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민국임시정부 상해시기 헌정활동(1919-1932) - 중국 당국과의 관계를 겸하여 논함 -

        최혜주 한중법학회 2024 中國法硏究 Vol.54 No.-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수립이후로 크게 세 시기로 분류하는 데 그중에서 상해시기는 임시정부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상해시기 민족독립과 해방을 목표로 한 역사과 정뿐만 아니라 헌법제정 및 정부형태 변화와 당시 중국과의 관계분석으로 구 성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관계성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임시정부 수립 시기 손중산이 이끌던 호법정부의 지지를 받았는데 그것은 외교적 승인, 군사 인재의 배양 및 경제적 지원의 측면에서 나타난다. 다음으로 임시정부 상해시 기 정당구도와 정치리더십의 변화로 당시 헌법에 영향을 주었고, 헌법텍스트의 비교로부터 중국측 헌법문서의 영향도 일정하게 받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article expounds the process of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government reorganiz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Chinese authorities in order to realize the goal of national independence and restoration. Since its establishment on April 11, 1919, the Provisional Government has gone through three periods, including an important period in the histor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t Shanghai University. This paper analyzes the constitutional legislative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authorit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the independence movement l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was strongly supported by the law-defending government led by Sun and the later national government. Mainly reflected in diplomatic activities, military personal and economic life assistance. Second,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was mainly based on the change of the government leadership system. Moreover, the text of the Constitution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Chinese constitutional documents at the time. Moreover, the administrative concep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democratic practice of party politics are also related to China.

      • KCI등재

        일본 東洋協會의 식민 활동과 조선인식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1

        ■Abstract Colonization of Japan’s Dongyang Association and Its Recognition on Joseon Choi, Hea Joo Colonization activities of Dongyang Association(東洋協會) were as in the following. First, Japan established Dongyang Association Junior College(東洋協會專門學校) to train competent persons in 1907 necessary to govern Joseon and Taiwan. Second, Japan published ꡔDongyang Sibo (東洋時報)ꡕ to investigate the situations in Joseon and Taiwan and issued approximately 50 volumes of source books by establishing a division of academic investigation at Dongyang Association. Third, Dongyang Association believed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let Japanese people migrate to their colonies for proper management and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Dongyang Colonization Company(東洋拓植會社) to attempt economic invasion. Fourth, academic lectures were held for the propaganda of colonial circumstances and the distribution of colonization thought. Fifth, Japanese colonialists dispatched a group of inspectors to Japan so as to appease prominent figures such as Joseon's aristocrats, religious figures, officials and so on. Dongyang Association opened an event that welcomed the group of inspectors to cooperate with colonial governance. Their views on Joseon found in ꡔDongyang Siboꡕ were as below. First, they thought of Korean and Japanese people as the same folk in ethnical terms. Second, they believed that Korean people had to assimilate their thought, emotion, habits and blood to those of Japanese counterparts using a method of reforming customs. Third, they regarded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of Joseon people as trucklers. Fourth, they underlined Joseon's stagnation. Fifth, they emphasized that only Japan could save Joseon that had suffered from Joseon's misgovernment and could be successful in colonial management. ■국문요약 일본 東洋協會의 식민활동과 조선인식 -ꡔ東洋時報ꡕ를 중심으로- 최혜주 이 글은 동양협회의 식민활동을 살펴보고 會報로 발행된 ꡔ東洋時報ꡕ에 나타난 조선인식에 대해 정리하였다. 먼저 동양협회의 설립 배경을 검토하고, 동양협회의 여러 식민 사업 가운데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 진출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동양협회의 식민활동과 출판물 간행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특히 일본 동양사학의 개척자인 白鳥庫吉이 주도한 동양협회 학술조사부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세 번째는 동양협회가 조선이나 대만의 사정을 일본에 소개하는 ꡔ東洋時報ꡕ의 시찰담에 나타난 조선관과 조선통치론으로 나누어서, 일본 지식인이 조선을 어떻게 보았는지 알아보았다. 동양협회의 식민활동은 첫째, 1907년 일본이 조선 및 대만과 대륙을 통치하기 위해 현지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필요에서 동양협회전문학교를 설립하였다. 그리고 동양협회 분교인 경성고등상업학교를 통해 조선 교육에 침투하였다. 둘째, 조선 및 대만의 식민사정을 연구하기 위해 ꡔ東洋時報ꡕ를 발간하고, 동양협회 학술조사부를 설치하여 자료집 50여권을 간행하였다. 셋째, 동양협회는 식민경영에 있어서 일본인 이주의 필요성을 중요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제침략을 위한 방편에서 동척의 설립을 건의하였다. 넷째, 식민사정의 선전과 식민사상의 보급을 위한 학술강연회를 개최하였다. 다섯째, 조선의 귀족, 유지, 종교인, 법조인, 관리 등 각계각층의 지도급 인사들을 회유하기 위해 파견된 시찰단을 환영하는 행사를 개최하여 일본의 여러 시설을 견학시켰다. ꡔ東洋時報ꡕ는 1907년부터 1922년까지 101호(1907)부터 279호(1921)가 발행되었다. 대만협회가 동양협회로 바뀌면서 ꡔ臺灣協會會報ꡕ도 ꡔ東洋時報ꡕ로 바꾸었다. 동양협회는 ꡔ東洋時報ꡕ를 1922년부터 ꡔ東洋ꡕ으로 이름을 바꾸어 1944년까지 발행하였다. ꡔ東洋時報ꡕ의 체제는 논설, 담화, 잡록, 산업, 각지의 통신, 漢文東洋報, 동양협회, 동양협회학교 관련 기사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 가운데 독특한 것은 ‘漢文東洋報’이다. 이것은 잡지의 중요한 기사 내용을 한문으로 번역하여 게재하였다. 이 난은 일본 국내만이 아니라 중국, 대만, 조선, 만주 전역에서의 독자층을 염두에 둔 것이다. ꡔ東洋時報ꡕ에 나타난 조선관은 대략 다음과 같다. 먼저 두 나라의 역사적 관계에 대해서 인종적으로 볼 때 두 민족을 동족으로 이해하는 점이다. 둘째, 풍속개량의 방법으로 사상, 감정, 습관, 혈액 모두 융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조선인의 민족성을 사대주의적으로 보고 있다. 조선사를 보더라도 상고에서 금일에 이르기까지 완전히 독립한 적이 드물다고 지적하였다. 넷째, 조선의 停滯性을 강조하는 점이다. 다섯째로 일본만이 악정에 시달려온 조선을 구제하여 식민 경영을 성공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고전의 형성에 대한 일고찰 - 재조일본인과 조선광문회의 고전 간행을 중심으로 -

