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의 스마트워치 관련 직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하은(Ha Eun Kim),박용우(Yong Woo Park),이정민(Jeong Min Lee),한민경(Min Kyung Han) 한국형사정책학회 2022 刑事政策 Vol.34 No.3

        스마트워치 제도 운용에 직접 참여하는 당사자로서 범죄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들이 스마트워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스마트워치로 대표되는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제도의 현황을 점검하고 범죄피해자 보호 현장에서의수용도 높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작업일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토대로 범죄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스마트워치 업무 관련 직무 경험을 탐구하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일선 경찰서 여성청소년과 소속 경찰관 6명을 인터뷰하여범죄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의 관점에서 스마트워치 관련 업무 현황, 스마트워치 지급절차, 스마트워치 운용방식 및 제도에 대한 직무 경험을 확인, 그 경험의 공통적인 의미와 구조를 고찰하고, 스마트워치 제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하였다. Colaizzi가 제시한 현상학적 방법으로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3개의범주, 11개의 주제 결집, 30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실무 : 개인적 차원의 어려움」으로, 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이 스마트워치 실무를 함에 있어 느끼는 개인적 차원의 어려움에 대한 것이다. 하위주제로는, 고성능 기기이면서 지급만으로도 안전해질 것이라는 스마트워치 성능에 대한 오해, 피해자가 원하면 지급되는 ‘보험’, 담당자 한 사람에게 미뤄지는 결정, 책임소재를 우려한 지급 남발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범주는 「제도 : 조직적 차원의 어려움」으로, 스마트워치 제도의 실상과실질적 치안 수요자인 피해자들의 인식과의 간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한것이다. 잘못된 인식을 심어준 언론과 과장된 홍보, 관리 시스템 부재, 여전한 기능상 문제, 매뉴얼로 업무를 익히고 있는 공식적 교육부재 상황이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마지막 범주는 「평가 : 범죄예방 효과와 개선점」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스마트워치 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과 평가를 담고 있다. 심리적인 안정 효과만을 위한 ‘계륵’ 같은 존재로, 범죄예방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무적’이 아닌 기계이지만, 문제점을 보완하여 지속할만한 가치가 있는 제도가 마지막 범주의 하위 주제에 해당한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스마트워치 제도 운용에 있어서의 경찰 실무의 방향성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pproach focused on the job experiences of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victim care on the “smart watch” schem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olice offic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nder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proposed by Colaizzi(1978). As a result of analysis, common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eleven theme clusters, and thirty themes. The first category -‘In practice: Difficulty at the personal level’- deals with the personal level of difficulty experienced by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the smart watch. The misconception that just providing a high-performance device would make the victim safe; ‘insurance’ provided if the victim wants it; decisions judged by a single person in charge, and overuse due to responsibility issues were drawn as subthemes under this category. The next category -‘Institution: Difficult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cludes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gap between the reality of the scheme and the perceptions of victims. Four subthemes under the second category were as follows: The media that fosters false perceptions and exaggerated publicity; lack of the management system; ongoing functional problems; and the absence of formal education while learning solely from guidance. The last category -‘Evaluation: Crime prevention effect and points for improvement’- contains comprehensive awareness and evalu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bout the smart watch scheme. An ‘white elephant’ for simply giving a psychological feeling of safety; a machine that doesn’t work and is not promising in preventing crime; and an intervention that should be continued by improving problems were derived as subthemes of the third categor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n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s the direction of police practice and policy suggestions for further operation of the scheme.

