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방 척추 감압술을 시행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수술 후 통증조절 방법간의 효과 비교

        송우석,이영상,박병학,김정묵,변찬웅 대한척추외과학회 2018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5 No.3

        Study Design: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early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s and the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associated with 3 methods of pain control after posterior spinal decompres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pinal surgery causes severe postoperative pain. Efficient and safe methods for postoperative analgesia after spinal surgery are necessary. Materials and Methods: To determine the clinical symptoms and to assess improvements in postoperative pain, 52 patients in whom single-level posterior lumbar decompression was planned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18 patients received a preoperative single-shot epidural injection (SEI), 16 patients received a postoperative continuous epidural injection (CEI), and 18 patients received only postoperative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Patient ratings of pain intensity (visual analog scale score from 0 [no pain] to 10 [most severe pain]), nausea (from 0 [no nausea] to 5 [severe nausea]), and vomiting (from 0 [no vomiting] to 5 [severe vomiting]) were recorded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and at 4 hours, 12 hours, 1 day, and 2 day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CEI group showed significantly enhanced analgesic effects, followed by the SEI group and the IV PCA group (p<0.05). PONV due to postoperative pain control was more severe in the IV PCA group than in the other 2 groups (p<0.05). Conclusions: Continuous epidural injection (CEI) is effective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nd minimizes the occurrence of PONV after posterior spinal decompression. 연구 계획: 전향적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요추부 협착증으로 후방 척추 감압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게 경막외강 내 및 정맥 내 경로를 통한 3가지 통증조절방법을 적용한 뒤각 방법간의 통증조절효과 및 구역감, 구토감(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척추 수술은 수술 후 심한 통증을 유발하므로 통증관리를 위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통증조절방법은 필수적이다. 대상 및 방법: 술 후 임상증상 및 통증의 호전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분절 후방 척추 감압술을 시행 받은 52명의 환자를 무작위로 총 3군으로 나누어 18명에게 전신 마취 후 수술 시작 직전 경막외강 내 일회 약물 투여, 16명에게 술 후 지속성 경막외강 내 약물 투여장치를 적용, 18명에게 술 후 정맥내 자가통증조절장치를 적용하였다. 수술 직후, 4시간 후, 12시간 후, 1일 후, 2일 후 환자가 호소하는 통증 정도를 시각통증등급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통증조절약물 투여 후 환자가 호소하는 구역감, 구토감의 횟수와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통증조절효과의 비교에서 지속성 경막외강 내 약물 투여(CEI) 군이 유의하게 좋았고, 일회성 경막외강 내 약물 투여(SEI) 군과 정맥 내 통증자가조절장치(IV-PCA) 군이 뒤를 이었다(p<0.05). 술 후 통증조절에 따른 PONV는 PCA 군에서 다른 두 군보다 발생빈도가 높았다(p<0.05). 결론: 지속성 경막외강 내 약물투여(CEI)는 후방 척추 감압술 후 통증 조절에 효과적이며 PONV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약칭 제목: 후방 척추 감압술을 시행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수술 후 통증조절 방법간의 효과 비교

