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8}He$을 이용한 혈관내 방사선 치료시 시술자의 방사선 피폭 수준

        지의규,이명묵,우홍균,Chie, Eui-Kyu,Lee, Myung-Mook,Wu, Hong-Gyun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0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5 No.4

        현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진행중인 연구의 일환으로 혈관 내 방사선치료 시 시술자의 방사선피폭 정도 및 위험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심장혈관 폐색으로 연구에 포함되어 방사선치료른 시행 받은 42명의 환자 중 측정이 완벽한 34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혈관내 방사선치료는 관상동맥성형술 직후 풍선도자법을 이용하여 대상 동맥의 중막에 17 Gy를 조사하였다. 사용된 동위원소는 $^{188}Re$이었으며 GM측정기로 각기 다른 8점에서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환자의 심장부위에서 10cm, 40cm 떨어진 지점을 시술자의 최대피폭량, 전신피폭량의 기준으로 삼았다. 치료선량의 중앙값은 111.6 mCi이었고 중앙치료시간은 576초였다. 환자 심장부위에서 l0cm, 40cm 지점의 평균 피폭 선량율은 0.43 mSv/hr, 0.30 mSv/hr 이었고, 각 지점에서의 시술 당 평균 피폭 선량은 0.07 mSv, 0.05 mSv 이었다. 이 수치는 ICRP-60나 과학기술부 고시에서 권고하고 있는 한계 피폭선량보다 훨씬 적은 값으로 현재 저울대학교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혈관내 방사선 치료법은 방사선방어 면에서 매우 안전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 SK-7041의 RIF-1 세포주에 대한 생체내 방사선 감수성 증진 효과

        지의규(Eui Kyu Chie),신진희(Jin Hee Shin),김인아(In Ah Kim),김일한(Il Ha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8 No.4

        Purpose: To test the radiosensitizing effect of the newly synthesized novel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SK-7041 in vivo. Materials and Methods: The RIF-1 cell line was implanted into the back of a 6-week-old female C3H mouse, intradermally. The mice were grouped into control, drug, radiation (RT), and RT+drug group. SK-7041, 4 mg/kg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for six cycles every 12 hours for mice in the drug and RT+drug group. An identical volume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was administered at the same frequency to mice in the control and RT groups. A single 5 Gy fraction was delivered to mice in RT and RT+drug group 6 hours after the fourth delivery. The volume of the implanted tumor was measured every 2∼3 days to formulate the growth delay curve. Results: For the control, drug, RT, and RT+drug groups, the average duration for implanted tumor to reach a volume of 1,500 mm3 was 10 days, 10 days, 9 days, and 12 days, respectively. Moreover, the tumor volume on D14 was 276.7 mm3, 279.9 mm3, 292.5 mm3, and 185.5 mm3, respectively (p=0.0004). The difference for the change in slope for the control and drug versus the RT and RT+drug groups were borderline significant (p=0.0650).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K-7041 has a radiosensitizing effect for the RIF-I cell line in vivo at a low concentration and this effect may be synergistic. Implementing this result to clinical trial is warranted. 목 적: 국내에서 합성된 히스톤 탈아세틸 효소 억제제인 SK-7041의 생체내 방사선 감수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주령의 웅형 C3H 마우스에 RIF-I 세포를 주입한 후 대조군, 약물군, 방사선군, 방사선 및 약물군으로 분류하였다. 약물군과 방사선 및 약물군에는 SK-7041 4 mg/kg을 12시간 간격으로, 6회에 걸쳐 복강 내 투여하였다. 대조군 및 방사선군에는 동일 용량의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방사선군과 방사선 및 약물군에는 4번째 투약 후 6시간 후에 5 Gy를 1회 조사하였다. 이후 2∼3일 간격으로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여 종양 성장 연기 곡선을 산출하였다. 결 과: 접종된 종양이 1,500 mm3까지 자라는 데 소요된 기간은 대조군, 약물군, 방사선군, 방사선 및 약물군에서 각각 10일, 9일, 9일, 12일이고, 14일째의 체적은 각각 276.7 mm3, 279.9 mm3, 292.5 mm3, 185.5 mm3로, 각 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04). 아울러, 대조군과 약물군의 차이와 방사선군과 방사선 및 약물군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경향을 보였다(p=0.0650). 결 론: 히스톤 탈아세틸 효소 억제제인 SK-7041의 RIF-I 세포주에 대한 마우스내 방사선 감수성 증진 효과를 저농도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방사선과 SK-7041의 상호작용은 상승 작용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환자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항문암의 치료성적

