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워디자인 기반의 공간연출 연구 동향 분석

        염미선,정강화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3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9 No.-

        The current floral industry is experiencing a growing demand for flower design space styling that emphasizes a pursuit of leisure, comfort, and harmony with nature, while also delivering strong psychological messages. As a result, flower design space styling that incorporates diverse sensory stimuli is expected to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future. Given the wide-ranging applications of flower design space styling, research in this area is being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across multiple fields. In this study, we aim to illuminate the research trends in space styling centered around flower design. A total of 164 domestic research papers were analyzed, including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apers published in Korea Research Foundation-listed and candidate journals, conference papers, and other research papers from university-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all of which were retrieved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http://www.riss.co.kr) using keywords such as ‘flower design,’ ‘floral design,’ ‘flower space,’ and ‘floral space’ from 1998 to 2022. Chapter 2 provides a conceptual overview of flower design and space styling, which serves as the basis for defining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and organizing the research data in Chapter 3. Subsequently, in Chapter 4, we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space styling design based on factors such as the year of publication, field of specialization, research methods, and types of spaces studied. Finally, in Chapter 5, we present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se research trends and draw conclusion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The research trends showed fluctuations in the number of studies over the years, with a significant decline observed from 2020 onwards. This decline is likely attributed to the COVID-19 pandemic, which prompted a shift to online platforms, increased hygiene and health awareness, and economic challenges that may have impacted research activities. Furthermore, while flower design was the most studied field, it is notable that research in diverse design disciplines,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business, humanities, technology, and service-related fields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ies, accounted for 36.65% of the research. This suggests that integrated research methods, offering practical value, depth, and richness in research, are attempting to expand the scope of interdisciplinary design studies for future socie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space-specific research trends, studies were conducted primarily on art exhibition spaces, commercial spaces, symbolic spaces, residential spaces, urban spaces, religious spaces, and office spaces. Through this study, it is predicted that space styling using flower design will continue to evolve into a more abundant and creative design practice, with an emphasis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tegrated research methodologies, considerations for health and safety, environmental concerns, and the provision of practical value. It is hoped that future research will delve deeper and provide more concrete insights, further expanding the value proposition of interdisciplinary design. 현재의 화훼산업은 삶의 여유와 편안함, 자연과의 공생을 추구하는 추세와 함께, 심리적으로 강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플라워디자인 공간연출에 대한 수요와 역할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 더욱 다양한 감각적 자극을 동시에 활용하는 플라워디자인 공간연출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플라워디자인 공간연출이 광범위한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만큼 연구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플라워디자인 중심의 공간연출 연구동향을 조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co.kr)에서 ‘플라워디자인’, ‘화훼디자인’, ‘화예디자인’, ‘꽃 공간’ 등의 키워드로 논문을 검색하여 1998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국내의 석⋅박사학위논문과 한국연구재단 등재 및 등재후보, 학회지 논문, 그리고 기타 대학 부설연구소에서 발표한 논문을 대상으로 총 164편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플라워디자인과 공간연출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연구의 분류의 기준을 세우고 이에 따라 자료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국내 공간연출디자인의 연구동향을 연도별, 전공분야별, 연구방법별, 공간별로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5장에서는 연구 동향에 나타난 특성을 제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도별 연구의 증가와 감소의 변화가 있었으며, 2020년부터 급격하게 줄어들었는데 여기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전환과 위생 및 건강 인식 증가, 경제적 문제 등 연구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전공 분야별 연구 동향을 파악한 결과 플라워디자인 전공 분야의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다양한 디자인 분야 및 조형미술, 나아가 경영, 인문, 기술, 서비스 분야에서 융복합연구로 36.65%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연구방법중 복합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과 융⋅복합 전공분야의 결과와 연결이 되며 다양한 연구 방법의 통합, 실용적 가치제공, 연구의 깊이와 풍부함, 등 미래사회를 위한 융 복합적 디자인 학문의 확장을 시도하고 제시하고 있다고 볼수 있다. 공간별 조사로는 예술 작품 전시 공간, 상업 공간, 상징 의미 공간, 주거 공간, 도시 공간, 종교 공간, 사무공간 순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플라워디자인을 활용한 공간연출은 융⋅복합적 디자인 연구와 다양한 연구방법의 통합, 건강과안전, 환경 등을 고려한 디자인, 실용적 가치 제공 등을 통해 더욱 풍부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이 이루어질 것으로예측된다. 향후 심도 깊고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하며, 융⋅복합적 디자인으로서 가치를 규명하는 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부생육기(浮生六記)』로 본 동양의 화예미학