      • KCI등재

        스마트워치의 고급감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방향 제안

        박주현(Park, Joo 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전 세계 스마트워치 시장이 급부상하면서 기업들은 스마트워치 시장을 선점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기 위해서 스마트워치를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스마트워치의 기술 개발, 프리미엄 디자인과 마케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은 고가의 재질, 고도의 세공 기술, 디자인 기술자 영입, 유명 디자이너나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등으로 스마트워치의 제품 디자인과 스타일링을 위한 개발에 아낌없는 투자를 하여 스마트워치를 고급 손목시계 이미지로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다각로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워치의 고급스러운 디자인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스마트워치의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위한 방향 제시는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의 고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고급감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감성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감성을 세밀하고 다각도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심리적 측정방법과 행위적 측정방법을 활용하여, 시선 추적 장치 조사, 제품 요소와 고급감 요인을 활용한 설문 조사, 소리 내어 생각하기 조사, 얼굴표정과 움직임 등과 같은 행동 조사, 표적 집단 면접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조사들의 분석 결과를 통합하여 아날로그적 감성, 시대적 트렌드가 반영된, 성별을 고려한, 절제되어 단순한, 일체되어 통일을 이룬, 균형과 조화를 이룬, 섬세하게 배려하는, 드러나지 않고 숨겨진으로 스마트워치의 고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고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스마트워치를 구성하는 제품 요소별로 사용자에게 각기 다른 감성의 고급감이 요구되고 있음을 밝혀내었으며, 본 연구에서 감성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다각적인 조사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와 관련한 연구가 미흡한 현 시점에서 진행되어 스마트워치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의 고급감을 평가하거나 스마트워치의 고급스러운 프리미엄 디자인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스마트워치의 디자인을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fast growing of smart watch market worldwide, companies are competitively releasing smart watch to gain strategic advantage and create new business models. These companies are actively developing smart watch technologies with premium design along with aggressive marketing activities. Especially, investment has been made in diverse ways to establish high quality of smart watch through use of refined materials, craftsmanship, recruitment of designers and collaborations with luxury brand designers. At this point, as the luxury design of smart watch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it is essential to point out the directions for luxury design of smart watch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design which can enhance the luxuriousness of smart watches. Luxuriousness is what the user feels emotionally, and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various sensibilities of the users in detail and in various aspects. Hence, this study conducts eye-tracker, product elements and luxuriousness factors survey, think aloud, behavior research and focus group interviews by using psychological measurement method and behavioral measurement method.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design direction to enhance luxuriousness of smart watch and establish eight concepts; analogue emotion, reflecting the trend of the times, taking into consideration gender, understated and simple, unified as one, balanced and harmonious, detailed considering and hidden and unexposed.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suggested directions for smart watch in current point of time when there is still lack of studies on smart watch.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standard to assess luxuriousness or premium design of smart watch and help seeking out right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mart watch design.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워치 화면 제약 해결 방안에 대한 연구

        왕린(Lin Wang),손유진(Yu Jin Son),임다은(Da Eun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오늘날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각광을 받으면서, 스마트 워치는 웨어러블 시장을 이끌어갈 디바이스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워치는 많은 기업의 투자와 소비자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을 보조하는 도구에 불과하다는 인식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치가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지 못하는 이유 중 스마트워치의 작은 화면이 주는 불편함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스마트 워치의 작은 화면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스마트 기기연동, 프로젝터 기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3가지로 나누어 사용자의 실효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그 후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스마트워치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에 관해서 경계 없는 디스플레이와 사물 디스플레이를 제시하고 있으며, ‘인터랙션’ 방법에 관하여 인터랙션 방법의 진화, 2가지 인터랙션의 결합 방법, 인터랙션 디자인의 변화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한 방법은 미래에 스마트워치가 웨어러블 시장에서 주요 상품으로 자리 매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Nowadays, given the popularity of wearable devices, The smartwatch is considered as the leading product category and taking the main share of wearable device market. So far smartwatch is only used as an accessorial device of smart phones due to its screen siz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literatures and find solutions to overcome the screen limitations. In the literature review, several methods are introduced including using other devices as output devices, other object as screens by projecting technologies, and enlarging screen size by flexible display. Based on that, possible solutions including seamless display and user-centered interaction methods were investiga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introduced at the end of this study.

      • KCI등재

        스마트워치 인터렉션 및 인터페이스 디자인

        임다은(Da-Eun Lim),왕린(Lin Wa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최근 스마트 폰 시장이 둔화됨에 따라 새롭게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시장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착용하기 자연스러운 스마트 워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워치는 한편으로는 작은 화면으로 불편함은 없는 지, 손목시계를 착용하는 사람만 착용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가 미래 웨어러블(wearable)시장에서 보편화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현재 스마트 워치 인터페이스가 가지는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스마트 워치 인식 방법, 홈 화면 인터페이스 디자인, 주요 콘텐츠 디자인 3분류로 나누어 이를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미래에 스마트 워치가 필요한 요소들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여기에는 2가지 제스처 인식 방식의 결합, 홈 화면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효용성 연구, 이용자별 특성에 맞는 주요 콘텐츠 디자인 연구가 해당되는데 이러한 결과는 미래의 스마트 워치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중요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Recently, with the market of smart phones slowing down, more attention is paid to wearable devices. It was suggested that 2013 was the year of the smart watch, due to that the majority of major consumer electronics manufacturers were undertaking work on a smart watch device.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issues on the interaction and interface design of smart watches. This study reviewed related literatures and evaluated the interaction methods, interface and content design of current smart watches. Based on that,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oposed. The research results have significant meanings for the guidance of future directions of smart watch.