        지의규(Eui Kyu Chie),하성환(Sung Whan Ha),박재갑(Jae-Gahb Park),방영주(Yung-Jue Bang),허대석(Dae Seog Heo),김노경(Noe Kye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0 No.1

        목적: 항문암의 치료에 있어 고전적으로는 복회음부절제술이 주된 치료였으나 현재는 화학방사선병용요법이 주된 치료방법으로 정립되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항문암으로 치료 받은 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치료방법에 따른 치료성적과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79년 8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또는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표피양암종이 38명으로 방사선치료가 4명에서, 복회음부절제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화학요법이 19명에서, 화학방사선요법이 15명에서 시행되었다. 화학방사선요법은 복합화학요법(5-FU 1,000 ㎎/㎡ D1~5, cisplatin 60 ㎎/㎡ D1)을 3회 시행 후 원발병소 및 영역림프절에 50.4 Gy를 조사하였고, 양측 서혜림프절에도 동일양을 조사하였다. 잔존암이 있는 경우 복합화학요법을 3회 추가 실시하였다. 중앙추적기간은 85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항문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0.3%이었다. 치료방법에 따른 5년 생존율은 복회음부절제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화학요법군, 화학방사선요법군에서 각각 88.9%, 79.4%이었으며 두군간의 생존율의 차이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p=0.4923).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군에서의 항문보존율은 86.7%였다. 예후인자 중 단변량분석에서는 연령(p=0.0164)과 수행능력(p=0.0007)이 유의성을 보였으며, 다변량분석에서는 연령(p=0.0426)과 수행능령 (p=0.0068) 및 서혜림프절 전이여부(p=0.0093)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항문암의 치료에 있어서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할 경우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복회음부절제술과 유사한 생존율을 보이며, 항문기능을 보존할 수 있는 치료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병행화학요법이 아닌 선행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수반되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efficacy and sphincter preservation rate of platinum based neoadjuvant chemotherapy plus radiotherapy versus abdominoperineal re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Data of forty-two patients with anal cancer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mong thirty-eight patients with epidermoid histology, four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and nineteen patients received abdominoperineal resec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APR+RT±CT), and fifteen patients received neoag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CRT). The CRT regimen was composed of three cycles of 5-fluorouracil (1,000 ㎎/㎡ bolus on D1~5) and cisplaltin (60 ㎎/㎡ bolus on D1) followed by 50.4 Gy to the tumor bed and regional lymphatics over 5.5 weeks. Both inguinal lymphatics were treated with an identical dose schedule. Residual disease was treated with an additional three cycles of identical adjuvant chemotherapy/ An identical dose schedule was used for post-operative radiotherapy. Median follow-up period was eighty-five months Results: Overall five-year survival rates were 80.3%, 88.9 and 79.4% for entire patients, APR+RT±CT group, and the CRT group,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p=0.49). Anus preservation rate for the CRT group was 86.7%. Age (p=0.0164) and performance status (p=0.0007)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univariate analysis. Age (p=0.0426), performance status (p=0.0068), and inguinal lymph node metastasis (p=0.009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No case of RTOG grade 3 complication or higher was reported. Conclusion: This and other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combined chemotherapy plus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results in a high rate of anal sphincter preservation as well as local control and survival. Furthermore, neoadjuvant use of chemotherapy with a cisplatin based regimen rather than a concurrent regimen may lead to a decrease in complication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인체 및 인형 팬톰에서 전신방사선조사시 열형광선량계(TLD)를 이용한 선량분포 균일성 확인

        지의규(Eui Kyu Chie),박석원(Suk Won Park),강위생(Wee-Saing Kang),김일한(Il Ha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17 No.4

