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스마트팜 보급 정책의 영향인자와 시계열적 효과 분석

        김유안 ( Yooan Kim ),제랄딘바이론 ( Geraldine Baylon ),이수현 ( Suhyun Lee ),서교 ( Kyo Suh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스마트팜은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생산의 불확실성, 작업인력 부족, 안정적 소득 기반 제공 등의 농업이 당면한 현안들을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후와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기후 스마트 농업인 스마트팜은 높은 초기 투자 비용이 보급의 큰 장애요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가가 다양한 형태의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으나 보조금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부의 2027년 스마트팜 보급 목표인 10,000 ha 달성하기 위해 정부의 보조금을 포함한 다양한 영향인자가 기존 시설 농업의 스마트팜 전환과 신규 스마트팜 보급에 미치는 영향을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개발된 모델은 시설농업 보급량을 분석하는 시설농업 섹션, 보조금이 실질적인 스마트팜으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스마트팜 전환 섹션, 그리고 스마트팜을 통한 생산성 변화를 살펴보는 생산량 섹션으로 구성되며, 정부의 기존 시설농업 스마트화 정책에 따른 스마트팜 보급효과를 높이기 위한 인자들의 특성을 제시한다. 스마트팜 보급의 동태적 분석은 보조금 지원의 시계열적인 효과와 한계를 설명하며, 분석된 결과는 향후 스마트팜의 보급에 따른 생산량 증가에 따른 농산물 가격변화와 함께 기존 시설농업 기반의 농업인들에게 안정적 농업소득을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스마트팜의 지각된 유용성 요인이 농촌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문형,허철무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4

        As ICT convergence technology has spread and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society in general, interest in rural entrepreneurship using smart farm as a means for solving many pending problems in agriculture is increas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influential factors in terms of perceived usefulness associated with the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and suggest a proposal for spreading smart farms. The subjects were 296 general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were selected by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22.0. The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 farm, which are availability, reli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n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on was observed. As a result, reli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And personal innov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ailability, reliability of smart farm and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in that we devised and empirically revealed factors affecting rural entrepreneurship inten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 farms, away from studies of general entrepreneurship intention factors such as interna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t the seeking direction of policy for potential entrepreneur using smart farm, the training and consulting in actual field of smart farm. 최근 ICT융합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와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적용됨에 따라 국내 농업의 많은 현안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써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지각된 유용성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팜 창업 확산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세 이상의 일반 성인 296명이었고, 연구방법으로는 IBM SPSS 22.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스마트팜의 지각된 유용성 요인으로 가용성, 신뢰성, 경제성을 선정하여 종속변수인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팜의 신뢰성과 경제성은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개인혁신성은 스마트팜의 가용성, 신뢰성과 농촌창업의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팜으로부터 제공되는 재배환경 및 생육 관련 데이터와 정보에 대한 신뢰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스마트팜을 통해 비용절감 및 수익성 제고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정도가 클수록 스마트팜을 활용해 창업하려는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타인보다 앞서서 혁신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성향은 그 영향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조절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적 개인특성, 외적 환경요인 등의 일반적인 창업의도 영향요인 연구에서 벗어나 스마트팜의 지각된 유용성 관점에서 농촌창업의도 영향 요인을 새롭게 발굴하고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연구의 시사점은 잠재적 스마트팜 창농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수립의 방향성 모색, 실제 현장에서의 스마트팜 교육 및 컨설팅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를 활용한 플로랄 디자인 제안에 관한 작품 연구

        이사무엘,노경란,유금명,전영희,서지현,김유선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3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8 No.-

