the nation of Joseon and the significance of Tongsinsa’s visit while being the media conveying necessary information.

      • KCI등재

        항공기 객실 승무원의 비상 산소마스크 안전 브리핑 및 안내서 개선에 대한 연구

        김영인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1 No.7

        Purpose This paper is a study on an emergency oxygen generator that automatically operates to supply oxygen to passengers in an aircraft cabin in case of an emergency. Currently, an aircraft cabin crew is explaining how to use an oxygen mask through an emergency oxygen mask safety briefing before the aircraft takes off. This information is also provided in Korean, English, and Chinese languages ​​and pictures in the information card of the seat. However, this briefing of the cabin crew and information card do not provide an exact method of use and are described without important key points. This may cause a situation in which oxygen is not normally provided to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when the aircraf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operates and analyzes the emergency oxygen generator unit, identifies the problems of the passenger safety briefing and information card, and provides solutions for improvement. Methods Passenger safety briefing and Safety information card of domestic airlines were directly investigated, and Cabin crew manual of airlines was also analyzed and arranged. And through this, problems were identified. Result Passenger safety briefings which describe the use of oxygen masks before the aircraft take-off and Cabin crew manual are partially omitt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card of the passenger seat was also provided with information missing in the sentences and pictures. Conclusion Problems with these passenger safety briefings and the safety information card shall be corrected and amended. So, when an aircraft accident occurs, the safety of passengers can be secured. 연구목적 본 논문은 항공기 객실 내에서 비상 시, 자동으로 작동하여 승객들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시스템인, 비상 산소발생기에 대한 연구로, 현재 항공기 객실 승무원은 항공기가 이륙하기 전에 승객 안전 브리핑(Emergency passenger safety briefing)에서 산소마스크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좌석의 안내서(Information card)에도 이 정보를 한글 및 다양한 언어와 그림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객실 승무원의 브리핑과 안내서에는 정확한 사용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중요한 핵심적 요점이 없는 상태로 설명되어지고 있다. 이는 항공기 비상상황 시, 수많은 승객에게 산소를 정상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상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상 산소발생기의 시스템을 작동 및 분석하고 이러한 항공기 승객 안전 브리핑 및 안내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 항공사의 승객 안전 브리핑과 안내서를 직접 조사하였으며 항공사의 객실승무원 업무교범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항공기가 이륙하기 전에 실시하는 승객 안전 브리핑과 객실승무원 업무교범에서 산소마스크의 사용방법이 일부 누락되어 설명하고 있으며 승객 좌석의 안내서에도 글자와 그림에 이러한 사항이 누락된 상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결론 이러한 객실 승무원의 승객 안전 브리핑과 안내서의 문제점은 수정 및 개정되어야 유사시 발생할 수 있는 항공기 사고에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범죄피해자 정보권 보장을 위한 형사절차상 권리 안내의 개선방안 - 현행 경찰단계 제공 「범죄피해자 권리 및 지원 안내서」를 중심으로 -

        이하나,최병호 경찰대학 범죄수사연구원 2024 범죄수사학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범죄피해자의 정보권 보장을 위해 형사 절차상 권리 안내의 한계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행 경찰단계 제공 「범죄피해자 권리 및 지원 안내서」를 중심으로, 권리안내서의 근거규정, 내용 및 교부 실무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① 권리 안내서 내용의 불완전성과 정보제공의 일관성 부족 ② 아동, 청소년 등의 이해도를 고려한 추가 형식 미비 ③ 범죄 피해자 권리 행사 수단에 대한안내 미비 ④ 안내서 교부 시기의 문제 ⑤ 수사관의 권리 고지 방식의 문제를 발견하였다. 범죄 피해자의 권리 행사를보다 효과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① 권리 안내서 항목의 추가 및 상세 기재 ② 아동, 청소년 등의 이해도를 고려한추가 형식 마련 ③ 범죄 피해자의 권리 행사 수단 마련 ④ 안내서 교부 시점의 적시성 확보 ⑤ 범죄 피해자 권리의구두 설명에 대한 수사관 교육 실시와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입법 및 정책 도입을 통해 피해자 권리보장에 기여하고, 피해자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ficiencies in the guidance of rights within criminal procedures and propose improvements to safeguard the information rights of crime victims. This study focuses on the ‘Criminal Victim Rights and Support Guide’ currently provided at the police stage, examining its regulatory framework, assessing content deficiencies, analyzing issuance practices, and pinpointing areas for enhancement. The study identified several key issues : ① Incomplete content and inconsistent delivery of information in the rights guide. ② Lack of formats tailored to the comprehension level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③ Insufficient guidance on the means for crime victims to exercise their rights. ④ Inadequate guidance on the timing of issuing the guide. ⑤ Problems related to investigators’ notification of rights. To enhance the exercise of rights for crime victims, the following measures are proposed : ① Enhancing the detail of information in the rights guide items. ② Developing additional forms design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understanding. ③ Creating mechanisms for crime victims to effectively exercise their rights. ④ Ensuring the guidebook is issued in a timely manner. ⑤ Training investigators to provide oral explanations of crime victims’ rights. It is hop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such legislation and policies will ensure the protection of victims’ rights and facilitate their recovery.

