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르투갈어 소유사 구조 분석:모호성과 선택성

        김한철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18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5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essive structures in Portuguese. The forms of expression in which possessive adjectives are used were examined, the issues of the ambiguity of possessive relations and the optionality of use were discussed, and the contents regarding cases where a definite article is used before a possessive adjective were addressed as well. First, the possessive adjective in the form of ‘seu’ is positioned before or after the modified noun and appears in diverse structures depending on surrounding elements. However, the possessive adjective in the form of ‘dele’ is positioned after the noun whenever it is used. In Portuguese, since ‘você’, which is the second person in meaning, is grammatically treated as the third person, the third person possessive adjective ‘seu’ can be used as a possessive case for all of ‘you’, ‘he’, and ‘sh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of ambiguity in the meaning that can be rais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use of the forms of those possessive adjectives that are the second person in meaning, among the forms (seu, teu, de você) that express the meaning of possession ‘your’ in English, the number of cases where the form ‘seu’ was used was absolutely large. In addition, in the use of the forms of those possessive adjectives that are the third person in meaning, although the use of the form ‘seu’ also appears, the form ‘dele’ can eliminate the ambiguity of meaning because it presents information on the gender and the number of the owner more concretely compared to the form ‘seu’. The speakers can choose the appropriate possessive adjective according to the conversation situations. Meanwhile, in Portuguese, a definite article can be optionally used before a possessive adjective. However, it is related not only to the stylistic value but also to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elements and it was also observed from the perspective of variation. Finally, the points that must be educationally considered by those learners that learn Portuguese as a second language were also presented.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포르투갈어 소유사 구조를 분석하는 것으로, 소유사가 사용되는 표현 형태를 조사하고 소유관계의 모호성과 사용의 선택성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소유사 앞에 정관사가 사용되는 부분과 관련한 내용도 다루었다. 먼저 명사구에서 소유사 seu 형태는 수식하는 명사에 전치하기도 하고 후치하기도 하며 주변 요소들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나타나지만 dele 형태는 항상 명사에 후치하여 사용된다. 포르투갈어는 의미상 2인칭인 você가 문법적으로는 3인칭으로 취급되기에, 3인칭 소유사 seu는 ‘너’에 대한 소유격, ‘그’에 대한 소유격, ‘그녀’에 대한 소유격이 모두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 환경에 따라 대두될 수 있는 의미의 모호성 문제가 있다. 분석한 내용을 보면, 의미가 2인칭인 소유사 형태의 사용에서는 ‘너의’ 라는 소유 의미를 표현하는 형태(seu, teu, de você) 중에는 seu 형태의 사용이 절대적으로 많았다. 그리고 의미가 3인칭인 소유사 형태의 사용에서는 seu의 사용도 나타나지만, dele 형태가 seu 형태에 비해 소유자의 성과 수에 대한 정보를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의미의 모호성을 없애 줄 수 있다. 화자는 대화 상황에 따라 적합한 소유사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포르투갈어는 소유사 앞에 정관사 사용이 가능하고 선택적이다. 하지만 단순히 문체적인 가치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구문론적, 의미론적, 화용론적 요소들과 관련이 있었으며, 변이의 관점에서도 관찰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제 2언어로서 포르투갈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교육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선사·고대 농구의 소유형태 검토

