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생활동화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학령기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관용표현 이해에 미치는 영향

        최윤진(Yun-Jin Choi),이효진(Hyo-Jin Lee),정한진(Hanjin Jeong),서경희(Kyoung-Hee Sehr)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19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경도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생활동화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관용표현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학령기 경도 지적장애로 진단받은 여자 아동 1명으로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설계로 진행되었다. 중재기간은 총 10회기로 기초선 1회기, 중재 8회기, 사후평가 1회기로 각 40분씩 중재를 진행하였다. 중재결과, 생활동화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학령기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관용표현 이해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nguage intervention by using life fairy tale on understanding of idiomatic expression for school-age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 of study was a 15-year-old girl diagnosed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language intervention period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0 sessions, which consisted of 1 baseline session, 8 interventions, and 1 post-evaluation session. Each session lasted 40 minutes. As a result, the language intervention using life fairy stor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understanding of idiomatic expression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강남구 청소년 폭력 실태에 관한 연구

        최윤진(Yun Jin Choi) 한국청소년학회 1997 청소년학연구 Vol.4 No.-

        근래에 청소년들에 의한 학원폭력이 사회문제화되어 원인과 대책 마련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이 그 원인 진단에 있어서 지나치게 이론적, 추상적이거나 또한 연구를 통해 제시된 대책들도 가해 학생에 대한 단속, 격리, 처벌 등의 규제 중심의 방안들이 주로 모색되고 있어서 보다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의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청소년 폭력문제는 현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토대로 하여 소규모의 지역 단위로 그 실상과 문제들이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학원폭력의 실태를 강남구라는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거시적 관점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근본적 원인과 현상들을 찾아보고 보다 구체적이며 현실적인 대안과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남구에 위치한 중고교 재학생 700여명을 대상으로 폭력의 실태, 경험, 원인, 예방 및 대책 등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여 강남구 청소년 폭력의 전반적인 실태를 알아보았고 강남구 내에서도 다시 지역적 특성의 차이에 따라 7개 생활권역으로 분류하여 그 실태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II장에 소개되어 있으며 그 주요 내용에 비추어 볼 때 강남구의 청소년들은 한국 전체 혹은 서울시 전체 청소년들과 공통된 문제와 입장을 보여주기도 하였지만 타지역 청소년들과는 비교되는 차별된 특성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 강남구내의 권역별 특성에 따라서도 몇 가지 차이점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차별적 특성들은 강남구의 특수성, 즉 업무,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이 복합적으로 존재하고 있고 중산층과 저소득층이 공존하면서 전형적인 현대 도심지의 장점과 문제점이 병존해 있는 점 등의 상황적 특성이 청소년 문제 양상에 반영되고 있고 학원폭력의 심각 정도나 원인 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Recently, school violence rates among adolescents have reached higher than ever recorded before nowadays, it is assumed to be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s. But most preceding researches has dealt with this problem too broadly and made false diagnoses or made only abstract and impractical suggestions. Therefore, this study has adopt a somewhat microscopic approach by focusing on the specific area of Kangnam-Ku, which is the third biggest district of Seoul. It is a typical area showing many civic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causing by rapid urbanization. For this study, survey method was adopted to examine the opinions and wishes of Kangnam-Ku adolescents. The main question in the survey included the opinions about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s, their causes and problems, their solutions, and etc. The survey group used in this study include 7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Kangnam-Ku.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in Chap II of this paper. They seem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specific circumstances and regional traits of Kangnam-Ku, where the upper-middle classes and lower classes are coexist, and business centered areas and residential areas are also mixed. These mixed and complex characteristics of Kangnam-Ku seems to cause the different phenomenon of youth problems including the school violence from those of the other districts or among general korean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고령화 사회에서 농촌 조직화를 통한 사회,문화 콘텐츠 발굴 및 서비스에 관한 연구

        최윤진 ( Yun Jin Choi ),최재문 ( Jae Moon Choi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8 No.-