      • KCI등재

        실물 통증자가조절기 교육 프로그램이 노인 고관절수술 환자의 통증, 진통제 사용량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류수향,조현숙 병원간호사회 2016 임상간호연구 Vol.2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al PCA education with practice on postoperative pain, consumption of analgesics, and anxiety for elderly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y.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52 elderly patients ( 65) with total hip arthroplasty at the G. hospital in Seoul.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December 3, 2014 to April 30, 2015. Twenty six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o the control group. Preoperative real PCA education with practice was performed individually with the experimental group by the author.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24 and 48 hour postoperative pain (t=-2.59, p=.012; t=-3.80, p<.001 respectively), and in consumption of analgesics at 24 and 48 hours after ope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3.61, p<.001; t=-4.19, p<.001 respectivel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t=-1.03, p=.308) at 48 hour after operation. Conclusion: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ized real PCA education with practice contributes to relieve postoperative pain and reduce analgesic uses of the elderly with total hip arthroplasty. Thus,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is education program could be applied in clinical settings as a nursing intervention in reducing postoperative pain for the elderly with total hip arthroplasty. 목적: 수술 후 통증자가조절기를 사용하는 노인 고관절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실물을 이용한 통증자가조절기 교육을 시행하고 수술 후 통증, 진통제 사용량,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유사 실험연구로 연구설계를 하였고, 연구대상자는 2014년 12월 3일부터 2015년 4월 30일 사이에 서울시내에 소재한 G병원에서 고관절수술을 받은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총52명(실험군 26명, 대조군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수술 전날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소책자와 통증자가조절기 실물을 이용하여 노인의 특성에 맞춘 개별적인 교육이 제공되었다. 결과: 수술 후 24시간에 측정한 통증이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2.59, p=.012), 수술 후 48시간에 측정한 통증에서도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80, p<.001). 수술 후 24시간 동안 진통제사용량 (t=-3.61, p<.001), 수술 후 48시간 동안 진통제사용량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19, p<.001). 수술 후 48시간에 측정한 불안정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03, p=.308). 결론: 수술 전 실물을 이용한 실습과 함께 노인의 특성에 맞춘 개별적인 통증자가조절기 교육은 노인 고관절 수술환자의 수술 후 통증을 완화하고 진통제사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물을 이용한 통증자가조절기 교육은 노인 고관절수술환자의 수술 후 통증관리를 위한 간호중재로 임상실무에서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복강경하 자궁절제술과 질식 자궁절제술의 수술 후 통증 비교

        최공주 ( Kong Ju Choi ),김홍배 ( Hong Bae Kim ),박성호 ( Sung Ho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6

        목적 복강경하 자궁절제술과 질식 자궁절제술의 수술법에 따른 수술 후 통증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2010년 6월부터 2010년 8월까지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에서 양성질환에 한해 복강경하 자궁절제술을 받은 환자 56명과 질식 자궁절 제술을 받은 환자 66명을 포함한 12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통증의 정도는 비무작위적으로 비교되었고, 또한 수술 전, 수술 중, 수술 후 특징을 함께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후 1시간, 1일, 3일째 visual analog scale (VAS; 통증의 강도를 가시화한 점수 로 10점이 최고 통증) 지표를 측정하고 또한 입원기간 동안 통증완화를 위한 추가적인 진통제의 요구량이 통증의 척도로 사용되었다. 결과 수술 후 3일동안 진통제 사용량은 복강경하 자궁절제술을 한 환자군이 질식 자궁절제술을 한 환자군 보다 더 낮았다(pethidine, P <0.05; NSAIDs, P <0.05). VAS 지표 또한 질식 자궁절제술을 한 환자군이 복강경하 자궁절제술을 한 환자군 보다 더 높았다(VAS-수술 후 1시간 째, P <0.05; VAS-1일째, P <0.05; VAS-3일째, P <0.05). 수술 시간, 이전 복식을 통한 수술 과거력 및 복강내 유착을 제외한 수술 전, 수술 중, 수술 후 특징은 두 환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복강경하 자궁절제술이 질식 자궁절제술에 비해 통증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경험이 많은 수술자에 의해 시행될 경우, 양성 부인과질환에 있어 질식 자궁절제술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ostoperative pain of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TLH) compared with vaginal hysterectomy (VH). Methods From June 2010 to August 2010, 122 patients were enrolled, of whom 56 underwent TLH and 66 underwent VH for benign diseases at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Postoperative pain degree was compared in non-randomized, prospective method and preoperative, intraoperative, postoperative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Postoperative pain wa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at 1-hour, 1-day, 3-day postoperative periods and the additional consumption of analgesic units (vials and tablets) required by patients for pain relief at all hospital stay. Results For the fi rst 3 postoperative days, the median total consumption of analgesics was considerably lower in the TLH group than in the VH group (pethidine, P <0.05;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Ketorolac Tromethamine], P <0.05). The VAS score also was higher for the VH group than in the TLH group (VAS 1-hour, P <0.05; VAS 1-day, P <0.05; VAS 3-day, P <0.05). No signifi 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in respect to preoperativ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aracteristics except operation time, prior intra-abdominal surgery and pelvic adhesion. Conclusion In this study, since TLH is a less painful procedure in comparison to VH, TLH may be a good alternative to VH for the benign gynecologic diseases with expert surgeons. Keywords: Postoperative pain;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 족관절 수술 후 발생한 통증에 대한 체외충격파의 치료 효과