      • KCI등재

        일제강점기 철도안내서로 보는 ‘조선’ 인식— ‘명승’의 발견을 중심으로 —

        김선희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3 일본사상 Vol.- No.44

        본고의 목적은 근대기 대표적인 철도안내서인 <<한국철도선로안내>>(1908), <<조선철도선로안내>>(1911), <<조선철도여행안내 부 금강산탐승안내>>(1921)를 소재로, 서구 열강을 따라 제국으로 발돋움하던 일본이 조선의 ‘국토’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세 권의 철도안내서를 통해 식민지의 관리가 조선을 어떻게 바라보고 인식했는지를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내는 것은 바로 역사에 대한 인식과 아울러 ‘명승지’의 선택이다. 중국의 소상팔경화(瀟湘八景畵)는 자연의 풍경을 감상하는 전형으로 주변국에까지 크게 영향을 미쳐서, 지역의 명소로서 팔경이 다양하게 재생산된다. 본 철도안내서에는 일곱 개의 팔경이 묘사된다. 이들 팔경 중에는 조선의 문사들이 남긴 전통을 이어받은 것도 있지만, 식민지 개발과 함께 새롭게 등장하는 팔경도 들어 있고, 점차 팔경 언급이 줄어든다. 이것은 그만큼 명소로 인식하는 시각이 식민자의 필요에 의해 변화하였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내지인’에게 새롭게 인식되는 식민지의 풍경을 더 유의미하게 제공하는 안내서로서의 역할이 강조된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성격은 각 지역의 명소로 등장하는 것이 전쟁 속 일본군의 흔적이 담긴 전적지인 데서도 드러난다. 조선의 ‘명승’은 욱일(旭日)이 밝게 비추는 일본의 자랑스러운 역사와 결부되어 새롭게 발견되는 것이다. 전통적인 명승지와 근대 일본의 전적지와 관련한 새로운 명소를 통해 식민지 통치기구 관료의 눈으로 보는 ‘조선’이 새롭게 발견되었다고 할 것이다. 세 권의 철도여행안내서에는 새롭게 발견되는 조선과 제국일본의 욕망이 담겨있다. 식민지 관료의 눈에 비친 조선은 모국인 제국 일본의 위광을 드높이고 좁은 섬에서 벗어나 넓은 대륙을 꿈꾸는 제국의 출발지로만 기능할 뿐이고, 수려한 자연경관은 제국 일본에 풍요로움을 가져다 줄 물산과 더불어 제국 일본의 인민에게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대상일 뿐, 그 곳에 조선 인민이 처한 사정은 깨끗이 지워져 있다.

      • KCI등재

        1900년대 일본인의 조선이주 안내서 간행과 조선인식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5