        목 적 : 면역억제, 악성림프종 및 백혈병의 치료, 골수이식 등에 적용되는 전신방사선치료에 시행되는 좌우 이문대향조사법의 표면 방사선량 및 중심 방사선량의 균일성을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9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좌우 이문대향조사법으로 전신방사선치료를 시행한 10명의 환자 중 매번 방사선량이 측정된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열형광선량계를 사용하여 두부, 경부, 액와부, 대퇴부, 족관절부 등의 표면 선량을 측정하였고 인형 팬톰에서 동일한 조건하에서 두부, 경부, 액와부, 복부, 둔부 등의 표면 선량과 중심 선량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중심부인 복부 처방 선량을 기준으로 할 때 부위별로 환자의 두부, 경부, 액와부, 대퇴부, 족관절부에서 표면 방사선량은 각각 91.3±7.8, 98.3±7.5, 95.1±6.3, 98.3±5.5, 95.3±6.3%였다. 인형 팬톰에서 처방 선량에 대하여 두부, 경부, 액와부, 복부 및 둔부에서의 표면 방사선량은 각각 85.0±4.0, 86.6±5.8, 83.9±4.9, 94.8±5.3, 94.8±2.8%였고, 중심 방사선량은 각각 96.6±2.2, 95.3±3.2, 80.4±1.9, 100.0±3.1, 90.5±2.2%였다. 표면 선량 대비 중심 선량의 비는 두부, 경부, 액와부, 복부 및 둔부에서 각각 1.14±0.06, 1.10±0.09, 0.96±0.05, 1.06±0.06, 0.95±0.02였다. 인형 팬톰에서 얻은 표면 선량 대비 중심 선량의 비를 이용하여 환자에서의 중심 선량을 계산하였을 때, 두부, 경부, 액와부, 대퇴부, 족관절부에서 각각 103.4±9.0, 107.8±10.5, 91.1±6.1, 93.8±4.5, 104.5±9.3%였다. 결 론 : 환자에서의 측정된 표면 선량과 계산한 중심 선량의 분포는 -8.9 ∼ +7.8%였으나, 선량 분포가 +5% 이상 증가 또는 감소된 부위인 경부와 액와부에서는 인형 팬톰과 환자와의 좌우 두께의 차이에 의해서 실제보다 크게 계산되었으므 로 실제 환자에서의 전신 선량 분포는 이보다 더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tal body irradiation (TBI) or whole bo dy irradiation is used to acquire immune suppression, to treat malignant lymphoma and leukemia, and as an conditioning regimen fo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or these purposes, many methods were developed to obtain homogenous dose distribution. The obje 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nfirm the accuracy and the homogeneity of the treatment setup, the parallel opposed lateral technique, currently us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aterials and Methods : Surface dose data, measured with a thermoluminescent dosimeter, of 8 patients among 10 patients, who were given total body irradiation with the parallel opposed lateral technique between September 1996 to August 1998,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analyzed. Surface doses were measured at the head, neck, axilla, thigh, and ankle level. Surface and midline doses were measured with similar set -up and technique in the Humanoid phantom. Results : Measured surface doses relative to prescribed dose for the head, neck, axilla, thigh, and ankle level were 91.3±7.8, 98.3±7.5, 95.1±6.3, 98.3±5.5, and 95.3±6.3%, respectively. The midline doses of the head, neck, axilla, thigh, and ankle level estimated from the surface-t o-midline ratios in the Humanoid phantom were 103.4±9.0, 107.8±10.5, 91.1±6.1, 93.8±4.5, and 104.5±9.3%, respectively. Measured surface doses and estimated midline doses ranged from -8.9% to +7.8%. Midline doses at the neck and the axilla level deviated more than 5% from the prescribed doses. The difference of the estimated midline doses at the neck and the axilla level and the actual doses were attributed to the thickness differences between the Humanoid phantom and the patients. Conclusion : Distribution of the midline doses as well as the surface doses were measured to be within -8.7∼+ 7.8% range. Actual dose distribution in the patient is expected to be better than the measured dose range mainly attributed to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and the Humanoid phantom.

