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김동만(Kim, Dong-Man),이철현(Lee, Chul-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몰입 사용의 구체적인 경험을 사실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특정 경험을 한 초등학생들의 있는 그대로 본인들의 관점으로 현상을 확인하고자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남자 4명과 여자 4명, 총 8명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Giorgi의 자료 분석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을 이루는 의미와 본질로 4개의 구성요소와 11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숨겨야 하는 즐거운 시간들-주위에서 스마트폰 중독자로 바라 봄, 스마트폰은 자제가 필요한 경험, 즐거운 여가활동, 스마트폰은 생활 필수품>, <인정받고자 하는 과욕 행동-우월감을 키우는 행태, 스마트폰을 잘 다루기 위한 과잉 노력>, <나와 통하는 단짝 친구 만들기-친구와 만나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 친구 관계 유지를 위한 창, 소통을 위한 능동적 관계 맺기>, <사회적 안정감이 필요한 활동-왕따를 걱정하는 학생 문화적 행동, 부모와 자녀의 연결고 리>로 구분되는 초등학생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이 의미하는 것은 ‘또래집단 속 인기를 탐하는 과욕 행동’이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몰입 사용의 구체적인 경험을 사실적으로 밝혀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자신(즐거움)과 주변(중독자)의 시각차가 커 스마트폰 과몰입이 심해지더라도 자신의 상태를 숨기게 되어 사회문제로 심화될 가능성이 컸다. 둘째, 초등학생은 스마트폰이 각자 원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하나의 도구나 방법으로 여기고 과몰입하지만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스마트폰 과몰입을 통해 또래집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의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초등학 생들의 스마트폰 사용 교육을 위한 중요한 이해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ssential intentions and the results of the Overindulgent Smartphone-Experiences among Elementary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the Giorgi 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intimate interviews, participants essays and their social achievements of eight students in the 6th grade. There were 4 essential meanings and 11 submeanings for the overindulgent use of smartphone, followed by 4 essential meanings found; to indulge self-time on the screen/to self-isolate from others, to be approved by friends in many aspects, to make the best companion in school, and to continue to retain social stability. In results, participants showed three conclusions. First, participants fail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addiction and indulgence on using the smartphone resulting in possible problems in a society. Second, participants treated the smartphone as a necessity for their lives and overindulge on it, although it showed limited positive-effects on their lives. Third, it showed that participants tend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peer group activities using smartphones.

      • KCI등재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

        유지형(Yoo Ji Hyung),문혜련(Moon Hae L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정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유치원 5곳과 어린이집 10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434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12.0K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정,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를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 과몰입군과 고위험 사용환경군, 과몰입 고위험군이 31.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유아에서 약 3분의 1정도가 스마트폰 과몰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둘째, 유아의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정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에서 5분의 1정도의 유아들이 과잉행동과 충동성, 부주의 증상을 가지고 있었다. 유아의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3개 요소 모두 남아가 여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과 과몰입 증상 하위요인(이상발달, 과도한 추구, 집착적 사용), 과몰입 증상 총점 모두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유아에게 미치는 유해성을 부모와 유아가 인지하고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general inclination of five-year-olds in terms of their extent of smartphone over-immersion,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and analyzes differences in these behaviors by the children’s gender. The objective i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of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and their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For the research, 434 five-year-olds from five private kindergartens and 10 public children’s daycar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were surveyed. SPSS 12.0K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extent of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and found out that 31.6% of the children fell into a group of smartphone over-immersion, a high-risk group of smartphone usage environment, or a high-risk group of smartphone over-immersion, indicating that about one-third of the all children were exposed to the risk of smartphone over-immersion. Second, one-fifth of all children showed symptoms of hyperactivity, impulsivity or inattention. These behaviors varied by children’s gender, and boys showed higher extent of these behaviors than girls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rd,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and their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and found out that children’s smartphone usage environment, sub-categories of over-immersion symptoms(abnormal developmental symptoms, excessive seeking, stick to usage), and a total score of over-immersion symptoms all ha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children’s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In conclusion, we found out that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ir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programs through which parents and children can be more aware of harms of excessive smartphone usage on children, and form a healthy habit of using smartphone.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학령전 아동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인숙(金仁淑),김도연(金到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 아동의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 및 매개변인과의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수도권의 어린이집과 유치원 및 개인 의원을 방문하는 학령전 아동의 어머니 543명과 그 자녀인 학령전 아동이며, 경로분석을 통해 학령전 아동의 어머니와 그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및 매개변수의 인과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즉, 독립변인으로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을, 종속 변인으로 학령전 아동의 스마트폰 과몰입으로 설정하였고,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부갈등과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모형에 대한 직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학령전 아동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부부갈등에 정적영향과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령전 아동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대해 부부갈등은 정적으로,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령전 아동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부부갈등 및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하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부부갈등 및 어머니-자녀 의사소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f mother, smartphone overindulgence of preschool children and mediating variables such as marital conflicts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Five hundred and forty three preschooler’s mother residing in Seoul city or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city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f mother and the smartphone overindulgence of preschool children had sta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Second, on the one hand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the marital conflicts variable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on the other hand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s showed between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the mother-chil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marital conflicts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variabl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the smartphone overindulgence of preschool children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smartphone overindulgence of preschool childr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desirable role of mother to prevent smartphone overindulgence of preschool children. Also It suggest a need for variety further research which targets preschool children and sound attitude of maternal using smartphone.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

