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장암 환자의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에서 비적정 항암화학요법의 영향

        이지혜(Jihye Lee),강현철(Hyun-Cheol Kang),지의규(Eui Kyu Chie),강경훈(Gyeong Hoon Kang),박재갑(Jae-Gahb Park),오도연(Do-Youn Oh),임석아(Seock-Ah Im),김태유(Tae-You Kim),방영주(Yung-Jue Bang),하성환(Sung Whan Ha)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2

        목 적: 직장암에서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는 수술 후 항암화학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치료 성적은 비슷하며 독 성은 낮아 최근에 많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 시 병행한 항암화학요법 중 적 정 요법과 적정 이하의 비적정 요법에 따른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와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 병리결과 확보가 가능하고 단일 제제 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전 골반에 41.4∼50.4 Gy (중앙값, 45 Gy), 종양에 추가조사 0∼5.4 Gy (중앙값, 5.4 Gy), 총 41.4∼50.4 Gy (중앙값, 50.4 Gy)를 시행하였다. 적정군은 5-fluorouracil (5-FU) 500 mg/m2/day를 방사선치료 첫 3일 동안과 5주 후 3일 동안에 반복 급속 정주 한 6명과 경구 capecitabine을 방사선 치료일에 사용한 6명으로 총 12명이었다. 비적정군은 동일량의 5-FU를 방사선치료 첫 3일에만 급속 정주한 31명이었다. 수술은 방사선치료가 끝난 뒤 40∼71일(중앙값, 58일)에시행하였고 36명은 하전방절제술을, 7명은 복회음절제술을 시행하였다.결 과: 적정군과 비적정군 사이에, 치료반응 등급 3 이상의 치료반응(83.3% vs. 67.7%, p=0.456), 수술 전과 비교한 수술 후의 병기하강(75.0% vs. 67.7%, p=0.727), 주변절제연 2 mm 초과의 획득(66.7% vs. 83.9%, p=0.237)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병변의 위치가 항문에서 5 cm 이내에 위치한 경우 비적정군에서 괄약근 보존 수술을 시행한 비율이 적정군에 비하여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75% vs. 100%, p=0.068). 모든환자에서 3도 이상의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비적정군에서 치료에 수반되는 독성은 낮았으나 모두 2도 이하였고, 항문에서 5 cm 이내에 위치한 직장암의 수술 시 괄약근 보존 수술률이 더 낮은 경향을 보여 적정 화학요법의 병행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 of suboptimal chemotherapy in patients undergoing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43 patients who received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radical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pathologically proven adenocarcinoma of the rectum from April 2003 to April 2006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elivered radiation dose ranged from 41.4 to 50.4 Gy. The standard group consisted of patients receiving two cycles of a 5-FU bolus injection for three days on the first and fifth week of radiotherapy or twice daily with apecitabine. The standard group included six patients for each regimen. The non-standard group consisted of patients receiving one cycle of 5-FU bolus injection for three days on the first week of radiotherapy. The non-standard group included 31 patients. Radical surgery was performed at a median of 58 days after the end of radiotherapy. A low anterior resection was performed in 36 patients, whereas an abdominoperineal resection was performed in 7 patient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with respect to pathologic responses ranging from grades 3 to 5 (83.3% vs. 67.7%, p=0.456), downstaging (75.0% vs. 67.7%, p=0.727), and a radial resection margin greater than 2 mm (66.7% vs. 83.9%, p=0.237). The sphincter-saving surgery rate in low-lying rectal cancers was lower in the non-standard group (100% vs. 75%, p=0.068). There was no grade 3 or higher toxicity observed in all patients. Conclusion: Considering that the sphincter-saving surgery rate in low-lying rectal cancer was marginally lower for patients treated with non-standard, suboptimal chemotherapy, and that toxicity higher than grade 2 was not observed in the both groups, suboptimal chemotherapy should be avoided in this setting.

      • 골육종에서 수술 전 항암 약물치료가 생존에 미치는 영향

        최은석,한일규,조환성,김한수,Choi, Eun-Seok,Han, Ilkyu,Cho, Hwan Seong,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2