      • KCI등재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

        지의규(Eui Kyu Chie),김규보(Kyubo Kim),최진화(Jin-Hwa Choi),장나영(Na-Young Jang),한원식(Wonshik Han),노동영(Dong-Young Noh),임석아(Seock-Ah Im),김태유(Tae-You Kim),방영주(Yung-Jue Bang),하성환(Sung Whan Ha)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6 No.3

        목 적: 조기유방암의 치료에 있어 과거에는 유방 전적출술이 주된 치료였으나 현재는 유방보존술이 표준 치료방법 으로 정립되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유방보존수술 및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 하고 치료결과 및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2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침윤성 유방암으로 유방보존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42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환자는 사분절제술 및 액와림프절 청소술을 시행 받았다(396명, 93.4%). 302명이 T1이었고 122명은 T2 병기였으며, 림프절 전이는 107명에서 확인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전체 유방에 28회에 걸쳐 50.4 Gy를 조사한 후 종양이 있었던 부위에 10 Gy의 추가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역림프절 조사는 57명에서 시행되었다. 항암화학요법은 231명에서 시행되었으며, 그 중 170명이 cyclophosphamide, methotrexate 및 5-fluorouracil을 투여 받았다. 중앙추적기간은 64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 환자의 5년 국소제어율은 95.6%이었다. 추적관찰 중 15명의 환자에서 국소재발이 확인되었다. 5년 생존율은 93.1%이었고,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I기 94.8%, IIA기 95.0%, IIB기 91.1%, IIIA기 75.9%, IIIC기 57.1% 이었다. 5년 무병생존율은 88.7%이었고, 병기별로는 I기 93.1%, IIA기 89.4%, IIB기 82.8%, IIIA기 62.0%, IIIC기 28.6%이었다. 예후인자 분석에서는 N 병기(p=0.0483)가 생존율에, 연령(p=0.0284)과 N 병기(p=0.0001)가 무병생존율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결 론: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우수한 국소제어율 및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We analyzed the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breast conserving surgery, followed by postoperative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24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between February 1992 and January 2001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 quadrantectomy and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in 396 patients. A total of 302 patients had T1 disease, and 122 patients had T2 disease. Lymph node involvement was confirmed in 107 patients. Whole breast irradiation was administered at up to 50.4 Gy in 28 fractions, followed by a 10 Gy boost in 5 fractions to the tumor bed. In addition, 57 patients underwent regional lymph node irradiation. Moreover,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in 231 patients. A regimen consisting of cyclophosphamide, methotrexate, and 5-fluorouracil was most frequently used with 170 patient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64 months. Results: The 5-year local control rate was 95.6%. During the follow-up period, local tumor recurrence was observed in 15 patients. The 5-year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93.1% and 88.7%, respectively.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s, by stage, were 94.8% for stage I, 95.0% for stage IIA, 91.1% for stage IIB, 75.9% for stage IIIA, and 57.1% for stage IIIC. As for disease-free survival, the corresponding figures, by stage (in the same order), were 93.1%, 89.4%, 82.8%, 62.0%, and 28.6%, respectively. The advanced N stage (p=0.0483)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predicting poor overall survival, while the N stage (p=0.0284) and age at diagnosis (p=0.0001) were associated with disease-free survival.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early breast cancer results was excellent for local control and survival.

      • SCOPUSKCI등재

        해면상혈관종에 대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고선량 정위 방사선수술의 임상경험

        홍세미,지의규,박석원,김일한,하성환,박찬일,Hong Semie,Chie Eui Kyu,Park Suk Won,Kim Il Han,Ha Sung Hwan,Park Charn Il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1 No.2

        Purpose: To establish the role of stereoactic radiosurgery using a linear accelerator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vernous anglom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1995 and May 1997, 11 patients with cavernous angioma were treated with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a linear accelerator. Diagnoses were based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8 patients, and the histological in 3. The vascular lesions were located on the brainstem (5 cases), cerebellum (2 cases) thalamus (1 case) and cerebrum (3 c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 at onset included previous intracerebral hemorrhages (9 cases) and seizures (2 case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a linac-based radiosurgery. The median dose of radiation delivered was 16 Gy ranging from 14 to 24 Gy, which was typically proscribed to the 80$\%$ isodose surface (range 50 $\~$ 8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lesion with a single isocenter. Ten patients were followed-up.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49 months ranging from 8 to 73 months, during which time two patients developed an intracerebral hemorrhage, 1 at 8 months, with the other at 64 months post radiosurgery. One patient developed neurological deficit after radiosurgery, and two developed an edema on the T2 weighted images of the MRI surrounding the radiosurgical target. Conclusion: The use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in the treatment of a cavernous angioma may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rebleedlng, and can be safely delivered. However, a longer follow-up period will be required.

