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전문학의 계승과 확장 방안 -블로그, 팟캐스트 연재의 경우-

        유광수 열상고전연구회 2023 열상고전연구 Vol.80 No.-

        고전을 오늘에 계승하려는 이유는 고전이 가치 있기 때문이며, 그 고전의 가치는 도그마적 교훈 때문이 아니라, 지금 우리 삶에 의미를 주는 실질적 이유 때문이다. 그러므로 고전의 현재화는 늘 현실을 주시하면서 고전의 가치를 계승하고자 하는 길항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동안 고전을 현재에 계승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있었고,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인데, 그중에서 본고는 인터넷 블로그를 통한 고전 확산 방법과 팟캐스트 연재를 통한 고전 확산 방법에 대해 검토하고 그 방법론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통해 고전의 가치란 문학 본연으로서의 가치임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고, 문학의 가치는 세계화가 진행된 오늘날에는 우리만의 문학에서 세계 모두의 문학이 될 수 있어야 하며, 그렇기에 우리 고전만의 가치에 매몰되기보다는 우리와 주변을 아우를 수 있는 외연 확장을 통한 포괄적 계승이어야 함을 분명히 하였다. 실제로, 네이버 블로그 글이 팟캐스트 연재에서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것은 고전 작품만의 설명이 아닌, 우리 고전을 외국의 다른 신화, 설화, 소설 혹은 그들 사회 문화와 연관지어 풀이하는 것이었다. 이는 우리 고전과 주변 다른 것들의 비교 대조를 통한 외연 확장이 의미의 폭을 넓혀 주고 다양한 해석의 즐거움을 주었기 때문이다. 이것이 진정한 문학의 본령이자 존재 의의이다. 그러므로 고전의 계승은 우리 고전의 고전다움에 대한 연구와 계승하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함께 이루어지는 가운데, 우리의 우리다움과 고전의 고전다움의 가치를 보다 선명하고 깊게 찾아내는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전소설 콘텐츠의 OTT 서비스와 그 미래 - 구독형 서비스 넷플릭스와 왓챠의 영화를 중심으로 -

        정혜경 열상고전연구회 2021 열상고전연구 Vol.75 No.-

        이 글의 목적은 OTT 서비스의 원리와 구조에 기반을 두고 고전소설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고전소설의 미래를 여는 데 있다. 이는 고전소설 콘텐츠의 향유 로드를 확충하는 방법론적 모색인 동시에 고전소설 연구의 또 다른 관점과 방향에 관한 시론이다. 우선, 구독형 OTT 시장에서 스트리밍되는 고전소설 영화와 기본 정보를 개괄함으로써 전반적인 유통 상황을 조감하였다. 2021년 7월 기준, 넷플릭스와 왓챠를 통해 7.6%(10편)의 고전소설 영화가 서비스되고 있다. 이 가운데 왓챠의 최근 한 달간 시청률 5%에 든 작품은 <전우치>, <방자전>, <마담 뺑덕>이다. 그러나 고전소설 영화의 OTT 시장 진입률과 흥행 성적은 그 규모와 파급력에 비해 높지 않았다. 이어 마이크로 장르, 비슷한 콘텐츠, 이용자의 경험으로 구성된 평점과 코멘트를 중심으로 고전소설 영화의 유통과 소비 형태를 분석했다. 고전소설 영화는 OTT 플랫폼별로 새로운 장르와 의미를 부여받고 또 다른 소비 맥락을 형성하며 유통되었다. 하지만 개별 콘텐츠의 주요 성격과 해석에 바탕을 둔 메타데이터의 보강, 내적 친화성을 중심으로 한 비슷한 콘텐츠의 재구성, 이용자의 경험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한 추천 알고리즘의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전소설 콘텐츠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고전(소설)에 관한 인식적 전환과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고전소설 콘텐츠의 향유 원리에 토대를 두어 한국 영화사적 맥락에서 향유 로드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콘텐츠의 주요 특징과 이용자 해석에 기초한 메타데이터를 발굴하여 수용의 논리적 인과성을 마련하고, 소비 라인을 다변화하되 선택적 공략으로 접근성과 주목성을 높이는 전술이 필요했다. 끝으로, 달라진 미디어콘텐츠 제작, 유통, 소비 형태를 고려한 새로운 연구 방향과 관점의 전환이 요청되었다. 이에 고전의 범주 재구성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고전소설의 마이크로 장르 개발과 큐레이션 작업을 학술적 차원에서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ould look into the future of classical novel contents by exploring the types of the distribution of films based on classical novels and plans for revitalization based on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OTT services that occupied the media contents market and established new paradigms of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This is a methodological search to expand the road of enjoying classical novel contents and an introduction on different directions and perspectives on studies of classical novel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films based on classical novels streaming through the subscription-type OTT platforms, Netflix and Watcha and their overall characteristics. As for the films based on classical novels, a total of 10 films, including seven full-length films and three animation films are distributed through Netflix and Watcha, which are less than 7.6% of all full-length films based on korean classical novels.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in which the films based on classical novels were distributed and consumed on the OTT platforms based on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and the interpretation and reaction of users. In the subscription-type OTT market, the films based on classical novels were given new meanings and formed another consumption context. Yet, to extend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and the life force of cont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discover metadata based on the main character of contents and user experience and supplement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Lastly, this study sought strategies for the distribution of classical novel contents and plans for revitalization. First, to promote the retention of classical novel contents and expand the supply route in the OTT market, a cognitive shift for classics (novels) and a strategic approach through storytelling would be required. Especially, since the classical novel contents tend to be consumed through signification with the original texts,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a deep understanding based on contents and the users’ reading to enjoy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metadata based on the main character of contents and the interpretation of users to prepare the logical causality of reception and increase accessibility to classical novel contents by diversifying consumption lines. Through this, classical novel contents will be able to form a deep consumption line on a new road of enjoying them, breaking from periodic dramas or specific genres. Third, to open the future of classical novels, new research directions and approaches are required, breaking from the existing frame, considering the rapidly changing forms of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media contents. The accessibility and responsiveness to classical novels would further increase by developing a micro-genre of classical novel and performing the curation of similar contents, along with discussions on reconstruction of categories of classics.