        The net function of the flower not only gives a person a sense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ut also contributes to the promotion of physical health through direct cultiva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cultural level, the higher the consumption of flowers, and in some developed countries, flower consumption has already become a very natural phenomenon in daily life. While there is a consumption culture for decoration that suits each person's taste, in Korea, flower consumption per person is less than 120,000 won, which is very small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according to the 2018 statistics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reality is that many view flower products only as luxury goods or consumer goods or gifts that are used without recognizing them as cultural product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e and quickly wither away. In addition,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Illegal Solicitation and Money and Collection" and COVID-19, the decrease in demand for flowers used in graduation ceremonies and various events, such as collection bans, have dealt a heavy blow to the flower industry and plunged into a long-term recessi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can be described as a connected network and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to exchange opinions on common interests with others. For companies, not only securing customers but also creating economic value as a new revenue model such as advertising and social ripple effects are drawing keen attention, and are recognized as a new marketing channel. In line with this trend, companies are strategically participating in SNS to promote and market their products and brands. When new products are released through SNS such as Instagram and Facebook, which can communicate with customers in real time, companies are establishing network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by promoting new product information, brand news, and event information. In particular, SNS is known to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qualitative limitations of information on empirical attributes that have been known after using goods and services unlike in the past. Therefore, flower shops also use SNS as a marketing tool to survive only when changes are made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the times. In this study, we will provide flower-related companies with effective strategies and basic data to promote sales and operating profit of flower shops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loral design works that can be used in education were proposed. Color analysis data associated with urban agriculture and smart farms through case suggestions using thi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used in the operation of various projects and education in each field. 전세계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에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를 조사분석하여 각각의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팔레트를 구축하고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환경구성과 마케팅 전략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색채이미지 데이터 구성을 위해 20~30대 디자인전공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단어와 색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도시농업에 연상되는 단어는 스마트팜 23%, 텃밭 19%, 환경 19%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는 자동화 38%, 식물공장 15%, 친환경 1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각 연상되는 단어를 포탈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한 이미지 색채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도시농업에서 연상되는 단어(스마트팜, 환경, 텃밭)에서 Green Yellow, Green, Yellow Red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톤(tone)은 white톤이 가장 많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자동화, 친환경, 식물공장)에서 Green, Blue, White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톤(tone)은 deep톤과 white톤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환경, 이미지, 연상색채를 분석한 결과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 이미지는 같은 계열의 색상은 맞지만, 도시농업은 좀 더 연하고, 스마트팜은 도시농업보다 조금 짙은 색이 연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하려고 할때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 이미지를 두각시킬 수 있으며 톤(tone)은 vivid톤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스마트팜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 할 때는 Green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설득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톤(tone)은 deep톤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플로랄 디자인 작품을 제안하였으며,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분석 데이터와 이를 활용한 사례 제안을 통해 각 분야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사업과 교육의 운영 시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비교 분석

        이사무엘(Samuel Lee),노경란(Kyungran No),유금명(Jinming Liu),이미자(Miza Lee),이상훈(Sanghoon Lee),전영희(Younghee Jeon),김유선(Yoosun Kim) 한국색채학회 202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전세계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에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를 조사분석하여 각각의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팔레트를 구축하고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환경구성과 마케팅 전략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색채이미지 데이터 구성을 위해 20∼30대 디자인전공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단어와 색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도시농업에 연상되는 단어는 스마트팜 23%, 텃밭 19%, 환경 19%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는 자동화 38%, 식물공장 15%, 친환경 1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각 연상되는 단어를 포탈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한 이미지 색채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도시농업에서 연상되는 단어(스마트팜, 환경, 텃밭)에서 Green Yellow, Green, Yellow Red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톤(tone)은 white톤이 가장 많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자동화, 친환경, 식물공장)에서 Green, Blue, White 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톤(tone)은 deep톤과 white톤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환경, 이미지, 연상색채를 분석한 결과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 이미지는 같은 계열의 색상은 맞지만, 도시농업은 좀 더 연하고, 스마트팜은 도시농업보다 조금 짙은 색이 연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하려고 할때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 이미지를 두각시킬 수 있으며 톤(tone)은 vivid톤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스마트팜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 할 때는 Green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설득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톤(tone)은 deep톤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단위세대 발코니를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스마트팜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최근 3년간 서울시 전용면적 84㎡ 단위세대를 중심으로-