      • KCI등재후보

        부정형 방사선 조사면에 대한 투과선량 보정 알고리즘

        윤형근(Hyong Geun Yun),지의규(Eui Kyu Chie),허순녕(Soon Nyung Huh),우홍균(Hyoung Koo Lee),이형구(Hong Gyun Wu),신교철(Kyo Chul Shin),김시용(Siyong Kim),하성환(Sung Whan Ha)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0 No.3

        목적 : 방사선치료시 환자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매 치료시마다 간편하게 확인하기 위한 생체내(in vivo) 선량측정의 한 방법으로 투과선량을 이용하는 새로운 시스템에 필요한 알고리즘을 이미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면 일부가 차폐된 부정형 조사면에서 적용하기 위한 보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투과선량 측정을 시행하였다. 측정에는 선형가속기의 6 MV 및 10 MV의 X선을 이용하였고, 이온함형 측정기 및 전위계를 사용하였다. 측정조건으로는 조사면의 크기(collimator opening)는 2 x 2c㎡에서 32 x 32c㎡까지 한 변을 2 cm씩 증가시켜 16단계로 하였고, 팬톰 두께(phantom thickness Tp)는 0, 10, 20 및 30 cm, 팬톰과 측정기간의 거리(phantom chamber distance PCD)는 10, 30 및 50 cm으로 하였다. 이 때 조사면의 일부를 차폐하였으며 차폐되지 않은 유효조사면(effective field size)의 크기를 5 x 5,10 x 10,15 x 15 및 20 x 20c㎡으로 하였다. 결과 : 조사면의 일부가 차폐체에 의하여 차폐된 경우 종양선량이 감소되며 동시에 투과선량도 감소된다는 물리학적인 추론을 이용하여 방사선조사면 일부 차폐가 투과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조사면 일부가 차폐된 여러 측정 조건에서 알고리즘을 이용한 계산치와 실제측정치 간의 오차는 ±1.0% 이내이었다. 결론 : 투과선량 계산 알고리즘은 조사면 일부가 차폐된 불규칙 조사면의 경우 {pm}1.0% 이하의 오차 범위로 정확히 투과선량을 계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 Measurement of transmission dose is useful for in vivo dosimetry. In this study, the algorithm for estimating the transmission dose for open radiation fields was modified for application to partially blocked radiation fields. Materials and Methods : The beam data was measured with a flat solid phantom with various blocked fields. A new correction algorithm for partially blocked radiation field was developed from the measured data. This algorithm was tested in some settings simulating clinical treatment with an irregular field shape. Results : The correction algorithm for the beam block could accurately reflect the effect of the beam block, with an error within ±1.0%, with both square fields and irregularly shaped fields. Conclusion : This algorithm can accurately estimate the transmission dose in most radiation treatment settings, including irregularly shaped field.

      • KCI등재후보

        조직 결손에 대한 투과선량 계산 알고리즘 보정

        윤형근(Hyong Geun Yun),지의규(Eui Kyu Chie),허순녕(Soon Nyung Huh),이형구(Hyoung Koo Lee),우홍균(Hong Gyun Woo),신교철(Kyo Chul Shin),하성환(Sung Whan Ha)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0 No.2