      • KCI등재

        베트남 고전산문 및 베트남 제재의 한국 고전산문 연구현황 검토

        권혁래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0 No.-

        이 연구는 1980년 이후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베트남 고전산문의 연구현황 및 베트남 관련 한국 고전산문에 대한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그동안 한국에서 진행되어 온 베트남 고전산문 연구의 성과는 베트남 고전산문의 번역, 베트남 구비설화 및 비교문학, 한문 및 쯔놈으로 기록된 베트남 고전산문 등의 분야로 나눠 고찰하였다. 또한 베트남 관련 한국 고전산문에 대한 연구사 검토를 통해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와 우호정신을 어떻게 되살릴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방향 및 과제에 대해서는, 서사적 완성도 높은 베트남 옛이야기의 우선적 번역, 베트남문학의 전통과 정신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 고전산문을 활용한 양국의 문화소통 등을 제언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베트남 양국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방면에서 교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Vietnamese classical prose and Korean classical prose related to Vietnam that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since 1980, and to seek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The results of the Vietnamese classical prose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in Korea were divided into such areas as translation of the Vietnamese classical prose, Vietnamese folktales and comparative folktales, and the Vietnamese classical prose recorded in Chinese and Tsunom. It also talked about how to reviv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Vietnam through a review of Korean classics related to Vietnam.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First, to use Vietnam’s classical prose as a material for understanding and education of Vietnamese culture in Korean society, second, to discuss in-depth what is the excellent literary tradition and spirit contained in Vietnamese literature, third, in Vietnam classical prose and Korean classical prose related to Vietnam, to find the two countries' historical ties and friendly relations, and representative characters and stories, and utilize the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sian content planning. This will enable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various ways, including understanding each other's culture and communicating with the civil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1950년대 대학의 ‘국어국문학’ 과목 편제와 ‘고전강독’ 강좌의 탄생