        최혜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한국문화 Vol.64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publication businesses run by Choi Namsŏn and Japanese residents in Korea involved in formation of Korean modern classic. Those organisations that looked into Korean classical texts included ‘Chosŏn kosŏ kanhaenghoe’, ‘Chosŏn yŏn’guhoe’ and ‘Chayut’ogusa’. Purposes of these organisations in running publication business differed a bit: ‘Chosŏn kosŏ kanhaenghoe’ to prepare for Korea-Japan annexation, to investigate historical materials and to research Korean history and ethnicity; ‘Chosŏn yŏn’guhoe’ to ensure internal stability of the colony in commemoration of the annexation; and‘Chayut’ogusa’ to study Korean ethnicity, having recognized Korean-Japanese assimilation as an urgent issue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three organisations published 162 classical books with financial supports from either the Residency-General or the Government-General in order to cooperate in colonial rule. In order to stand up against Japanese-residents’ such businesses and to protect Korean Geist, Choi Namsŏn established ‘Chosŏn Kwangmunhoe’ and published forty-six classical books. He started this business with impetus from Japanese’ fervour for collecting and studying Korean classic, which he experienced through his study-abroad in Japan, and with painfulness for the loss of Korean books. That is, he started the business with a belief that rediscovering Korean tradition and enhancing Korean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Chosŏn Kwangmunhoe’ business was the only way to recover the national sovereignty.