        문영란(교수) ( Young Ran Moon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5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3 No.-

        화훼(flower & plant)와 예(art)가 결합하여 표현되는 화예(꽃예술)는 일반적으로‘디자인으로서 화예’와‘예술로서 화예’의 두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디자인으로서 화예’는 외형으로 드러나는 기능과 합리성을 포함한 합목적성의 상품미를 중시한다. 반면 ‘예술로서 화예’인 한국화예는 창작주체의 내면적 세계인 예술정신을 중시하는 순수예술(fine art)로 규정할 수있다. 따라서 ‘디자인으로서 화예’를 대변하는 서양플라워디자인은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디자인적 형식에 중점을 둔 시각예술, 조형예술에 방점을 찍는다면, ‘예술로서 화예’는 조형에 기본을 둔 창작주체의 마음(心)과 생각(意)을 바탕으로 창작주체의 예술정신을 담아내어 표현되는 심상예술이며 의상예술에 방점을 찍는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화예는 서양플라워디자인을 수용하면서 창작과정에서 동양의 사유체계를 지닌 미의식과 미감 추구보다는 서양의 개별적인 테크닉 향상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한국에서 화예는 경계의 대상이 되었던 완물상지(玩物喪志)가 아니라 대상물에 집착하지 않고 지나침이 없으면서 대상물을 통해서 스스로 자기자신을 성찰하고 개인과 인간사회의 올바름의 선(善)에서 조절이 된 상태의 중절(中節)된 상태의 완물적정(玩物適情)의 사유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문학작품인 심복의 『부생육기(浮生六記)』를 통해서 화훼에 대한 동양인의 미의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넓게는 동양화예의 미의식을 고찰하였지만 더 세분화하여 동양적 미의식을 토대로 한 한국미를 담아낸 한국화예가 어떠한 것인지 찾아가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타 학문과의 융합과정 결과물은 화예학문의 미학적 담론의 장을 더욱 확대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아울러 유의미한 작업이 될것이라 기대한다. Floral Art has two attributes; ‘Floral Art as design’ and ‘Floral Art as art’.The former puts emphasis on product aesthetics equipped with functionality and formality. In contrast,the latter puts emphasis on artistic quality reflecting the spiritual world of the creator. In other words, the Western flower design representing Floral Art as design can be deemed as visual art (formative of figurative art) emphasizing design form shown outside, while Oriental Floral Art can be said as sort of mental state art emphasizing the spiritual world (mind and thought) of the creator. That said Korea’s Floral Art field today to put emphasis on the Western technique rather than aesthetic expression of the spiritual world based on the Oriental thought while accommodating the Western flower design. In this regard, this author, examining Shen Fu’s Six Records of a Floating Life(『浮生六記』), discusses aesthetics of Oriental Floral Art, which is currently declining amid the prevalence of the Western flower design. This study’attempt if a process in search of the identity of Korea’s floral Art based on the Oriental aesthetics on one hand, and a process of examination of form and content of fusion art due to be newly attempted in Korea’s Floral Art field on the other. We expect that this attempt may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ground of aesthetic discourses in the field of floral art.