      • KCI등재

        스마트워치 디자인에 대한 SD법을 적용한 감성평가 연구

        윤여경 ( Yoon Yeo-kyung ),김성훈 ( Kim Sung-h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인터넷 정보통신 기술발전으로 스마트 폰은 지난 10여 년간 발 빠른 성장을 하였으나 최근 몇 년간 스마트 폰 시장이 둔화되고 있는 반면에 새롭고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주목을 받으며 그 영역을 확장해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을 받는 것은 가방이나 주머니에서 스마트 폰을 꺼내지 않고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 스마트폰의 기능인 알림이나 메일,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더한 스마트워치이다. 그러나 스마트워치의 하드웨어 기술력기능에만 치중한 나머지 정작 중요한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의 제품들에 대해 조사하고 디자인과 특징을 분석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감성평가를 실시하여 스마트워치의 디자인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첫째, 우선 스마트 폰의 종류와 구조를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하고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최근 2년간 출시된 스마트워치의 디자인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스마트워치의 제품 디자인 분류는 컬러와 형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스마트워치 분석으로 사용자에게 SD 평가방법을 실시하여 제품에 대한 이미지 감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하였다. 넷째, 결론으로 둥근 형태보다는 세로형의 둥근 직사각형의 형태와 무채색계열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스마트워치의 디자인 방향을 도출해내었다. 현재 트렌트에 미치는 상품으로만 사라지지 않고 IT기술발전의 흐름에 따라 상용자 경험을 충족시키는 디바이스로 이어나갈 것이다. Although smart-phone has grown rapidly over the past decade with Interne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t has been extending the area as the design wearable device market that is developed in new and various figure while smart-phone market has been retarded for recent few years. One of the most noteworthy of these is the Smart Watch, which allows users to freely use both hands without taking out their smart-phones from their bags or pouches, and the function to view notifications, mail, and messages in real time is added. However, since the focus was on the hardware capabilities of Smart Watch, there is only a little research on design that is important. Thus, this research tries to find out about design direction of Smart Watch by conducting emotion assessment about users who use Smart Watch products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its design and feature.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d the types and structure of smart-phone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Second, we analyzed the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Watch, which has been released for the last two years. Third, SD evaluation method was applied to users through smart watch analysis to conduct the image sensibility assessment of products.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by using SPSS. Fourth, as a conclusion, we drew the design direction of the smart watch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hape of the round rectangle of the vertical type and the achromatic series is effective rather than the round shape.