        갈수록 심각해지는 농촌사회의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한 복지서비스의 일환으로 지역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존 시설의 보완과 함께 풍부한 농촌자원을 활용하여 건강과 휴식, 행복의 가치를 제공하는 농촌 테마형 관광 상품화로 확대 조성한다면 농촌노인의 새로운 농촌의 사회·문화적 일자리 창출과 서비스가 만들어질 수있다. 본 연구는 6차 산업을 중심으로 한 농촌의 고령인구의 교육을 통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생산, 가공, 유통, 체험관광 및 서비스가 어우러진 농가소득 창출 및 지속가능한 생태 모델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농촌 지역주민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발굴 요소에 따라 ‘장소 기반의 공간 기능 강화’는 커뮤니티 맵핑 서비스로, ‘체험·경험적 기능 강화’는 참여 네트워크 서비스 및 상황인식+위치기반 서비스로, ‘공동체 형성 기능 강화’는 참여 네트워크 및 지역 상황 분석 서비스로 유형화하였다. 농촌지역의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지역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는 모든 상황을 예측하여 서비스를 명시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사회·문화적 서비스 가능 범주를 기술하였고, 근본적이고 총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콘텐츠 및 서비스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Social and cultural jobs and services can be created for new rural communities of the rural elderly ifthe rural-themed tourism commodity development is expanded to provide the value of health, recreation, and happiness through the deployment of abundant rural resources, along with the supplementation of existing facilities owned and operated in rural communities, as part of welfare service to cope with the rapid aging of rural socie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duce active involvement of the rural aged population through education based on the 6th industry and lay groundwork for rural household income creation and sustainable ecological model that encompasses production, processing, distribution, experiential tourism, and service. We typified the location-based spatial function reinforcement through community mapping service, experiential/empirical function reinforcement through participatory network service and situation perception + location-based service, and community formation function reinforcement through participatory network and regional situation analysis service based on the contents identification elements for stimulating the communication and community among residents of rural community. The services which are provided based on local conditions and situations for rural community cannot be specified based on the prediction of all situations. Thus, the social-cultual service feasibility categories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along with the framework for the contents and services necessary to ensure fundamental and holistic response.

      • KCI등재

        IP망에서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성 제공 방안

        최윤진(Yun-Jin Choi),유명주(Myoung-Ju Yu),이종민(Jong-Min Lee),최성곤(Seong-Go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9

        MIPv4와 같은 기존의 이동성 지원 방안들은 데이터 전달에서의 지연 및 Triangle routing이라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논문은 차세대 통합망 환경에서 MPLS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의 LSP (Label Switched Path)를 이용하여 앞서 이야기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성 지원 구조 및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구조는 이동 단말의 위치를 관리하는 LMS(Location Management Server)를 도입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를 관리하고, FA 간 터널링을 위해 MPLS LSP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문제들을 극복하였으며, 큐잉 이론을 기반으로 한 수학적 분석을 통해 기존의 방안(MIP 등)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Existing mobility support scheme like MIPv4 has the delay at data transfer and Triangle routing problem. This paper proposes the new mobility support scheme and method that can overcome the problem using MPLS LSP in Next Generation Network. The proposed scheme overcomes the problem by introducing the LMS(Location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PLS LSP between FA for a tunneling. We shows on the mathematical analysis using the queuing theory that this proposed scheme is more superior to the existing method(MIP).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의 형식성과 형식화 과정에 관한 고찰