        양기원,김진수,전성한,이도현,Young, Ki Won,Kim, Jin Su,Jeon, Sung Han,Lee, Do Hyu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8 No.1

        목적: 발목 및 족부 수술을 시행한 후 통증이 발생한 경우에 통증을 감소 시키기 위해 체외 충격파 치료(ESWT)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시행한 족관절 주변 수술 후 통증이 발생한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석고 고정을 제거하고 2개월이 지난 후에도 압통을 호소하고, 시각동통점수(VAS) 점수가 4점 이상인 경우에 ESWT를 4회 시행하였다. 각 회 및 최종 추시 상의 VAS 점수를 확인하였으며 ESWT 전과 최종 추시에서 미국 족부족관절학회 후족부-족관절(AOFAS) 점수를 비교하였다. 환자의 만족도 및 불편감을 확인하였다. 결과: 수술 전 VAS는 평균 4.7점이었으며 수술 후 통증이 발생한 시점은 VAS는 평균 6.0점이었다. 수술 후 ESWT를 시작한 기간은 평균 4.5개월이었으며, 시행 후 1, 2, 3주 및 최종 추시에서 VAS는 각각 4.8, 3.2, 2.3, 2.9점이었다. ESWT 시행 후 최종 추시는 평균 9.4개월있었다. VAS 점수는 최종 추시에서 수술 후 발생한 통증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p<0.001), ESWT 4회 시행 후보다 최종 추시에서 통증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p=0.189). AOFA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60점에서 최종 추시상 86점으로 회복되었다(p<0.001). 환자는 매우 만족이 12례(57%), 만족이 4례(19%), 변화 없음이 3례(14%) 및 불만족이 2례(9%)였다. 1례에서 ESWT 중 어지러움 및 오심을 호소하였다. 결론: 수술 후 발생한 통증 치료에 ESWT를 사용하여 심각한 합병증은 없이 76%에서 통증의 호전을 보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 for postoperative pain after surgery around ankle. Materials and Methods: We included 21 patients who performed an operation around ankle from 2009 to 2013. 4 times ESWT were applied to the patients who have tenderness more than visual analog scale (VAS) point 4. We evaluated the VAS at each sessions and final follow-up, and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nkle-hindfoot score (AFOAS) was checked at preoperative and final follow-up. Patient's satisfaction and complications were surveyed. Results: Preoperative VAS was mean 4.7, postoperative pain VAS was mean 6.0 at 4.5 months follow-up. The VAS after ESWT each session at 1, 2, 3 weeks and final follow-up were 4.8, 3.2, 2.3, 2.9, respectively. Mean final follow-up period was 9.4 months. Final VA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Final VAS were increased from VAS at last session of ESWT, however, not significant (p=0.189). AOF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preoperative 60 to final follow-up 86 (p<0.001). Excellent was 12 patients (57%), good was 4 patients (19%), no change was 3 patients (14%) and poor was 2 patients (9%). 1 patient complained a dizziness and nausea during ESWT. Conclusion: ESWT for postoperative pain after ankle surgery shows satisfactory pain reduction in 76% of all patients without severe complication.