        일본에서는 개항 전후시기부터 조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사정을 조사하였고, 조선 진출을 위한 안내서가 발간되기 시작하였다. 첫째, 조선사정 안내서는 러일전쟁 발발 이전까지는 개인보다 단체를 중심으로 나왔다, 그리고 종군기자들의 정탐으로 러시아와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내용들을 보고하여, 일본이 대륙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였다. 둘째, 일본인들의 본격적인 도한은 러일전쟁 직후에 이루어졌다. 전쟁 발발이후 도항안내, 러시아ㆍ만주안내, 起業과 경영, 지리에 대한 안내서가 주종을 이루었다. 일본에서의 조선이주에 대한 관심은 인구증가와 식량 문제에 대한 절박함에서였다. 러시아와 만주, 지리에 대한 관심은 러일전쟁 승리 이후 조선을 장악하고 대륙진출을 기도하기 위함이었다. 셋째, 강점 이전에 간행된 도항안내서는 ‘무한한 寶庫’인 조선에의 도항을 권유하는 것으로 소자본을 가지고 성공한 사람들의 수기를 수록하여 현장감을 더했다. 안내서는 재조언론인들이 경성에 살면서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으로 조선의 어두운 면을 강조하거나, 조선인의 미개성을 묘사하여 조선에 대한 차별적 이미지를 생산하기도 했다. 아울러 중소농민 이식책을 중심으로 한국식민의 중요성을 호소하거나, 이주식민을 통해 경제적 동화를 이루고 나서 내선동화를 추진하자는 내용이었다. 이와 같이 일본에서 조선이주 안내서를 간행한 목적은 ① 일본인들의 조선 실정에 대한 무지와 정보 부족, ② 일본민족의 팽창을 위한 ‘이익선’ 확장과 한국에의 도항 장려, ③ 러일전쟁 이후 ‘보호국’이 된 한국을 ‘지도’하기 위해, ④ 동양의 보고인 한국의 부원을 개척하여 한국을 식민지로 경영하기 위해서였다. Around the port opening, Japan started to have more and more interest in Chosun and investigated its circumstances in general. And they began to publish guidebooks to enter Chosun. Looking into the guidebooks by periods, first, we can see that the guidebooks were published not by individuals but by groups mostly before the Russo-Japanese War. And war correspondents spied Russia and kept records for Japan to grope for chances to enter the continent. Second, the time that Japanese sailed to Chosun decisively was right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those guidebooks mostly dealt with guidance for sailing, guidance about RussiaㆍManchuria, how to launch and manage a business, or geography. Due to the Japanese desperateness resulted from population increase or food shortage, they intrigued Japanese to move to Chosun. Japanese interest in Russia or Manchuria and also geography was to conquer Chosun after the victory in the Russo-Japanese War and attempt continental invasion. Third, the guidebooks for sailing published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contained the memoirs of people who had became successful even with little capital in order to recommend Japanese to sail to Chosun, ‘the infinite repository’. In the guidebooks, the Japanese journalists either emphasized the dark side of Chosun using ‘civilization’ and ‘brutality’ dichotomically while living in Gyeongseong or produced discriminative image about chosun by describing Chosun people’s savageness. And they also appealed to Japanese by emphasizing Korea’s colonization mainly dealing with minor farmers’ transplant policy or tried to promote assimil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after the economic assimilation realized by colonization through moving. As written above, the reason why Japan published the guidebook to move to Chosun is as follows: ① to overcome Japanese’ lack of information and ignorance about the situation in Chosun, ② to extend ‘the Japanese line of advantage’ for the expansion of Japanese people and encourage sailing to Korea, ③ ‘instruct’ Korea that has become their protected state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nd ④ to develop ‘the source of wealth’ in Korea, the repository of Asia, and manage it as its colony. line of advantage.

      • KCI등재

        식민지기 조선인과 재조일본인의 경성 안내서 비교

        김제정(Kim, Jejeong) 도시사학회 2018 도시연구 Vol.- No.19

        이 논문에서는 1929년 조선인과 재조일본인에 의해 각각 발행된 경성지역 안내서 『경성편람』과 『대경성』을 비교하여 양자의 경성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경성』과 『경성편람』은 모두 1929년의 조선박람회 관람을 위해 경성지역을 방문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라는 기본 성격을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목차와 구성이 유사하였다. 그러나 내용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가장 뚜렷하게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은 경성의 민족별 ‘이중구조’와 관련된 부분이다. 하지만 이는 조선인과 일본인 독자가 여행자로서 소비하는 것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두 책의 경성지역에 대한 인식 차이를 보여준다고는 할 수 없다. 보다 중요한 문제는 동일한 대상에 대한 설명에서 인식의 차이가 보이는가 하는 것이었다. 『경성편람』의 편찬자 백관수도 서문에서 일본인들이 발행한 기존의 안내서가 가진 관점상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와의 차별성을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경성편람』과 『대경성』의 경성지역에 대한 인식・관점의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경성이라는 지역 인식에 있어서 두 책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던 이유는, 책이 발행된 시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와 편집자, 그리고 서문의 필진의 성향을 고려하면 『경성편람』은 1920년대 후반 민족주의 계열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1920년대 말은 민족주의 계열의 조선인들은 점차 ‘체제내화’하고 재조일본인들은 점차 ‘토착화’하는 시기였다. 이 시기 양자의 거리는 『경성편람』편집자들의 생각보다도 그다지 멀지 않았던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perceptions of both sides of the Kyeongseong Guidebook, 『Kyeongseongpyeonram(京城便覽)』 and 『Dae-Kyeongseong(大京城)』, which were published in 1929. Both 『Kyeongseongpyeonram』and 『Dae-Kyeongseong』are guidebooks for those visiting the Kyeongseong area for the 1929 Joseon Exposition, so their contents and composition are similar-but not the content. The most obvious difference is related to the ’dual structure’ of ethnic groups in the Kyeongseong area, but it result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what Koreans and Japanese readers consume as tourists. We cannot say that the two books show a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the Kyeongseong area. A more important point was whether there was a perceptual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same subject. In his preface, the compiler of 『Kyeongseongpyeonram』, Mr. Baek Gwansu (白寬洙),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guides issued by the Japanese and emphas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Overall,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meaningful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between the two books. The reason wh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ooks in the perceptions of the Kyeongseong area did not show up clearly can be explained by the time of publication of the book. Considering the tendencies of the publisher, the editor, and the writers of the preface, 『Kyeongseongpyeonram』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recognition of nationalist intellectuals in the late 1920s. In the late 1920s, the Korean nationalist intellectuals were more ‘co-opted’, and the Japanese settlers gradually became ‘inculturated’. I think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was not as great as they thought.