        김도헌(Kim, DoHeon) 한국상고사학회 2009 한국상고사학보 Vol.64 No.-

        선사·고대의 농경연구는 일찍부터 다양하게 진행되어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되었지만, 농구의 소유형태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검토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여기서는 농구의 소유형태를 검토하였다. 먼저 분석방법과 민속자료를 제시한 다음, 설정한 방법에 의거하여 선사시대의 석제농구와 고대 철제농구의 소유형태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선사시대에는 가구별로 농구를 소유하였던 반면, 삼한시대가 되면 취락과 가구에 따라 철제농구의 소유형태에 격차가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삼한시대 대촌에서는 철제기경구를 거수층(수장층) 일부만 사유하였도 수확구는 거수층과 하호층(평민층)에서 모두 사유하였다. 그리고 촌락에서는 철제농구를 공동으로 관리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 삼국시대가 되면 점차 철제농구의 공급이 확대되었는데, 특히 5세기부터 철제농구의 보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 철제농구의 소유 계층도 확대되었는데, 촌락에서도 기경구 가운데 일부를 사유한 호민층이 등장하였다. 농구의 소유형태에서 변화가 발생한 시점은 삼한시대인데, 이때부터 철제농구를 소유한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사이에 경제적 격차와 함께 권력 집중도 심화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은 삼국시대까지도 지속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Sinc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farming in the prehistory and ancient times from diverse aspects, resulting in accumulation of many study performances, studies on the possession type of farming tolls are relatively sufficient. Based on such awareness of problem, this study examined the possession type of farming tools. First, analysis method and folk data were presented, and possession type of stone farming tools and ancient iron farming tools were examined based on the established methods. Through this, it was identified that farming tools were possessed for each household in prehistoric times while there was a gap in possession type of iron farming tools depending on the community and household in the era of Three Hans. That is, only parts of Geosu level(chief level) possessed the iron plowing tools at Daechon(big village) in the era of Three Hans, and Haho level(common people) as well as Geosu level possessed the cultivating tools. And it was assumed that iron farming tools were jointly managed at the village level. Supply of iron farming tool was gradually expanded after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in particular, supply of iron farming tools increased distinctly. In this trend, the possession class of iron farming tools was expanded too and Homin level appeared, who possessed some of plowing tools at the village. It was the era of Three Hans when possession type of farming tool changed, and when economic gap occurred between people who possessed iron farming tool and those not, as well as concentration of power. And this situation continued for Three States.

      • KCI등재

        선진국 자가소유 논의와 우리나라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김수현(Kim Soo-Hyun)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3

        최근의 경제위기는 단순히 금융부문만의 문제가 아니라, 1990년대 중반 이후 선진국들의 과도한 자가소유 촉진책이 초래한 부동산 거품형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국가에서는 자가소유의 성격과 기능, 한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논의의 핵심은 자가소유의 불안정성 측면에 주목해야 하며, 민간-공공임대주택 등 임대부문의 효용을 인정하고 주택점유형태 간 균형을 기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자가소유 관련 논의는 개별가구의 점유형태 선택에 대한 미시적인 분석이 주를 이룬다. 자가소유의 성격, 한계 등에 대한 거시적인 차원의 논의는 부족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높은 부동산 가격상승이나 점유형태 변화, 저출산ㆍ고령화의 영향 등을 감안하면 다른 차원의 논의가 요구된다. 선진국들의 경험을 참고하여 자가소유의 안정성이나 주택점유형태의 균형 문제 등에 대한 점검과 공론화가 필요한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다주택자 소유의 여유주택이 실질적인 민간임대주택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공식화, 제도화하는 한편 임대소득세를 부과하는 등의 정책전환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Recent economic crisis is closely related to housing price boom for last 10 years in the advanced countries. The owner-occupied sector also has grown rapidly. For a long time, home ownership has been considered as a symbol of security. As the economic volatility spreads, however, home ownership becomes more insecure. In this context this paper suggests more careful studies on housing tenure, especially on home ownership of Korea. The secure and insecure aspects of home ownership should be studied. The equilibrium of housing tenure among owner-occupied, private renting and public renting needs to be seriously considered as well. Finally, private rental sector which accommodates about 35% of households requires more realistic approach in Korean housing policy.

