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X 디자인 관점에서의 해외 대학교 웹사이트 디자인 연구 -인천 글로벌 캠퍼스를 중심으로-

        윤여경 ( Yeo Kyung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기존 웹사이트 디자인과 차별화된 UX디자인 관점에서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하게 원하는 정보를 이용할수 있도록 국내 해외 대학교 웹사이트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현재 많은 대학교들이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입시생, 학부모,재학생 등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편익을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UX디자인의 전개와 조형적 구성요소 특징을 분석하여 해결방안을 찾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인천 글로벌 캠퍼스에 위치한 겐트대학교, 뉴욕주립대학교, 유타대학교, 조지메이슨대학교 총 4개 대학교 웹사이트 디자인으로 하였다.사용자를 배려하지 않거나 체계적이지 못한 화면구성의 웹사이트는 이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학교의 이미지와 신뢰감을 떨어트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의 웹사이트로 하여금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그러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있도록 UX디자인 관점에서 조형적 구성요소인 내비게이션, 레이아웃 멀티미디어 버튼 및 아이콘, 웹 그래픽, 컬러, 타이포그래피 총7가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로 연구자가 얻은 결론은 대학의 이미지와 특성을 차별화를 시켜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며 사용성과 편의성을 고려해야함을 확인하였고, 신뢰와 친근감을 가져다 줄 수 있게 절제된 디자인배치를 활용하여야함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픽 효과의 경우 전제적인 분위기와 어울릴 수 있게 배치하여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어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은 결국 대학교 웹사이트와 사용자간의 UX디자인으로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여 상호교류 콘텐츠가 제공되는 웹사이트가 되어야한 한다는 문제일 것이다. 이 같은 연구가 보다 나은 사용자 중심의 대학교 웹사이트 디자인 활용 방안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improving the web sites’ utility of foreign universities in Korea from a UX-based perspective of design which differs from existing one; so that the users are able to get access to information in an easy and convenient way. Even though a lot of universities are now providing such convenient information services to students preparing for an entrance examination, parents, and enrolled students by establishing their own websites, their interface providing information unilaterally without considering users might be a problem. In such a sense, this research is set to find solutions by analysing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of formative factors of the UX design. Sample targets are taken and used from Gent Univers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Korea, University of Utah, and George Mason University all 4 university web site design of which are located in Incheon Global Campus. Screen designs that are ill-arranged or take no heed of users’ conveniences are bound to even undermine the school’s external image and trust. So, this research deals with ways for effective information-providing service through navigation, layout, multimedia, button & icon, web graphic, color and typography the application of the UX design.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users`` demand should be satisfied and also the usability and convenience should be considered by differentiating the image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while using the moderate design arrangement to bring in trust and friendliness. In case of the graphic effect, it should be arranged to be harmonized with the overall atmosphere for the convenient use,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delivered to users. Eventually, it means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websites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through th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ity websites and users based on UX design.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pave way for a better use of universities’ web sites for the sake of the users.

      • KCI등재

        크롬북 포렌식 기법에 관한 연구

        윤여경(Yeo-Kyung Yoon),이상진(Sang-Jin Lee)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18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2 No.3

        모바일 기기의 다양화, 웹기술의 발달, 클라우드의 대중화로 기기에 종속되지 않는 인터넷 중심의 웹OS가 필요하게 되었다. 크롬북은 구글에서 개발한 웹OS가 탑재된 컨버터블 노트북 형태의 모바일 기기이다. 이런 웹OS 모바일 기기는 동일기기 다중 사용자의 특성과 클라우드를 통한 자료의 저장과 공유의 장점도 있지만, 보안성이 우수하고 손쉬운 증거인멸이 가능하여 포렌식 관점에서 증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는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대중화되는 웹OS 모바일 기기인 크롬북에 대해 사용자 모드와 관리자 모드로 나누고, 클라우드 환경을 고려한 증거수집 절차와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With the diversification of mobile devices, the development of web technologies, and the popularization of the cloud, an internet-centric web OS that is not dependent on devices has become necessary. Chromebooks are mobile devices in the form of convertible laptops featuring a web OS developed by Google. These Web OS mobile devices have advantages of multi-user characteristics of the same device and storage and sharing of data through internet and cloud, but it is easy to collect and analyze evidence from the forensic point of view because of excellent security and easy destruction of evidence no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vidence collection procedure and an analysis method considering the cloud environment by dividing the Chromebook, which is a web OS mobile device popularized in the future, into user and administrator modes.