      • KCI등재

        중국 이주 역사가 김택영의 저술활동

        최혜주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7

        Kim Taek-young is a historian and master of Chinese poems and classics from Gaeseong who lived his life during the turbulent late Joseon period. Following the Gabo Reform of 1894, he was in charge of publishing history books as a commissioned officer and wrote a history textbook called "歷史輯略(Yeoksajipryak)" or a book of national history. However, in 1905, he was exiled to Nantong, China in the sense of crisis of the Japanese invasion and continued on his writing activities while engaging in making corrections at Hanmungrim publishing company. The Chinese people who he met and interacted with in Nantong include businessmen Zhang jian(張謇), translators Yan Fu(嚴復), thinker Liang qi-chao(梁啓超), 湯震, writer Yu Yue(兪樾), historian tú jì(屠寄), Lü Simian(呂思勉), and artist Ouyang Yuqian(歐陽予倩). At n Hanmungrim publishing company, he published a collection of poetry and prose by Park Ji-won, Lee Gun-chang, Shin Wi, and Hwang Hyun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nd compiled the "校正三國史記(Amended Version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and "新高麗史(New History of Goryeo)", correcting defects and errors from an independent and objective perspective. In addition, he wrote "韓史綮(Hansagyeong)", which summarized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n a critical perspective for the first time, followed by writing "韓國歷代小史(History of Korea based on Major and Minor Events)", leave the first synoptic history of Korea. Kim Taek-young became known to the Chinese history academia through his interactions with such historians as tú jì(屠寄) and Lü Simian(呂思勉). In particular, Lü Simian(呂思勉) quoted the Kim Taek-young’s ‘History of Korea based on Major and Minor Events’ while writing his book ‘白話中國史’, the history of China written in colloquial Chinese. The book was the first Chinese history book written in colloquial language and was a widely circulated college textbook. The presence of these books indicates that Kim Taek-young’s writings, including "Amended Version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History of Korea based on Major and Minor Events" and "New History of Goryeo" were introduced to China. Kim Taek-young practiced the philosophy of protecting and promoting the country through writings by organizing distributing the culture and history of Joseon in Korea and China as well. His writings can have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his writ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as a means of restoring national sovereignty and facilitating independence. 김택영은 개성출신으로 한말 격동기에 활동한 역사가이자 한시와 한문의 대가였다. 그는 1894년 갑오개혁 이후부터 사관직에 있으면서 편사를 담당하여 역사교과서 『역사집략』을 저술하였다. 그러나 1905년 일본의 침략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중국의 남통으로 망명하여 한묵림인서국에서 교정 작업을 하며 저술활동을 하였다. 남통에서 교유한 중국인은 실업가 張謇, 번역가 嚴復, 사상가 梁啓超, 湯震, 문학가 兪樾, 사학자 屠寄, 呂思勉, 예술가 歐陽予倩 등이다. 한묵림인서국에서는 조선후기의 박지원, 이건창, 신위, 황현의 시문집을 간행하고 『교정삼국사기』와 『신고려사』를 편찬하여 주체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았다. 또한 『한사경』을 저술하여 비판적인 안목에서 조선왕조사를 처음 정리하였으며, 이어서 『한국역대소사』를 저술하여 식민지시기 한국사 통사를 남겼다. 이 서국을 통해 출판된 서적들은 식민통치하 국내의 지식인층에게 비밀리에 제공되었고 중국에도 우리 문화전통의 우수성을 알리는 중요한 자산이 되었다. 김택영은 조선의 문화와 역사를 정리하여 국내와 중국에 유통시킴으로써 ‘문장보국’을 실천한 것이었다. 김택영은 역사학자 屠寄와 呂思勉과의 교류를 통해 중국 역사학계에도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呂思勉은 『白話中國史』를 서술하면서 김택영의 『한국역대소사』를 인용하였다. 이 책은 중국 최초의 백화문으로 기술된 통사로 널리 유통된 대학교재였다. 이러한 교재를 통해 김택영의 『교정삼국사기』, 『한국역대소사』, 『신고려사』가 중국에 소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이러한 저술활동은 국권회복과 독립을 위한 방편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그 사학사적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식민사학자 오다 쇼고(小田省吾)의 경성제대 교수 활동과 조선사 인식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8