        목 적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에서는 생체내(in vivo) 선량측정시 방사선 조사 조건으로부터 투과선량을 예측하는데 필요한 투과선량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한 바 있으며 조사면 내에 조직의 일부가 결손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보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측정을 시행하였다. 측정에는 선형가속기의 6 MV 및 10 MV X선을 이용하였고 측정기 및 전위계를 사용하였다. 측정조건은 조사면의 크기는 10×10 ㎠, 20×20 ㎠ 및 30×30 ㎠으로 하였고, 팬톰 두께는 20 ㎝, PCD는 10 ㎝, 30 ㎝ 및 50 ㎝로 하였다. 이때 팬톰이 조사면의 일부에서 결손되도록 하였으며 결손 범위를 0 내지 100%로 하였다. 또한 조직 결손 및 불규칙한 윤곽선을 가진 경우에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조직 결손이 가장 심한 경우에 해당하는 유방암 환자를 모델로 팬톰 모형을 만들어 투과선량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조사면의 일부에 존재하는 조직 결손이 투과 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물리학적 이론을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알고리즘은 다양한 측정조건들에서 측정값과 대부분 ±1.0%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유방암환자의 모형을 이용한 측정값과는 ±3.0% 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결 론 : 투과선량 계산 알고리즘은 조직이 일부 결손된 경우의 대부분에서 ±1.0% 이하의 오차 범위로 정확히 투과선량을 계산할 수 있었고 임상적으로 극단적인 조건에서도 ±3.0% 이내의 오차를 보이므로 임상적용이 충분히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Measurement of transmission dose is useful for in vivo dosimetry. In this study, previous algorithm for estimation of transmission dose was modified for use in cases with tissue deficit. Materials and Methods : The beam data was measured with flat solid phantom in various conditions of tissue deficit. New algorithm for correction of transmission dose for tissue deficit was developed by physical reasoning. The algorithm was tested in experimental settings with irregular contours mimicking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multiple sheets of solid phantoms. Results : The correction algorithm for tissue deficit could accurately reflect the effect of tissue deficit with errors within ±1.0% in most situations and within ±3.0% in experimental settings with irregular contours mimicking breast cancer treatment set-up. Conclusion : Developed algorithm could accurately reflect the effect of tissue deficit and irregularly shaped body contour on transmission dosimetry.

      • KCI등재후보

        Treatment Outcome of Metastatic Carcinoma of Cervical Lymph Node from an Unknown Primary

        Kyubo Kim(김규보),Eui Kyu Chie(지의규),Hong-Gyun Wu(우홍균),Kwang Hyun Kim(김광현),Myung-Whun Sung(성명훈),Dae Seog Heo(허대석),Charn Il Park(박찬일)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3

        목 적: 원발병소 불명의 경부림프절 전이의 치료는 각 기관들의 치료원칙에 따라 경부림프절청소술, 림프절 절제술, 방사선치료 및 항암화학치료 등 다양한 조합의 치료가 적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에 서 원발병소 불명의 경부림프절 전이의 치료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1년 7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3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가 12명에서, 선행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가 8명에서, 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18명에서 시행되었고, 1명은 선행항암화학요법, 경부림프절청소청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성별은 남자가 31명, 여자가 8명이었고, 연령의 중앙값은 55세였다.결 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55%였다. 치료방법에 따라 분석해보았을 때, 수술+방사선치료가 방사선치료 단독 혹은 항암화학요법+방사선치료에 비해 우월한 5년 무병생존율을 보고하였다 (75% vs. 48% vs.19%). 그 외에 원발병소 발현여부가 무병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결 론: 원발병소 불명의 경부림프절 전이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적 절제술 및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이 방사선치료±항암화학요법에 비해 우월한 무병생존율을 보여주었다. 항암화학요법의 효과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요망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outcome of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a metastatic carcinoma of cervical lymph nodes from an unknown primary (MUO), and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for the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1981 and June 1999, 39 patients with MUO underwent radiation therapy with curative intent. Twelve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Group 1), 8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Group 2), and 19 with either an excision or neck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3). There were 31 males and 8 females, with a median age of 55 years, ranging from 25 to 77 ears. The median duration of follow-up was 38 months, ranging from 3 to 249 months. Results: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55%.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y,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s of Groups 1, 2 and 3 were 48, 19 and 75%, respectively (p=0.0324). In addition to the treatment modality, the appearance of the primary site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disease-free survival (p=0.0085). Conclusion: Surgical resection and radiation therapy achieves a superior disease-free survival compared to radiation therapy alone, either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evaluate the role of chemotherapy in the treatment of MU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