      • KCI등재

        의미연결망분석을 통한 스마트워치 사용자의 지각된 혜택과 비용에 대한 연구: 애플워치를 중심으로

        이유림 ( Lee Yu Lim ),정민지 ( Jung Minji ),김아영 ( Kim Ahyoung ),박인형 ( Park In-hyoung ),정재은 ( Chung Jae-eun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소비자가 스마트워치를 사용하며 경험하는 혜택과 비용의 내용과 구조를 파악하고 기존연구에서 제시한 제품수용 이전의 지각된 혜택과 비용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비자가 경험하는 혜택과 비용의 대상을 스마트워치 기기와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하였으며, 혜택은 효용적 혜택과 쾌락적 혜택을 포함하고 비용은 인지적 비용과 감정적 비용으로 구분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국내에 출시된 스마트워치제품 가운데 애플워치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가 작성한 텍스트 데이터를 소셜미디어에서 수집하고 R을 이용하여 텍스트 빈도분석, 군집분석 그리고 의미연결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가 애플워치에 대해 느끼는 혜택과 비용의 대상은 ‘디자인 및 엑세서리’와 ‘부품 및 사후서비스’를 포함하는 기기 측면과 ‘생산성 및 음악 어플리케이션’과 ‘신체활동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측면으로 분류되었다. 의미연결망분석 결과 소비자는 착용감, 배터리 용량, 심미성 등에서 혜택과 비용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으며, 스마트워치의 주요 기능으로 제시되었던 신체활동 추적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신체상태 정보를 제공받거나 활동량을 증가하도록 동기를 부여받고 있었다. 반면 어플리케이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불편함을 경험하는 비용이 드러났으며 이러한 불편성과 편리성은 애플워치 사용경험으로 인한 혜택 및 비용의 내용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메시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연구에서는 제시되지 않았던 감정적 비용이 나타났으며, 스마트워치 수용 이전의 주요위험으로 간주되었던 프라이버시 및 개인정보 침해에 관련된 비용은 드러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워치수용 이후 실제로 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소비자의 혜택과 비용이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써 어떠한 부분을 강화 및 보완해야 할지 실마리를 얻어 소비자의 일상과 가치에 부합하는 스마트워치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mart watch consumers’ benefits and costs derived from the actual product experiences and how these benefits and costs are different from perceived benefits and costs before the product adoption. Objects of benefits and costs were classified into smart watch device and its applic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benefits include utilitarian and hedonic benefits, and the costs include cognitive and affective costs. In order to examine consumers’ opinion about smart watch experience, data written by Applewatch consumers were crawled from social media including Twitter, Facebook, and online community. Term frequency analysis, clustering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benefits and cos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We found that objects of benefits and costs were divided into device, including ‘design and accessory’ and ‘component and after-sales service,’ and application, including ‘productivity and music application’ and ‘physical activity application.’The result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consumers gained both benefits and costs from wearability, battery durability and appearance. As suggested by extant literature, consumers were provided physical information and were motivated to exercise. On the other hand, they actually inconvenienced by systematic errors of various applications. In addition, the results found that affective costs which were overlooked in previous research. However, privacy risks which was proved as a major factor of decreasing intention to adopt smart watch was not revealed. The current study provides in-depth understanding of smart watch consumers’ benefits and costs from real-life product experience. It also suggests managerial implications to smart watch manufacturers regarding what they should strengthen and improve to enhance consumers’ satisfaction.

      • KCI등재

        스마트 워치의 디자인 혁신성과 충성의도 간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연구

        나경훈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2

        This study theoretically established a rational research methodology by measuring consumers' psychological responses by organizing elements of design innovation of smart watches.And in practice, the external elements of the smart watch were identified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able design direction were propos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elements of design innovation were organized into aesthetics, creativity, novelty, peculiarity, and receptivity. In the cas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mart watch brands are pursuing design innovation through differentiation of aesthetic formss and colors. In the empirical stud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verified using SPSS 26.0 and AMOS 20.0.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as a result of empirical research,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innovation of smart watches had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intention. Second, the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innovation and brand authenticity of smart watches was confirmed. Third, it was found that brand authenticity according to the design innovation of smart watches has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intention.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uthenticity between design innovation and loyalty intention was confirmed. Accordingly, the implications were drawn that companies should be accompanied by strategic concerns to induce consumers' loyalty intentions.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의 디자인 혁신성과 충성의도의 영향 관계, 그리고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론적으로는 스마트 워치의 디자인 혁신성의 요소를 정리하여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합리적 연구방법론을구축하고, 실무적으로는 스마트 워치의 외형적 요소를 파악하여 발전 가능한 디자인 방향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디자인 혁신성의 요소를 심미성, 창조성, 참신성, 고유성, 유용성으로 정리하였다. 사례분석은 갤럭시 워치5와 애플 워치8의 형태와 색상을 분석하였고, 스마트 워치 브랜드가 심미적인 형태와 색상의 차별화를 통해 디자인 혁신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실증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SPSS 26.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가설의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실증연구의 결과, 첫째, 스마트 워치의 디자인 혁신성은 충성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 워치의 디자인 혁신성과 브랜드 진정성의 긍정적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셋째, 스마트 워치의 디자인 혁신성에 따른 브랜드 진정성은 충성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넷째, 디자인 혁신성과 충성의도 사이에서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기업은 스마트 워치의 개발단계에서 소비자의 충성의도를 유도하기 위한 전략적 측면의 고민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워치의 기술수용요인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속성의 외부효과를 중심으로 -