        Oda Shogo (小田省吾) came to Chosun in 1908 and lived there for 37 years. He was a person that supporte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o compile textbooks and found Keijō Imperial University, participated initiatively in organizing Japanese’s Chosun research groups, and contributed to creating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by laying the grounds for colonial education. First, Oda regarded that the mission of Keijō Imperial University should be studying Oriental culture, cultivating colonial officials, and completing the project of harmonizing and unifying the two races. He insisted that the mission should be promoted by ‘Japan’s mind’ as the driving force. He devoted his whole life to etching the ‘Japan’s mind’ into Chosun. Second, the professors of history in Keijō Imperial University took the lead in distorting history in the name of studying Chosun’s culture and history. Oda deemed that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Chosun history should be the most essential thing in ‘harmony and union between Japan and Chosun’. As a professor of Keijō Imperial University, the goal was to insert distorted Chosun history to students and justify Japan’s rule over Chosun. Third, Oda wrote history of Chosun, which came from the necessity to reorganize Chosun history grounded on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o fight against Chosun’s resistance to Japan after the 3.1 Movement. Distorting the history of Dangun in Chosun that is up to 2,000 years ahead of Japan’s history, he negated Dangun. He produced Ilseondongjo-ron saying Amaterasu’s brother, Susanoo, crossed into Chosun and also Tayulseong-ron saying the south of Chosun in the ancient times was Japan’s colony. Fourth, being engaged in Cheongguhakhoe, Oda strived to study the history of party strife by extending the research on the dismantlement of Chosun history, persecution on Catholicism, and Hong Gyeong-rae’s Revolt. He supported Dangpaseong-ron saying the cause of Chosun’s collapse was from not Japan’s invasion but its own party strife. Later, Ilseondongjo-ron stressing intimacy between Chosun and Japan and Tayulseong-ron saying Chosun had been ruled by Japan from the ancient times in the history were established. Oda spread the origin of colonial rule and the theory for justification by doing the teachings at Keijō Imperial University and activities in Cheongguhakhoe. 오다는 1908년 내한이후 37년 동안 조선에 살면서 총독부의 교과서 편찬사업을 주도하고 경성제대 교수로 활동하였다. 또한 일본인의 조선연구 단체 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식민교육의 기초를 만들어 식민사관 창출에 기여한 인물이다. 첫째, 오다는 경성제대의 사명을 동양문화를 연구하고 식민관료를 양성하여 양 민족이 융화 결합하는 사업을 완성하는 것에 두었다. 이 사명은 ‘일본정신’을 원동력으로 추진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일본정신’을 조선에 부식시키는 데 일생을 바친 인물이다. 둘째, 경성제대 사학과 교수들은 조선 문화와 역사를 연구한다는 미명하에 역사왜곡에 앞장섰다. 오다는 조선의 역사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일선 융화의 결합’에 가장 필요한 일이라고 보았다. 경성제대 교수로서 학생들에게 왜곡된 조선사를 주입하여 일본의 조선 지배를 합리화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셋째, 오다의 조선사 저술은 3.1운동 이후 한국인의 항일운동에 대항하여 식민사관에 입각한 조선사를 재구성할 필요에서 나왔다. 일본의 역사보다 2천년이나 앞서있는 단군조선의 역사를 왜곡하여 단군을 부정하였다. 아마테라스의 동생 스사노오가 조선에 건너갔다는 일선동조론과 상고시대 조선의 남부는 일본의 식민지였다는 타율성론이 만들어졌다. 넷째, 오다는 청구학회 활동을 하면서 조선사적 해제, 천주교 박해와 홍경래 난에 관한 연구를 확대하여 당쟁사 연구에 매진하였다. 조선 멸망의 원인도 일본의 침략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당쟁 때문이라는 당파성론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근친성을 강조하는 일선동조론과 역사적으로 고대부터 일본의 지배를 받아왔다는 타율성론이 식민사관으로 정립되었다. 오다는 식민지배의 기원과 정당성을 찾는 이론을 경성제대 교수 및 청구학회 활동을 하면서 전파시켜 나간 것이다.