        최기숙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2 No.-

        이 논문에서는 1950년대 대학의 국어국문학과에서 학과목이 편제되고 세부 전공으로서의 ‘고전 문학’ 과목이 배치되는 과정에서 ‘고전 읽기’를 둘러싼 ‘전공 학문’으로서의 특성이 구축되는 과정을 해명하고, 국문학 내부에서 ‘현대문학 연구’와 구분되는 ‘고전문학’의 배타적 정체성이 형성되는 계기에 관한 역사ㆍ사회적 맥락을 규명하고자 했다. 식민지 시기 東京帝大의 ‘국문학’ 강좌에는 ‘강독’ 과목이 편제되지 않고 주로 분석적 ‘연구’에 집중된 데 비해, 경성제대의 문학 강좌구성에는 별도로 ‘강독’이 배치됨으로써 일본문학 및 조선문학에 대한 원전 읽기를 주요한 강의 내용으로 강조하고 있었다. 원전 강독 강좌는 현재도 한국 대학의 국어국문학 내에 편제된 고전문학 강좌 구성의 주요한 영역으로 배치되어 있다. 식민지시기에 경성제대에서 ‘일본문학’을 대상으로 한 ‘국문학’의 개념은 ‘조선어조선문학’의 과목 편성과 대응 관계를 갖고 있었다. 경성제대의 ‘조선어조선문학’의 강좌들은 오늘날의 ‘고전문학’에 해당하는 것이 중심을 이루었는데, 대상 텍스트가 ‘한문’이었기 때문에 한문 해독력을 주요한 학적 소양으로 요구했다. 이는 고전문학 강좌를 ‘강독’과 ‘연습’을 중심으로 편제하는 형식으로 제도화되었다. 동시에 이는 ‘학문으로서의 문학’을 ‘고전학’과 등치시키는 학적 관행을 형성했다. 경성제대가 ‘국문학’과 ‘조선문학’의 양면에서 ‘고전’을 강좌의 중심에 둔 것은 일본 본토에서의 ‘문학’에 대한 학적 범주의 조선적 이식인 동시에, ‘국민국가’의 ‘자기동일성’을 문학적 차원에서 입증하고 수립하려는 근대기획의 의도가 관철된 것이었다. 이는 ‘일본문학’을 ‘국문학’으로 배우는 조선 대학생들에게 ‘일본인’과 ‘문학사적 지식’을 공유하게 함으로써 ‘일본인’이 알아야 국민으로서의 교양을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여기서 조선인을 일본의 국민으로 소환하기 위해 일본의 고전문학 강좌를 개설하여 문학사적 공통 지식과 공통 감각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았을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이는 학적 소양의 차원에서 ‘국문학(=일문학)’에 대한 지식의 습득에 일본의 고전문학에 대한 ‘리터러시의 확보’가 포함되었음을 의미했다. 그리고 그것은 일본의 ‘가까운 과거’가 아닌 11-12세기 중심의 ‘먼 과거’의 문학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학의 범주 설정으로서의 ‘가까운 과거’에 대한 공부는 ‘근대와의 접속 문제’, 곧 식민지 상황에 대한 현대적 이해로부터 일정한 거리두기를 상정하도록 작용했다. 1950년대 대학에서 ‘학문적 자질’, ‘교육 내용’으로서의 ‘리터러시’의 확보 문제는 세 가지 측면에서의 역사적ㆍ제도적 맥락을 함축하고 있었다. 첫째, 고전문학이 ‘강독’ 과목의 편제를 통해 ‘고전’에 대한 ‘리터러시의 확보’를 가장 긴요한 학문적 자질로 간주해 온 학적 전통이 수립되는 과정에 있었다. 둘째, 그러한 학적 전통은 대학 교육을 받은 1세대 국문학자의 교육적 경험과 학문적 배경과 긴밀한 관련성을 맺고 있었다. 셋째, 텍스트 이해 능력으로서의 ‘리터러시’는 외국어 소통능력과 더불어 교양을 섭렵하기 위한 학적 능력의 표지로 간주됨으로써, 교양과 전공의 양자에서 요구되는 주요한 학문적 소양으로 인식되었다. 고전문학의 학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텍스트에 대한 리터러시의 확보 문제는 사실상 1950년대 대학에서 일반적인 학적 소양으로 요청된 것이기도 했다. 문과대학에 소속된 대부분의 학과에서는 ‘원전 해득력’을 전공 소양 및 능력으로 간주했으며 ‘강독 과목’을 배치하여 이를 제도화했다. 이때 강독 텍스트의 선정은 전적으로 담당 교수에게 위임되었으며, ‘교재’로 선정된 텍스트는 사실상의 ‘정전’으로 자리매김 되는 구조를 형성했다. This paper tri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pproach on the formation process of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university during 1950's, especially focusing on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art.; what wa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methodology abou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as it possible to premise there was a unique methodology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f it was possible, what was the main point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 methodolog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or literature itself? To approach such questions, this paper analyzed the historical process of formation of reading classes, only arrang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art in case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uring colonial period in Korea, at the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which were influenced from the Tokyo imperial university,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meant practically Japanese literature, not Korean one. However, during the same period, there weren't organized any reading classes amongest Japanese literature part in Tokyo imperial university. A series of reading classes were organized only in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moreover those classes were about the ancient times literatu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not Korean alphabet, Hangeul,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far past, contrast concept of the early modern age. Understanding Chinese writing which were written in Chosŏn Period by Chosŏn writers was the main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majoring Japanese literature and also Chosŏn literature. Such system made organize the reading classes and practice classes, in the latter, the students played main roles as presenters in those classes, as the main ones of Japanese and Chosŏn literature parts at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In such process,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came to be regarded as a study of literature itself, not contemporary literature. In such historical process, the literacy itself was regarded as the important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trained academically through completing a college courses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specially in the classic part, from 1950's and until now. The professors had the decisive role by selecting and translating the texts which should be read in the reading classes with the students arbitrarily. There weren't any other process to decide those things; What text was the original version? What text should be read in the university classes? And what was the canon which regarded the important text, all the Korean people and the graduates who majored Korea classical literature should know?