      • KCI등재

        오브제를 활용한 화예 디스플레이 작품 창작 연구 - My Wish List -

        전경희,이정섭,유택상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5 No.-

        The researcher tried to make a floral art work to arouse specific mood or message by combining plants with other materials such as plastic, steel, glass as well as ready made objects. To be more specific the researcher intended to experiment the collision and fusion between contemporary touch and natural feeling of flowers and plants and the creation of funny and intersting storytelling. The researcher searched expressive design and art work cases by keyword research as well as image research and analyzed their components and techniques. Then she experimented her work by composing these elements into the sketches. She finally chose the motives of 'violin' and 'steel mesh box' and put a violin painted white into a steel mesh box decorated with ivy and moss. The final work was made into an art work in which the modern and industrial touch of steel mesh box, natural mood of plants and classical and cultural motif of violin were fused harmoniously 본 작품은 화예디자인을 행함에 있어 식물 소재를 플라스틱, 철, 유리등의 포괄적 디자인 소재나 오브제와 결합하여 특정한 메시지나 느낌을주는 작품을 제작하려는 의도로 창작되었다. 오브제란 예술과는 아무런관계없는 물건이나 그 한 부분을 본래의 용도에서 떼어내 절연함으로써보는 사람에게 잠재된 욕망이나 환상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상징적 기능의 물체를 말한다.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정의한 12오브제에서 작가는 자연의 오브제(화훼)와 발견된 오브제(바이올린)를 해석된 오브제로 의미화시켜보려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현대적 감각과 화예의 식물 소재를 결합하여 상호 충돌 내지는 융합되는 재미를 추구하는 동시에 무언가 이야기가 있는 작품을 만들어 보고 싶었다. 또한 작가는 커머셜디자인에 관심158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제35집이 많았기 때문에 작가의 흥미를 끄는 표현적 디자인 사례를 키워드 리서치와 이미지리서치를 통해 수집 분석하였고 이미지 상에 나타난 세부적인 기법이나 부품을 추출 변형하고 이를 스케치를 통해 형상화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미지리서치를 통해 얻어진 다양한 모티브가운데 작가의 관심을 끈 모티브는 흰색으로 칠해진 바이올린과 철제 와이어로 구성된 간판이었다. 작가는 이 두 가지 모티브를 결합하고 여기에 식물 재료를 추가하여 화예디자인 창작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배경이녹색의 ’moss‘이기에 명시성과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이올린을 흰색으로 선택하여 배경과 주제에 대한 대비효과를 높이고자 하여 중고 바이올린을 구해 화이트 락커로 칠을 해주었다. 와이어박스는 안에 바이올린을 넣을 수 있도록 위해 윗부분이 열리도록 주문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와이어박스 안에 바이올린을 삽입하고 위에서 낚시줄로 매달고 안쪽 뒷면에 미리 제작해 놓은 모스를 철사로 고정하였다. 아이비 잎 등 식물소재의 추가적인 연출을 통해 자연의 느낌의 강화를 시도하였다. 결과적으로 화예 소재가 주는 자연스러운 느낌과 와이어박스의 직선과 흰 칼라가 주는 공업적 느낌, 거기에 바이올린의 곡선과 단색 컬러가 결합된 나름대로는 서로 다른 느낌의 충돌과 조화가 이루어진 작품이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이처럼 화예 작품에 공업적 재료나 오브제를 도입하여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탐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뇌분석 지수평가를 통한 작업로서의 화예디자인의 효과규명

