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학전형별 대학생 핵심역량 및 전공역량의 차이 분석 : D대학교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최정희 ( Choi¸ Jung-hui ),오진오 ( Oh¸ Jin-oh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입학전형의 차이가 대학생의 핵심역량 및 전공역량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소재 D대학교를 사례로 선정하였고, D대학교에서 개발한 진단 척도를 사용하여 역량을 측정하였다. 입학전형에 따른 역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각 역량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성별과 학년 내에서 입학전형에 따른 역량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내재된 이원분산분석(nested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핵심역량의 경우 전체적으로 정시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평균 역량이 높은 편이고, 수시전형 입학생의 역량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역량의 경우 대체적으로 정시전형 입학생들의 평균이 높은 편이고, 수시전형 입학생들의 평균이 낮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이 있다. 우선 수시전형 입학생들의 역량 점수가 높지 않다는 결과를 고려한다면 앞으로 신입생 선발 전형에서 잠재적 핵심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절차나 평가지표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전공역량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정시전형이나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역량점수가 수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고려한다면 수시전형 입학생들의 전공역량 강화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수시전형 입학생에게 전공 특화된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수시전형의 축소 혹은 수시전형에서 역량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형 형식이나 내용의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sirable direction for admission policy by analyzing differences in core competency and major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by admissions type. Differences in competenc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main admission types: Early admission based on the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Early admission based on school grades, and Regular admission based on SAT scores. D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selected as an example, and the competency was measured using the survey scale developed by D University. As a result of analysis, in the case of the six core competencie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 in all competency. Overall, the average competency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Regular and Early admission based on school records was high, and the competency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Early admission based on comprehensive records was low. Research result shows that in 7 out of 10 major competencies- self-directed, knowledge utilization, logical thinking, creative problem-solving, challenge, knowledge convergence, and global citizenship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 In general, the average of the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Regular admission process based on SAT scores is high and the average of the students through Early admission process is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ful for reference in determining the ratio between regular and early admission at university. More effort to confirm potential competency of the admission applicants an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students’ competency is required.

      • KCI등재

        대입제도 쟁점분석: 수시와 정시 입학생들의 소득수준 비교 분석

        이광현(Kwanghyun Lee),권용재(Yongjae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대입제도와 관련된 논쟁 중 하나는 수시전형과 정시전형 중 어느 입학전형이 사회적 계층이동을 위한 기제로서 작동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Ⅱ(KEEP Ⅱ) 데이터의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입학전형(수시전형 vs 정시전형)에 따른 대학입학생들의 소득수준을 분석하여 관련 논의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3차년도 자료 분석결과 일반대학에 입학한 학생들 전체적으로는 정시와 수시 입학생들 간의 부모소득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시는 585.4만원 수시는 586.4만원으로 수시전형 입학생이 월평균 부모소득이 1만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용적으로나 통계적으로는 의미가 없었다. 다음으로 카이제곱검정을 통해 부모소득과 정시/수시입학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시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순위그룹별로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상위권 대학으로 갈수록 입학생들이 부모소득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본 연구의 주제인 입학전형별로 보면 정시전형 입학생들보다 수시전형 입학생들의 월평균 부모소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수시(학종)전형이 상대적으로 더 금수저 전형일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며, 정시수능전형보다 사회적 계층이동을 원활히 하는 통로로서 작동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인 판단으로 보인다. One of the debates regarding the college admission systems is about which admissions screening works as a mechanism for social mobility, between early and regular admissions.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related discussions by analyzing the income level of college admissions students according to the admissions screening (early vs. regular admissions) using data from the third year survey of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KEEP II). Analyzing the dataset, we found that parental income was almost the same between students admitted from early and regular admissions. To be specific, average monthly parental income was 586.4 million Korean Won for students admitted from early admission while it was 585.4 million Korean Won for those admitted from regular admission, which mean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neither practically nor statistically significant. Applying the chi-square test, we test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come and types of college admissions and foun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inally, categorizing colleges where students are admitted by ranking, we compared parental incomes among students. We found that parental income was higher for top-ranked universities, and that parental income was higher for students admitted from early admission. We concluded that early admission can possibly be an admission system for “well-offs” between the two, and that early admission may not be working as a pathway to facilitate social mobility compared to the regular admissions.