      • KCI등재

        일본 殖民協會의 식민 활동과 해외이주론

        최혜주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0

        식민협회는 외무대신을 지낸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가 이주 식민을 일본의 國是로 내걸고 식민사업의 거점을 확보하기 위해 1893년에 설립한 아시아주의 단체이다. 협회의 운영은 代議士, 외무성 관료, 실업가, 학자, 언론인 등 평의원 28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식민협회에서 한 활동은 이민회사 설립과 항로확장 추진, 탐험대 파견과 강연회 개최, 일간지에 이민론 소개, 제국의회에 건의안 제출, 식민사상과 식민교육 보급, 식민 상담회 개최, 잡지 출판 등을 통해 해외이주의 중요성을 계몽하는 일이었다. 식민협회의 잡지인『殖民協會報告』와『殖民時報』에 나타난 일본인의 해외이주 문제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급무론. 식민협회가 식민이 시급하다고 본 이유는 급격히 증가하는 일본인의 인구배출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고, 청일전쟁 후 전후경영을 위한 팽창주의를 추진하며, 열강과의 각축 속에서 생존경쟁을 위한 국가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라고 보았다. 둘째, 식민정략론. 식민협회는 일본인은 애국심이 강하지만 대외사업에는 냉담하다고 인식하였다. 식민정략으로 중요한 것은 이주의 순서와 방침, 이주지의 선정문제다. 그리고 이민을 영구목적으로 하고 일본이 열강과 경쟁하려면 海上權과 商權을 가져야 하며, 일본의 식민정책은 “영국의 식민지를 빼앗아 五大洲를 마음대로 할 수 있을 정도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셋째, 조선이주론. 쓰네야 세이후쿠(恒屋盛服)는 일본이 조선으로 이주 식민이 필요한 이유는 역사상 “두 나라가 인종이 동일하고 언어풍속과 생활상태가 비슷한 식민의 관계를 갖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또한 일본상인이 조선에서 힘써야 하는 것은 항해무역이 아닌 내지행상이라고 보았다. 그는 조선에 이주 식민을 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이민을 지도할 ‘토지주선회사’를 만드는 일이고, 이주안내서를 간행하여 토지를 대량으로 구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청일전쟁 이후 식민협회는 물론 당시 일본 언론들의 조선이주에 대한 관심은 열강이나 러시아의 움직임을 경계하는 데서 나왔다. 이를 위해 다수의 일본인을 조선에 이주시켜 식산공업에 종사하게 하고 부원을 개척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The Japanese Colonial Association, the extend of the Continent of Asia, was established in 1893 by Enomoto Takeaki who was foreign minister in oder to secure foothold for colonial enterprise putting up state policy of colonial emigration. The operation of association was conducted by 28 councils involving deputies, bureaucrat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businessmen, scholars, journalists. Its activities was to establish a emigration company and extend the sea routs, to dispatch an expedition and hold lecture and skull session, to introduce immigration theory in daily newspaper and submit a proposition, to propagate colonial thought and education and enlighten the public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oving overseas through publishing a magazine. In the Report on Japanese Colonial Association and Colonial Time Signal published by Japanese Colonial Association, there were several issues of Japanese immigration. The first was ‘the theory of colonial matter requiring immediate attention’. The reason for that they regarded the immigration as burning problem was to solve the problems of population growth and a food shortage and carry forward a plan of expansionism for the post-war management after the Sino-Japanese War and of state enterprise of struggle for existence in the situation of competing powers. Secondly, it was ‘the theory of colonial political strategy’. The Japanese Colonial Association recognized that Japanese has strong patriotism but apathy towards businesses abroad. Most importantly, as a colonial political strategy, it was the order and direction of emigration and the problem of selection of settlement. To aim at emigration as an eternal objective and compete against powers, Japan had to rule the sea and gain commercial supremacy, and claimed that the colonial strategy of Japan was to seize colonise from English and controled the Five Continents under the Japanese will. Thirdly, it was ‘the theory of emigration to Korea’. Tsuneya Seihuku claimed that “the race of two nations is not only historically same but the life-style such as language and custom is similar” is the reason for the need for Japanese emigration into Korea. Moreover, Japanese merchants strove for internal peddling in Korea not sailing trade. What it need most for colonial emigration, he argued, is to establish ‘Land Arranging Company’ to guide emigration, and to make quantity of land purchases through publishing a guidebook.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concern of Japanese press, as well as Japanese Colonial Association, with emigration to Korean arose from keeping their eye on the movement of powers or Russia. To achieve this, it became important to transplant a great number of Japanese to Korea and to engage in the productive industry to develop a source of wealth.

      • KCI등재

        1900년대 일본인의 조선이주 안내서 간행과 조선인식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5

