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본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과 논쟁점

        나경훈,이동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3 사회과교육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jor changes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to review emerging issues and tasks in advance. For the study,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overall change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were analyzed. The overall pattern of change i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system table was selected and organized to reveal the framework of each area. Second, in order to optimize the amounts of learning,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made a drastic reduction, and the method of statement was summarized. Third, the flexible environment expansion method was applied away from the mechanical content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Fourth, the integration method between areas within the social studies was reduced, and the level was weakened. Next, characteristics of change in three areas in social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geographical area, the change in content arrangement was the most common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flexible environment expansion method, and efforts were made to strengthen geographical functions. Second, in the general social studies area, there were fewer patterns of change than in other areas, and some achievement standards were newly established to emphasize democratic citizenship literacy by reflecting social changes. Third, in the history area, the most changes were made in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In the 3rd and 4th grades, achievement standards centered on the concept of history were newly established to explore history, and in the 5th and 6th grades, achievement standards were changed to focus on life history in the chronological struc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main controversial points that may appear whe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applied to the actual field wer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을 살펴보며, 떠오르는 쟁점과 과제를 선행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변화와 영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변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별 구조를 잘 드러내기 위해 내용체계표를 정선하고 체계화하였다. 둘째, 학습량 적정화를 위해 성취기준 수를 대폭 감축하였고, 진술 방식을 대강화하였다. 셋째, 행정구역에 따른 기계적인 내용 배열을 탈피하여 탄력적 환경확대법을 적용하였다. 넷째, 사회과 내 영역 간 통합 방식은 축소되었고, 통합 수준은 약화되었다. 다음으로 사회과 세 영역별 변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 영역에서는 탄력적 환경확대법 적용으로 인해 내용 배열의 변화가 가장 많았고, 지리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둘째, 일반사회 영역에서는 다른 영역에 비하여 변화 양상이 적었고, 사회변화를 반영하여 민주시민 리터러시를 강조하기 위한 성취기준이 일부 신설되었다. 셋째, 역사 영역은 이번 교육과정 개정에서 가장 많은 변화가 나타났으며, 3~4학년군에서는 학생들의 역사 탐구를 강조한 역사 개념 중심 성취기준이 신설되었고, 5~6학년군에서는 연대기구조 속 생활사 중심으로 성취기준을 재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이 실제 현장에 적용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주요 논쟁점들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폰 하드웨어에 대한 디자인 평가와 브랜드 현저성 및 태도의 구조적 관계

        나경훈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2

        Background Amid a flood of products, companies try to imprint the brand on consumers and induce positive attitudes of consumers by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roducts. Nevertheless, research 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level related to thi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necessary for evaluating product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nies and brand salience and attitude. Methods Through case studies, the morphological factors of smartphones, a electronics, were analyzed, and in the empirical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the survey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 design evaluation factors, brand salience, and brand attitude. The hypothesis of the study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orm and color corresponding to the morphological factors among the product design evaluation elem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salience. In addition, aesthetics and symbolism corresponding to semantic element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brand salience, but functionality was not found to have an effect. Finally,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brand salience and brand attitude was confirmed.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at companies need to focus on product design evaluation factors in order to develop products and positively derive brand salience and brand attitude. In doing so,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to companies and related field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further developed research in the future. 연구배경 수많은 제품의 홍수 속에서 기업은 자사가 개발한 제품의 특징을 강조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각인시키고,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하려고 노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한 이론적, 실무적 차원의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며,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입장에서 제품디자인의 평가에 필요한 요소와 브랜드 현저성 및 태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사례연구를 통해 전자제품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의 외형적 평가요소를 분석하였고, 실증연구에서는 제품디자인 평가요소, 브랜드 현저성, 브랜드 태도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 후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가설은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함으로써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증연구 결과, 제품디자인 평가요소 중 외형적 요소에 해당하는 형태와 색상은 브랜드 현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의미적 요소에 해당하는 심미성과 상징성은 브랜드 현저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능성은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현저성과 브랜드 태도의 유의한 영향 관계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기업이 제품을 개발하고 브랜드 현저성 및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제품디자인의 평가요소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실증함으로써 기업과 관련 분야에 실무적,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가 더욱 발전된 연구의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기업의 심벌마크 디자인이 브랜드 이미지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 통신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