        유승연,김용성,송석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지난해 IPCC에서 발표한 제6차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와 비슷한 양의 이산화탄소 배출이 지속한다면 기온이 1.5℃ 상승하는 시점이 앞선 보고서에서 예측했던 시기보다 10년 앞당겨진 2021~2040년이 될 것으로 예상하며, 각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방안 적용이 시급한 상황이다. 기후변화는 경지면적 감소와 재배적지의 변화, 기상이변을 일으키며 농업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식자재 생산 및 공급에 문제는 식량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한 농업분야의 대응방안으로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이 날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건축분야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건축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완화차원에만 치우쳐져 있고, 발코니 확장법 제정 이후 단위세대에서는 발코니의 확장이 보편적 평면구조가 되어 실내환경 조절에 문제가 되며 실내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단위세대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발코니를 활용하여 스마트팜과 결합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완화와 적응 모두 적합한 완충공간이자 단위세대 내 식량을 생산 및 공급하는 공간으로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기후변화 대응의 개념과 현황을 고찰하고,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의 발코니 공간의 기능과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단위세대에서 나타나는 발코니 공간의 유형을 기반으로 최근 3년 서울시에 공급된 84㎡ 단위세대 발코니 공간의 양상을 분석하여 프로토타입의 평면을 도출하였다. 또한 재배 및 유통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분석하여 단위세대 내 스마트팜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고, 스마트팜의 재배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단위세대에 결합하기에 적합하며 태양광 병용이 가능한 형태의 스마트팜을 파악하였으며, 도출된 전용면적 84㎡ 단위세대 발코니 공간에 스마트팜을 결합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한 발코니 공간의 스마트팜 적용방안과 생산 가능한 식재량을 분석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 최근 3년간 서울시 84㎡ 단위세대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 발코니 유형은 양면형과 전측면형으로 이 두 유형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평면 형태의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으며, 단위세대와 결합하기에 적합하며 태양광과 인공광원의 병용이 가능한 스마트팜의 유형으로는 선반형 스마트팜과 레일형의 스마트팜이 적합할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에 대한 기본 모듈과 적용방안과 생산가능한 식재량을 도출하였다. (결론) 이는 단위세대 발코니와 스마트팜의 결합방안으로써 기존의 주거형 스마트팜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단위세대에 대한 분석과 단위세대와의 결합 및 태양광 병용의 형태적 적합성을 고려한 스마트팜 유형 분석을 토대로 적용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주거공간 내 식량의 자체 생산과 공급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써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스마트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수용 연구: 소비자지식의 조절효과

        박명은,유소이 한국경영교육학회 2023 경영교육연구 Vol.38 No.3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수용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소비자 지식수준(고 vs 저)에 따라 소비자를 구분하고, 스마트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수용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소비자 혁신성 및 스마트팜 기술에 대한 지각과 소비자 태도 구조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자료 수집을 위해 전국 20세 이상의 성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30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고, SPSS 26과 SmartPLS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분석 결과, 첫째, 스마트팜 생산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태도는 스마트팜 기술에 대한 지식 수준과 관계없이 호의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행동의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지식 집단에서 혁신성(사회적, 쾌락적)은 소비자 태도(인지적, 감정적, 행동의도적)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 지식 수준에 관계 없이 스마트팜 기술지각이 스마트팜 농산물의 행동의도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소비자 지식은 스마트팜 농산물에 대한 혁신성과 소비자 태도와의 관계에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소비자 입장에서 스마트팜이라는 혁신기술과 소비자 태도 구조(CAC)를 결합한 확장모델을 통해 소비자의 스마트팜 농산물 수용의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팜 관련 연구자 및 국내 기업들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 팜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 Rogers의 혁신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김승환 ( Kim Seunghwan )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21 협동조합경영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스마트 팜 정책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팜 정책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는 스마트 팜 정책의 시기별 주요 사건의 특징과 정책 산출물을 분석한다. 특히 Rogers의 혁신과정 모형을 토대로 스마트 팜 정책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팜 정책과정을 분석하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4년 정보통신부의 u-Farm사업부터 부처 간 협력하여 스마트 팜R&D 사업을 추진하는 ‘스마트 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최종 통과 시점인 2019년 10월 28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스마트 팜 정책과정은 의제설정기, 시범협력기, 농정편입기, 스마트팜 개발·확산기, 스마트농업 추진기의 다섯 기간으로 구분된다. 스마트 팜 정책은 이행 과정에서 농업정책으로서의 정체성이 확립되지만, 농업인들의 혁신 저항이 가장 큰 장애물로 나타난다. 따라서 스마트 팜 정책의 안착을 위해서는 농업인의 농업혁신에 대한 합의도출이 필수적이고, 이들이 혁신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디지털격차가 소득격차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디지털포용의 관점에서 농업인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mart farm policy. To this end, the smart farm policy process is divided by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olicy outputs of major events in the policy process are analyzed. In particular, the smart farm policy process is analyzed based on Rogers' innovation process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mart farm policy process is divided into five periods: the agenda-setting period, the pilot cooperation period, the agricultural administration integration period, the smart farm development and spread period, and the smart agriculture promotion period. The smart farm policy establishes its identity as an agricultural policy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but the farmers' resistance to innovation appears to be the biggest obstacle. Therefore, for the settlement of smart farm policy, it is essential for farmers to reach a consensus on agricultural innovation, and opportunities for them to participate in the innovation process should be expanded. Also, considering that the digital divide can be a cause of income inequality,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pport measures for farmers from the viewpoint of digital inclusion.