      • KCI등재

        견관절경 수술 후 초기 통증에 대한 사각근간 차단 마취술의 유용성

        김용민(Yong-Min Kim),박경진(Kyoung-Jin Park),김동수(Dong-Soo Kim),최의성(Eui-Sung Choi),손현철(Hyun-Chul Shon),조병기(Byung-Ki Cho),신영덕(Young-Duck Shin),배승환(Seung-Hwan B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4

        목적: 견관절의 관절경 수술은 그동안 전신 마취하에 주로 실시되었는데, 수술 후 초기 통증이 매우 심할 뿐 아니라 잘 조절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견관절경 수술에 있어 상완신경총 사각근간 차단술 마취를 전신 마취와 비교하여 상완신경총 사각근간 차단술의 술 후 초기 통증 조절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9월부터 2009년 3월까지 회전근개 파열로 견관절경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가운데 40예를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완신경총 사각근간 차단 마취하에 수술한 20예, 전신 마취하에 수술한 20예로 나누었으며 두 군의 수술 전과 수술 후 3일간의 통증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입원 중 자가진통조절기(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의 사용 시간과 추가적인 진통제 사용량을 조사하였다. 그밖에 두 군 간의 자세적인 차이와 자세에 따른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유의성을 알기 위해 이원 반복 측정 분산 분석으로 통계학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두 군간의 수술 전 VAS score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상완 신경총 사각근간 차단 마취군의 경우 수술 직후부터 수술 후 48시간까지 VAS score가 전신 마취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었다. 입원 중 PCA의 사용기간은 사각근간 차단 마취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추가적인 진통제 사용은 사각근간 차단 마취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결론: 상완 신경총 사각근간 차단 마취후 시행한 견관절경 수술은 수술 후 48시긴 간의 통증이 유의하게 적어 환자의 초기 재활치료를 수월하게 시행할 수 있었고 추가적인 진통제 사용 또한 적어 진통제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완 신경총 사각근간 차단마취는 견관절경 수술에 있어 수술 초기 통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좋은 마취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After shoulder arthroscopy via general anesthesia, most patients complain of severe pain during the early post operative period.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pain control during the early post operative period with interscalene block anesthesia for shoulder arthroscopy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general anesthesia.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on 40 patients who underwent shoulder arthroscopy between September 2008 and March 2009. The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anesthesia.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t the preoperative and early postoperative periods was checked and compared. In addition, the duration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usage and additional pain killer injections were examin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VAS score before surgery, but the interscalene block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VAS score. The duration of PCA usage was also significantly longer for the interscalene block group, which implies less pain The number of additional pain killer injections was significantly less in the interscalene block group. Conclusion: The patients who underwent shoulder arthroscopy with interscalene block had significantly less pain during the immediately post operative period for up to 48 hours. So patients could conduct initial rehabilitation and experience minimized side effects caused by analgesics due to the decreased use of pain killer. Therefore, interscalene block is considered a good method of anesthesia for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control after shoulder arthroscopy.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치환술 후 활액막내에 주입한 Ropivacaine과 Morphine이 수술 후 통증에 미치는 영향: 전향적 연구

        한창동 ( Chang Dong Han ),최윤진 ( Yun Jin Choi ),양익환 ( Ick Hwan Yang ) 대한슬관절학회 2006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8 No.2