      • KCI등재

        교육자로서의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에 관한 종합적 고찰

        이민희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가람 이병기를 근대 초기 교육자로서 재조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되었다. 가람의 전 생애를 고려할 때 가람이 일관되게 행해 온 주요 활동은 교육과 관련한 것이었다. 따라서 가람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할 때, ‘교육자’로서의 가람을 논하지 않고 제대로 가람을 이해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그러나 지금까지 교육자로서 가람을 본격적으로 살핀 논의는 부족했다. 이에 본고는 관립 한성사범학교 졸업 후 평생 걸어갔던 가람의 교육자로서의 삶을 대중교육자(계몽가), 공교육자(교사), 그리고 국어교육자 측면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첫째, 가람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기회가 될 때마다 한글과 시조, 고전문학, 그리고 우리 역사와 문화를 가르치고자 한 계몽가이자 대중교육자였다. 특히 변화된 세상에서 새로운 교육 주체로 여성에 주목해 여성 교육을 힘써 강조했다. 가람이 신여성이 교육을 받고 주체적인 사회인으로 살아가는 사연을 다룬 단편소설을 창작한 것 자체만으로도 여성 교육에 대한 그의 관심사를 대변한다. 또한 가람은 눈높이 교육과 역사적 위인과 사건을 소재로 한 역사교육을 중시했다. 아동에게 민족정신을 심어주고자 정성을 쏟았다. 둘째, 가람은 초등학교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까지 제도권 내 교육기관에서 평생 교사 또는 교수로서 학생들을 가르쳤던 공교육자였다. 비록 나라 잃은 상태에서 그 역할이 제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과 정신 교육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개인적으로 우리말글의 우수성과 고전의 가치를 가르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교사 시절, 자신이 직접 고서를 읽고 고전을 탐구한 결과를 신문과 잡지, 단행본 등으로 발표했는데, 이 또한 일반인과 학생들로 하여금 쉽게 고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서였다. 날 것 상태의 시조, 고전문학, 한글, 문법, 고서 내용을 체계화․이론화해 민족 교육의 대상으로 만든, 일종의 가람식 공정(工程)이었다. 셋째, 가람은 해방 후 편수관이 되어 초창기 국어교육의 기초를 다지는데 일정 부분 기여한 국어교육자였다. 국어 교과서 편찬 및 집필 등 초기 국어 교재 개발뿐 아니라 교수요목 및 교육과정에도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람일기』 수록 일부 자료를 제외하면 공식적 자료에서 가람이 국정 국어 교과서 제작에 참여한 사실은 확인되지 않는다. 자유발행제 체제하에서 가람이 만든 국어교재(인정 교과서)를 본고에서 처음 평가했다. 가람의 국어교재는 교육목적과 방법을 충분히 고려한 본격적인 교재였다기보다 일종의 작품 선집에 가까웠다. 가람은 시조창작 및 교육뿐 아니라, 평생 어려운 고전을 쉽게 풀어 소개하고 교주, 번역하는 일에 골몰했다. 가람이 자신의 교수 경험을 토대로 학습자 및 일반인을 위한 각종 고전 독서물과 학습용 교재 등을 선보인 것은 평생 교육자로서의 소신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평생 학생과 일반 대중, 여성, 아동을 위한 교육과 전통 계승을 위한 고전 교육에 평생을 바친 초창기 국어교육의 선구자로 가람을 자리 매김할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assess comprehensively the various activities and aspects which Garam(嘉藍) Lee Byong-gi(李秉岐) showed as an educator. Garam walked the road as a lifelong educator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Garam can be evaluated as public educator and teacher at the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and university, and educator of Korean studies. Public educators can greatly evaluated by three as follows. : First, Garam dedicated to teach Hangul to the illiterate and to enlighten people as a member of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He made by means of enlightenment by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to the public through a national tour and several journals and newspapers. He also taught Hangeul to more popular on the radio. Second, Garam regarded education of women as the main target of enlightenment in modern society. So he have a keen interest in women's education and published several articles about this. It is important for us to know that Garam wrote a short story about new women, not as a Shijo poet, but a writer. It represent how much Garam was interested in women's education. Third, Gara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education and practice through the eye-level education and training activities, and education of the history using historical events and materials. He struggled to provide reading materials that children can dream and hope. On the other hand, Garam taught students for a lifetim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He taught the excellence of Korean language and value of Korean classic, and dedicated to foster the intellectuals. And he sought to easily adapt to school education. Garam had a responsibility for public education as a teacher of public education and emphasized importance of public education through several papers and journals. Finally, after the liberation, he participated in a portion of compilation of Korean textbooks and involved in the early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 materials, and contribu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other words, he was the expert who designed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educatio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n education. It is required to assess his educational lessons accurately. It was none other than saying education that Garam showed us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and numerous works throughout his life. It was interested for him to teach easily difficult classics, and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ith knowledge and skills. That is good evidence that Garam have released a variety of classic read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can easily access numerous articles and paperback, based on actual teaching experience. Therefore, we need to remember him as a great teacher.