        목적: 본 연구는 수술 전 항암 약물 치료가 전이가 없는 골육종 환자의 생존율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2010년까지 사지에 발생한, 전이가 없는 원발성 골육종으로 수술적 절제술과 수술 후 항암 약물 치료를 시행한 30세 미만의 환자 225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14.4세, 평균 추시기간은 9.1년이었다. 수술 후에만 항암 약물 치료를 시행한 군과 수술 전, 후 약물 치료를 시행했던 두군의 임상적 특성과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225예 중 수술 후 약물 치료 군은 32예, 수술 전후 약물 치료 군은 193예였다. 수술 후 약물 치료 군은 절단 수술과(p<0.001), 전이의 빈도가 유의하게(p=0.004) 높았으며, 전이 발생시기도 빨랐다. 수술 후 약물 치료 군에서는 5년 생존율 51%로 수술 전후 약물 치료 군의 84%보다 낮았다(p=0.001). 국소재발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사지에 발생한 골육종 환자에서 수술 전 항암 약물 치료는 전이의 억제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Purpose: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of surgical resection and chemotherapy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non-metastatic osteosarcomas. We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metastasi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225 young (<30 years old) and non-metastatic osteosarcoma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between February 1984 and July 2010. Mean age was 14.4 years old (ranged: 4-29 years old) an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9.1 years (2-28 year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Both groups were compared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metastasis-free survival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Results: All of 225 patients, 32 patients were treated with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193 patients were perform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rate of amputation (p<0.001). Metastasis was occurred in 101 patients.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indicated significant higher rate of metastasis (69% vs 41%, p=0.004) and early development of metastasis (mean: 11.5 vs 20.3 months, p=0.045) than pre-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Fifty-seven patients were died of osteosarcoma.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revealed significant lower rate of 5-year disease-specific survival than pre-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51% vs 84%, p=0.001). Adult (>15 years) and large sized tumor (>8 cm) were meaningful risk factors of metastasi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Although, local recurrences were occurred in 13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Neoadjuvant chemotherapy offers better disease-specific survival and metastasis-free survival.

      • SCOPUSKCI등재

        직장암에 대한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

        신성수(Seong Soo Shin),안용찬(Yong Chan Ahn),전호경(Ho Kyung Chun,이우용(WooYong Lee),강원기(Won Ki Kang),박영석(Young Suk Park),박준오(Joon Oh Park),송상용(Sang Yong Song),임도훈(Do Hoon Lim, 박원(Won Park),이정은(Jung Eun Lee),강민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 적: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 요법의 초기 치료성적과 급성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2년 4월까지 T3 또는 T4 병기의 직장암으로 진단 받고 완전절제가 어렵거나, 종양이 하부직장에 위치하여 수술 시 항문 괄약근의 보존이 불가능하리라고 예견된 40명의 환자에게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을 적용하여 37명의 환자가 수술전 치료방침을 완료하였다.방사선치료는 전 골반부에 일일 1.8 Gy씩 5주간에45 Gy를 엎드린 자세로 조사하였다. 항암 화학요법은 경구 UFT와 Leucovorin(LV)(12명),정주 5-fluorouracil(FU)와 LV (10명), 정주 5-FU 단독요법(일시 정주 10명, 지속 정주5명)을 각각 시행하였다. 수술은 수술 전 치료 종료후 4˜6주경에 예정하였으며 35명에 대해서 수술을 시도하였다. 결 과: 본 연구의 수술 전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에 대한 순응도는 매우 높았다(92.5%, 37/40). 수술 전에 간과폐에 새로운 원격전이가 확인된 2명을 제외한 35명의 환자에서 절제수술을 시도하였고, 22명(62.9%)에서 항문괄약근의 보존이 가능하였으나, 2명(5.7%)은 개복 후 절제수술을 포기하였다. 절제수술을 시행한 33명 중 30명은 육안적 완전절제를, 1명은 육안적 불완전절제를 시행하였으며 2명은 병리소견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수술 및 병리소견에 근거한 병기하강률은 45.5% (15/33), 절제연 음성 완전절제율은 78.8% (26/33)였다.수술전 방사선치료 도중 급성부작용으로 Grade 3˜4 호중구 감소가 4명(10.8%)에서 발생하였다.절제수술 후 국소재발이 12.1%(4/33), 수술 전 치료방침 완료 후 원격전이는 21.6% (8/37)에서 각각 나타났으며, 3년 생존율은 87%였다. 결 론: 직장암에 대한 수술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은 낮은 부작용으로 높은 수술절제율,병기하강률,완전절제율, 항문 괄약근 보존율 등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장기간에 걸친 추적관찰을 요한다. Purpose: To report the early results of preopeartive concurrent radio-chemotherapy (CRCT) for treating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9 to April 2002, 40 rectal cancer patients who either had lesions with a questionable resectability or were candidates for sphincter-sacrificing surgery receivedpreoperative CRCT. Thirty-sevenpatients completed the planned CRCT course. 45 Gy by 1.8 Gy daily fraction over 5 weeks was delivered to the whole pelvis in the prone position. The chemotherapy regimens were oral UFT plus oral leucovorin (LV) in 12 patients, intravenous bolus 5-FU plus LV in 10 patients, and intravenous 5-FU alone in 15 patients (bolus infusion in 10, continuous infusion in 5). Surgery was planned in 4˜6 weeks of the completion of the preoperative CRCT course, and surgery was attempted in 35 patients. Results: The compliance to the current preoperative CRCT protocol was excellent, where 92.5% (37/40) completed the planned treatment. Among 35 patients, in whom surgery was attempted after excluding two patients with new metastatic lesions in the liver and the lung, sphincter-preservation was achieved in 22 patients (62.9%), while resection was abandoned during laparotomy in twopatients (5.7%). Gross complete resection was performed in 30 patients, gross incomplete resection was performed in one patient, and no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tent of surgery was available in two patients. Based on the surgical and pathological findings, the down-staging rate was 45.5% (15/33), and the complete resection rate with the negative resection margin 78.8% (26/33). During the CRCT course, grade 3˜4 neutropenia developed in four patients (10.8%). Local recurrence after surgical resection developed in 12.1% (4/33), and distant metastases after the preoperative CRCT start developed in 21.6% (8/37). The overall 3-years survival rate was 87%. Conclusion: Preoperative CRCT in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is well tolerated and can lead to high resection rate, down-staging rate, sphincter preservation rate, however, longer term follow-up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these results.