      • 송화버섯재배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을 활용한 사례 -

        하창수,최미희 인공지능융합학회(구 한국블록체인산업학회) 2020 한국블록체인산업학회논문지 Vol.1 No.1

        이 논문은 이상기후에 따른 농작물의 안정적 생산과 고품질 작물 생산이라는 미래농업 해결 과제에 대안을 제시한다. 그 대안으로서 컨테이너형 스마트팜 연구시설을 제작하여 2년 동안 버섯시험재배를 진행했다.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빛과 같은 버섯 환경의 필수 조건에 맞추어 재배를 수행하 였다. 스마트팜은 소자본 영농창업의 성공모델로 활용(은퇴 후 귀농인 또는 청년창농인 대상으로 전문기술 없이도 안정적 수익 창출)가능하며 기존농업 인의 경우 고부가가치 작물의 최적재배로 고소득 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적은 투자비용 또는 렌탈 서비스를 이용하여 레스토랑, 식자재사업 등에 필요 한 작물을 무농약 친환경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 중대형 식물공장을 설립하기 전 소비용 Test 모델로 컨테이너형 스마트팜을 활용함으로써, 운영에 대한 제공업체의 기술지원을 통해 실패비용 최소화, 사전경험을 통해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도 활용가능하다. 컨테이너형 스마트팜은 전문적인 재배기술 숙련 없이도 재배관리가 용이해 사회 취약층 및 청년 고용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1인 농업기술문화 보급형이다. 이러한 스마트팜의 장점을 버섯재배에 활용하는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위 논문의 컨테이너형 스마트팜은 소규모 스마트팜으로 1인 농업기술 컨텐츠 문화 보급을 목적으 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6차 산업과 연계한 치유농업, 체험, 관광테마를 활용한 농업 컨텐츠 문화 보급을 추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은퇴한 장애인 귀농인을 대상으로 한 전문기술 없이 쉽게 재배 가능하며, 영농창업의 성공모델로 활성화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 활동을 할 것이다. This paper shows the beauty of stable production of crops and high-quality crop production following abnormal weather. An alternative is presented to the Rae-Farming Resolution task. As an alternative, research on containerized smart farm facility was produced and tested for mushrooms for two years.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light. The cultivation was carried out to meet the essential conditions of the same mushroom environment. The containerized smart farm is easy to grow without specialized cultivation skills. It is a type of one-person agricultural technology culture that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employment for the vulnerable and young people. This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utilize the merits of a smart farm for mushroom cultivation. Smart Farm is used as a successful model for small-capital farming (retirement and return home farmers or youth windows). It can be used as a test model for consumption before establishing a medium and large plant, and as a system that can minimize failure cost through technical support from suppliers and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 through prior experience. The containerized smart farm in the paper is a small smart farm with contents of one-person farming technology.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ultural dissemination and the healing agriculture, experience, and related to the sixth industry.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promote the culture of agricultural contents using tourism themes. also silver too. Farming is easy to grow without specialized skills for the disabled farmers who have continued research activities will be carried out to promote as a success model for.