      • KCI등재

        기업의 소유 및 전문경영방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나영,장대준 한국회계정보학회 2008 회계정보연구 Vol.26 No.3

        Since the Korea economic and financial crisis, the companies of korea have been seeking for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s. But it's not easy to find out which system in management is more suitable for between the family-ownership and the nonfamily-ownership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intended to make it possible to compare the two management systems and indicate which one will be more suitable for the companies in Korea. This study uses 196 manufacturing firms listed in KOSPI during the period of 2001-2004. After dividing as the family-ownership and nonfamily-ownership management 196 sample firms has been used by both parametric method and nonparametric method. The results of the family-ownership and the nonfamily-ownership management system have been compared to be approv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rofit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Management profit is divided respectively as the value of operating activities and the value of non-operating activities. For the value of operating activities return on net operating assets(ROIC) was used and for the value of non-operating activities financial leverage was used. Significantly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s are liabilities-to-equity ratio, dividend payout ratio, and sales growth rati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isons of the two management systems, concerning specifically as to the outcomes, show a little difference both on operating activity value and on nonoperating activity value. Secon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nagement systems and the outcomes. It indicates that the two systems make a little difference as for the outcomes, which also supports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analysis. According to the empirical evidences of this study, there is no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anagement systems and exist specific systems concerning the ownership in accordance with the logical investment or dispersion of the expected profit(value). As to the outcome, it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other primary factors, such as an increase in a scale of a firm, diversification, reorganization on the structure of a company and including the inside regulation, and changes of the legal environment. From above-mentioned, it can be inferred that these evidences support the 'irrelevance hypothesis'. Finally, it implies that the outcome on the firm performance dose not depend on the management systems. 본 연구에서는 소유 및 전문경영방식 중 어떠한 방식이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효율적인 경영방식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1-2004년 동안 증권거래소에 계속 상장된 제조업 중 196개의 연구대상기업을 소유경영기업과 전문경영기업으로 구분한 후에 성과차이를 분석하였고 T-검정과 Wilcoxon 검정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경영방식과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선형회귀모형을 이용하였다. 기업성과는 영업활동가치와 비영업활동가치로 구분하여 영업활동가치의 대용변수로는 영업자산이익률을, 비영업활동가치의 대용변수로는 재무레버리지효과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유 및 전문경영방식의 성과차이분석에서는 영업활동과 비영업활동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의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서 기업의 소유구조와 기업성과와는 관련이 없다는 무관련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경영방식과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도 두 경영방식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성과차이분석에서 제시된 결과가 통제변수의 영향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소유경영기업과 전문경영기업 간에는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소유구조 형태가 어떤지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경영환경의 투명성과 시장의 감시 및 평가에 좀 더 무게를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는 기업규모의 증가, 다각화, 기업구조와 내부통제 제도의 재조직, 법적 환경의 변화 등과 같은 다른 중요한 요인들과 함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결국 기업의 성과는 소유구조 형태보다는 어떻게 기업을 경영하여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주택 소유와 거주의 불일치 원인에 관한 실증분석

        최막중(Mack-Joong Choi),강민욱(Min-Uk Kang) 한국주택학회 2012 주택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이른바 ‘무늬만 세입자’로 불리는 유주택 차가 점유가구가 우리나라 주택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점에 주목하여, 주택의 소유와 거주간에 불일치 또는 분리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자료의 주거이동 가구에 초점을 맞추어 주거이동 전ㆍ후의 점유-소유형태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 외에 소유하고 있는 다른 주택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에 따라 가구특성뿐 아니라 주택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불일치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로짓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소유와 거주의 불일치가 주택에 대한 소비수요와 투자수요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나타난 결과임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으로는 양호한 자녀교육 환경이나 직장으로의 접근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주거 소비수요는 높지만, 가구소득과 자산, 그리고 기존에 소유하고 있던 주택자산의 규모를 고려한 경제적 능력이 이러한 소비수준에 상응하는 주택가격을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에 임차주택에의 거주를 선택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기존에 소유하고 있던 주택에 대해서는 이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미래 자본이득이 크면 투자수요의 대상으로서 지속적으로 소유하는 선택을 하게 된다. 이러한 두 경향은 소비수요와 투자수요가 모두 높은 고학력 가구에게서 보다 분명하게 드러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소유와 거주간 분리 현상이 많이 나타나게 된 것은 그동안 급속한 소득 증대와 주택가격 상승으로 인해 주택의 소비수요와 투자수요가 모두 높은 수준으로 빠르게 증가했던 것에 기인하며, 여기에 우리나라 고유의 전세제도가 촉매제 역할을 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mpirically analyses the causes of mismatch between homeownership and residence by comparing the households who relocate by renting a house while retaining ownership of the existing house, with those who relocate by selling the existing house and purchasing a new house. Binary logit analys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and the houses they own and reside, shows that the mismatch is resulted from locational separation between consumption demand and investment demand for housing: The mismatched households have relatively high level of consumption demand which is necessary for education of school aged-children, journey-to-work, and so on. However, in terms of household income and asset, they are not capable of paying high housing prices that correspond to high level of consumption demand. As the result, they choose to rent a house and still meet their consumption demand on one hand. On the other hand, they choose to retain ownership of the existing house in expectation of large capital gain, which reflects investment demand.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relatively high number of the mismatched households in Korea may be caused by relatively high level of both consumption and investment demands which are associated with rapid increase in income and housing prices, and may be further facilitated by ‘Chonsei’ system characterized by up-front lump-sum deposit of housing rents.