      • KCI등재후보

        직장암에 대한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 초기 치료결과 보고

        신성수,안용찬,전호경,이우용,강원기,박영석,박준오,송상용,임도훈,박원,이정은,강민규,박영제,Shin, Seong-Soo,Ahn, Yong-Chan,Chun, Ho-Kyung,Lee, Woo-Yong,Kang, Won-Ki,Park, Young-Suk,Park, Joon-Oh,Song, Sang-Yong,Lim-Do-Hoon,Park, Won,Lee, Ju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적: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 요법의 초기 치료성적과 급성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2년 4월까지 T3또는 T4 병기의 직장암으로 진단 받고 완전절제가 어렵거나, 종양이 하부직장에 위치하여 수술 시 항문 괄약근의 보존이 불가능하리라고 예견된 40명의 환자에게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을 적용하여 37명의 환자가 수술 전 치료방침을 완료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전 골반부에 일일 1.8 Gy씩 5주간에 45 Gy를 엎드린 자세로 조사하였다. 항암 화학요법은 경구 UFT와 Leucovorin (LV)(12명), 정주 5-fluorouracil (FU)와 LV (10명), 정주 5-FU 단독요법(일시 정주 10명, 지속 정주 5명)을 각각 시행하였다. 수술은 수술 전 치료 종료 후 4$\~$6주경에 예정하였으며 35명에 대해서 수술을 시도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수술 전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에 대한 순응도는 매우 높았. (92.5$\%$, 37/40). 수술 전에 간과 폐에 새로운 원격전이가 확인된 2명을 제외한 35명의 환자에서 절제수술을 시도하였고, 22명(62.9$\%$)에서 항문 괄약근의 보존이 가능하였으나, 2명(5.7$\%$)은 개복 후 절제수술을 포기하였다. 절제수술을 시행한 33명 중 30명은 육안적 완전절제를, 1명은 육안적 불완전절제를 시행하였으며 2명은 병리소견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수술 및 병리소견에 근거한 병기하강률은 45.5$\%$ (15/33), 절제연 음성 완전절제율은 78.8$\%$ (26/33)였다. 수술 전 방사선치료 도중 급성 부작용으로 Grade 3$\~$4 호중구 감소가 4명(10.8$\%$)에서 발생하였다. 절제수술 후 국소 재발이 12.1$\%$ (4/33), 수술 전 치료방침 완료 후 원격 전이는 21.6$\%$ (8/37)에서 각각 나타났으며, 3년 생존율은 87$\%$였다. 결론: 직장암에 대한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은 낮은 부작용으로 높은 수술절제율, 병기하강률, 완전절제율, 항문 괄약근 보존율 등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장기간에 걸친 추적관찰을 요한다. Purpose: To report the early results of preopeartive concurrent radio-chemotherapy (CRCT) for treating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9 to April 2002, 40 rectal cancer patients who either had lesions with a questionable resectability or were candidates for sphincter-sacrificing surgery received preoperative CRCT. Thirty-seven patients completed the planned CRCT course. 45 Gy by 1.8 Gy daily fraction over 5 weeks was delivered to the whole pelvis in the prone position. The chemotherapy regimens were oral UFT plus oral leucovorin (LV) in 12 patients, intravenous bolus 5-FU plus LV in 10 patients, and intravenous 5-FU alone in 15 patients (bolus infusion in 10, continuous infusion in 5). Surgery was planned in 4$\~$6 weeks of the completion of the preoperative CRCT course, and surgery was attempted in 35 patients. Results: The compliance to the current preoperative CRCT protocol was excellent, where 92.5$\%$ (37/40) completed the planned treatment. Among 35 patients, in whom surgery was attempted after excluding two patients with new metastatic lesions in the liver and the lung, sphincter-preservation was achieved in 22 patients (62.9$\%$), while resection was abandoned during laparotomy in two patients (5.7$\%$). Gross complete resection was peformed in 30 patients, gross incomplete resection was peformed in one patient, and no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tent of surgery was available in two patients. Based on the surgical and pathological findings, the down-staging rate was 45.5$\%$ (15/33), and the complete resection rate with the negative resection margin 78.8$\%$ (26/33). During the CRCT course, grade 3 $\~$4 neutropenia developed in four patients (10.8$\%$). Local recurrence after surgical resection developed in 12.1$\%$ (4/33), and distant metastases after the preoperative CRCT start developed in 21.6$\%$ (8/37). The overall 3-years survival rate was 87$\%$. Conclusion: Preoperative CRCT in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is well tolerated and can lead to high resection rate, down-staging rate, sphincter preservation rate, however, longer term follow-up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these results.