        일본에서는 개항 전후시기부터 조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사정을 조사하였고, 조선 진출을 위한 안내서가 발간되기 시작하였다. 첫째, 조선사정 안내서는 러일전쟁 발발 이전까지는 개인보다 단체를 중심으로 나왔다, 그리고 종군기자들의 정탐으로 러시아와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내용들을 보고하여, 일본이 대륙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였다. 둘째, 일본인들의 본격적인 도한은 러일전쟁 직후에 이루어졌다. 전쟁 발발이후 도항안내, 러시아ㆍ만주안내, 起業과 경영, 지리에 대한 안내서가 주종을 이루었다. 일본에서의 조선이주에 대한 관심은 인구증가와 식량 문제에 대한 절박함에서였다. 러시아와 만주, 지리에 대한 관심은 러일전쟁 승리 이후 조선을 장악하고 대륙진출을 기도하기 위함이었다. 셋째, 강점 이전에 간행된 도항안내서는 ‘무한한 寶庫’인 조선에의 도항을 권유하는 것으로 소자본을 가지고 성공한 사람들의 수기를 수록하여 현장감을 더했다. 안내서는 재조언론인들이 경성에 살면서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으로 조선의 어두운 면을 강조하거나, 조선인의 미개성을 묘사하여 조선에 대한 차별적 이미지를 생산하기도 했다. 아울러 중소농민 이식책을 중심으로 한국식민의 중요성을 호소하거나, 이주식민을 통해 경제적 동화를 이루고 나서 내선동화를 추진하자는 내용이었다. 이와 같이 일본에서 조선이주 안내서를 간행한 목적은 ① 일본인들의 조선 실정에 대한 무지와 정보 부족, ② 일본민족의 팽창을 위한 ‘이익선’ 확장과 한국에의 도항 장려, ③ 러일전쟁 이후 ‘보호국’이 된 한국을 ‘지도’하기 위해, ④ 동양의 보고인 한국의 부원을 개척하여 한국을 식민지로 경영하기 위해서였다. Around the port opening, Japan started to have more and more interest in Chosun and investigated its circumstances in general. And they began to publish guidebooks to enter Chosun. Looking into the guidebooks by periods, first, we can see that the guidebooks were published not by individuals but by groups mostly before the Russo-Japanese War. And war correspondents spied Russia and kept records for Japan to grope for chances to enter the continent. Second, the time that Japanese sailed to Chosun decisively was right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those guidebooks mostly dealt with guidance for sailing, guidance about RussiaㆍManchuria, how to launch and manage a business, or geography. Due to the Japanese desperateness resulted from population increase or food shortage, they intrigued Japanese to move to Chosun. Japanese interest in Russia or Manchuria and also geography was to conquer Chosun after the victory in the Russo-Japanese War and attempt continental invasion. Third, the guidebooks for sailing published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contained the memoirs of people who had became successful even with little capital in order to recommend Japanese to sail to Chosun, ‘the infinite repository’. In the guidebooks, the Japanese journalists either emphasized the dark side of Chosun using ‘civilization’ and ‘brutality’ dichotomically while living in Gyeongseong or produced discriminative image about chosun by describing Chosun people’s savageness. And they also appealed to Japanese by emphasizing Korea’s colonization mainly dealing with minor farmers’ transplant policy or tried to promote assimil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after the economic assimilation realized by colonization through moving. As written above, the reason why Japan published the guidebook to move to Chosun is as follows: ① to overcome Japanese’ lack of information and ignorance about the situation in Chosun, ② to extend ‘the Japanese line of advantage’ for the expansion of Japanese people and encourage sailing to Korea, ③ ‘instruct’ Korea that has become their protected state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nd ④ to develop ‘the source of wealth’ in Korea, the repository of Asia, and manage it as its colony. line of advantage.