        오윤경,이미현,최혜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에 거주하는 유아와 그 아버지 389명을 대상으로 아버지 양육참여 척 도,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아버지 양육참여는 사회?정서지원, 공동양육, 교육지원, 놀이?문화지원, 자기성장의 순으로 나 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실태는 스마트폰 사용환경에서 일반 사용환경군에 속하고 스 마트폰 과몰입 증상도 일반 사용자군에 속하였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 입 간의 관계는 스마트폰 사용환경과 스마트폰 과몰입 증상 모두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의 관계를 파악함으로 써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예방을 위해 아버지의 적극적인 양육참여가 필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였 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예방에 관한 부모교육이나 상담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 분석-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차가정,곽승주 한국미래교육학회 2018 미래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유아기 부모의 바람직한 역할 및 놀이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 어머니 267명을 대상으로 놀이신념 및 참여도, 자녀의 스마트폰 몰입수준을 알아보고 그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의 놀이 신념 중 놀이지지 신념이 학습중심 신념보다 높았으며, 놀이신념 수준이 높은 것에 비해 놀이참여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배경변인 중 취업유무, 자녀수, 월 소득, 학력 등에서 놀이신념의 차이가 있었고,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라 놀이참여 빈도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과몰입 수준은 어머니의 연령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에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학습중심 신념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참여에서 평일과 주말 놀이시간, 놀이참여 빈도, 놀이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belief and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play and the children’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use, in order to find desirable roles that can be played by the contemporary parents of children and good play instructio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two hundred sixty-seven mothers of children between the ages three and five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beliefs and participation in play, as well as the smartphone immersion level of their children; the correlation of these two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current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the mothers’ belief in supporting the play activities of their children was higher than the mothers’ belief in focusing on their children’s learning activities; despite the high belief in supporting play activities, actual participation of the mothers in their children’s play activities was low. Second,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number of children, monthly income, and education level were variables that caused differences in their belief in supporting play activities. The birth order of the child also had an effect o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play. In addition, the levels of children’s smartphone immers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of the mothers. Third, the mothers’ belief in supporting their children’s play and the smartphone immersion of the children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hile the mothers’ belief in focusing on their children’s learning activities and children’s immersion in smartphone use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children’s immersion in smartphone use was lower when weekday and weekend playtimes, frequency of mothers’ participation in play activities, and intensity of mothers’ participation in play activities were higher.

      • KCI등재

        어머니와 유아기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 관계에서 어머니의 수면 전 스마트폰 사용습관의 영향