      • KCI등재

        사용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앱 GUI 디자인 연구

        윤여경 ( Yeo Kyung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최근 급속한 인터넷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가 개발됨은 물론 그에 따라 제공되는 모바일 서비스 또한 매우 다양해졌다. 한편으로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하여 다종다양한 모바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디바이스로 자리 잡았다. 그 대표적인 예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들수 있다.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은 우리의 삶 속에서 생활을 보다 윤택하게 만들어줄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은 차량용 내비게이션보다 휴대가 용이한 반면 화면의 크기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사용자 GUI 디자인이 다를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앱 GUI 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서적 자료를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사용성 기반중심으로 GUI 디자인 구성요소 분석을 진행하였고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분석 대상은 구글플레이(Google Play)와 애플 앱 스토어(Apple App Store)에서 선호도, 리뷰, 특징을 고려하여 선별된 티맵, 김기사, 맵피 총 3개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으로 하였다.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들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아니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요소들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부흥하기 위해 제이콥 닐슨(Jacob Nielsen), 엘리슨 j.헤드(Alison J.Head), 스티브 크룩(Steve Krug)의 UI 디자인 가이드를 GUI의 고려사항에 접목하였다. 이러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UX 구성요소인 레이아웃, 컬러, 폰트, 이미지, 아이콘&버튼, 인터렉션 총 7가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 대한 검증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GUI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한 사용자 중심의 G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사용자 중심의 GUI 디자인은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길 찾기를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Due to the recent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market has developed a variety of digital devices as well as mobile services doemeun also became available vary accordingly.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popularity of smart phones with a variety of different mobile services it became an important device applications are indispensable to life. A representative example is a navigation application to provide location based services. Navigation applications are able to create more prosperous life in our lives. However, smartphone navigation is user GUI design is bound to vary because they are constrained by the size of the screen, while easily portable than car navigation. This study w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materials and boo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martphone navigation app GUI design. Usability based mainly were going to GUI design Component Analysis navigation applications analyzed the preferences from Google Play and Apple``s App Store, reviews, selec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timaep, gimgisa, maeppi of 3 application design. Smartphone, a navigation application can be used are visual elements that can only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s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So Jacob Nielsen to revive these user requirements Jacob Nielsen, Ellison j. Head, the UI Design Guide Steve Krug was incorporated into the considerations of the GUI. Effectively communicate this information ux to enable components & wireless layout, font, color, image, icon & button and interaction to do a total of seven analysis. In addition, usability testing was conducted a survey to derive a verification of the various devices on the environment, and this presents a conventional user-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smart phone navigation application GUI design of the GUI design guidelines. User friendly GUI design is by presenting information intuitively allows the user to enable a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pathfinding.

      • 개선된 그래프 컷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디오 정합 알고리즘

        윤여경(Yeo Kyung Yoon),이광진(Kwang Jin Rhee),이훈민(Hoon Min Lee),이윤구(Yun Gu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8 No.6