        이진희 ( Lee Jin Hee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7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본 논문은 화예디자인 작업을 무생물 소재로 진행하는 조립식작업과 그 효과를 비교하여 화예디자인 작업이 작업치료의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N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화예디자인 작업에 참여할 피실험자 40명과 우드락 조립작업에 참여할 피실험자 40명을 선발하여 매주 1회 한시간동안 20회의 작업과정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각 피실험자들에게 작업에 참여하기 전, 작업이 끝난 후 뉴로하모니 뇌파 간이 측정기를 통해 뇌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뇌파는 8가지 뇌분석 지수로 나뉘어 뇌의 여러기능을 해석하였으며 이의 결과 값에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유의성 검증을 진행하였다. 화예디자인작업(실험군)과 우드락조립작업(대조군)을 대상으로 작업프로그램을 20회동안 진행한 후, 뇌분석지수를 1회부터 20회까지 시계열적으로 뇌분석 지수값을 살펴본 결과, 기초율동지수, 주의지수, 활성지수, 항스트레스지수, 자기조절지수, 정서지수, 좌우뇌 균형지수, BQ지수에서 대부분 화예디자인 작업을 시행한 실험군에서 지수값이 높게 나와 화예디자인작업 후 뇌기능이 활성화되고 정서적 안정과 스트레스 감소등의 다원적 효과가 규명되었다. 그러나 유의성검증을 시행한 결과, 화예디자인 작업을 시행한 실험군에서 주의지수, 활성지수, 항스트레스지수, 정서지수에서 유의성이 검증되었는데 특히 활성지수 개선값이 크게 향상되었음이 측정되었고 높은 유의수준을 보였다. 우드락 조립작업을 시행한 대조군의 뇌분석지수의 유의성 검증결과 뇌분석지수 8개에서 모두 유의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이는 우드락 조립작업이 1회 에서 20회를 진행하는 동안 유사한 작업이 반복되어 뇌기능활성에 진폭이 크게 작용하여 불규칙한 지수값을 얻게 된 결과에 기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범용적으로 활용되는 조립식 작업치료프로그램보다 화예디자인작업이 작업 중 뇌기능을 더 향상시켰음이 규명되어 작업치료 프로그램으로서 충분히 개발되어 활용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flower design work can be used as a program of occupational therapy by comparing the flower design work with the assembling of inanimate objects work. For this purpose, 4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lower design work and 4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orm board assembly work were selected at N university, and they were asked for participating in each work for one hour every week for 20 weeks. Each subject was measured for brain waves by the Neuroharmony EEG analyzer before the work and after the work was completed. The measured EEGs were divided into 8 different brain analysis indexes for analyzing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brain. T-test and significance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As a result, after performing the task program of the flower design work (experimental group) and the form board assembly work (control group) 20 times, the brain analysis index was measured from 1 to 20 times, and the basic rhythm index, the attention index, the activity index, the antistress index, the self control index, the emotional index, the balance index of the left and the right brain and the BQ index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in their index value. Thus, after the flower design work, the brain functions were activated and the multiple effects such as emotional stability and stress reduction were identified. However, as a result of the significance test, significance was proved in the attention index, the activity index, the antistress index, and the emotion index in the experimental group having the flower design work. Especially, in the activity index, excellent improvement values were measured in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erformed the flower design work and showed a high significance level. The significance of the brain analysis index of the control group in which the form board assembly work was performe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eight brain analysis indices. This result was attributed to the irregular exponent value obtained by the amplitude of the brain function because similar work was repeated while form board assembly work was performed from 1 to 20 times, and the amplitude of brain function was largely affected from it. As a result, the flower design work was to suggest as a program of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후보