      • KCI등재

        우리 민법상 합유와 준합유의 강제

        남효순(NAM, Hyo-Soo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59

        우리 민법의 합유의 규정(제271조-제274조)에 대한 통설의 해석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통설은 합유에 관한 규정(제272조-제274조)은 임의규정이 된다고 한다. 조합재산의 합유를 정하는 채권편 제704조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또 통설은 제271조 제2항에 의하여 조합계약으로 조합재산을 합수적 합유 이외에 지분적 합유 또는 공유로도 약정할 수 있다고 한다. 또 통설에 의하면 물권법의 합유에 관한 규정과 채권법의 조합규정이 충돌하는 경우, 채권법이 우선하여 적용된다고 한다. 합유물의 처분‧변경에 전원의 동의를 요구하는 물권법 제272조 본문보다 조합업무에 대하여 조합원 또는 업무집행조합원의 과반수의 동의를 요구하는 채권법 제706조 제2항이 우선 적용되고 또 합유물에 대한 보존행위를 합유자 단독으로 할 수 있다고 규정하는 물권법 제272조 단서에 대하여 다른 조합원은 어느 조합원의 통상사무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고 규정하는 채권법 제706조 제3항이 우선한다고 한다. 그리고 통설은 수인의 채권자 및 채무자에 관한 규정이 제278조의 단서가 정하는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다수당사자의 채권이 채권의 준합유에 대한 특칙을 구성한다고 한다. 판례도 공동이행방식의 공동수급체인 조합의 소유로서 준합유 대신 채권의 분할적 귀속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우리 민법이 물권편으로 공동소유의 하나로서 합유를 신설한 결과, 통설과 판례가 이를 배제하는 약정을 허용하는 것은 물권법정주의(제185조)에 반하는 것이 되어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채권계약의 자유를 허용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물권법의 제한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채권계약의 자유를 이유로 합유의 규정을 배제하는 약정을 할 수는 없는 것이다. 또 이러한 약정은 현행 부동산등기법상 등기를 할 수가 없고 또 이를 인정하는 것은 공시주의원칙에 반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조합재산에 관한 사항은 물권편의 합유에 따르므로, 조합업무에 해당함을 이유로 채권편의 규정과 물권편의 규정이 충돌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수인의 채권의 성립을 전제로 하는 다수당사자의 채권은 채권의 공동귀속을 전제로 하는 준합유(준공동소유)의 특칙이 될 수 없고, 만약 이를 인정한다면 민법제정자들이 물권의 합유(공동소유)의 규정을 채권의 준합유(준공동소유)에 준용하려는 의사를 전면적으로 부인하는 것이 되어 타당하지 않다.