        목적: 인공 슬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수술 후 통증 관리는 입원 기간을 단축시키고, 환자의 운동성 제한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시 활액막 내에 morphine과 ropivacaine을 병용하여 투여함으로써 활액막내 약물 투여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는 전향적 이중 맹검 무작위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전신 상태가 미국 마취과학회 신체 등급 분류상 등급 1, 2에 해당되는 환자를 척추마취 하에서 양측 인공 슬관절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시 관절막 봉합 직전에 무작위로 한쪽 슬관절에는 morphine HCL 5 mg 0.5 mL, ropivacaine 0.6% 300 mg 40 mL, 1:200,000 epinephrine 0.25 mL 및 생리 식염수를 포함하여 전체 50 mL 그리고 반대측 슬관절에는 Normal saline 50 mL를 활액막내에 주입하였다. 수술 후 2, 4, 6, 12, 24, 32, 40, 48시간 동안 통증의 변화를 10 CM visual analogue pain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수술 후 양측 슬관절 간의 출혈량과 운동범위도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32명의 환자에서 양측 슬관절 간에 수술 후 2, 4, 6, 12시간에 휴식 시, 그리고 24, 32, 40, 48시간에는 휴식 시와 운동 시 모두 visual analogue scores (VAS)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수술 후 슬관절의 운동범위에도 양측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인공 슬관절 치환술 시 척추 마취와 경막외 자가 통증 조절 장치 사용 시에는 활액막내국소 마취제나 아편계 약물의 투여는 진통 작용이나, 수술 후 운동 범위 증가 등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여겨진다. Purpose: Pain contro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reduces total admission days and is important in improving post operative range of motion. This study evaluates the efficacy of intrasynovial injection of morphine and ropivacain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double blinded and randomized study was performed in thirty two patients with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y stage I or II who underwent one staged total knee arthroplasty for both knees simultaneously under spinal anesthesia. Demographic data (age, height, weight, gender distribution,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knee score, Knee society score, visual analogue scores (VAS) and range of motion were evaluated in all patients preoperatively. Before closure of the joint capsule, a local injective analgesia of 50mL including 0.5 ml 5 mg of HCL morphine, 40 mL 0.6% 300 mg ropivacaine and 0.25 mL of 1:200,000 epinephrine was injected into the synovium of one knee and 50 mL of normal saline was injected into the synovium of the opposite knee. Analgesic efficacy was evaluated by visual analogue scores (VAS) at intervals of 2, 4, 6, 12, 24, 32, 40 and 48 hours after operation. During this period, the amount of postoperative bleeding and range of motion were compared between both knees in the same patient.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oth knees in regard to VAS at intervals of 2, 4, 6, 12, 24, 32, 40 and 48 hours after surgery (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ange of motion among both knees (p>0.05).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o not recommend the routine use of postoperative intrasynovial ropivacaine and morphine injection for the purpose of reducing pain in patients undergoing knee arthroplasty under spinal anesthesia with epidural patient controlled anesthesia.

      • The Effect of Epidural Ketamine used with Patient-Controlled Analgesia on Postoperative Pain

        강훈,박상희,이동훈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8 忠北醫大學術誌 Vol.18 No.1

        Purpose: Acute pain can be abolished by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ketamine in doses insufficient to induce anesthesia. Therefore we designed this study to see if this subanesthetic dosage of ketamine administered epidurally with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after abdominal surgery can also provide sufficient analgesic effect on postoperative pain. Materials and Methods: 20 consecutive patien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receive either ketamine (n=10) or placebo (n=10) for pain relief after surgery. At 30 minutes before the end of surgery patients were attached to an PCA infusor programmed to epidurally deliver same amount of placebo or ketamine 3-5 mg/h (72-120 mg/day) in combination with background PCA regimen composed of bupivacaine, morphine, fentanyl etc for 48 hours postoperatively. Patients were evaluated for pain on ten-point Verbal Analogue Scale (VAS) and nausea on a four-point scale at 30 minutes, and 1, 6, 12, 24 hours after surgery. Results: The pain score in the placebo group i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ketamine group postoperatively. While the pain scores in the two groups were very similar, throughout the 24 hours period, the incidence of nausea/emesis was also similarly low in both groups.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 fixed rate epidural infusions of ketamine (3-5 mg/h) are ineffective in controlling pain after surgery. 연구목적: 강력한 진통작용를 나타내는 케타민은 마취농도 이하의 용량을 정맥투여함으로써 수술 후 통증같은 급성 통증을 치료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와 같은 마취농도 이하의 저용량을 경막외에 투여하는 경우도 급성통증에 비슷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 환자는 충북대학교병원 수술실에서 복부에 정규 외과 수술을 받은 후 48시간 이상 자가통증조절(Patient-Controlled Analgesia)을 이용하여 통증치료를 받은 성인 남녀 환자들이며 환자들은 무작위로 ketamine군(n=10)과 위약 대조군(placebo, n=10)의 두 군으로 나누고 수술 종료 30분 전에 미리 준비한 patient-controlled analgesia에 ketamine (3-5 mg/h) 혹은 placebo를 섞어서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수술 후 회복실 또는 병실에서 필요한 경우 급성통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ketorolac 30 mg을 정맥 투여하였다. 환자의 통증과 부작용에 대한 평가는 회복실에서 그리고 수술 후 1, 6, 12, 24 시간에 시행하였다. 결과: 두 군 간에 인구학적 차이는 없었으며 수술 직 후 회복실에서 통증의 정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오심 및 구토 등의 부작용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결론: 마취농도 이하의 저용량의 ketamine (3-5 mg/h)을 경막외에 투여하는 경우 의미있는 진통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 KCI등재