      • KCI등재

        한나 울리의 「여성의 벗」(1673)에 담긴 여성교육담론

        배혜정 호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 discourse on women's education in the latter period of seventeenth-century England through a close examination of Hannah Woolley's The Gentlewomans Companion. The book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document in the argument for female education, because it made sharp criticism on the poor situation of women´s education. But it was not a "revolutionary feminist tract." As a conduct book for women as well as household manual, it couldn't logically advocate women's education and propose a concrete project for female education reform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value the text only for supporting the traditional view of womanhood. Because it reflects a critical mind of women's poor condition in spite of its weak points. Conversely, we can find three meanings in the book, taking notice of the fact that it falls into a genre of advice book. First, the fact that passages advocating women's education in the book does not harmonize with the overall composition of it paradoxically shows an effect of arguments for women's education of the time on a genre of advice book. Its arguments which disputed notions of female intellectual inferiority and attacked the poor situation of women´s education bore many similarities with ones for female education of the time. Second, The Gentlewomans Companion pursed a practical and pragmatic education, not an academic one. In this regard, 'a gentle woman' in the book is not only an ideal image of femininity responding to the requirements of society but also 'a symbolic intermediary' conveying a message that women also can improve their condition through education. Third, the book contributes to the advance of discussion on women's education in the seventeenth-century indirectly, because it is addressed to women in service jobs as well as the middle and upper class women. It delivers arguments for women's education to more women and proposes the possibility of training career women and ensuring their financial independence. In short, though The Gentlewomans Companion didn't attack the institution of marriage or the reality of male dominance, it made women more conscious of the costs of their reality and of the need to cling to serious education as the best protection against those costs. 본 논문의 목적은 한나 울리의 「여성의 벗」을 면밀히 분석하여, 17세기 후반 영국의 여성교육담론의 실체에 접근하는 것이다. 「여성의 벗」은 여성교육 현실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담아 근대 초 여성교육론의 중요한 저서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저자가 잘못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책의 시각도 전통적인 여성관을 되풀이 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의문시 되어왔다. 실제로 「여성의 벗」은 페미니즘 사상을 내포한 혁신적인 책이 아니었다. 가사 설명서와 품행지도서를 묶은 여성용 안내서로서, 여성교육의 필요성을 논리 있게 설득하거나 여성의 현실을 바꿀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기는 어려웠다. 하지만 전통적인 여성관을 지지하는 안내서의 특징을 부각해 그 가치를 간단히 폄하한다면 「여성의 벗」의 진정한 의미를 놓치기 쉽다. 여러 약점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벗」에는 당대의 여성현실을 겨냥한 날카로운 문제의식이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여성의 벗」은 17세기 여성논쟁의 맥락에서 유의미한 새로운 질문을 던져주기에 여전히 살펴볼 가치가 있다. 특히 발상을 전환하여 이 책이 여성용 안내서 장르에 속한다는 사실을 주목하면 크게 세 가지 의미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여성의 벗」에서 여성교육의 필요성을 소리 높여 주장하는 구절이 책 전체의 구성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은, 안내서 장르에까지 미친 당대 여성교육담론의 영향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여성의 지적 능력을 증명하고 여성의 교육 현실을 비판하는 면모는 당대의 여성교육론의 핵심주장과 상당히 닮아 있다. 둘째, 「여성의 벗」은 수준 높은 학식이 아니라 현실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교육을 추구한다. 이런 점에서 「여성의 벗」에서 지향하는 ‘숙녀’는 단순히 사회가 기대하는 이상적인 여성상이 아니라, 교육을 통한 자기 계발로 현재의 조건까지 바꿀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상징적 매개체’이기도 하다. 셋째, 「여성의 벗」은 다양한 독자층이 확보 가능한 안내서 장르의 장점을 발휘하여 당대의 여성교육론과는 다른 식으로 여성교육담론에 기여한다. 상류층 여성이 주요 대상이라곤 하나, 여러 직종에서 일하는 중․하층 여성의 상황에 맞는 실질적인 조언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덕택에 더 많은 여성에게 교육의 필요성을 전하고 교육을 통한 여성 직업인 양성과 경제적 자립의 가능성까지 보여준다. 요컨대 「여성의 벗」은 당시의 성별위계질서에 의문을 제기하지는 않지만 여성이 바깥세상과 관계를 맺을 때 취할 태도를 알려준다. 이를 통해 여성들이 자기 현실을 직시하고 그 상황을 개선하는 최상의 길로서 교육에 매달려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이런 점에서 「여성의 벗」은 17세기 후반 여성교육론을 살펴 볼 때 반드시 눈여겨 봐야할 책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