      • KCI등재

        고연령 소유가구의 주거이동 및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정의철(Eui-Chul Chung),이경애(Kyung-Ae Lee) 한국주택학회 2013 주택연구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패널자료 8차년도부터 11차년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주 연령이 만 55세 이상인 고연령 소유가구를 대상으로 주거이동과 주택점유형태의 결정에 대한 프로빗모형을 추정하였다. 고연령 소유가구의 주거이동은 주로 가구주의 교육수준, 건강상태, 건강상태의 변화 및 가구원 수의 변화와 같은 인구학적 요인에 의해 주로 결정되며, 주택자산비율과 같은 유형별 자산구성 비율도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주거이동 후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에는 가구주의 고용상태와 주거비용 차이의 영향력이 높았으며 또한 자산구성 비율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자산에서 주택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나 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연령대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주택자산비율은 가구주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소유에서 임차로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융자산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연령인 65세 이하 가구의 경우에 주택을 소유할 확률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연령 소유가구의 주거이동 비율은 해당 분석기간인 3년 동안 약 6%로 낮은 수준이 었으며 주거이동 후 주택을 임차한 비율은 45%로 나머지 55%는 주거이동 후 주택을 다시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이동은 해외 연구 결과들이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주로 인구학적 요인에 의해 유발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총자산에서 주택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고연령 소유가구를 중심으로 주거이동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구들은 주거이동 후 궁극적으로 거주주택을 처분하고 주택을 임차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나 처분시기는 높은 연령에 도달하였을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Determinants of residential mobility and housing tenure choice decisions of older homeowners are empirically examined. Employing KLIPS panel data from 2005 to 2008, univariate and bivariate probit models were estimated using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meowning households of ages over 55.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s of older homeowners are mainly influenc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health status and its change,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ratio of housing asset to total asset also affects their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s. Their housing tenure choice decisions after moving are generally affected by the difference of housing costs between owning and renting and also by the housing asset ratio. In particular, housing asset ratio has differential impacts on housing tenure decisions by the head's ages: housing asset ratio has a greater impact on the transition from owning to renting at a higher range of the head's ages.

      • KCI등재

        프로축구 구단의 소유형태와 지배구조에 대한 고찰

        김은경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4 스포츠와 법 Vol.17 No.1

        2014년에는 브라질 월드컵이 개최된다. 스포츠는 사람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좋은 수단이다. 브라질 월드컵이 다시 한 번 우리에게 그러한 기회를 주리라 생각한다. 현재 우리나라 프로 축구구단에게는 많은 논의거리가 있다. 유일하게 우리나라에서 무연고 구단인 경찰축구단의 경우는 다른 팀들처럼 K리그 챌린지에 정상적으로 참가하기 위해 연고지를 물색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새 연고지를 찾는데 실패하여 전 경기를 원정으로 치루고 있다. 연고지 미정착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자격 여건 미비로 AFC 클럽라이센스를 획득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설령 좋은 성적을 낸다하더라도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할 수 없게 되었다. 이와 같이 연고를 가지는 것이 조금 낯 설은 구단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한동안 구단의 해체위기까지 겪은 성남FC(구 성남 일화)의 사례는 축구가 필요 이상으로 일정 집단의 이기적인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임을 짐작하게도 한다. 시민형구단의 전형을 달리는 구단에 속한 훌륭한 선수들이 경우에 따라서는 그들의 기량과는 상관없이 방출의 위기를 겪기도 한다. 아직까지는 이와 같이 프로 축구현실 속에 선수들이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그러하다고 순수 기업형태 만을 고집하는 것이 능사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는 어느 면에서 스포츠의 세계에 시민의 참여를 가로막는 모순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혼재된 방법으로 프로축구 구단의 소유형태를 모색하여야 한다고 본다. AFC클럽라이센스 조건이 프로구단의 법인격과 지역연고성을 내세우고 있다. 이를 기준으로 한국프로축구연맹에서 프로축구구단으로의 인가조건을 주식회사형태인 법인격취득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구단의 소유형태를 제한하는 것이 된다. 그러므로 이를 유연하게 할 규정개정이 필요하다. 프로 축구의 구단의 이념목적을 바탕으로 클럽이 창조하는 가치에 따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구단은 여러 구성원과 또는 이익집단과 관계를 맺으면서 활동할 수 있도록 선택가능한 다양한 소유형태를 허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FC 바르셀로나의 협동조합형이나 독일 분데스리가의 50+1 원칙은 하나의 연구모델로 삼을 가치가 있다.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성을 고려하여 정상적인 법인화를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측면에서 다양한 구단소유구조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집합건물의 공용부분 관리소유에 관한 연구