        정형외과 수술에서 정맥 주사를 통한 환자 자가 통증 조절법의 효용성과 조기 중단의 원인

        이봉주(Bong-Ju Lee),이철형(Chul-Hyung Lee),고종진(Jongjin G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1

        목적: 본 연구는 정형외과 수술 후 사용되는 정맥 주사를 통한 환자 자가 통증 조절법(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IV-PCA)의 조기중단 빈도를 구하고, 수술 부위 및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여 조기 중단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0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정형외과 수술 후 IV-PCA를 사용한 2,915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성별, 연령, 흡연 상태, 수술 부위, 수술명, 마취 방법, PCA 사용 시간, 만족도, 부작용, 조기 중단 및 조기 중단 이유를 확인하였다. 정형외과 수술은 대수술과 소수술로 분류되었고 수술 부위는 상지, 하지, 척추로 분류되었다. 조기 중단 사유는 부작용, 환자의 단순거부, 퇴원으로 분류하였다. 단변수 분석을 통해 조기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조기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정도를 확인 하였다. 결과: IV-PCA의 조기 중단률은 6% (상지 8.3 %, 하지 5.7 %)였다. 단변수 분석에서 연령, 수술 부위, 수술 분류, 마취 방법, PCA사용 시간, 만족도 및 부작용이 조기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상지 수술의 조기 중단이 하지 수술보다 높았고(p=0.005, odds ratio [OR]=1.78), 소수술이 대수술보다 높았다(p=0.002, OR=2.029). 하지 수술에서 조기 중단의 가장 흔한 이유는 부작용(71.5%)이고, 상지 수술에서는 환자의 단순 거부(41.7 %)로 확인되었다. 결론: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한 IV-PCA의 조기 중단이 하지 수술보다 상지 수술에서 더 빈번하며, 상지 수술의 경우 환자의 단순거부 또는 퇴원으로 인한 조기중단의 비율이 하지 수술보다 더 높았다. 상지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IV-PCA 외에 더 적절한 신경차단(neuroaxial anesthesia)와 같은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of early cessation of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after orthopedic surgery, and the difference in frequency according to the surgical site and type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early cessation of IVPCA. Materials and Methods: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of 2,915 patients using PCA after orthopedic surgery from October 2018 to February 2020, sex, age, smoking status, surgical site, operation name, anesthesia method, PCA usage time, satisfaction, side effects, early discontinuation and the reason of early discontinuation were assessed. Orthopedic surgery was classified into major surgery and minor surgery, and the surgical site was classified into the upper limb, lower limb, and spine. The reasons for discontinuation were side effects, patient rejection, and discharge. The factors affecting early discontinuation were identified by univariate analysis, and the degree of each factor affecting early discontinuation was confirm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early discontinuation rate of IV-PCA was 6% (upper limb: 8.3%, lower limb: 5.7%). Univariate analysis identified, age, surgical site, surgical classification, anesthesia method, PCA usage time, satisfaction, and side effects as factors affecting early discontinua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arly discontinuation of the upper limb surgery was higher than the lower extremity surgery (p=0.005, odds ratio [OR]=1.78). Moreover, that the early discontinuation of minority surgery was higher than that of major surgery (p=0.002, OR=2.029). The most common reason for early discontinuation in lower extremity surgery is the side effects (71.5%), whereas patient rejection was the major reason in upper limb surgery (41.7%). Conclusion: Early cessation of IV-PCA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was more frequent in upper extremity surgery than lower extremity surgery. The rate of early discontinuation due to simple rejection or discharge of patients was higher in the upper extremity surgery than lower extremity surgery. Therefore, methods such as neuroaxial anesthesia should be considered for pain control after upper limb surgery rather than IV-PCA.