        황신해,장소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prevent an environment indulging smartphone-usage that causes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at hom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survey was conducted on the use of smartphones for mothers with 3 to 5-year-old s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and PROCESS MACRO 3.0. ProcessR was used for control effect analysis and visualization. The adjustment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No. 1 model presented by Hayes(2017) and average centred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porosity. As a resul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and their children’s dependence on smartphone. A particular focus was bestowed on the mother’s smartphone usage habits before sleeping.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as the mother used smartphone before sleep, their smartphone addiction had effected a stronger impact on children's dependence on smartphone than when they did not. Smartphones are already an essential tool in our life and it is impossible to keep children from accessing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usage guideline for smartphone with an aim to prevent an addiction, i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을 강화하는 가정 내 스마트폰 사용 환경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 목적에 따라 만 3세에서 5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와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습관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와 PROCESS MACRO 3.0 그리고 조절효과 분석 및 시각화를 위해 processR을 사용했다. 조절효과는 Hayes(2017)가 제시한 Process macro 1번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중공선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균중심화를 사용했다. 분석 결과 어머니와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특히 가정 내 스마트폰 사용습관으로, 잠자기 전 스마트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어머니가 수면 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몰입이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강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특정 조건에서 스마트폰 과몰입의 부정적 영향이 커진다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 연구에서 가정 내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 목적, 사용 시각, 사용 상황 등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방효국(Hyo Kook Bang),김낙흥(Nak Heung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사용 실태에 따른 게임 과몰입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N구의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만 5세 유아를 둔 부모 239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8문항과 게임 과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도구의 내용은 게임과 관련된 건강, 일상생활, 현실구분, 정서, 집착과 관련하여 각각 4개의 문항으로 총 20문항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ANOVA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사용과 관련해서 유아에게 게임을 처음 알려주고 함께 하는 사람은 손위형제가 가장 높았으며 하루 평균 게임 사용시간은 30분미만으로 나타났고, 일주일 평균 스마트폰 게임사용횟수는 주 1~2회로 나타났다. 부모가 유아에게 스마트폰 게임을 허용하는 상황은 이동하는 상황이 가장 높았으며, 주로 게임을 하는 요일은 주말이었다. 주로 즐겨하는 게임은 비폭력 오락게임이었으며 스마트폰 게임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가시간을 보내기 위해서였다. 또한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실태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게임 과몰입은 스마트폰 게임 사용시간, 횟수, 주로 하는 요일, 부모의 게임 허용상황, 게임을 좋아하는 이유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examines smart phone game usage of five-year-olds children and their possible overindulgence in such games. More than 400 surveys were sent out to parents of five-year-olds at kindergartens in Seoul with 239 being returned and qualifying as data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wo instruments were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smart phone usage and the degree of its overindulgence. The study found that the first child to be introduced to smart phone games tends to be the oldest sibling. On average, children played smart phone games once or twice a week for less than 30 minutes a day. It was most common for parents to let children play smart phone games while travelling. Children usually played smart phone games over the weekend, and most children played non-violent games. The smart phone game overindulgence score of five-year-old children averaged out at 33.34(SD=15.6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time and the frequency of smart phone game usage as well as the situations in which and the days on which it was allowed.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reasons people play and the types who play smart phone games.

      • KCI등재

        학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사용환경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 스트레스와 과몰입을 매개로

        최윤희(Choi Yoonh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관련된 요인들이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8년 6월 7일에서 20일 사이에 대구․경북 유아 교육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환경은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을 통해 양육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스마트폰 사용환경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 로는 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사용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들을 통해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과 사용 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부모교육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phone-related factors on parents’ parenting efficac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parents who were using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between June 7th and 20th, 2018, and conducted the Amos 18.0 program to verify the hypothesis model. The results of study indicated first that parent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 s overindulgence in smartphone directly affect parents’ parenting efficacy. Also environment of using smartphone were shown to have indirect effect on parents’ parenting efficacy through parent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 s overindulgence in smartphone. Second, environment of using smartphone were shown to b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parents’ parenting stress. Parents’ recognition about smartphone and environments of using smartphone were shown to b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children s overindulgence in smartph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systematically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recognition about smartphone and environments of using smartphone.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김유진 ( Youjin Kim ),조규판 ( Gyupan Cho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 및, 스마트폰 과몰입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또래관계 및 스마트폰 과몰입 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스마트폰 과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또래관계를 부분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관계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중재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176 high-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with PACA(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PRS(Peer Relation Scale) and Teenagers Self-Diagnosis Smart-phone Addiction Scal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 correlation analysis was undertaken.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appli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In the result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eer relationship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were negative correlation. Peer relationship operated as a factor to mediate betwee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This mean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mpact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on smart-phone overindulgence.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peer relationship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hat affect smart-phone overindulgence.

      • KCI등재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정진(Jung-Jin Cho),조안나(Anna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2개의 유치원과 2개의 어린이집에 소속된 만 3-5세 유아 147명과 그들의 어머니, 해당 유아의 담임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심할수록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심할수록 유아의 문제행동 양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교육적 매체로서의 스마트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고해보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young children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games affects their prosocial and problematic behavior. To achieve the purpose, a qu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147 children aged 3 to 5 going to two kindergartens and two child-care centers which were judged to have similar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their mothers, and 16 teachers in charge of them. For data processing,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more seriously the young children had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games, the more negatively their prosocial behavior was influenced. Secondly, the more severely the young children had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games, the more problematic behavior the young children ha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analyzed the impact of their addiction in smartphone games on their prosocial and problematic behavior, and thereby helped to improve a plan of effectively using smartphones as educational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