      • KCI등재

        단일 기관에서 시행된 유방암 환자에서 수술 전 화학 요법의 치료 결과 및 반응성 평가 도구로서의 초음파의 의의

        이문일(Moon Il Lee),조영업(Young Up Cho),김세중(Se Joong Kim),김윤정(Yoon Jung Kim) 대한종양외과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8 No.2

        목적 :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유방암으로 진단되어 수술 전 항암 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와 반응성 평가의 도구인 초음파의 진단적 의의를 평가해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7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유방암으로 최초 진단되어 수술 전 항암치료를 시행한 환자 9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영상자료를 후향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46.98(22~74세)였고, 수술 전 임상적 병기는 각각 stageⅠ 4명, stage Ⅱ 40명, stage Ⅲ 47명, stage Ⅳ 2명이었다. 수술 전 항암치료는 최소 3회 이상 시행되었고 이후 임상 평가와 신체검사, 영상검사를 통한 반응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술 전 반응성 평가를 위해 유방 초음파는 모든 환자에게서 시행되었으며 26명 (27.9%)의 환자는 유방 초음파와 함께 자기 공명 영상(MRI)촬영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항암 치료 후 유방 보존 수술은 29명(31.2%)에서, 유방 전 절제술은 64(68.8%)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반응성 평가에서 병리학적 완전 관해(pCR)는 7명(7.52%)의 환자에서 이루어졌고, 부분적 반응군(progressive disease)은 52명(55.91%), 안정 반응군(stable disease)은 24명 (25.80%), 진행성 종양군(progressive disease)은 10명(10.75%)이었다. 반응성 평가 결과에 따른 5년 생존율은 각각 완전 관해군(pCR) 85.8%, 부분적 반응군(PR) 92.3%, 안정 반응군(SD) 95.8%, 진행성 종양군(PD) 90.0%였다. 최종 병리 검사결과의 잔존 종양의 크기와 반응성 평가를 위해 시행된 유방 초음파상의 크기의 일치도는 0.910였고, 자기 공명 영상 촬영 결과에선 0.860의 일치도를 나타내었다.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 (P<0.05)이중 유방 초음파의 일치도가 자기 공명 영상(MRI)보다 다소 우위에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유방암으로 수술 전 항암치료가 시행된 환자의 치료 성적은 지금까지 보고되었던 다른 수술 전 항암치료결과와 비교하여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유방 초음파가 반응도를 평가할 좋은 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환자에서 자기 공명 영상 촬영이 수술 전 항암 치료의 반응성 평가를 위해 반드시 시행될 필요는 없으며,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re-operative chemotherapy of efficacy for breast cancer and re-assessment of breast U/S as modality to test response rate. It was to review correlations the findings of ultrasonography(US) and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in patients.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 identified Ninety-three patients who underwent pre-operative chemotherapy between July, 1996 and December, 2004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We analysed the response rate to adjuvant chemotherapy by reviewing the post operative pathologic report. All patients was performed US after preoperative chemotherapy, and 26 (27.9%) patients was performed both US and MRI to compare pre-operation tumor size by U/S and MRI with the post operative pathologic report’s tumor siz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2-tests and using SPSS 13.0. Results :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46.98(22-74) yrs old. Pre-operation clinical stage was 4 patients for stageⅠ, 40 patients for stage Ⅱ, 47 patients for stage Ⅲ and 2 patients for stage Ⅳ 2. And the tumoral response to preoperative chemotherapy as, 7 patients showed a complete response (CR), 52 patients showed a partial response (PR), 24 patients showed a stable disease (SD), and 10 patients showed a progressive disease(PD). Each 5 years overall survival rate was 85.8%, 92.3%, 95.8%, 90.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of US to pathological tumor size was 0.910 in all tumo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of MRI to pathological tumor size was 0.860 in all tumors. (P<0.05). Conclusions : This study results were similar to other published current studies for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The correlation between tumor size in U/S and pathological tumor size corresponded best. So it doesn’t need to performed MRI for all patients to evaluate response rate. Breast U/S considered as optional modality to evaluate response.