        유튜브에 나타난 화예 디자인 교육 콘텐츠 연구 -화훼장식기능사 교육 콘텐츠를 중심으로-

        양동복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9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content of flower design education videos on YouTube and to search for improvement direction.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129 pieces of videos uploaded in the last one year including ‘craftman floral design’ as a search term. The result shows that contents covered were practical lectures, theory lectures, test related tips, job and character introduction, test work, educational guidance and publicity. The production format could be divided into studio lecture, classroom lecture, video feature, interview, Vlog, and television program. The hub-type programming strategy that periodically uploads the videos satisfying the target audiences’ interests is mostly applied. The type of lecture covered ‘practical skill test’ got a good response from the users. Overall, content diversity, interaction between creators and users, and harmonious programming strategies are lacking.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for emotional and expressive creators to pioneer differentiated fields and practice based on actual field. The introduction of interactive elements such as games and quizzes and the application of new media technologies such as VR and AR are worth trying. Three strategic types of ‘hero’, ‘hub’, and ‘how to’ should be applied complementary. As the demand for education content related to flower design is expected to expand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develop content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latforms, foster professional creators, and develop associated business models. 본 연구는 유튜브에 나타난 화예 디자인 교육 콘텐츠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해보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화훼장식기능사’를 검색어로 최근 1년간 게시된 콘텐츠 129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가 다룬 내용은 실기강의, 이론강의, 시험관련 팁, 직업과 인물소개, 시험과제 작품, 교육안내와 홍보였고 그 중 실기강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형식은 강의, 강의실황, 영상구성, 인터뷰, 브이로그, 텔레비전방송프로그램으로 구분되었으며 강의 형태를 띤 콘텐츠가 가장 많았다. 편성전략 유형으로는 목표 시청층의 관심사에 대한내용을 주기적으로 업로드하는 허브 유형이 가장 많았다. 이용자들은 실기시험을 다룬 내용의 강의 형태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콘텐츠의 다양성, 크리에이터와 이용자 간의 양방향 소통, 조화로운편성전략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내용적 측면에서는 독창적이며 틈새를 공략하는 분야의 개척, 현장을 배경으로 하는실습내용의 반영, 감성과 흥미가 포함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형식적측면에서는 게임, 퀴즈와 같은 양방향 요소의 도입, VR, AR 등 뉴미디어기술의 적용을 시도해볼 수 있겠다. 편성전략유형에서도 히어로, 허브, 하우투 세 가지 유형의 상호보완적 채널구성 방안이 제시되었다. 향후화예 디자인 관련 교육 콘텐츠 수요의 확장이 예상되므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전문적 크리에이터의 육성, 연관 수익모델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은유적 개념요소의 디자인구조 표현에 관한 연구

        김흥렬 ( Kim Heung Ryeol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7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21세기 첨단사회에서도 디자인은 새로운 형태와 가치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특히 디자인 구조를 생성하는 방법은 많은 디자인 현장과 교육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은유적 개념을 통한 디자인구조 표현을 단계적이고 논리적으로 가시화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디자인 조형구조를 표현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은유적 접근은 대체적으로 제품디자인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관련 선행연구는 대부분 제품조형의 은유적 표현사례, 디자인 감성구조를 바탕으로 연구되어 있다. 따라서 은유적 디자인구조 표현방법을 연구범위로 하고 연구단계를 디자인 조형정의, 개념요소의 분류, 은유적 요소의 적용단계, 기초 디자인 교육을 통해 방법제시로 한다. 제품디자인 중심으로 애플, 무인양품, 뱅앤올룹슨 등의 제품에서 브랜드의 철학과 디자인 조형 가치의 중요성은 나타난다. 디자인 형태와 구조에서 기하학적, 유기적 구조와 자연 등의 모방을 통한 형태 응용은 많은 디자이너들이 디자인구조를 접근하는 수단으로 사용 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개념요소를 상징적, 은유적, 그리고 경험적 개념으로 분류하고 디자인 생성단계로 상징성에서 개념은 가시화되어 은유적 표현을 통해 구조화 된다. 개념요소의 디자인구조 표현단계를 기초 디자인교육을 통해 무형 주제와 유형 주제를 개념을 설정하고 상징화 과정과 은유적 단계를 거쳐 디자인 조형구조로 표현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생성된 디자인구조 표현방법은 다양한 디자인범위에서 활용될 수 있고, 각 요소별로 세분화된 후속 연구로 이어가야 한다. In the 21st century, design is rapidly changing to new forms and values. In particular, the method of creating a design structure requires continuous research in many design sites an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sualize the representation of design structure through metaphorical concept step by step and logically. Although there are many ways to express the design formative structure, the metaphorical approach is mainly focused on product design. The related studies are mostly based on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product formative design and the design emotional structure. Therefore, the method of expression of metaphorical design structure is defined as research scope and the research stage is defined as design formative definition, classification of conceptual element, application step of metaphorical element, basic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product design, the importance of brand philosophy and design formative value appears in products such as Apple, MUJI, and Bang & Olufsen. In the design form and structure, the shape application through imitation of geometric, organic structure and nature is used by many designers as a means of approaching the design structur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conceptual elements are classified into symbolic, metaphorical, and empirical concepts, and symbolic concepts are visualized as metaphorical expressions. The design process of the concept element and the structural expression stage are introduced. Through the design education, the concept of the intangible subject and the type theme is set up, and the process expressed through the symbolization process and the metaphorical stage is presented.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design structure created through the research can be used in various design scope, and it should be continued to the subsequent research which is divided into each element.