      • KCI등재

        시데하라(幣原坦)의 식민지조선․대만에서의 교육 활동

        최혜주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3 No.-

        시데하라가 조선과 대만에서 식민교육의 기초를 만든 인물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의 교육 활동을 살펴보았다. 첫째, 시데하라는 조선과 대만의 교육을 서구 식민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관찰한 뒤 조선과 대만이 서구보다도 식민지 교육이 순조롭게 되는 것에 자부심을 가졌다. 그것은 조선과 대만이 일본과 ‘같은 인종’이므로 인종, 사상, 풍속, 습관에서 차이가 없고 일본인이 식민지 주민들을 다루는 교육법도 무리하지 않아 동화교육의 효과가 있어 서구보다도 유리하다고 보았다. 둘째, 실제 교육에서는 조선과 대만 모두 일본인 위주의 교육을 시행하여 식민지 주민 교육보다 우선하였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데하라는 조선에서 학정참여관으로 있을 때 근대적 교육의 학제 개편을 실시하면서 대학 설립이 불필요하다고 보았고, 초등교육과 실업교육을 중시했다. 대만에서는 대학설립을 준비하여 총장이 된 후 대만인보다는 일본인 위주로 식민통치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식민지대학을 운영해 나갔다. 이것은 시데하라가 조선과 대만에서 종주국의 지위를 얻은 일본인에게 지도자다운 자질을 요구하면서, 조선인과 대만인에게는 피식민자의 지위에만 머물게 하려는 것을 의미했다. 셋째, 시데하라는 조선과 대만에서 문화 건설과 교육 발전이라는 명목으로 그 실천자가 되어 활동했다. 조선에서는 일본어 보급과 교과서 편찬을 통해 일본문화를 침투시키고 있었고, 대만에서는 대만이 일본문화 선전에 필요한 남양연구와 조사에 적합하다고 보았다. 또한 인문․자연과학 연구에서 막대한 가치를 갖는 지역이라는 인식아래 일본문화의 정수를 남방에 건설한다는 사명에서 활동했다. 넷째, 시데하라의 적지주의라는 것은 조선과 대만의 식민지 사정을 참작하여 식민통치에 활용하자는 것이었다. 조선과 대만의 식민통치에서 일제의 교육정책이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는지는 대북제대의 설립을 경성제대의 설립과 비교한다면 적지주의적 교육정책의 모습이 한층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Observ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ctivities focusing on Shidehara’s theory of assimilation education in colonial Korea and Taiwan show that first, Shidehara, who made relevant observations of Korean and Taiwanese education in relation to Western colonies, was confident that colonial education was being conducted more smoothly in Joseon and Taiwan than in the West. This was because he viewed the effects of assimilation education to be advantageous compared to that of the West as the people of Joseon and Taiwan are ‘the same race’ as the people of Japan, sharing the same ethnicity, thoughts, customs, and habits and as the educational methods of the Japanese in dealing with colonial residents were not forceful. Second, both Joseon and Taiwan conducted Japan-oriented education in their actual educational practices and this was prioritized over colonial resident education. Because of this, when Shidehara worked as an undergraduate adviser in Joseon, he viewed the establishment of universities to be unnecessary as school system reform was being conducted in modern education and he placed importance on elementary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After preparations were made for a university establishment in Taiwan and he became president, a colonial university was operated to cultivate people of talent needed for colonization. This signified that Shidehara demanded that the Japanese who gained suzerain state positions in Joseon and Taiwan possess leadership qualities while having the people of Joseon and Taiwan staying in positions of the colonized. Third, Shidehara acted as an executor in the name of culture construction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Joseon and Taiwan. He spread Japanese culture in Joseon through Japanese language distribution and textbook compilations and in Taiwan, he viewed Taiwan to be fitting for the research and examination of the South Sea needed for Japanese culture propagation. Also, he carried out the mission of building the essence of Japanese culture in Southern regions under the awareness that they have immense value in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research. Fourth, the localism of Shidehara states that the colonial situations of Joseon and Taiwa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utilized in colonial rule. Comparisons made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Taihoku Imperial University and the establishment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to observ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policies of the Japanese Empire with regard to the colonization of Joseon and Taiwan will more clearly display the localized educational policies of Shidehara.

      • KCI등재

        잡지 『朝鮮及滿洲』에 나타난 조선통치론과 만주 인식 -1910년대 기사를 중심으로-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2