        나경훈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1

        The symbol mark is the most important symbol that represents a comp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symbol marks on brand image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nd to present practical and academic directions for sustainable value of companies. From a semiotic point of view, the elements of the symbol mark were organized into Signifiant and Signifié, and in detail, the Signifiant was classified into form and color,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The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symbol marks of SK Telecom, LG U Plus, and KT, which are listed companies in Korea, and significant implications were derived. In the empirical analysi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ignifiant of symbol mark desig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ignifié of symbol mark desig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brand image according to the symbol mark desig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word of mouth intention.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ompanies in a specific fiel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expanded study on companies and brands in various fields for general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future expanded research. 심벌마크는 기업을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상징물이다. 본 연구는 심벌마크가 브랜드 이미지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기업의 지속가능한 가치를 위한 실무적, 학문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기호학적 관점에서 심벌마크의 요소를 기표와 기의로 정리하고, 세부적으로 기표는 형태와 색상으로 분류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은 국내 통신 상장기업인 SK텔레콤, LG유플러스, KT의 심벌마크를 대상으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각 변수 간의 상관성을 밝히기 위한 실증분석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IBM SPSS Statistics 26.0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벌마크 디자인의 기표는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심벌마크 디자인의 기의는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심벌마크 디자인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의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특정 분야의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이기 때문에 일반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기업과 브랜드를 대상으로 확장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향후 확장된 연구에 밑거름으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콘텐츠디자인의 개념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의 효용성

        나경훈,남호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6 No.-

        21세기는 다방면에서 기술의 비약과 진보를 가져왔으며, 이에 따른 방대한 콘텐츠의 홍수가 무차별적으로 범람하고 있다. 콘텐츠의 패러다임은 양질의 콘텐츠를 요구함과 동시에 디자인적 해석에 의한 콘텐츠디자인의 개념은 질적 향상을 요구하 게 되었다. 그러나 그 의미에 있어서 콘텐츠를 단순히 외형적인 작업으로 이해하려는 단일한 견해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 다. 따라서 콘텐츠와 디자인이 지닌 각각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콘텐츠디자인의 보편타당한 개념적 정의를 확립하는 탐구 가 필요하다. 또한 성공적인 콘텐츠디자인 결과론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다양한 분야에서 선용되고 있는 인프라스트럭처의 적용을 통해 효율적인 프로세스의 확립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콘텐츠디자인을 수행함에 있어 기획초기 단계에서부터 과정에 따르는 결과도출의 효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콘텐츠디자인에서 인프라 스트럭처의 적용은 개발의 편의성을 토대로 핵심가치(Core Value)를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의 인력양성에 있어 기틀을 마련해줄 수 있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미래지향적 측면에서 콘텐츠디자인의 인프라스트럭처는 미진한 연구에 상충하는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에 결부된 다각적 관점에서의 학제 간 연구를 기반으로 그 가치를 높여야한다. 이 같은 내용에 따라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대학교육에서 역시 이를 대비하는 의미로써 체계적인 교육적 효과를 위한 주요 범 본으로 초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21st century has brought a rapid progress of technology in various aspects and consequently, there has been an indiscriminate oversupply of massive contents. The paradigm of content not only has demanded a high-quality content but also, at the same time, requires qualitative advance in content design based on design interpretation. However, a single view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content as a simple external work has formed a large major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establishing an universal conceptual definition of content design by analyzing the each meaning of content and design. Also, as a measure for successful content design result, a direction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process has been examined by applying the infrastructure that is being discreetly used in various fields. The utility from the early stage in planning to the outcome following the process in conducting a content design has been discussed. The application of infrastructure in content design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not only create a core value based on development convenience but also pave the way for manpower training in related fields. In future-oriented aspect, the infrastructure of content design should secure the expertise to countervail the loose ends in research and its value should be increased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multilateral aspects. In this regard, as means for university education training the professional manpower to prepare the above, it is expected to be a principal example for a systematic educational effect.