      • KCI등재

        직장암의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 병리학 및 임상적 효과 분석

        송진호(Jin-Ho Song),장홍석(Hong-Seok Jang),김연실(Yeon-Sil Kim),정수미(Su-Mi Chung),손석현(Seok-Hyun Son),강진형(Jin-Hyeong Kang),육의곤(Eui-Gon Youk),이두석(Doo-Seok Lee),이숙희(Suk-Hi Lee),윤세철(Sei-Chul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9 No.1

        목 적: 수술 전 항함화학방사선치료는 국소 진행된 직장암에서 표준치료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 진행된 직장암 환자의 생존율 및 병기하향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 진행된 직장암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전 골반 방사선조사를 시행하였으며, 28명(84.8%)은 동시적 소조사야 추가 방사선치료, 5명(15.2%)은 조사영역축소 방사선치료를 실시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50.4 Gy이었으며, 5-fluorouracil를 동시 투여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중앙값 24.2개월(9.8∼64.7개월)이었다. 결 과: 33명 중 31명(93.9%)에서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24명(72.7%)은 항문괄약근보존술, 7명(21.2%)은 복회음부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3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78.8%, 63.4% 이었다.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수술 후 병리학적 소견이 중요하였다. 병리학적 N 병기(p=0.001), 절제면 침윤 여부(p=0.029) 및 분화도 (p=0.030)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종양 크기(p=0.081), 림프혈관과 신경주위 침윤여부 (p=0.073) 모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의 경향성을 보였다. 한편, 수술 전 임상 소견으로는 임상적 T 병기만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18). 병리학적 완전관해율은 9.1%였으며, T병기하향률은 30.3%, N 병기하향률은 72.7%로 나타났다. 단변량 분석에서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 수술까지의 기간 및 임상적 T 병기가 의미 있는 병기하향의 예측인자로 분석되었다(p=0.029, 0.027). 치료 전 carcinoembryonic antigen 수치는 예측인자의 경향성을 보였다 (p=0.068). 결 론: 국소 진행된 직장암 환자의 생존율은 임상적 병기보다 수술 후 병리학적 소견에 더 의존되었다. 그러므로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로 병기하향을 얻는 것이 의미가 있으며, 수술까지의 기간, 임상적 T 병기가 이러한 병기하향을 예측하는 인자였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pathological and clinical effects of preoperative chemoradiation (CCRT) in cases of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and to determine the predictive factors for tumor downstaging.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4 to August 2008, 33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were treated with preoperative CCRT. Twenty-eight patients (84.8%) were treated using a concomitant boost technique while five (15.2%) patients were treated using a cone down boost technique. All patients received 50.4 Gy of irradiation and concurre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24.2 months (range, 9.8 to 64.7 months). Results: Thirty-one (93.9%) patients underwent surgery. Twenty-four patients (72.7%) underwent anal sphincter-preserving surgery. The 3-year disease 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rates were 63.4% and 78.8%, respectively. Post-operative factors were more important for DFS. Pathologic N stage, margin status, and pathologic differentiation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p=0.001, 0.029, 0.030). Tumor size and lymphovascular invasion were also associated with marginal significance (p=0.081, 0.073). However, only pre-treatment T stage was a significant pre-operative factor (p=0.018). The complete pathological response rate was 9.1%. T-downstaging was observed in ten (30.3%) patients, whereas N-downstaging was found in 24 (72.7%) patients. Pre-treatment T stage and the interval between CCRT and operation were the predictive factors for downstaging in a univariate analysis (p=0.029, 0.027). Pre-treatment carcinoembryogenic antigen was also associated with marginal significance (p=0.068). Conclusion: The survival of rectal cancer patients can be better determined based on post-operative findings. Therefore, pre-operative CCRT for downstaging of the tumor seems to be important. Pre-treatment T stage and the interval between CCRT and operation can be used to predict downstaging.