      • KCI등재후보

        지속적인 가치 유지를 위한 화예디자인 패키징의 소비자 요구에 관한 연구 -소비자와 공급자의 설문 조사 분석 중심으로-

        안혜경,김흥렬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9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and suppliers about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hand-tied bouquet packaging in a retail shop and consumer needs of floristry packaging for sustainable condition were surveyed and analyzed using questionnaire format. In the introduction, the understanding and sustainability of floristry design were consider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purchasing type, packaging related items, and consumer and supplier profile. Consumers were middle class residents living on Mokdong apartment complex, a small number of consumers who aren’t living on Mokdong and workers and suppliers were florists currently active nationwide. This study suggests an effective and strategic packaging direction that reflects consumer needs, focusing on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heir needs and it presents them as business models. The results of the future research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producing and distributing packaging design. 본 연구는 소매 샵에서 꽃다발 패키징의 필요성과 효용성에 대해 소비자와 공급자의 이견이 있음을 인지하고 지속적인 가치 유지를 위한 화예디자인 패키징의 소비자 요구를 설문형식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도입에서는 화예디자인의 이해와 지속 가능함에 대한 것을 고찰하였다. 설문은 일반적 구매 형태, 패키징 관련 문항 그리고 소비자와 구매자의 프로필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소비자 대상은 목동 대단지 아파트의 중류층 주민들과 목동 외 소수 소비자와 직장인들이었으며 공급자는 전국에서 현재 활동하는 플로리스트였다. 그들의 요구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효과적이고 전략적인 패키징의방향을 제시하여 비즈니스 모델로 제시하였다. 향후 조사 연구 결과는패키징 디자인을 제작하고 보급하는데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후보

        그린 어메너티의 공간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2016년~2018년 메종 & 오브제(Masion & Objet) 세계 박람회를 중심으로-

        홍윤주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9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0 No.-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cent trend of 'Maison & Objet' exhibition which shows everything that forms a space, and seek cases where such 'green amenity' is applied. In terms of morphology, a minimal space was filled with a curved shape, and gradually a design that reproduces nature was produced. As the maximalism gradually emerged, decorative elements were added to the design, and a lot of craft products appeared. In terms of materials, the emotion of naturalism was the most common, and natural wood materials were mainly used. These materials combine with various heterogeneous materials to complete a new design, and natural elements were shaped in space. In terms of colors, the theme in 2016 was 'Wild', and it was possible to see a space where wild nature can be experienced. It showed various colors of nature centered on brown and green of trees. 'Silence' in 2017 is distinguished and characterized by its pink color. Also, pieces of warm reddish‐brown furniture were made. In the past, brass or rose gold would be trendy, but in 2017, gold or silver colors showed a greater popularity. In 2018, 'Show‐ Room' was the theme, and the representative color was green, which affected new designs with yellow and pink. 본 논문에서는 공간을 이루는 모든 것을 보여주는 ‘메종 & 오브제’ 전시회의 최근 경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그린어메너티’가 적용된 사례를 찾아보았다. 형태적 측면에서 미니멀한 공간을 곡선의 형태로 채웠고 점차 자연을재현하는 디자인이 제작되었다. 점차 새롭게 맥시멀리즘이 대두되어 디자인에 장식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공예적인 제품이 많이 나타났다. 재료적 측면에서는 자연주의 감성이 대세로 자연적인 목재소재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재료는 다양한 이질재료와 결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완성하며 자연적 요소를 공간 안에 형상화하였다. 색채적 측면에서는 2016년은 테마가 ‘와일드 (Wild)’로 야생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볼 수 있었다. 나무의 갈색과 초록색을 중심으로자연의 다채로운 색채를 보여주었다. 2017년의 ‘사일런스 (Silence)’는 핑크 컬러의 특징이 돋보인다. 또한 따뜻한 느낌의 적갈색 계열의 가구가제작되었다. 예전엔 황동이나 로즈 골드가 유행이었다면 2017년은 골드나 실버 색상의 제품이 더 대세를 보였다. 2018년은 ‘쇼룸(Show-Room)’ 이 테마로 대표 색채는 초록색으로 노랑, 분홍과 함께 새롭게 디자인에영향 주었다.