      • KCI등재

        1930년대 <숙영낭자전>의 창극화 도정 연구 - 1937년 2월 조선성악연구회의 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

        김남석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9 No.-

        조선성악연구회는 1937년 2월 <숙영낭자전>의 창극 공연을 시행했다. <숙영낭자전>은 고전소설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작품임에는 틀림없었으나, 판소리 가창으로 널리 알려진 작품은 아니었다. 하지만 조선성악연구회는 이 작품의 창극 공연에 도전했고, 그 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몇 가지 성과와 한계를 경험했다. 일단 이 작품을 공연하게 된 일차적인 계기는 정정렬과 박록주가 <숙영낭자전>의 판소리 가창에 익숙했고, 그 내용이 당대의 관객이 선호할 만한 사건과 모티프를 함축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공연 제작의 입장에서도 <숙영낭자전>의 창극화 과정은 수월한 측면이 있었고, 작품 수용의 측면에서도 <숙영낭자전>의 관극 매력은 상당한 수준이었다. 더구나 조선성악연구회는 <춘향전>, <심청전>, <흥보전>이라는 전래의 레퍼토리에서 벗어나 신작 레퍼토리를 개발 보급해야 할 입장이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볼 때, <숙영낭자전>의 창극화 작업은 별다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판소리 <숙영낭자전>(창본과 녹음)을 바탕으로 하고, 고전소설 <숙영낭자전>에 대한 연구 성과와 동양극장 관련 제작 정황을 결부하여 창극 <숙영낭자전>의 실체와 그 특성 그리고 성패의 원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Choseon folk music theater(Choseonseongakyeonguhoe) performed Sugyeongnangjajeon in the form of Changguek in February 1937. Sugyeongnangjajeon was a popular work in classical novels, but it was not widely known as a Pansori style. However, Choseon folk music theater challenged the Changguek performance of this work and experienced some notabl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in the process. The primary reason for this performance was that Jung Jeongryeol and Park Rokju were accustomed to the pansori vocals of Sugyeongnangjajeon and the content of Sugyeongnangjajeon implies motives and events that contemporary audiences would prefer.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converting Sugyeongnangjajeon into Changguek form was easy, and in terms of acceptance of works, Sugyeongnangjajeon was quite attractive. Moreover, Choseon folk music theater had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repertoire of Story of Chun-Hyang(Chunhyangjeon), Story of Simcheong and Story of Heungbu. And after that, Choseon folk music theater had to develop and disseminate a new repertoire as a substitute for this original repertoire. However, as a result, the conversion of Sugyeongnangjajeon into Changguek form did not succe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ansori Sugyeongnangjajeon(script and recor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classic novel Sugyeongnangjajeon were related to the related production of Dongyang theate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reality of Sugyeongnangjajeon as Changguek form, its characteristics, and the causes of success and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