      • KCI등재

        신용카드 디자인의 컬러마케팅과 브랜드 명성, 그리고 몰입의 매개효과

        나경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olor-based marketing on brand reput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commitment among credit card design. First of all, a framework for case analysis was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and the elements that make up color marketing were divided into identifiability, symbolism, reminiscent, and conspicuity. In the case study, I.R.I color image scale, Korean standard color analysis, and color symbols were analyzed for Hyundai Card, Shinhan Card, and Lotte Ca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ach brand's premium credit card was applied with luxurious colors reflecting differentiated symbols of low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In the empirical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AMOS 20.0 to reveal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ymbolism, reminiscent, and conspicuity of color marke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reput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ymbolism and reminiscent of color marke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commitment. Third, brand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reputa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commitment between the symbolism of color marketing and brand reputation was confirmed. This study is of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marketing, brand reputation, and brand commitm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and marketing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developmental foundation for future related research. 본 연구는 신용카드 디자인 중 컬러를 활용한 마케팅이 브랜드 명성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 몰입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것에 목적을 두었다. 먼저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사례분석을 위한 틀을 제시하고 컬러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를 식별성, 상징성, 연상성, 주목성으로 구분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현대카드, 신한카드, 롯데카드를 대상으로 I.R.I 컬러 이미지스케일, 한국표준색 색채분석, 색의 상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브랜드의 프리미엄 신용카드는 저명도, 저채도의 차별화된 상징을 반영한 고급스러운 컬러를 적용하고 있었다. 실증연구에서는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밝히기 위해 AMOS 20.0을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컬러마케팅의 상징성, 연상성, 주목성은브랜드 명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컬러마케팅의 상징성과 연상성은 브랜드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브랜드 몰입은 브랜드 명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컬러마케팅의 상징성과 브랜드 명성 사이에서 브랜드 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컬러마케팅과 브랜드 명성및 브랜드 몰입의 관계를 탐색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와 마케팅적 시사점이향후 관련 연구에 발전적인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디스플레이 UI디자인의 지각된 속성이 브랜드 신뢰도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자동차 브랜드의 디지털 계기판을 중심으로 -

        나경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 UI디자인의 지각된 속성이 브랜드 신뢰도 및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기 위함이다. 우선적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UI디자인의 지각된 속성을 형태, 레이아웃, 컬러, 타이포그래피, 그래픽의 다섯 가지로 정리했으며, 국내 자동차 브랜드의 디지털 계기판 UI디자인 사례를 속성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분석 대상은 형태와레이아웃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드라이브 모드의 변화나 특정 기능에 따라 컬러, 타이포그래피, 그래픽이 변화하는것을 확인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UI디자인의 지각된 속성, 브랜드 신뢰도, 구매의도 사이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디스플레이 UI디자인의 지각된 속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스플레이 UI디자인의 지각된 속성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디스플레이 UI디자인의 지각된 속성에 따른 브랜드 신뢰도가 높아지면 구매의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연구는 다양한 분석기준을 설정한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향후 디스플레이 UI디자인과 관련한 더욱 세분화된 실증적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SNS를 활용한 국내·외 통신사의 디자인마케팅 변화 분석

        나경훈,남호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2

        정보화 사회의 도래로 사람들의 관계가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으로 옮겨가면서 기업의 경영에도 많은 영향 을 끼치고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등장은 개인의 소통방식과 기업의 경영전략에 변화를 가 져왔으며, 이를 활용한 전략적인 마케팅과 연계할 필요성이 화두에 오르고 있다.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기업의 디자인마케팅 관련 선행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에서 국내외 기업의 2012년과 2014년 사례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기 업 디자인마케팅을 위한 방법론을 찾고자하였다. 수많은 종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선호도가 높은 페이스북(Facebook)의 사례를 통해 국내외 통신사를 대상으로 각 기업별로 실시하고 있는 디 자인마케팅 사례를 분석하였다. 기업에서 활용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디자인을 포함한 운영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가장 보편타당성 있는 체크리스트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보다 많은 사례분석을 통한 실증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객관적 이고 폭넓은 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디자인마케팅에 있어 확 실한 가이드라인이 정해지지 않은 시점에서 본 연구가 향후에 있을 패러다임적 디자인 경영 연구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management of enterprises has been affected by the relationship among people moving from off-line to on-line due to the arrival of information society. In addition, the advent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has brought the numerous changes to individual communication method and management strategy of enterprises, and the needs to cooperate it with the strategic marketing are increasing accordingly. The advanced researches related with design marketing that utilize design method are not actively carried out currently. Thus, this researcher aims to analyze the design marketing cases of domestic & foreign enterprises within Social Network Service of 2012 and 2014 and find the methodology for corporate marketing of Social Network Service.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design marketing that were performed by each enterprise by selecting domestic & foreign communication enterprises based on Facebook that is most preferred worldwide out of numerous kinds of Social Network Services. It grasped the shared commonalties and differences regarding management including the designs of Social Network Service that the enterprises utilize and set the check list that has the most universal validity. Since this study proceeded targeting the specific enterprises, the continuous studies with objective and wide research based on substantial data through plenty of case analyses are further required. This study is expected to act as the foundation for further paradigmatic design management researches on a later time when the definite guideline has not been arranged regarding design marketing that utilizes Social Network Service.