        본 논문에서는 공간적 일관성과 시간적 일관성을 모두 고려하는 그래프 컷 (graph cuts, GC) 알고리즘을 적용한 새로운 비디오 정합(video stitching)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 비디오로부터 취득한 전체 프레임에 대해서 정렬 (frame alignment) 작업이 완료된 후, 프레임 합성 (frame composition) 을 위한 정합선 찾기 (seam finding) 과정을 진행한다. 정합선을 찾는 과정에서 개선된 그래프 컷 알고리즘을 이용해 정렬된 프레임들을 자연스럽게 합성할 수 있는 최적의 정합선을 찾는다. 우선, 첫번째 입력 프레임에서 찾은 최적 정합선을 참조 정합선으로 설정한다. 그 다음,연속된 프레임들의 정합선 찾기 과정을 수행할 때, 참조 정합선과의 거리 값을 가중치로 이용하는 새로운 비용 함수를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으로 찾은 최적 정합선은 입력 프레임의 중첩 영역에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할 때, 물체의 모양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연속된 프레임의 정합선을 유사한 형태로 유지시킨다. 결과적으로 공간적, 시간적 자연스러움이 보장되는 고품질의 비디오 정합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효율적 정보전달을 위한 날씨 애플리케이션의 시각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윤여경(Yoon, Yeo Kyung),김성훈(Kim, Sung H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오늘날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 시장에서 스마트폰은 그 영역을 확장하며 사용자들의 일상생활에 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대표적인 실시간 정보제공형 서비스인 날씨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모바일 시대에 편승하여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많은 날씨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었지만 각 제품의 개발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일관성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1월부터 9월까지 앱스토어에서 선호도, 사용성, 리뷰 평가를 참고로 하여 선별한 야후날씨, 케이웨더, 웨더풍, 호우호우, 현대카드 웨더 총 5개의 날씨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정보 전달과 편의성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시각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개념과 4가지 구성요소(레이아웃, 컬러, 타이포그래피, 그래픽)를 조사하였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일관성 있는 구성의 레이아웃,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컬러, 제한된 공간에서 구성과 조화를 이루는 서체와 크기 변화로 가독성을 높여주는 타이포그래피, 직관적이고 명시성이 높은 그래픽 등을 통해서 시각 인터페이스 디자인 구성요소들이 사용자에게 큰 영향을 주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결과를 도출해냈다. 더 나아가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통해 추후 더 발전된 날씨 애플리케이션의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In today"s rapid changing IT markets, smartphones have come to take a larger part of the user"s lifes. Especially, live mobile weather forecasting application makes convenient use of the mobile application and it gets more frequent usage. There have been a pool of such applications developed for user"s convenience but developmental environment for each area/circumstance is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us the interface designs of those applications show lack of consistency. This research studies about factors of visual interface designs of the 5 weather forecasting applications (Yahoo Weather, K-weather, Weather Poong, Howoo Howoo, and Hyundai Card Weather) that influence information delivery and user convenience, and the 4 core elements (layout, colour, typography, and graphic), referring to preference, usability, and reviews made on Appstore during Jan ~ Sep 2015. And, a survey was carried out to collect usability reviews on the applications, and the analysis on the result derived from the survey tells that consistent layout, natural colours, dynamic and balanced typography, and direct and vivid graphic are the influencial factors that enhance application usability. Furthermore, it suggests solutions for the designs in order to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on mobile weather forecasting applications.

      • KCI등재

        커피전문점 앱 GUI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윤여경(교수) ( Yeo Kyung Yo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5 No.-