      • KCI등재

        국소 진행된 식도암에 대한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

        김해영(Haeyoung Kim),안용찬(Yong Chan Ahn),김관민(Kwan Min Kim),김진국(Jhingook Kim),심영목(Young Mog Shim),임영혁(Young-Hyuck 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3

        목 적: 본 연구는 국소 진행된 식도암 환자들에 대하여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을 적용한 치료 성 적과 예후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식도암으로 진단 받고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 항암화학요법을 적용한 환자는 모두 68명이었다. 이들 중 원발병변이 흉곽 내 식도에 위치하고, 조직형이 편평상 피암이며 임상병기가 T3이상 또는 N1이상 또는 혈행성 원격전이 없이 절제 가능한 원격 림프절에 전이가 국한되어 있는 M1A/B병기이며 다른 내과적 질환이나 이차암이 없는 61명의 환자들에 대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임상 검사 등으로 확인된 병변에 대하여 5주 동안 45 Gy를 조사하였고, 항암화학요법은 2 주기의 5-FU (1,000mg/m2/day, days 1-4 & 29-32)와 Cisplatin (60 mg/m2/day, days 1 & 29)을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병용하였다. 수술은 방사선-항암화학요법 종료 후 4∼6주경에 계획하였으며 53명에 대해 Ivor-Lewis 술기와 2-영역 혹은 3-영역 림프절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결 과: 57명이 예정된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을 완료하였고(93.4%) 수술을 거부하거나 수술 전 방사선-항암화학요법 중 질병이 진행된 8명의 환자를 제외한 53명(86.8%)에서 식도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이 중 49명(92.6%)에서 완전절제가 가능하였으며 38명(71.6%)에서 병기하강을 얻을 수 있었고, 17명(32.0%)에서 병리학적 완전 관해를 얻었다. 1명이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으로, 1명이 방사선 병용 항암화학치료 연관 폐렴으로 사망하여 치료 연관 사망률은 3.2%였다. 전체 61명의 중앙 생존기간은 30개월,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59.0%와 38.0%였으며 수술을 시행 한 53명의 중앙 생존기간은 37개월,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61.6%와 40.1%였고, 중앙 무병 생존기간은 24개월, 2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53.3%와 41.8%였다. 전체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수술 여부였으며 수술을 시행한 환자의 생존율이 단변량 분석(p=0.03)과 다변량 분석(p<0.01)에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의 생존율에 비해 높았다. 수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변량 분석 결과 수술 전 임상병기가 IV병기가 아닌 경우, 수술 후 병리학적 완전관해를 얻은 경우 유의하게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이 높았으나 다변량 분석에서 의미 있는 예후인자는 없었다. 수술을 시행한 53명 중 5명(9.4%)에서 국소재발이, 10명(18.8%)에서 국소재발및 원격전이가, 12명(22.6%)에서 원격전이가 발생하였다. 결 론: 국소 진행된 병기의 식도암에서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화학요법으로 양호한 병기 하강률, 장기 생존율을 얻을 수 있었고 원격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수술 후 병리학적 완전관해를 얻은 경우에서 높은 장기 생존율을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s of the use of preoperative concurrent radiochemotherapy (CRCT) for the treatment of locoregionally advanced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98 through 2005, 61 patients with intrathoracic esophageal cancer at stages II-IVB (without distant organ metastasis and presumed to be respectable) received preoperative CRCT. CRCT consisted of radiotherapy (45 Gy /25 fractions /5 weeks) and FP chemotherapy (5-FU 1 g/m2/day, days 1-4 and 29-32, Cisplatin 60 mg/m2/day, days 1 and 29). An esophagectomy was planned in 4∼6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CRCT. Results: There were two treatment-related deaths. Among the 61 patients, 53 patients underwent surgery and 17 patients achieved a pathological complete response (pCR). The overall survival (OS) rates of all 61 patients at 2 and 5 years were 59.0% and 38.0%, respectively. The rates of OS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of the surgically resected patients at 2 and 5 years were 61.6%, 40.1% and 53.3%, 41.8%, respectively. By univariate analysis, achieviement of pCR and a clinically uninvolved distant lymph node (cM0) were favorable prognostic factors for OS and DFS. There were 27 patients that experienced a relapse-a locoregional relapse occurred in 5 patients, a distant metastasis occurred in 12 patients and combined failure occurred in 10 patie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favorable. pCR and an uninvolved distant lymph node were found to be favorable prognostic factors.

      • KCI등재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Combined with Hyperthermia in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예지원,Yea, Ji Woon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4 의학물리 Vol.25 No.2