      • KCI등재

        초등 역사수업의 이상과 현실에 대한 단상: 5학년 두 담임교사의 수업 이야기

        나경훈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y problems of chronic history education are not solved despi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tant efforts to acquire students' interest and educational elements simultaneously in history clas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this phenomenon, the classes of two teachers of J elementary school were observ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occurred as follows in the planned content and the scene that appeared as an actual class. First, activity-style classes were defined and aimed as good classes, but the proportion of lecture-style classes were higher in actual classes. Second, teachers said that the utilization of textbooks has decreased, but the content of teaching textbooks has not decreased. Third, it was thought that the input of additional learning materials would improve the learner's interest, but it did not necessarily guarantee the interest of the learn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on the foundation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elementary educatio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history classe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이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교육적 요소를 동시에 획득하려는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질적인 역사교육의 문제점이 해소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J초등학교 두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계획했던 내용과 실제 수업으로 나타나는 장면에서 다음과 같은 교사들의 이해와 오해가 발생하였다. 첫째, 활동식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규정하고 지향하였지만, 실제 수업에서는 강의식 수업의 비중이 높았다. 둘째, 교사들은 교과서 활용도가 줄어들었다고 하였지만, 가르치는 교과서의 내용은 줄어들지 않았다. 셋째, 부가적인 학습자료의 투입이 학습자의 흥미를 고취시킬 것이라고 생각하였지만, 반드시 학습자의 흥미를 담보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육의 맥락을 이해한 바탕 위에서 역사수업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한 지역화교과서 구성 방향 논의 -평택 지역화교과서의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나경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2 사회과교육연구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omposition of localization textbooks that can implement local specificity and identity. The critical analysis of localization textbooks in Pyeongtaek, where researchers work, was conducted through an analysis framework prepared based on the factors of local identity composi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contained various natural environments in Pyeongtaek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al elements’ among local identity composition factors, but it listed general contents in parallel rather than emphasizing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elements’, various historical figures and cultural heritages were presented, but rather than limited to Pyeongtaek area, they contained famous and popular contents focusing on national history.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factors’, similar contents were emphasized to the policy direction being pursued by Pyeongtaek City, but factors that implied Pyeongtaek’s current identity could not be seen. These were problems that occurred when only the data were replaced with local ones while using the national textbook composition system as it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localization textbooks was proposed that could reflect the local identity.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 체제 변화 양상 -이해, 소통, 공감의 매개로 전환-

        나경훈,이동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s of changing framework on the teachers' guidebooks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hereinafter "guidebooks”) and to present future tasks for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guideboo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or this study, the framework of guidebooks was analyzed from the 4th curriculum, which began to be classified as a type of textbook,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 function and content elements of guidebooks was changing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curriculum. Second, the nature of the guidebooks was returning to the direction of composition to achieve clear objectives in unit classes. Third, the concept and terms used in guidebooks were mixed with each curriculum. Fourth, form, content elements and functional changes were being attempted to accommodate the various needs of field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se results, the role of guidebooks was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and the demands of the times, but it did not get sympathy of the teachers. Thu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new direction to enhance practical fitness, understand, communicate, empathize and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구성 체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사용 지도서가 교과용 도서로 분류되기 시작한 제 4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 체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방향에 따라 교사용 지도서의 성격과 기능, 내용요소가 바뀌고 있었다. 둘째, 차시수업의 명확한 목표달성을 위한 구성방향으로 회귀하고 있었다. 셋째,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에 사용된 개념과 용어가 일관되지 못하고 교육과정시기마다 혼란스럽게 제시되고 있었다. 넷째, 현장 교사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형식과 내용요소, 기능상의 변화를 꾀하고 있었다. 이 결과를 고려할 때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교육과정과 시대적 요구에 상응하여 변화하고 있었으나, 많은 교사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현장 적합성 고양, 이해, 소통, 공감, 실천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방향 정립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