        스마트 모바일 시장은 사용자가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언어에 주목하여 디자인 환경과 사용자 경험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곳에서 디지털 생활정보, 문화 및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스마트 모바일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 모바일 앱(App)은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는 커뮤니케이션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국내 다수의 커피전문점들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보 제공을 위한 앱을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시중의 커피전문점 앱이 사용자 측면에서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GUI콘텐츠를 중심으로 디자인 조형요소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발전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분석대상은 2016년 4월까지 애플의 앱 스토어(App Store) 및 구글의 구글 플레이(Google Play)에서 제공하는 커피전문점 앱 중 다운로드 수 및 커피브랜드 선호도와 리뷰를 조합하여 총 3가지로 선정되었다. 그 후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활용하여 사용자 경험 및 GUI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레이아웃은 수평형으로 일직선 1~2줄 형태의 스타일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아이콘은 픽토그램 형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텍스트는 가독성이 높은 고딕체를, 컬러는 고유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을 사용하였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시각적 조형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최종적으로 앱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Smart Mobile users can efficiently recognize a lot of information with the market noted a visual language that allows changes in environmental design and user experience. In particular, GUI(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s digital information, culture and services in various places of everyday life, expanding its smart mobile markets. In a related matter, with smart mobile app has a variety of functions by being regarded as part of the communications and enhancing convenience of users. These streams of the local majority of coffee shops are releasing an app for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o target consumers. So in this manuscript, the specialty coffee shop on the app works in terms of the user to find out about what you offering services centers on the content guiDesign and to further analyze the Formative Elements to present a development plan. Until April 2016 target analysis is Apple``s App Store and Google number of downloads of apps provided by Google Play in the coffee shops and brands of coffee preferences and reviewsChosen by a total of three in combination. After that, user experience, using surveys, interviews and gui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ing layout is a horizontal alignment for 1 to 2 line in the form a Republican-dominated, and the style icon for the pictograms, type a higher proportion of its efforts. High Gothic text is readability, color use of color we can express its own brand of identity. The Formative Elements such as visual this manuscript : a comprehensive analysis of apps by seeking ways to improve and the future design guidelines and ultimately improve user convenienceAimed that.

      • KCI등재후보

        뉴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성 향상을 위한 앱 아이콘 디자인 연구

        윤여경 ( Yeo Kyung Yo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2 No.-

        오늘날 스마트폰은 다양한 정보기기들 사이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며 현대인들의 일상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 중 앱 아이콘은 단순한 인지적 차원의 디자인이 아니라 사용자의 시각적, 정서적 인식에 영향을 주어 효과적인 소통을 도와주는 수단으로 그 중요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대부분의 앱 아이콘은 젊은 세대의 욕구를 반영하여 심미적 특성에 중점을 두어 디자인되어있기 때문에 뉴실버세대는 이를 사용하는 데에 많은 불편함과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이렇듯 뉴실버세대를 고려하지 않은 앱 아이콘은 이들의 사용의사를 억제하고 접근성을 떨어트린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성 향상을 위한 앱 아이콘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논문을 통해 분석한 뉴실버세대에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앱 아이콘 디자인 구성요소를 한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후 선호도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뉴실버세대까지 고려한 앱 아이콘을 디자인한다면 그 사용성은 더욱 향상될 것이다. It is most commonly used in today``s smart phones among the various information devices and have been taken as part of the daily life of modern people. The higher the importance of the app icon as a means to assist in the design of effective communication, not just that the dimension will have an effect on the user``s visual and emotional recognition. But most of the apps icon New Silver generation because it reflects the emphasis on aesthetic design characteristics are the desire of the younger generation feel a lot of discomfort and alienation in how to use them. As such the app icon does not consider the new generation is silver trim inhibit their use doctors and fell accessi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app icon design for enhanced smartphone usability of New Silver generation. Study the theory related to the new generation of silver over the preceding analysis for this study was limited by the app icon design elements based on it and then surveyed the preferences were derived. Consequently, if the app icon design consideration to New Silver gener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further enhance its usability.

      • KCI등재

        청각,언어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모바일 앱(App) UX/UI 디자인 연구