      • KCI등재

        대학입학 전형과 기회공정성: 수도권 대학 선호를 고려한 전형 간 차이를 중심으로

        김성훈,우명숙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3 사회과학연구 Vol.62 No.3

        이 연구는 수시 전형 대비 정시 전형 비교에서 어느 전형을 통한 대학입학에서 기회격차가 더 발생하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그간의 대학입학 전형에 관한 상당수 연구들은 어느 전형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학교 특성이 입학 결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뤄보고자 했다. 공정성의 관점에서 볼 때, 선행연구들의 주요한 관심은 특정 전형이 특정 배경을 가진 학생들에게 더 유리하거나 불리한 기회를 주고 있느냐의 문제이다. 선행연구의 주된 관심을 이어가면서, 이 연구는 우선 전국단위의 최신 자료를 분석하여 실증연구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수시 전형과 정시 전형을 비교할 뿐만 아니라 수도권 대학 선호를 조합한 전형들을 비교함으로써 대학입학에서 기회격차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한다. 2016년에 고등학교 2학년이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교육고용패널II 자료를 활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수시 전형 대비 정시 전형을 비교해 보면, 전반적으로 정시 전형을 통한 입학에 부모요인과 학교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되는 대학 선호를 조합한 전형들을 비교해 볼 때, 가장 뚜렷한 특징은 전형에 상관없이 수도권 대학의 입학에는 고등학교 특성이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수시 전형은 부모요인의 영향을 줄인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수시 전형의 확대가 수도권 대학의 입학에 고등학교 특성이 미치는 강한 영향을 약화시키기는 어렵다는 점을 말해준다. 따라서 고등학교 특성이 수도권 대학 입학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간 차이를 확대하는 교육정책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대학입학의 기회공정성을 위해서는수도권 대학들이 상위권에 위치하는 대학서열화에 대한 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 KCI등재

        2018학년도 대학 신입생의 진학 전형에 영향을 미친 요인: 수시 및 정시 전형을 중심으로

        하희수,이경건,홍훈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d college entrance through early and regular admission processes. Variables expected to be related to college admission in 2018 were selected from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 (KEEP) II, and the significant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all variables regarding student personal characteristics, except for gender, influenced on types of students’ college admission. In terms of admission-related decision-making propensity, geographical conditions, the influence of social celebrities on college decisions, and priority consideration of universities compared to the departments were shown to be variables that had impacts on college admission through regular admission process. The influence of private institution’s teachers was a variable that impacted on college admission through early admission proces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admission-related achievement factors, school grades, award performance, and time for club activities contributed to college admission through early admission process, while club activities in the art field contributed to college admission through regular admission process. Among the factors belonging to the family background, only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was analyzed as a variable that contributed to college entrance through regular admission process. As for the school environment, studying at the science high school was a variable that contributed to college admission through early admission process, and the location of school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college admission through early admission proces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student-related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ir college admission and seeking policies for college admiss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18학년도 정시 또는 수시 전형을 통한 대학 진학에 주된 영향을 미친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문헌을 기반으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II의 2017년도 데이터를 중심으로 대학 입시와 관련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들을 선정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대학 진학 전형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 개인 특성 영역 중 성별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이 두 대학 입시 전형 방법의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 관련 의사결정 성향 측면에서는 지리적 여건, 대학 결정에 유명인사의 영향을 받은 경우, 입시 과정에서 학과 대비 대학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경우가 정시 전형을 통한 대학 진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원(과외) 선생님이 학과 결정에 영향을 준 경우가 수시 전형을 통한 대학 진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 관련 성취 요인 중에서는 내신 등급, 주지 교과 분야의 수상 실적, 주요 동아리 활동 시간이 수시 전형을 통한 대학 진학에 주된 영향을 미쳤으며, 미술 분야의 동아리 활동은 정시 전형을 통한 대학 진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가정 환경에 속하는 요인 중에서는 부모의 학력만이 정시 전형을 통한 대학 진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학교 환경 영역에서는 과학고등학교의 재학이 수시 전형을 통한 대학 진학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학교의 소재지가 학생들의 수시 전형을 통한 진학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 입시와 관련된 학생의 개인적・환경적 특성을 이해하고 추후 대학입시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진로결정성 정도가 직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