        최윤진 ( Yun Jin Choi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2

        이 연구에서는 근래에 제기되는 학교교육의 한계와 문제들이 교육의 과도한 형식화 현상과 깊이 관련되어 있을 것이 라는 전제 아래, 교육에 있어서 형식성 및 형식화 과정의 의미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첫째, 형식, 비형식, 무형식 교육 및 학습의 개념과 의미가 어떻게 구분되고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들째, 형식교육과 무형식 교육의 주요 특성 비교를 통해서 형식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무형식교육의 대안적 요소와 특성들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셋째, 교육형식화의 정도와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와 이를 보여줄 수 있는 교육모형은 어떻게 설정될 수 있을 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이론가들의 형식, 비형식, 그리고 무형식 교육 및 학습의 개념 구분은 초기 교육의 장소에 따른 단순한 행정구분방식에서 점차 교수-학습과정상의 특성의 차이를 중심으로 구분되어 왔는데, 즉, 교육의 구조화 및 제도화의 정도, 계획성 및 의도성의 정도,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의 정도, 교육과정에 있어서 생활 및 경험과의 관련성의 정도 등 교수-학습 과정의 특성에 따라 교육 및 학습의 형태가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형식교욱과 무형식교육의 특성을 교육시스템의 통제방식, 학습자의 참여방식, 교육목적의 구성방식, 교육과정의 진행방식 등 4가지 측면에서 비교해 보았을 때, 무형식교육은 각 측면에서 탈제도성, 자기주도성, 맥락성, 과정중심성 등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는데, 이는 기존 형식교육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권위적 통제방식, 타율적 학습과정, 고정적이고 결과중심의 교육과정 등의 문제를 보완 할 수 있는 무형식 교육의 대안적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교육에 있어서 형식화 과정을 일반화과정, 표준화과정이라고 보고, 일반화의 반대 개념을 개별화과정으로 볼 때, 교수-학습 과정이 일반화, 표준화되어 있을수록 형식교육에 가까우며 개별화되어 있을수록 무형식 교육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형식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교수-학습과정 상의 특성에 따라 형식에서 무형식에 이르는 연속체(continuum) 모형이 제시되었고, 더 나아가서 단일 특성이 아닌 여러 특성들의 형식화 정도를 보여줄 수 있는 학습 혼합체(learning mixer) 모형이 제시된 바 있다. 결론적으로, 형식교육과 무형식교육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이분법적 접근은 적절치 않으며, 교육 상황에 따른 변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연속체 모형이나 혼합체 모형을 통해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서로 공존하면서 현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의 다원화와 민주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meaning of formality in education, three questions were held: What were the common criteria delimiting formal, non-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in literatures?, What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informal education contrasted with formal education? What is the proper model which shows the degree of formalization in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criteria delimiting the three fields(formal, non-formal, informal education) developed by former theorists included educatioanl location, the organizational degree of learning, the existense of educational intentions, the degrees of self-directedness of learners, the conection with life and etc. Second, in this study, 4 criteria to discri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education from those of formal education were extracted : control in educational system, participation of learners, educational purposes,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education in terms of bottom-up control system, learner`s self-direted participation, contextual formation of educational purposes, and process 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es were analysed. and these were contras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 education. It showed the possibility that informal education could redress undesirable qualities of formal education. Third, formalization can be interpreted as generaliz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similarly, informality is interpreted as individualization. In this study, alternatives to formal education were set along a continuum rather than a dichotomy, that covers the whole range from informal to formal processes. Because the learning process always consists of a mixture of formal and informal elements and that their ratio is singular for each criterion, to describe the transition from formal to informal learning, the ``learning mixer`` from Cross(2007) was adopted and modified. Conclusionally,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are not to stand in opposition to each other, dichotomy ruled. We have to recognize and use both types of education-formal and informal for more inclusive, flexible, applicable education to the changing real world.

      • KCI등재

        폭력예방을 위한 강남구 청소년 환경연구

        최윤진(Yun Jin Choi) 한국청소년학회 1998 청소년학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강남구 지역의 청소년 환경·실태를 조사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청소년 폭력예방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1996년도에 본 연구자가 수행하였던 `강남구 지역 청소년 폭격실태 조사 연구`의 후속연구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남구 지역을 압구정, 논현, 삼성, 대치, 역삼, 개포, 수서 등의 7개 권역으로 나누어서, 각 권역에 위치한 중·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각 권역내 청소년 폭력 및 유해환경 실태에 관한 의견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폭력피해와 유해환경 접촉정도에 근거해 지역내의 안전도(신변에 위협을 느끼지 않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정도)와 건전도(지역환경이 유해하지 않고 자아발전이나 인격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한 정도)를 파악하고 타지역과 비교하였다. 여기서 폭력피해를 폭행피해, 재산피해, 성적피해의 3가지 유형의 피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정하였고 유해환경 접촉은 유해물질, 오락시설, 유해매체 등 3가지 유형의 환경을 설정하였고 유해환경 접촉은 유해물질, 유흥오락시설, 유해매체 등 3가지 유형의 환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정하여 각 유형별 피해와 접촉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강남구의 중·고등학교 중 각 권역별로 1학년씩 임의추출하였고, 다시 선정된 학교별로 1학급씩 임의추출하여 총 580명의 청소년들에게 10월 13일부터 18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결과의 내용과 시사점을 본 논문 5장과 6장에 수록되어 있으며, 주요 결과들을 중심으로 각 권역별로 환경의 안전도와 건전도 알 수 있는 권역별 청소년 환경지도를 제작하였다. This is a kind of serial study of `Research on the School Violence among Adolescents in the Kangnam-Ku` (Choi, 1997) which was performed last year. This study has adopt somewhat microspic approach by focusing on the specific area of Kangnam-Ku and dividing it into the seven parts to catch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detail, which caused the youth violences. For this study, survey method was adopted. The main question in this survey included the students` experiences of being injured by school violences which mean physical violences, extortion of money, and sexual abuse. And it also included the degrees of Students` Keeing touch with the unhelpful environments. These meant the degrees of drinking or useing of unhelpful substances such as drugs, cigarette or alcohol and etc., or visiting unhelful facilities Such as a bar, a pub, or reading unhelpful books and watching unhelpful video. The survey group used in this study include 5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Kangnam-Ku.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in Chap 5, 6 of this paper. Based on the major findings, the 7 sorts of maps were drawn. The maps show the crime-ridden districts and specific unhelpful facilities for youth in each of seven parts of Kangnam-Ku.