        홍은정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of factors which affect diffusion of smartwatch to discuss the use pattern of smartwatch user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design attributes, usefulness,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among subjects in the 20-40 age group of either gender. The research model for this study propo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usage intention, perceived usefulness (PU), and perceived ease of use (PEOU) as core concept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n addition to design attributes of functionality, aesthetical appeal, and experience as exogenous variables derived from literature. In examining the smartwatch acceptance process through this study model, exogenous variables are functionality, aesthetical appeal, and experience provided by the device. Parameters are PU and PEOU,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is usage intention. Summary of key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U and smartwatch design attributes of functionality, aesthetic appeal, and experience. Second, this study fou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OU and smartwatch design attributes of functionality and experience, but no correlation in terms of aesthetical impression. Third, this study fou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U and PEOU, and also for PU and usage intention, while PEOU and usage intention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Fourth, this study fou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martwatch design attributes of functionality and experience to usage intention, while aesthetical impression and usage intention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This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its verification of an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at accounts for the design attributes of smartwatches. In terms of prac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identified a need for strategic re-evaluation concerning the aesthetic appeal of smartwatch design.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스마트워치 사용자의 이용행태를 논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4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스마트워치의 디자인속성과 지각된 유용성 및 용이성,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의 핵심개념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이용의도와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디자인속성인 기능성, 심미성, 경험성을 외생변수로 삼아 구조방정식 모델을 제안하였다. 즉, 이 연구의 모델의 외부변수는 스마트워치의 기능성, 심미성, 경험성으로 설정하였고, 매개변수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이며, 종속변수는 이용의도로 설정하여 스마트워치 수용과정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치의 기능성, 심미성, 경험성 디자인속성 요인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스마트워치의 기능성, 경험성 디자인속성 요인은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심미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용이성과 이용의도에 대해 각각 정(+)의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지각된 용이성은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워치의 기능성, 경험성 디자인속성 요인은 이용의도에 정(+)의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심미성은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의 디자인속성을 반영하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검증하였다는데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스마트워치 디자인속성의 중심이 되는 심미성에 대한 전략적 변화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는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스마트워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분석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중심으로

        이운형 ( Lee Woon-hy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6 No.-

        연구배경 스마트폰의 등장 이래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디지털 디바이스를 계속해서 시장에 선보였고 그중 스마트워치는 그 미래의 가능성으로 인해 빠른 시일 내에 웨어러블 미디어 분야의 총아가 될 것으로 각계의 많은 주목을 받은 바 있으나 현재는 성장이 정체된 상태인데, 핵심 콘텐츠의 부재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불편으로 인한 활용성 부족을 그 이유 중하나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지속적인 활용을 위한 흥미 유발 등의 요소와 관계된 콘텐츠의 개발과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적 개선에 관한 연구가 시급히 필요한 부분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스마트워치의 특성과 사용성,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그 분류에 관해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여 스마트워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선 방향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워치는 매우 작은 화면 안에서 여러 아이콘과 정보들을 살펴보고 선택하는 과정을 거치기때문에 효율적인 공간의 활용을 필요로 하게 된다. 현재 많은 스마트워치용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세밀한 조작이 어렵기 때문에 메인 콘텐츠는 스마트폰에서 이용하고 스마트워치는 보조적으로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간단한 조작만 하게 되어 있는데, 이런 제약을 극복하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결론 스마트워치의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할 때는 시각적인 요소 이외에도 음성인식과 손목을 움직이는 모션제스처, 애플워치의 크라운과 같은 기기 자체의 입력수단 활용 등 여러 입력 수단을 함께 고려해주어야 한다. 스마트워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기존의 모바일 미디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사용성 고려이외에도 스마트워치가 가진 미디어 자체의 특성 역시 고려한 디자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Since the appearance of smartphones,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continued to present new digital devices to the market. Among them, smart watches attracted attention of all levels of society with the expectation for being the up-and-coming industry in the area of wearable media in the near future because of their potential for the future, but at present, their growth has been slowed down. Some of its reasons are the absence of key contents and poor availability due to inconvenient user interface. Therefore, researches on user convenience, creation of the contents related to interest induction for consistent use,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interface design are being urgently demanded. Methods In this study, based on preceeding researches, the characteristics and availability of smart watches, interface designs and their categories were examined, and based on which,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entertainment contents, and the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interface design of smart watches were investigated. Result As for smart watches, users go through the process of watching and choosing different icons and information on a very small screen, so the space needs to be used in an efficient way. At present, it is difficult to elaborately control applications of smart watches, so users use main contents with their smart phones and only check data with smart watches subsidiarily or control them in a simple way, and the way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to arouse users` interest are being demanded. Conclusion When the interface of smart watches is designed, diverse input tool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for instance, voice recognition, motion gesture using a wrist, and a device`s own input means, such as Crown of Apple Watch, along with visual elements. For the design of interface of smart watches, not only the availability of existing mobile media interface designs but also smart watches` own features as a media have to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