      • 농업4.0 스마트팜(수직농장)의 국내·외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권예진,김성예,박수민,정래빈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인간의 생존과 밀접한 '농업'은 B.C. 7000년부터 현재까지 전통적 방식에 머물러왔다. 통계청 소비자물가조사(’21.03)에 따르면 농·축·수산물은 10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는데(전년 동월 대비 13.7%), 이는 내·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한 농업의 특성을 보여준다. 이런 전통농업의 특성은 농산물의 가격과 품질의 큰 변동을 초래하여 소비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전통농업의 품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4차 산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이 대두되고 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토대로 운영되는 스마트팜은 생산효율 및 품질의 향상을 통해 전통농업의 한계뿐 아니라 미래 식량 문제 또한 해결할 수 있는 발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팜의 국내외 사례를 비교하여 스마트팜의 기대효과와 개선점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 운영하는 스마트팜코리아 사이트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국내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스마트팜 기업인 팜에이트 및 넥스트온의 사례를 중심으로 미국, 일본, 네덜란드 등의 운영 사례들과의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본 사례들을 생산, 서비스, 사회, 환경, 소비, 폐기 품질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국내 스마트팜의 한계점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분석한다.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스마트팜의 품질 개선 방향을 연구하고, 최근 주목받고 있는 어그테크(AgTech), 스마트팜의 품질측정의 표준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여 농업 4.0시대의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 KCI등재

        농업인 교육 참여 농가의 스마트팜 도입 의도 결정 요인: 농가유형별 상호작용 효과 분석

        유도일,유승완,양희수,홍석호,최지훈,민지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terminant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smart farm adoption using the 5th wave dataset of Agricultural Industry Education Panel Survey, which has been investigated since 2014. It was appropriate data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because it includes target samples who participated in overall farmers' education. Also, we constructed interaction model to confirm the effect of farm type as a moderat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nts of Model 3 including interaction term was more suitable than Model 1 and Model 2. As a result, facility farms intention to smart farm adoption tend to decrease further with age. On the other hand, when education satisfaction was high, it increased.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researchers consider more detailed farm characteristic variables at the control variable level. Second, in addition to smart farm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anage the qualitative aspects of education for farmers. Third, support policies on adopting stage of smart farm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such as farm types and Crops. Also,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limitations and scope of technology in terms of the research. In terms of smart farm adoption, “Smart Farm Technology”is still unclear and var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본 연구는 농가의 스마트팜 도입 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다. 특히 소득, 연령, 교육 만족도와 스마트팜 도입 의도의 관계에서 농가 유형별 차이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 2014년부터 조사되고 있는 ‘농산업교육 패널조사’ 데이터의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모형 3은 모형 1과 모형 2보다 결정계수가 우수하여 최종 모형으로 모형 3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모형3에서 농사일가족비중이 높은 경우 스마트팜 도입 의도가 더 높았으며, 학습성과가 높은 경우에도 스마트팜 도입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통제변수에서는 인력고용 등 농업의 형태와 관련 있는 통제변수가 유의하였으며, 스마트팜 도입 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의 경우 모형 1,2,3을 검토한 결과, 스마트팜 도입 의도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은 아니나, 특히 시설 농가의 경우에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며 교육의 경우에도 교육 참여 후 만족도가 높은 시설 유형 농가의 경우 스마트팜 도입 의도가 더 높다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결론으로는 첫째, 스마트팜 도입과 관련된 분석에서 농가 특성 변인이 통제변수 수준에서 포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스마트팜 교육 외에도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질적 측면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셋째, 품목에 따른 농가 유형 등의 특성에 따라 스마트팜 지원에 따른 지원정책이 다각화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연구대상의 측면에서의 한계와 기술의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