        국소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 전 항암방사선동시요법으로 치료시 추가적인 고주파 온열치료 유무가 수술 후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996년부터 2007년 사이, 본원에서 수술 전 항암방사선동시요법과 근치적 수술을 시행한 환자 205명을 대상으로 급, 만성부작용을 분석하였다. 총 방사선치료선량은 39.6 Gy에서 45 Gy였고 1회 내지 2회의 항암약물치료(5-fluorouracil, leucovorin)를 동시에 시행하였다. 88명의 환자가 주 2회, 8-MHz 고주파 온열치료기를 이용한 국소 온열치료를 시행하였다. 외과적 수술은 수술 전 치료 완결 후 4~6주 경과하여 시행하였다. 환자군의 나이 중앙값은 59세(18세~83세)이고 추적관찰기간 중앙값은 61개월(2개월~191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5년 전체생존율과 무합병증 생존율은 77.4%와 73.7%였다. 각각의 조기 누출, 지연 누출, 연결부 협착, 누공, 소장폐쇄의 발생빈도는 1.0%, 2.9%, 1.5%, 5.9%, 그리고 17.1%였다. 온열치료는 모든 종류의 부작용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온열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군과 온열치료군 간의 5년 무합병증 생존율은 71.8%와 76.3%였다(p=0.293). 온열치료는 수술전 항암방사선동시요법 후 근치적 수술을 시행하는 국소 진행 직장암 환자의 수술후 부작용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We investigated whether regional hyperthermia (HT) increased post-surgical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treated with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Between 1996 and 2007, 205 patients treated with preoperative CCRT and curative surgery were evaluable for the analysis of acute and late toxicities. A total dose of 39.6 Gy or 45 Gy was delivered concurrently with one or two cycles of chemotherapy (5-fluorouracil, leucovorin). Eighty-eight patients received regional HT twice a week using an 8-MHz radiofrequency capacitive heating device. Surgery was performed 4~6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preoperative CCRT. The median age was 59 years (range, 18~83) and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61months (range, 2~191). The 5-year overall survival and complication-free survival rate of all patients was 77.4% and 73.7%, respectively. Early leakage, delayed leakage, anastomotic stricture, fistula, and small bowel obstruction occurred in 1.0%, 2.9%, 1.5%, 5.9%, and 17.1%, respectively. HT did not increase all kinds of complications. The 5-year complication-free survival rate was 71.8% in the non-HT group and 76.3% in the HT group (p=0.293). Regional HT did not increas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treated with preoperative CCRT followed by curative surgery.

      • KCI등재후보

        $T_2,\;T_3$ 하부직장암의 수술 전 방사선치료 효과

        강기문,최병옥,장홍석,강영남,채규영,최일봉,Kang Ki Mun,Choi Byung Ock,Jang Hong Seok,Kang Young Nam,Chai Gyu Young,Choi Ihl Boh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3

        목적 : $T_2,\;T_3$ 하부직장암에서 항문 괄약근 보전술을 위한 수술 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1월부터 1997년 6월까지 하부 직장암으로 진단받고 수술 전 방사선치료 후 항문 괄약근 보존술을 시행한 1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T_2$가 7례, $T_3$는 8례였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 6 MV와 15 MV X-ray를 이용하여 주 5회, 1회 1.8 Gy로 총 조사선량은 $45\~50.4\;Gy$까지 조사하였다(중앙선량:50.4 Gy). 항문 괄약근 보존술은 방사선치료 후 $4\~6$주 뒤에 시행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16\~37$개월이었고 중앙값은 22개월이었다. 결과 : 1례$(6.7\%)$에서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병변의 완전 소실을 보였다. 수술 전 임상 소견과 수술 후 병리학적 소견을 비교시, 1병기는 15례 중 11례$(73.3\%)$에서 병기감소를 보였으며 림프절 전이가 관찰되었던 5례 중 2례에서 림프절이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동안에 병변이 진행된 경우는 없었다. 국소 재발은 2례$(13.3\%)$로 방사선치료 후 7개월, 17개월에 각각 발생하였으며 그 중 1명은 방사선치료 후 30개월 때 원격전이를 보였다. 합병증으로 Grade 3 또는 4는 없었다. 결론 : $T_2,\;T_3$ 하부직장암에서 항문 괄약근 보존술을 위한 수술 전 방사선치료가 비교적 안전하고 병변을 줄이는데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Preoperative radiotherapy has been used to induce tumor regression and allow complete resection of rectal cancer with a sphincter preservation surger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preoperative radiotherapy for $T_2,\;T_3$ distal rect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 From November 1995 to June 1997, fifteen patients with invasive distal rectal cancer were treated with preoperative radiotherapy followed by sphincter preservation surgery. Classification by preoperative T stage consisted of 7 $T_2$ and 8 $T_3$ tumors. Radiation therapy was delivered with 6 MV and 15 MV linear accelerator, at 1.8 Gy fractions for 5 days per week. Total radiation doses were 45 Gy to 50.4 Gy (median : 50.4 Gy). Sphincter preservation surgery was peformed $4\~6$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radiotherapy. Median follow-up was 22 months (range : $16\~37\;months$). Results : One patient $(6.7\%)$ had a complete pathologic response. Comparing the stage at the diagnostic workup with the pathologic stage, tumor downstaging of T stages occurred in 11 of 15 patients $(73.3\%)$ and $N_1$ stages occurred in 2 of 5 patients $(40\%)$. No patient developed progressive disease undergoing treatment. Two patients suffered local recurrence at 7 and 20 months, and one a distant metastasis at 30 months. No grade 3 or 4 toxicity was observed. Conclusion : Our experience suggests that preoperative radiotherapy followed by sphincter preservation surgery is well tolerated,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tumor burden for $T_2\;T_3$ distal rectal cancer.