        ■Abstract Joseon Regime Theory and Manchurian Recognition in Magazine 『Joseon and Manchuria』-focused on the 1910s- Choi, Hea-joo 『Joseon and Manchuria』 is a magazine published by Shakuo, Japanese settler in colonial Joseon from 1912 to 1941. After visiting Korea as a teacher, he was a journalist who managed the magazine company in Joseon for 40 years and organized Joseon Study Institute to cooperate in colonial rule. This magazine’s characteristic is emphasizing the need of Joseon study for Joseon governance and criticizing unauthorized rule without protecting interest of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Joseon. However, it showed duality promoting pubic opinion of an aggressive policy under the agreement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for national interest. The criticism about Joseon ruling and Manchurian problems in the magazine during the 1910s is as follows. 1. Japanese migration is important to solve population expansion and insufficient food. However, severe intervention by Derauchi proconsul’s unauthorized rule made Japanese migration in Joseon hard, and development of Joseon and assimilation policy were inevitably failed. 2. The cause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s due to the error of unauthorized rule, discrimination against Joseon people, media pressure, forced assimilation policy, and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Joseon should make an effort to prevent Joseon people from becoming independent despite their riot. 3. Manchurian management after merging Joseon is important for ‘expansion’ of Empire of Japan. Joseon Governor-General and Gwandong Dodock-bu(government organs, Gwandongju, Manchuria) taking charge of colony management should reflected on their role failure. 4. Japan’s duty is to establish ‘Japan’s domination’ by advancing into China. Taking the First World War opportunity, rights of Shandong Province, China should be secured and this should be used as an opportunity of Japan’s rapid economic growth. ■국문요약잡지 『朝鮮及滿洲』에 나타난 조선통치론과 만주 인식-1910년대 기사를 중심으로- 최혜주 『朝鮮及滿洲』는 1912년 1월부터 1941년 1월까지 재조선 일본인 샤쿠오가 발행한 민간잡지이다. 식민통치기 재조선 일본인의 언론활동은 대내적으로 일본인의 이익에 배치되는 정책에 대해서는 당국에 대항해서 통치방침을 비판하고, 대외적으로 국가적 이익을 위해서는 당국과 일치해서 침략주의적인 여론을 선전하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고에서 『朝鮮及滿洲』에 주목하는 이유는 조선과 만주진출의 ‘급선봉’ 역할을 자처한 잡지였다는 점, 본지의 전신인 『朝鮮』을 포함하여 식민통치기 34년 동안 경성에서 월간지로 발행된 점, 민간잡지로서 발행인 겸 주필이 한 번도 바뀌지 않고 일관된 논조를 유지했다는 점, 일본의 정ㆍ관ㆍ경제ㆍ언론ㆍ교육ㆍ법조계 등 대표적 지식인들의 담론이 담겨져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지의 논설에 나타난 조선통치에 대한 비판과 만주 문제에 대한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통치에서 일본인의 이주 문제가 중요했던 이유는 일본의 인구팽창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데라우치 총독의 무단통치 아래에서 일본인의 조선이주는 어렵기 때문에 조선개발과 조선인의 동화정책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둘째, 동화의 방법은 ① 조선의 역사와 조선인의 민족성, 조선사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② 동문동종을 강조하여 일본의 비호를 떠나서는 국가와 국민의 안녕을 바랄 수 없음을 알리며, ③ 국어를 보급하여 언어동화를 이루고 교육을 통해 일본정신을 함양시킨다. 셋째, 3ㆍ1운동이 일어난 원인은 대내적으로 무단통치와 동화주의의 오류, 총독부의 조선인 차별대우, 언론압박과 동화정책 강제이고, 대외적으로 파리강화회의에서의 민족자결주의 사조, 서양인의 오해 등이다. 조선에 있는 내지인들은 조선인이 아무리 소요를 일으키고 반항해도 절대로 독립할 수 없도록 분발해야 한다. 넷째, 조선병합 후의 만주경영은 일본제국의 ‘팽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그런데 식민지 경영의 책임이 있는 조선총독부와 관동도독부가 그 직책을 수행하지 못한 것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 다섯째, 일본제국의 사명은 식민지 조선을 안정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만주경영을 추진하고, 이를 발판으로 중국본토에 진출하여 ‘일본의 패업’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중국 산동성의 권익을 획득하여, 제국비약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 KCI등재

        中国的外国人相关法律发展历程与外国人基本权利 主体资格研究

        崔慧珠 한중법학회 2023 中國法硏究 Vol.52 No.-

        Chapter II of China’s Constitution stipulates “the fundamental rights and obligations of citizens”, and citizens are the subjects of fundamental rights.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countries has become closer and closer, and the group of foreigners has begun to appear in our view. The Constitution does not specify the rights enjoyed by foreigners, but merely guarantees the “legitimate rights and interests” of foreigners. In this paper, we learn from the changes of foreign-related legal system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at the structure of foreign-related legal system. The theoretical theory about the subject status of foreigners’ basic rights is expounded in combination with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中国《宪法》 第二章规定了“公民的基本权利和义务”, 公民是基本权利 的主体. 然而全球化时代的到来, 使得国家之间的交往日益密切, 外国人 这一群体开始出现在我们的视野当中.《宪法》 没有明确规定外国人享有 哪些权利, 仅仅规定了保障外国人的“合法权利和利益”. 本文对建国初 期以来的外国人相关法制的变化中得知中国的外国人相关法律制度结 构, 随着社会的发展从严格管控到逐渐松动的政策转变. 有关外国人基本 权利主体地位的理论学说, 结合宪法规定阐述了外国人基本权利主体地 位的认定.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