        신하영(愼河影),박소영(朴昭暎)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자신의 진로에 대해 분명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계획을 가지고 진로탐색행동을 하는 학생이 직업세계 이후에도 적극적이고 자율적인 직무를 수행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진행되었다. 이 때, 대학입학전형은 학생의 진로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 결과, 수시입학 전형 학생들이 정시 입학 전형 학생에 비해 진로결정성, 대학생활적응, 직무자율성 수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성이 대학생활적응과 직무자율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수시와 정시 입학전형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입학전형별 차이와 관련하여 고교 재학 중 진로결정성과 대학생활적응, 취업 후 직무자율성에 있어서 수시입학전형학생이 정시입학 전형 학생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한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수시입학 전형 학생보다 정시입학전형 학생일 경우 진로결정성(고교)→대학생활적응(대학)→직무자율성(취업 후) 간의 구조적 관계의 경로계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입학전형의 구분 없이 고교생의 진로결정성 즉 미래에 대한 계획과 자신에 대한 이해, 진로 탐색의 행동이 중요하게 나타났다는 점을 고려하여, 향후 고교생의 진로결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 지도 활동이 대학입학전형 선택 및 준비와는 별개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students who have a clear sense of purpose for their own career path and who conduct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with a plan to realize this will have a high probability of performing active and autonomous jobs even after the professional world.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career decision of the stud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itiv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on adaptation to college and job autonomy is confirmed in common regardless of admission type. Regarding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college admission type, students who are admitted with early decision show higher levels than students with regular admission in terms of career decision-making, college adaptation, and job autonomy after graduation.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path coefficient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high school) → college adaptation (university) → job autonomy (after employment) is higher for regular admissions students than early admissions student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less of the admission typ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 plans for the future,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 behavior of career exploration, are important. It is suggested that career guidance activities need to be conducted during high school years for both early and regular admissions.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대학 수시 전형 선택 관련 예측 요인 탐색

        김영식,이은정,주현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edict variabl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freshmen who entered university through Korean-type Early Decision Programs (KEDP). This study utilized a random forest model, one of the most popular machine learning approaches. Results showed that in-Seoul, Korea, 4-year university applicants’ “SAT Score” and “school size” were the substantial variables in predicting university entrance through KEDP. In terms of the so-called prestigious university entrance through KEDP, each school’s characteristics such as school type, school siz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SAT score, were relatively more predictive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based on a new approach using a machine learning method, provide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current university admission processes, including KEDP. 본 연구는 대학 수시 전형 입학생들의 특성을 탐색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입학한 대학에의 수시 입학 여부’ 및 ‘2015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기준 상위 30위권 대학으로의 수시 입학 여부’를 반응변수로 하여 이를 예측하는 설명변수를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I 중학교 3학년 코호트의 4-12 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해당 코호트가 대학에 진학하기 시작한 2008년부터 2015년 사이의 대학 신입생 수시입학 여부 변수를 최근 주목받고 있는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수시 입학 및 소위 상위권 대학으로의 수시 입학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들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예측성과 측면에서 랜덤 포레스트로부터 도출된 예측 모형이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수시 입학 및 소위 상위권 대학 수시 입학에영향을 주는 설명변수들의 중요도를 확인한 결과 ‘서울 4년제 대학 진학자수’, ‘수능 등급’, ‘고등학교 유형’, ‘학교 규모’, ‘혼자 학습하는 시간’ 등의 설명변수들의 예측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시 입학에상대적으로 더 큰 예측력을 지니는 중요 설명변수를 탐색적으로 밝혀냄으로써, 향후 수시 전형의 개선 및 보완을 위한 정책적 판단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학생부종합전형 객관성 확보를 위한 시스템화 연구

        김근호(Geun-Ho, Kim),김의정(Eui-Jeong, Kim)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3 No.2