      • KCI등재

        직장암에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 동시 병용요법 후 종양의 병리학적 반응에 영향을 주는 임상적 예측 인자

        이지혜(Jihae Lee),이경자(Kyung-Ja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목 적: 직장암에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동시에 병용시행한 후 완치절제술 후 병리학적 완전관해율 과 종양 병기 하향률에 영향을 주는 예측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에 따른 맞춤치료의 가능성을 알기 위하 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국소적으로 진행된 직장암으로 진단받고 원격전이가 없는 환자39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과 골반강에 방사선치료 50.4 Gy (45∼59.4 Gy)를 시행한 후 완치적 수술후 절제된 조직을 병리학적으로 관찰하여 완전관해율과 종양 및 림프절의 병기하향률을 측정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39명 중 38명은 방사선치료 1주와 5주에 각각 1주간 5-fluorouracil과 leucovorin을 연속적으로 정맥 주입하였 으며 1명은 방사선치료기간 중 하루에 2회 capecitabine를 복용하였다. 결 과: 병리학적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는 39명 중 12명(31%), 종양-병기하향을 보인 환자는 24명(63%)이었으며 임상적으로 림프절이 양성인 환자 28명 중 12명은(43%) 병리학적으로 하향되었으며 2명은 임상적으로 림프절이 음성이었으나 병리학적으로 양성을 보였다. 단변량분석에 의하면 종양의 둘레범위가 직장의 50% 미만(p=0.031),종양의 길이가 5 cm 미만(p=0.004), 치료 후 CEA 수치가 3.0 mg/mL 이하(p=0.015)인 환자에서 병리학적 완전관해율이 높았다. 또한 선암(p=0.045), 방사선량이 50 Gy 이상(p=0.021)인 환자에서 병기-하향률이 높았고, 방사선 치료 기간이 42일 이하인(p=0.018) 환자에서 림프절-병기하향률이 높았다. 다변량분석에 의하면 종양의 둘레범위가 50% 미만(HR 0.150; p=0.028), 종양의 길이가 5 cm 미만인(HR 0.084; p=0.005) 환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병리학적 완전관해율이 높았으며, 방사선량이 50 Gy 이상 높은 경우(HR 0.115; p=0.025) 종양-병기하향률이높았고 방사선치료 기간이 42일 이하인(HR 0.028; p=0.010) 경우 림프절-병기하향률이 높았다. 결 론: 병리학적 완전관해에 영향을 주는 예측인자는 종양의 둘레범위와 종양의 길이이었으며, 종양-병리하향에 영향을 주는 예측인자는 방사선량, 림프절-병기하향에 영향을 주는 예측인자는 방사선치료 기간이었다. 이러한 예측인자를 파악함으로써 환자의 치료결과를 예측할 수 있으며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에 좀 더 적극적인 치료계획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the complete pathologic response and tumor downstaging after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the years 2000 and 2008, 39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rectal cancer without prior evidence of distant metastasis received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surgery. The median radiation dose was 50.4 Gy (range, 45∼59.4 Gy). Thirty-eight patients received concurrent infusional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while one patient received oral capecitabine twice daily during radiotherapy. Results: A complete pathologic response (CR) was demonstrated in 12 of 39 patients (31%), while T-downstaging was observed in 24 of 39 patients (63%). N-downstaging was observed in 18 of 28 patients (64%), with a positive node in the CT scan or ultrasound. Two patients with clinical negative nodes were observed in surgical specimens. The results from a un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umor circumferential extent was less than 50% (p=0.031). Moreover, the length of the tumor was less than 5 cm (p=0.004), while the post-treatment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levels were less than or equal to 3.0 ng/mL (p=0.015) and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pathologic CR rates. The univariate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the adenocarcinoma (p=0.045) and radiation dose greater than or equal to 50 Gy (p=0.02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T-downstaging, while a radiotherapy duration of less than or equal to 42 days (p=0.018)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downstaging. The results from the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esser circumferential extent of the tumor (hazard ratio [HR], 0.150; p=0.028) and shorter tumor length (HR, 0.084; p=0.005) independently predicted a higher pathologic CR. The multivariate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a higher radiation dos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T-downstaging (HR, 0.115; p=0.025), while the shorter duration of radiotherap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N-downstaging (HR, 0.028; p=0.010). Conclusion: The circumferential extent of the tumor and its length was a predictor for the pathologic CR, while radiation dose and duration of radiotherapy were predictors for tumor downstaging. Hence, these factors may be used to predict outcomes for patients and to develop further treatment guidelines for high-risk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