        김형식(Kim, Hyeong Sik),성주한(Sung, Joo Han),박필(Park, Pil) 한국부동산학회 2017 不動産學報 Vol.69 No.-

        집합건물의 공용부분을 성질에 따라 분류하면 복도, 계단 등과 같이 성질상 당연히 공용부분으로 될 수밖에 없는 성질상⋅구조상 공용부분(법정공용부분)은 공동의 응접실이나 관리실과 같이 독립된 전유부분 또는 일반건물이 될 수 있다. 구분소유자들이 규약이나 공정증서로 공용부분으로 정한 규약상 공용부분(약정공용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전체공용부분과 일부공용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공용부분에 따르는 문제점을 살펴본 후 적절한 개선방안으로 집합건물의 공용부분에 관리소유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게 되면 문제점은 해결될 것으로 본다. 일본의 경우에는 관리조합에서 구분건물을 관리하고 있고 구분소유법에서 관리주체인 관리조합에서 구분건물을 관리하고 있으 며 더 나아가 관리조합법인을 시행하는 사례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집합건물 관리의 단체인 관리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관리단을 법인으로 하는 제도를 도입하여 체계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제도가 도입되어 시행된다면 집합건물의 공용부분 관리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problems of the common area in aggregate buildings. And it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through the interpretation theory of the present law and the rational legislative theory. (2) RESEARCH METHOD This course aims to study the method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ocuments related to the common area of the aggregate buildings, such as books, papers, precedents, etc., in civil law, aggregate buildings law, real estate registration law, and housing law. (3) RESEARCH FINDINGS Above all, the incorporation of the management team is necessary not only for the common area of the aggregate buildings but also for the maintenance of the management ownership system for the subsidiary facilities and site management. The management ownership system is expected to be able to manage the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of the aggregate buildings as the system that the common area of the divisional owner is owned by the management team for management purposes. 2. RESULTS Since the portion excluding the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is classified as a common area, the ownership of the common area is owned by the owner of the division, and the management fee is collected by the owner of the management fee at the share ratio of the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Therefore, since the management team collects the management fee, the management team is the manager of the common area and not the owner of the common area. There is a problem of ownership.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anagement ownership system is introduced to manage the common area in all the aggregate buildings. In addition to the safety, above all, if a building is destroyed due to the loss of the building or reconstruction, it should be disposed of by resolution of the management team regardless of the change of the division owner.

      • KCI등재

        논문 : 생존분석을 통한 아파트소유자의 소유기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희만 ( Hee Man Kang ),김정렬 ( Jung Ryol Kim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3 금융지식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아파트소유자의 소유기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로 소유자의 소유기간을 종속변수로 하고 금리와 아파트가격, 매매가/전세가 비율, 소유자의 연령, 매 입시 대출 여부를 독립변수로 하 여 Cox비례위험모형을 적용해 실증분석 하였다. 금리상승은 소유자의 매각 확률을 높이며, 아파트 가격 상승은 소유자의 매각 확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상승으로 매매가/전세가 비 율이 상승하면 매각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가비점유자의 매각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유자의 연령이 56세 이상인 경우 36세∼55세인 경우에 비해 매각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파트 매 입시 대출받은 소유자가 대출받지 않은 소유자보다 매각 확률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아파트가 주거목적과 자본이득을 위한 재산증식의 목적으로 소유되고 있는 사실을 설명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실증분석결과로부터 다주택자들의 주택이 시장에 공급될 수 있도록 세제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부동산 규제 및 정책도 시장여건 에 따라 신축적으로 운영하여 주택수요를 진작시킬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time to sell an apartment. We employ Cox Proportional-Hazards Regression using the data from a specific apartment complex.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an apartment owner is willing to sell an apartment when interest rate is rising, the price of an apartment is decreasing, the percentage of the transaction price relative to the Chonsei price is decreasing, and so on.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upply of the rental apartments by the owner of more than one apartment, by giving them some incen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