        현재 대입 수시 전형에서 학생부 종합전형은 고등학교 교과 활동 및 비교과 활동을 평가할 수 있고 학생에 대한 종합적 판단이 가능하여 시행하는 대학과 선발 인원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하지만 평가 과정은 제출 서류의 정성적, 입학사정관의 주관적 평가로 각 대학의 평가 준거에 따라 지원자의 역량 평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형 과정에서 객관성과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기에 학생부 종합전형 정성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위한 제도적, 절차적 보완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입 학생부 종합전형이 불공정하다는 논란 속에서도 대입 수시 전형으로 자리 잡은 상태이고 학생부 종합전형은 대학의 학생 선발 자율성을 보장해주고,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중심으로 국가가 주도했던 평가를 교사에게 이양함으로 고교 교육을 정상화 시킨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그리나 학생부 종합전형이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입시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되어, 논란이 발생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성적이 가장 공정하기 때문에 학생들을 선발하는 방식이 수시에서 정시로 돌아가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입 전형에서 시행되는 학생부 종합전형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Currently, the total number of universities and selectees is steadily increasing as high school curriculum activities and comparison and activities can be assessed and comprehensive judgment can be made on students. However, the evaluation process is a qualita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submitted documents by the admissions officer, and the applicant"s competency evalu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of each university. As questions are raised about objectivity and fairness in the process of such screening, institutional and procedural supplementation is needed for objectivity and fairness of the comprehensive student ministry assessment. However, despite the controversy over the unfair college entrance exam, the college entrance exam has been given a positive evaluation in that it ensures the university"s autonomy in selecting students and transfers state-led evaluations centered on the CSAT scores to teachers. However, the negative aspect that the comprehensive admission proces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could affect the outcome of the entrance exam has been highlighted, raising the opinion that the method of selecting students should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since the result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re the fairest due to controvers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cure objectivity and fairness in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conduct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to enhance reliability.

      • KCI우수등재

        수시 전형이 ‘특권층의 대물림 통로’? 대입 전형이 고등교육 기회 분배 구조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윤민종(Youn, Min Jong)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이 연구는 대입 전형과 교육 불평등의 관계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Ⅰ(2005년, 2008년 코호트)과 Ⅱ 자료 (2018년 코호트)를 분석하여 사회경제적 배경과 사교육비 지출이 상위권 대학 진학에 미치는 영향력이 수시와 정시 대입 전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무선 효과 분석 결과 사회경제적 배경과 사교육비 지출이 높은 가정의 자녀일수록 상위권 대학에 진학할 확률은 평균 약 1.4∼1.76 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경제적배경과 사교육비를 5분위(20%)로 구분할 경우 SES 상위(5/5분위와 4/5분위) 분위는 최하위(1/5분위) 분위에 비해 상위권 대학 진학 확률이 약 7.2∼5.8배, 사교육비의 경우 약 1.83배∼1.56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고등교육 기회 격차가 수시 대입 전형이 본격 도입된 2005년도 코호트 이후 확산되었는지 검증한 결과 계층에 따른 고등교육 기회 불평등은 악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사회경제적 배경과 사교육비 지출이 대입 전형에 따라 상위권 대학 진학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수시 전형이 상위 계층에게 유리한 전형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 역시 어떤 코호트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수시 대입 전형의 확대 속에서도 계층에 따른 고등교육기회 불평등이 유지되어 왔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이 연구는 수시와 정시 전형의 비율을 조정하여 대입 공정성을 강화하려는 시도가 한계가 있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Using Korea Employment Panel (KEEP) I and II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and educational opportunity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employed Random Effect models in analyzing data for three cohort from 2005, 2008, and 2018 in KEEP I and II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on entering top-tiered universities differed between the transcript-based college admission system (TCA) and the exam-based college admission system (ECA). Findings showed that students from high SES families were about 1.4 to 1.76 times more likely to enter top universities. Yet, the impact of SES and the expenditure on private tutoring for the purpose of entering top-tiered universities did not significantly vary across the three cohorts, nor between TCA and ECA. This suggests that the inequality in higher education has been relatively stable over the last decade despite the adoption of a holistic college admission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I discussed the limitation of attempts to strengthen the fairness of college admissions by adjusting the ratio of TCA and ECA.