      • KCI등재

        아동의 권리와 청소년의 권리

        최윤진(Yun Jin Choi) 한국청소년학회 2000 청소년학연구 Vol.7 No.2

        이 글에서는 그동안 아동과 청소년의 권리의 성격에 뚜렷한 구분없이 논의됨으로서 두 집단간에 대한 적절한 권리 내용과 제한의 범위와 기준을 설정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때로는 각 집단의 권리를 침해 할 수도 있다는 문제의식에 기초에서 아동의 권리와 청소년의 권리는 과연 다른지, 다르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집단의 권리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 아동과 청소년의 개념 구분과 사회역사적 과정 속에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시기적 성격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오늘날의 나약하고 부정적 이미지의 청소년관은 산업사회 이전 과거와는 다르며, 근대화 과정에서 사회 및 기성세대에 의해 조작되고 형성시켜온 측면이 컸음을 지적하며 이제 사회변화 및 청소년들의 조숙한 성장발달과정에 걸맞게 `청소년기`에 대한 사회적의미와 개념조정이 새롭게 정립되어야 함을 밝힌바 있다. 즉 사회적`의존`과 `자립`선상에서 `의존기`인 아동기와 `반의존기(혹은 반 자립기)`인 `청소년기`가 구별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둘째로, 아동과 청소년에게는 각기 서로 다른 사회적 당면문제와 요구가 존재하며 이것이 두 집단의 권리 내용과 성격을 구분 짓는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하여, 각 집단의 주요 문제와 요구들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유해요인에 취약한 아동들에게는 사회, 가정 등의 분쟁, 학대, 착취 등으로부터의 보호가 일차적인 요구로 부각되고 있는 반면, 청소년들에게는 이와 함께 자립으로서의 전이과정에 필요한 취업 및 자립의 기회와 여건의 확보, 자기결정 및 자율성의 확보 등이 주요한 요구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앞서의 비교 분석을 기초로 아동의 권리와 청소년의 권리의 성격을 비교해보면 아동에게는 보호권이나 복지권이 일차적으로 요구되는 권리인데 비해 청소년에게는 아동에 비해 성인권(adult right)이나 부모에 대응되는 권리(right against parents)가 더 많이 요구되고 있고, 청소년의 자립요구 충족과 현실적 권리 구현 요구의 충족을 위해 의사표명권(representational right)이나 권능부여권(enabling right)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보호권이나 복지권에 있어서도 아동의 기본적 생존 요구 및 확대, 착취로부터의 보호요구와는 별도로 청소년의 자립능력 함양 및 자립욕구 충족을 위한 권리내용이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아동과 청소년은 그 성숙과 능력정도, 그리고 두시기 요구의 차이점에 따라 권리의 내용과 비중이 달라짐을 알 수 있으며, 양육과 보호의 권리는 아동에게, 그리고 자기결정 및 참여의 권리는 아동과 청소년 두 집단 모두 적절한 권리행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paper tried to show and outline why we have to see youth rights as distintive right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which might be claimed by, or, for young children. The main aim of this analysis was to show the major problems being faced by youths, who are often infringing their rights of self-determination or rights of participation etc. These problems of infringing youth rights were mostly resulted from ambiguous point of view on youth, which treats youth as a little child. For seeking the distintive character of youth rights, the concepts, and interests of children and youth were reviewed and compared as follow. The first chapter examined the concepts of `childhood` and `youth` and explored how the meaning of these concepts had been changed since preindustrial society. Based on the histo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midependent period of youth is different from dependent period of childhood. The second chapter focused on different needs and interests between two groups: children and youth. The different needs of each group should be paramount in drawing up the children`s rights and youth rights. Finally, basing on the different concepts and needs between childhood and youth, which were analysed in previous chapters, in this part, paradigms of rights for each groups were provided. It showed that youth have distinctive rights which follow from the conceptualization of youth as a series of transitions from the relative dependency of childhood to relative independence of adulth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