      • KCI등재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in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Won Joan Yoo(유원준),Chin Youb Chung(정진엽),In Ho Choi(최인호),Tae-Joon Cho(조태준),Joon O Lee(이준오),Hee-Soo Kim(김희수),Chong Sung Kim(김종성)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5

        목적: 뇌성마비 환자에서 fentanyl과 ketorolac을 이용한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의 수술 후 통증 조절에 대한 안전성과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의 복잡성에 따라 대 수술과 소 수술로 나누어 두 군으로 분류하였고 각 군을 수술 후 통증 조절 방법에 따라 fentanyl과 ketorolac을 이용한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을 사용한 군과 pethidine정맥 주사를 사용한 군으로 세분하였다. 통증의 강도는 Wong-Baker’s faces pain scale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 대 수술군에서는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을 사용한 환자군에서 pethidine을 사용한 환자군보다 유의한 통증의 감소가 있었고 소 수술군에서는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을 사용한 환자군과 pethidine을 사용한 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통증 감소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Fentanyl과 ketorolac을 이용한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과 pethidine정맥 주사 요법에 따른 부작용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Fentanyl과 ketorolac을 이용한 경정맥 자가 통증 치료법은 뇌성마비 소아 환자에서 수술 후 중등도 이상의 통증 조절에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with fentanyl and ketorolac for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in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were categorized based on operation complexity into either a minor operation group or a major operation group, and then subdivided based on the analgesic methods used, i.e., intravenous PCA with fentanyl and ketorolac or intravenous pethidine injection. Pain intensity was assessed using the Wong-Baker's faces pain scale. Results: In the major operation group, patients that received PCA had significantly lower pain scores than those who received intravenous pethidine injection,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scores were observed in the minor operation group. Moreover, the side effects of these two analgesic method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Conclusion: Intravenous PCA with fentanyl and ketorolac is effective and safe for moderate to severe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pediatric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 외래수술 환자들의 수술 전 마취에 대한 지식과 불안, 태도에 관한 조사 연구

        박지현, 강훈, 장혜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5 忠北醫大學術誌 Vol.25 No.1

        연구목적: 병원에서 수술을 받는 환자들과 그 보호자들은 수술이나 마취에 대해 의사로부터 자세한 설 명을 듣기를 원한다. 자세한 설명을 듣지 못하는 경우 환자들은 수술 후 환자 자신이 느낄 수 있는 통 증이나 수술에 걸리는 시간, 그리고 수술 후 나타날 수도 있는 여러 가지 부작용 등에 대해 불안해 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들은 수술 후 진통제에 의한 통증 조절 등, 의료진들로부터 이러한 관련된 문제점 들에 대해 자세한 설명과 확신을 얻기를 바란다. 본 연구 조사의 목적은 충북대학교병원 일일수술센터 (Out-Patient Day Surgery Center)에서 외래정규 수술이 예정된 환자들과 그 보호자들이 마취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관심사항을 파악하여 수술 전 불안감을 해소하고 또한 수술 후 마취과적 치 료(postanesthetic care)에 이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조사는 2014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일일수술실에서 정규 수술을 받기 전 환자들과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과 보호자들에게 동시에 사전에 준비된 총 17개의 마취와 관련된 의학적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Table 1)를 간략한 설명과 함께 나누어 주 고 설문의 질문에 답하도록 하였으며 각 질문은 환자와 보호자들의 관심이나 걱정의 정도에 따라 세 등급((1) 전혀 모르거나 걱정되지 않는다, (2) 중간 정도로 알거나 걱정이 된다, (3) 잘 알거나 많이 걱정이 된다)으로 나누어 그 중의 한 등급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결과: 환자들이나 보호자들이 마취와 관련된 17 가지의 모든 항목에서 “(2) 중간 정도로 알거나 걱정 이 된다”와 “(3) 잘 알거나 많이 걱정이 된다” 에 중등도 이상(약 70%)의 균일한 관심과 우려를 보여 주었다. 결론: 마취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의학적 내용에 대한 관심의 정도는 각각의 세부적인 항목마다 거의 동 일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