      • KCI등재

        여성적 모티브를 가지고 행한 감각적 화예 작품 창작 - 손을 내어밀다 -

        문선옥,이정섭,유택상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5 No.-

        The research started from the sensitivity of the color, red. The research led the researcher to the fantasy and fairy tales through the red dress, red shoes, red cape, red lips, red finger nails and red tea cup. It ended to the old fairy tale of the Snow White and red apple. And also the researcher's attention was drown to the shape of hands shown on many images during the image research. Therefore the researcher started experiment on hand shape creation. Hands are very important tool to the artist. The researcher thought out a shape that hand is reached to something that is very dear to the owner of the hand. So the researcher made the shape of a hand out with vinyl tape and let the hand hold roses. Roses means desire or hope which was not fulfilled yet and reaching hand to the roses means that the owner of the hand is trying hard to get something. As the desire or hope was not fulfilled yet, the roses had to stay in a glass ball which is being seen but not fully free. Rosa multiflora were used to express strength and wildness of the desire. The shape of the hand was made after researcher's hand because the story of the work is made from the researcher's own story. 본 연구는 빨간색에 대한 감각적인 접근에서 시작되었다. 빨간 드레스에서 시작된 리서치는 펄럭이는 스커트와 빨간 구두, 빨간 망토로 이어지며 환상과 동화의 모티브와 연결되어졌다. 계속된 리서치에서 빨간색은 입술, 손톱, 찻잔과 같은 신체 부위와 소품으로 번져나갔으며 결국 백설 공주의 사과 모티브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연구자는 이 이미지에 드러난 손의 모양에 이끌렸는데 이러한 관심은 손을 활용한 다양한 창작시도를 탐색하게 되었다. 테이프 조각(taping sculpture)과 비닐로 만든194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제35집볼륨 안에 사람이 들어가 행하는 퍼포먼스 사례에 영감을 받아 테이프조각(taping sculpture)과 식물 오브제를 결합한 화예작품의 가능성을 탐구하게 되었다. 앞서의 다양한 이미지로부터 받은 영감을 기초로 하여다양한 스케치를 행하였다. 그 가운데 손을 내밀어 자신이 원하는 것을쥐는 형상을 조형화하였다. 손은 예술가에게 아주 중요한 수단이다. 그수단을 이용해 갈구하던 그 무엇인가를 얻는 모습을 표현했다. 실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OPP투명테이프를 사용하여 연구자의 “손”의형태로 제작이 되었다. 손 안의 장미는 아직은 완전히 펼쳐지지 않은, 그러나 그 안에 펼쳐짐이 보이는 욕망이나 희망과 같은 것이었기에 다소갇혀진 그러나 투명한 유리볼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꽃은 예쁘고 가지런한 화훼용 장미가 아닌 들장미 느낌인 원예종- 목향장미(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Thory)를 사용하였다. 거칠지만 힘차게 피어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여성적 색인 빨간색에서 출발하여 다양한이미지 리서치를 통해 결국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형상화한 작업이되었다. 이번 작업을 통해 조형화 작업을 행할 때 자신의 내면을 들어다보는 것과 시각적으로만 보여 지는 형태가 아닌 그 이미지에서 느껴지는분위기를 읽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국제기능올림픽 화훼장식종목에 표현된 형태 분석 -핸드타이드와 절화장식을 중심으로-