        윤여경(Yeo Kyung Yoon),김성훈(Sung Ho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오늘날 청각·언어장애인들이 사회생활에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의 한계로 인하여 비장애인은 물론 같은 장애인들과도 소통의 장애를 겪고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의사소통 보조기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보조기기의 국내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아 높은 가격대의 수입제품 및 유사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로, 수요자인 장애인 들이 구매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보조기기는 청각·언어장애인들의 시각에서 논의하거나 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어 실용적인 의사 표현에 있어 제한적인 한계를 보여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각·언어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의사소통 보조기기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FGI(Focus Group Interview)1)를 통한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사회 디지털기기의 스마트 영역이 확대되고, UX/UI 디자인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모바일기기 기본 외형 안에서 청각·언어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UX/UI 디자인 개선에 참조할앱(App)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UX/UI 디자인가이드라인은 사용자의 편리성, 접근성, 오류 최소화, 휴대성 등 대화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삶의 질이 더욱 개선 될 수 있을 것이다. Today due to the limit of the free communication in society by the Hearing & Language impaired, they are experiencing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the non-disabled as well as the disabled. As a method of overcoming these problems, communication assisting devi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most cases, however, disabled people as a customer suffer from purchasing assisting devices caused by difficulties of developing the devices in the domestic market. In consequence, people use imported or similar products with the higher price range. Also these assisting goods have been developed without consider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r the view of people with hearing & language disabilities. Therefore, it showed restrictive limits on practical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t suggested consider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en communication auxiliary equipment is designed. Furthermore, problems and requirements deduced from the FGI(Focused Group Interview).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study proposes the Application guidelines for referring UX/UI design improvement in order to achieve good communication for the hearing & language disabled by the basic outline of the mobile device as expanding the smart areas of digital devices in modern society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UX/UI design. The suggested UX/UI design guidelines advanc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convenience in use, accessibility, minimized errors and portability, therefore, disabled people’s quality of life can be further improved.

      • KCI등재

        스마트워치 디자인에 대한 SD법을 적용한 감성평가 연구

        윤여경 ( Yoon Yeo-kyung ),김성훈 ( Kim Sung-h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인터넷 정보통신 기술발전으로 스마트 폰은 지난 10여 년간 발 빠른 성장을 하였으나 최근 몇 년간 스마트 폰 시장이 둔화되고 있는 반면에 새롭고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주목을 받으며 그 영역을 확장해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을 받는 것은 가방이나 주머니에서 스마트 폰을 꺼내지 않고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 스마트폰의 기능인 알림이나 메일,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더한 스마트워치이다. 그러나 스마트워치의 하드웨어 기술력기능에만 치중한 나머지 정작 중요한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의 제품들에 대해 조사하고 디자인과 특징을 분석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감성평가를 실시하여 스마트워치의 디자인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첫째, 우선 스마트 폰의 종류와 구조를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하고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최근 2년간 출시된 스마트워치의 디자인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스마트워치의 제품 디자인 분류는 컬러와 형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스마트워치 분석으로 사용자에게 SD 평가방법을 실시하여 제품에 대한 이미지 감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하였다. 넷째, 결론으로 둥근 형태보다는 세로형의 둥근 직사각형의 형태와 무채색계열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스마트워치의 디자인 방향을 도출해내었다. 현재 트렌트에 미치는 상품으로만 사라지지 않고 IT기술발전의 흐름에 따라 상용자 경험을 충족시키는 디바이스로 이어나갈 것이다. Although smart-phone has grown rapidly over the past decade with Interne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t has been extending the area as the design wearable device market that is developed in new and various figure while smart-phone market has been retarded for recent few years. One of the most noteworthy of these is the Smart Watch, which allows users to freely use both hands without taking out their smart-phones from their bags or pouches, and the function to view notifications, mail, and messages in real time is added. However, since the focus was on the hardware capabilities of Smart Watch, there is only a little research on design that is important. Thus, this research tries to find out about design direction of Smart Watch by conducting emotion assessment about users who use Smart Watch products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its design and feature.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d the types and structure of smart-phone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Second, we analyzed the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Watch, which has been released for the last two years. Third, SD evaluation method was applied to users through smart watch analysis to conduct the image sensibility assessment of products.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by using SPSS. Fourth, as a conclusion, we drew the design direction of the smart watch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hape of the round rectangle of the vertical type and the achromatic series is effective rather than the round sh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