      • KCI우수등재

        사교육은 “수시” 탓? 대학 입학 전형에 따른 사교육비 차이 탐색

        윤민종(Youn, Min Jong)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6

        이 연구는 대입 전형과 사교육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시 대입 전형 도입 이후 대학 입시를 경험한 학생들의 사교육비 차이를 추정하여 대입 전형에 따른 사교육비가 대학 위세와 맞물려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한국고용패널(KEEP) Ⅰ(중3 코호트와 고3 코호트)과 Ⅱ(고2 코호트)에서 제공하는 총 세 개의 코호트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대입 전형과 사교육비의 관계가 일관되게 나타나는지 추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자료의 위계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무선 효과(random effect) 모형과 모든 학교 간 차이를 제거하는 고정 효과(fixed effect)를 적용하여 연구 결과의 강인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코호트에서 수시 대입 전형을 통해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사교육비 지출은 정시 전형에 비해 사교육비 지출이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 위세 수준, 내신 성적 및 수능 성적을 통제한 모형은 물론 학교 간 차이를 제거한 고정 효과 모형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대학 위세 수준에 따른 대입 전형과 사교육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위세가 높은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경우 수시와 정시 전형 집단 간 사교육비 차이가 없었던 반면 위세가 높지 않은 일반 대학 진학자들의 경우 수시 전형 집단의 사교육비 지출이 정시 집단에 비해 적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대입 정책이 사교육 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이 대학 위세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이 연구는 정책 대상에 따른 대입 제도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수시 대입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논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is an empirical research which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and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Using Korea Employment Panel (KEEP) Ⅰ and Ⅱ data sets, this study employed random and fixed effect model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depending on the type of college admission system. This study showed that, in all cohorts, those students who used the transcript-based admission system spent less in private tutoring than the test-based admission. Inde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ivate tutoring expenses depending on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for entering prestigious universities. The expenditure, however, was lower for students who used the transcript-based admission system than the test-based admission among those who entered the average univers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scourse around the assumption that the impact of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on the expenditure of private tutoring will have the same effect on all students be reconsidered.

      • KCI등재

        서울소재 4년제 대학 입학자의 사회경제적 배경특성이 수시전형 입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05∼2012년을 중심으로

        남인혜(Nam, Inhye),서재영(Seo, Jae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최근 서울 주요대학을 중심으로 정시전형 확대가 발표됨에 따라, 어떠한 배경을 가진 학생이 수시 또는 정시전형에 유리한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본 연구는 2005년∼2012년 서울소재 4년제 대학 입학자를 대상으로, 수시 및 정시전형별 입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특성 추이와,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특성이 수시전형을 통한 입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로짓회귀모형에 코호트 고정효과를 투입하였다. 분석 결과, 2005년 이래로 정시 입학자의 가구소득은 꾸준히 상승한 반면 수시 입학자의 가구소득은 하락세를 보인 점, 학생의 부교육연한 및 출신고교유형이 수시입학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점, 사회경제적 배경특성의 유의한 영향이 입학사정관제 도입 및 대학 자율화 시기 이후에 나타난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입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정시전형확대보다 다면적인 고려가 필요하며, 수시를 통한 상위권 대학 입학 승산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 일반고 학생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stud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characteristics on admission to universities in Seoul region by type of admission process.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whether the early admission process based on various evaluation criteria is widening the admission opportunities of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than the regular admission process based on CSAT grades. Drawing upon the collected data of freshmen between 2005-2012 from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this study used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cohort-fixed effects.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time-series shows that the average income level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regular admission have been constantly on the rise while that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early admission have been declining. Second, father’s year of education and types of highscho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admission opportunities through the early admission process. Third, the effects were mostly significant only for freshmen of 2008 or later, whereafter the Korean government has expanded the early admission process by introducing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careful policy designs are required than increasing the quota for regular admission and that measures should be taken to support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who turned out to be less probable to be admitted to privileged universities through the early admiss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