        권혜숙 ( Kwon Hye Suk ),이부영 ( Yi Bu You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7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7 No.-

        화훼 산업은 국가발전과 함께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큰 발전을 하였고, 화훼장식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이에는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출범과 함께 교육과 훈련, 국가 자격증 등 다양한 제도가 새롭게 시작되었으며, 출전자들의 훈련과 참가자들을 통한 새로운 디자인의 발달과 확산이 이뤄졌다. 이것은 특히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심사기준이 대중적이며 실용성과 기술성을 고루 갖춘 상품 디자인 형식들에 맞추어졌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 화훼장식종목이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2001년부터 2010년까지 5회의 자료 중 매회 같은 종목으로 채택된 꽃다발과 절화장식 종목의 출품작에 대해 디자인 형태, 기법, 구조물사용 등을 분석하였다. 절화장식의 경우 초기에는 장식적인 형태가 높았고 식생적인 형태가 낮았으나 2007년에 식생적형태가 급증했다가 2009년에는 다소 낮아졌다. 이는 시대적으로 사회적 흐름과 디자인의 유행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 사용의 유, 무를 보면 점점 더 구조물의 사용이 늘어났으며 특히 2009년에는 모두 구조물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기법을 보면 묶고 지지하는 노팅, 프라팅의 사용이 높으며 공간 확장을 위해 꽂는 피닝도 있었다. 구조물을 사용한 장식적 형태를 이용하여 절제된 재료에 여백을 활용한 디자인의 흐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화훼장식 조형적인 형태와 기법이 다양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꽃다발의 경우 형태적 특징은 장식적형태가 대부분이긴 하지만 선형적 특징도 나타났으며 식생적형태도 보여지며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되었다. 구조물은 사용한 것이 많아서 재료의 투명감을 보여주기 위함과 기술적인 기법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기법에서는 절화장식보다 많은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절화장식과 마찬가지로 노팅과 프라핑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꽃다발과 절화장식의 각각의 특징적인 형태와 기법을 알고 화훼장식 실기교육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Although the flower industry has made great progress both quantitative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flower decoration development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and it can not rule out the influence of the International Vocational Training Competition a variety of new programs such as education, Training and national qualifications have been launched and new designs have been developed and spread through the training of participants. This is particularly true because the criteria for the International Vocational Training Competition are popular and tailored to product design forms that have both practicality and technicality. This study summarizes the data of five times from 2001 to 2010, When the floral design work was adopted as the official sport for the International Vocational Training Competition over the past 10 years, The design type, technique, and structure are used for the most representative hand tied bouquets and flower arrangement. The analysis of the arrangement showed that the decorative pattern was high at the beginning and the vegetative form was low but the vegetative form rapidly increased in 2007, but it was lowered in 2009. This can be considered as reflecting the trend of social trend and design in the times. In addition, as the use of structures increased, In 2009, all structures were used. Structural techniques show that the use of notching and punching to bind and support is high and pinning, which is plugging type for space expansion was also available. Using the decorative form using the structure, We could see the flow of the design using the margin to the cut material. This can be said to reflect the flow of decorative and decorative forms and techniques of flower arrangement and creativity in the times. In the case of the bouquet, the morphological features were mostly decorative, but also the formal linear features and the vegetative form were shown and they were designed in various forms. Many of the structures were used to show the transparency of the material and to use a lot of techniques. Structural techniques used more techniques than cut ornaments, and the most common use was notching and framing, as in the case of cut flow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vent by utilizing the difference between hand tied bouquet and flower arrangement and suggest it as a basic data of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